KR200300938Y1 -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 Google Patents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8Y1
KR200300938Y1 KR20-2002-0029767U KR20020029767U KR200300938Y1 KR 200300938 Y1 KR200300938 Y1 KR 200300938Y1 KR 20020029767 U KR20020029767 U KR 20020029767U KR 200300938 Y1 KR200300938 Y1 KR 200300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coupled
indoor wiring
fitting ho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선
Original Assignee
남양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9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접속함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간격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콘센트가 결합되는 접속함의 본체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더와 일체로 형성하여 접속함 간의 간격을 보다 편리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구조물의 형성을 위하여 부어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철근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개의 접속함이 서로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BOX FOR WIRING IN HOUSE}
본 고안은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접속함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간격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콘센트가 결합되는 접속함의 본체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더와 일체로 형성하여 접속함 간의 간격을 보다 편리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구조물의 형성을 위하여 부어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철근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개의 접속함이 서로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 배선용 접속함은 건물의 건축시 벽체 철근의 설치작업 후 배선작업을 위해 벽체 철근에 시공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건물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기선, 전화선, 텔레비전 안테나선 등을 각각의 층에 배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옥내 배선용 접속함은 철근에 설치하기 위하여 끼움 홀더 형태의 결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를 철근에 끼워 고정한 후에 벽체를 바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벽체가 형성된 후에 콘센트를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를 이용하여 콘센트 본체와 접속함 커버를 결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콘센트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함의 개구된 측면에는 접속함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가 접속함과동일한 재질인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속함에 있어서는 다수개의 접속함이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미관상 각각의 접속함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만 하는데, 이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위하여 접속함을 철근에 체결할 때 작업자가 일일이 접속함 간의 거리를 재어 그 간격을 유지시키고 있었다. 즉, 설치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경우에는 설치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능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함을 설치한 후에 구조물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붇는 경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접속합이 뒤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콘크리트를 부은 후에 작업자가 각각의 접속함의 위치를 일일이 교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함의 본체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더와 일체로 형성된 홈에 끼워져 간격부재를 장착하여 다수개의 접속함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데에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콘크리트 작업시에도 각각의 접속함이 뒤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배선을 위한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철근에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가 형성된 본체 및 콘센트가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접속함에 있어서, 홀더의하부 일 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체결구멍이 끼움구멍 쪽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끼움구멍에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면에서 마주한 다른 일 측면으로 관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간격부재가 결합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구멍과 간격부재는 유동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단면이 사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재의 체결구멍은 간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슬릿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함 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속함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간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간격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접속함 110 ... 본체
111 ... 인입구 112 ... 걸림홈
120 ... 커버 122 ... 걸림돌기
123 ... 걸림턱 124 ... 보강부
125 ... 결속핀 130 ... 홀더
131 ... 협지판 132 ... 끼움홈
133 ... 돌기 134 ... 끼움구멍
135 ... 체결구멍 140 ... 간격부재
141 ... 체결구멍 210 ... 수직철근
220 ... 수평철근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옥내 배선용 접속함은 전선, 전화선 또는 안테나 선 등이 유입되는 본체(110)와 콘센트가 결합되는 커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구성되며, 개구면에 인접한 양 측면의 내부의 단부에는 상기 커버(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선, 전화선 또는 안테나 선 등이 접속함(100)의 내부로 관통될 수 있도록 인입구(111)가 상기 개구면의 맞은편 면에서 상부 및/또는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110)를 철근에 결속하기위한 홀더(130)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홀더(130)는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협지판(131)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협지판(131)의 내주면에는 돌기(133)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33)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구되는 원형의 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홀더(130)의 하부 일 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끼움구멍(134)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구멍(134)에는 이하 설명되는 간격부재(14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3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간격부재(1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도면부호 미표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135)이 상기 끼움구멍(134) 쪽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커버(1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이 관통된 사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 측에는 콘센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23)이 형성되고, 맞은편 일 측의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112)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의 상, 하부면 또는 좌, 우측면에는 콘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결속핀(125)을 갖는 보강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핀(125)은 나사 체결을 위하여 나사 구멍(도면부호 미표시)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끼움구멍(134)에 결합되는 간격부재(1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다란 막대 형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재(1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면에서 마주한 다른 일 측면으로 관통되는 체결구멍(1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구멍(141)은 본체(110)의 체결구멍(135)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가 고정되는 구멍으로 접속함(100)의 간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슬릿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구멍(134)과 간격부재(140)는 접속함(100)의 유동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은 본체(110)의 개구면에 커버(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접속함(100)이 수평철근(2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접속함(1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끼움구멍(134)에 간격부재(140)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100)의 간격이 조절된 후에 상기 본체(110)의 체결구멍(135)을 통해 나사(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간격부재(140)의 체결구멍(141)에 결속된다.
이때, 상기 간격부재(140)는 접속함(1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각 본체(110)의 홀더(130)가 수평철근(210)에 의해 고정되는 힘을
따라서, 상기 접속함(100)은 보다 용이하게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은 접속함의 본체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더와 일체로 형성된 홈에 끼워져 간격부재를 장착하여 다수개의 접속함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도록 하므로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작업시에도 각각의 접속함이 뒤틀어지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각각의 접속함의 위치를 일일이 교정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배선을 위한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철근에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가 형성된 본체 및 콘센트가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홀더(130)의 하부 일 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끼움구멍(134)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체결구멍(135)이 상기 끼움구멍(134) 쪽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멍(134)에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면에서 마주한 다른 일 측면으로 관통되는 체결구멍(141)이 형성되는 간격부재(14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멍(134)과 간격부재(140)는 유동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단면이 사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140)의 체결구멍(141)은 간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슬릿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2002-0029767U 2002-10-05 2002-10-05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300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767U KR200300938Y1 (ko) 2002-10-05 2002-10-05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767U KR200300938Y1 (ko) 2002-10-05 2002-10-05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8Y1 true KR200300938Y1 (ko) 2003-01-15

Family

ID=4932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767U KR200300938Y1 (ko) 2002-10-05 2002-10-05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941B1 (ko) * 2015-05-11 2016-05-23 티에스케이블(주)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
KR101648781B1 (ko) * 2016-01-13 2016-08-17 티에스케이블(주)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를 이용한 모듈화 전기배선 시공방법
CN107645148A (zh) * 2017-10-27 2018-01-30 北京城建北方建设有限责任公司 可调整的jdg二次结构预留线盒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941B1 (ko) * 2015-05-11 2016-05-23 티에스케이블(주)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
KR101648781B1 (ko) * 2016-01-13 2016-08-17 티에스케이블(주)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를 이용한 모듈화 전기배선 시공방법
CN107645148A (zh) * 2017-10-27 2018-01-30 北京城建北方建设有限责任公司 可调整的jdg二次结构预留线盒
CN107645148B (zh) * 2017-10-27 2024-03-22 北京城建北方集团有限公司 可调整的jdg二次结构预留线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0032698B4 (de) Wandbekleidung mit verbesserter Eckkonstruktion
KR100760639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698470B1 (ko)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US6943295B2 (en) Low voltage electrical box
KR200300938Y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3009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438940Y1 (ko)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0640697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박스
KR200242769Y1 (ko) 단자함 구조
KR200236524Y1 (ko) 콘센트박스
KR19990019928U (ko) 조립건물용 패널
KR2002735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245506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223959Y1 (ko)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의 고정구
KR200346695Y1 (ko) 파티션용 코너 연결구
KR200274275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100260953B1 (ko) 건축물의 천정판 고정용 찬넬의 고정방법
KR19990015654U (ko) 전선배관박스
KR200261831Y1 (ko)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JP4382195B2 (ja) ボード用枠体と仕上げ材の敷設方法
JP3550064B2 (ja) 配線又は配管材の保護ダクト
KR200347114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