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506Y1 - 옥내 배선용 접속함 - Google Patents

옥내 배선용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506Y1
KR200245506Y1 KR2020010014863U KR20010014863U KR200245506Y1 KR 200245506 Y1 KR200245506 Y1 KR 200245506Y1 KR 2020010014863 U KR2020010014863 U KR 2020010014863U KR 20010014863 U KR20010014863 U KR 20010014863U KR 200245506 Y1 KR200245506 Y1 KR 200245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coupling
reinforcement
wiring
indoo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선
Original Assignee
남양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4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506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가 결합되는 접속함의 본체 상부면과 하부면에 다수개의 홀더를 형성하고, 본체 전면 개구에 형성된 결합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보강부를 형성하며, 결속핀을 보강부에 수직하게 형성하여 콘센트의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하며, 접속함을 배치할 경우 접속함이 콘크리트에 묻히는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내 배선용 접속함{BOX FOR WIRING IN HOUSE}
본 고안은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가 결합되는 접속함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파손으로부터 방지하므로 콘센트의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하며, 접속함을 배치할 경우 콘크리트에 묻히는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 배선용 접속함은 건물의 건축시 벽체 철근의 설치작업 후 배선작업을 위해 벽체 철근에 시공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건물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기선, 전화선, 텔레비전 안테나선 등을 각각의 층에 배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옥내 배선용 접속함은 철근에 설치하기 위하여 끼움 홀더 형태의 결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를 철근에 끼워 고정한 후에 벽체를 바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벽체가 형성된 후에 콘센트를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를 이용하여 콘센트 본체와 접속함 본체를 결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콘센트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함의 개구된 측면에는 접속함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가 접속함과 동일한 재질인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종래의 접속함에 있어서는 설치작업을 하는 경우 철근의 배치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접속함의 고정위치 때문에 벽체를 바른 후에 접속함에 결합되는 콘센트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센트와 결합을 위해 접속함에 형성된 고정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접속함을 설치한 후에 콘센트를 결합하는 과정에 이르는 동안 접속함에 형성된 고정부가 파손되는 경우 벽체를 뜯어내고 다시 접속함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센트가 결합되는 접속함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고정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센트의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하며, 접속함을 배치할 경우 접속함이 콘크리트에 묻히는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배선을 위한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인입된 전선이 위치되는 수용부를 갖는 다각의 통체로 형성되어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철근에 설치되어 콘센트가 결합되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은 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협지판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협지판의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구되는 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더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함의 본체의 개구된 전방측 면에는 개구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중앙부에 각각 결합부의 두께 보다 좀 더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보강부에는 양 측 단부에 구멍이 형성된 기다란 플레이트 형상의 결속핀이 보강부와 수직하게 삽입된 상태로 결속되도록 구성되게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보강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속핀 부분은 상기 보강부에서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함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이 철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형상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속함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300 ... 접속함 110,310 ... 본체
111,311 ... 인입구 120 ... 홀더
121 ... 협지판 122 ... 홈
123 ... 돌기 130 ... 결합부
131,331 ... 보강부 132,332 ... 결속핀
133,333 ... 구멍 140,340 ... 수용부
201 ... 수평철근 202 ... 수직철근
203 ... 보강철근 320 ... 결속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접속함(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우선 이러한 접속함(100)의 구조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본체(110)의 내부에는 인입된 전선(미도시)들이 배선될 수 있도록 수용되는 수용부(140)가 형성되고, 전방부가 개방된 상태로 전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30)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중앙부에는 각각 결합부(130)의 두께 보다 좀 더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131)에는 콘센트(미도시)를 결합하기 위한 결속핀(132)이 보강부(131)와 수직하게 삽입된 상태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결속핀(132)의 성형은 상기 접속함(10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결합부(130)를 성형할 때 동시에 상기 결속핀(132)을 보강부(131)가 형성되는 부분에 위치시키고 결합부(130)를 성형하여 결속핀(132)이 고정되게 성형한다.
상기 결속핀(132)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기다란 플레이트 형상으로 양측 단부에 구멍(133)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33)에 있어서, 결합부(130)의 내측으로위치되는 구멍(133)이 상기 콘센트(미도시)와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구멍(133)이며, 양 측으로 구멍(133)을 형성하는 이유는 성형하는 과정에서 결속핀(132)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구멍(133)은 일 측에만 형성해도 상관없다.
도면의 도시는 보강부(131)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속핀(13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로 돌출된 결속핀(132)은 성형과정에서 보강부(131)에서 연장되는 플라스틱에 의해 감싸지는 상태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다수개의 홀더(120)가 형성되고, 본체(110)의 배면에는 전선을 배선하기 위하여 수용부(140)와 관통되는 다수개의 인입구(111)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111)는 본체(111) 배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다시 상부와 하부로 각각 수직하게 굴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120)는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협지판(121)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협지판(111)의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돌기(123)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23)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구되는 원형의 홈(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홀더(120)는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응하도록 다수개가 위치되게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접속함(100)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인 철근은 상하로 위치된 한 쌍의 수평철근(201)과 좌우로 위치된 한 쌍의 수직철근(202) 사이에 상기 접속함(100)이 위치되고, 상기 수평철근(201) 사이에 한 쌍의 보강철근(203)을 설치하고, 상기 접속함(100)의 홀더(120)를 상기 보강철근(203)에 끼워 고정한 후에 벽체를 바르고, 상기 결속핀(132)에 콘센트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접속함(100)의 결속핀(13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수개의 인입구(311)가 측면에 형성된 8각 기둥 형상을 갖는 접속함(3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함(300)은 결속부(320)가 위치되는 측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면의 상단부에서 연장되게 보강부(331)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331)를 관통하는 상태로 구멍(333)이 형성된 결속핀(332)을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331)에 일체로 성형되는 결속핀(332)은 상기 설명된 접속함(100)의 구조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하면, 접속함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 즉, 콘센트(미도시)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결속핀(132,332)과 홀더(120)를 접속함(100,300)에 형성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은 설치작업을 하는 경우 철근의 배치에 구애받지 않고 접속함을 설치하게 되므로 콘센트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콘센트와 결합을 위해 접속함에 형성된 결속핀이 부러질 염려가 없기 때문에 접속함을 설치한 후에 콘센트를 결합하는 과정에 이르는 동안 접속함에 형성된 고정부가 파손되어 벽체를 뜯어내고 다시 접속함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옥내 배선용 접속함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배선을 위한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인입된 전선이 위치되는 수용부를 갖는 다각의 통체로 형성되어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철근에 설치되어 콘센트가 결합되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은 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협지판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협지판의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구되는 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더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함의 본체의 개구된 전방측 면에는 개구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중앙부에 각각 결합부의 두께 보다 좀 더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에는 양 측 단부에 구멍이 형성된 기다른 플레이트 형상의 결속핀이 보강부와 수직하게 삽입된 상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보강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속핀 부분은 상기 보강부에서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20010014863U 2001-05-21 2001-05-21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245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63U KR200245506Y1 (ko) 2001-05-21 2001-05-21 옥내 배선용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63U KR200245506Y1 (ko) 2001-05-21 2001-05-21 옥내 배선용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506Y1 true KR200245506Y1 (ko) 2001-10-29

Family

ID=7310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863U KR200245506Y1 (ko) 2001-05-21 2001-05-21 옥내 배선용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907244B1 (ko) 단자함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245506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2735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80102546A (ko)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KR2003009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US20070111593A1 (en) Terminal box
KR200242769Y1 (ko) 단자함 구조
KR200300938Y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80029331A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377095Y1 (ko) 천장등 고정용 매입형 전선함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200396739Y1 (ko) 간격유지봉이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200200561Y1 (ko) 배선기구용 접속구 조립장치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KR200274275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273535Y1 (ko)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JP4116374B2 (ja) 配線用ボックス装置
KR200276330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전장기구 고정장치
KR200166091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구조
KR19980010125U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288018Y1 (ko) 간격유지구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KR200179968Y1 (ko) 전기설비용 다목적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121

Effective date: 200305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121

Effective date: 20030530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701

Effective date: 200311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