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114Y1 -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114Y1
KR200347114Y1 KR20-2003-0040880U KR20030040880U KR200347114Y1 KR 200347114 Y1 KR200347114 Y1 KR 200347114Y1 KR 20030040880 U KR20030040880 U KR 20030040880U KR 200347114 Y1 KR200347114 Y1 KR 200347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ide plates
cable tray
connection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태식
Original Assignee
동남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정공(주) filed Critical 동남정공(주)
Priority to KR20-2003-0040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설치시 그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소정 방향으로 간편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배선되는 케이블을 천장에 현가하기 위해 그 천장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도록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행거(Hanger)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장공(Slot)들이 형성된 사각 봉 형상의 찬넬로 이루어진 측판(Side Bar)들; 상기 측판들을 소정 방향으로 연장 설치할 수 있게 그 측판들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측면부에는 상기 제1장공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들을 구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제1,제2장공들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와 측판들을 착탈되게 나사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Connection Appliance of Cable Tray}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서 케이블(Cable) 배선 작업시 사용하는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시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케이블 설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 작업을 소정 방향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설되며, 특히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Tray)를 사용하여 천정 등의 벽체를 따라서 배치함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는 작업상의 편리성이나 운반 등의 편리성을 위해 자체 중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는 강재를 일일히 절단한 후, 이를 프레스기에 의해 절곡부와 구멍을 설치하고, 이들을 다시 조합 후 용접을 통하여 완성품을 만들고, 이어서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작업 공정수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강재로 인한 무게의 증가는 천정 벽면 등 공중으로 운반 이동하여 설치하는 작업 특성상 많은 노동력을 소요 되게 하는 작업상의 불편을 초래하고, 선박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설치 길이에 대응하여 평균적으로 10000m ~ 20000m의 길이에 해당하는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기 때문에 선박의 전체 무게 관리에 큰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설치시 그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소정 방향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여러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b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1a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2d와 도 2e 및 도 2f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행거의 여러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 표시의 제1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케이블 트레이의 정면도이고,도 4b는 도 4a 표시에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연결부재에 의해 길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도 4c는 도 4b 표시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표시의 제2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를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표시의 제3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 표시의 제4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블 트레이 102 - 행거(Hanger)
104 - 지지바 110 - 측판
112 - 제1장공 210,220,230,240 - 연결부재
212,222,232,242 - 제2장공 310 - 체결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선되는 케이블을 천장에 현가하기 위해 그 천장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도록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행거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장공(Slot)들이 형성된 사각 봉 형상의 찬넬로 이루어진 측판들; 상기 측판들을 소정 방향으로 연장 설치할 수 있게 그 측판들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측면부에는 상기 제1장공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들을 구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제1,제2장공들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와 측판들을 착탈되게 나사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측판을 상하좌우 방향 중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다른 측판을 연결 설치할 수 있게 소정 방향으로 소정 곡면을 이루게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측판에 안착되게 하부가 개구된 사각봉 형상의 찬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측판들에 대응되는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보조행거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으로는 상기 측판에 대해 직교하는 외측 방향으로 다른 측판을 설치할 수 있게 그 측판들에 대응되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보조연결부재가 더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연결부재들은 보조행거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여러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b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1a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2d와 도 2e 및 도 2f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행거의 여러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 표시의 제1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케이블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 표시에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연결부재에 의해 길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도 4c는 도 4b 표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는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바를 이용하여 천장에 현가하기 위해 그 천장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도록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행거(Hanger)(102)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측판(Sidebar)(110)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판(110)들과 행거(102)들의 결합은 일반적인 용접이나 끼움 맞춤에 의해서 실행되는데, 어느 것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측판(110)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행거(102)에 대한 구성은 본인이 등록 받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23940호의 전선 지지장치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300732호의 케이블 트레이용 측판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행거는 도 2d와 도 2e 및 도 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정 간격을 두고 행거(102)들에 의해 일체로 설치된 측판(110)들은 지지바(Support)(104)에 의해 천장에 현가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성 역시 본인이 등록 받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23940호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Support)는 "ㄱ"자 형상의 단면구조이고,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Slot Hole)을 형성하여 상하 위치결정이 용이하도록 체결할 수 있으며, 중량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제작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측판(110)들은, 길이 방향의 각 모서리부에 라운드를 갖는 사각봉 형상의 찬넬로 이루어지며 그 측판(110)들의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장공(Slot)(1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판(110)의 제작은 상기 제1장공(112)들을 형성한 상태에서 사각봉 형상의 찬넬로 절곡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의 각 모서리부에 라운드를 갖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판(110)을 사각봉 형상의 찬넬로 제작하게 되면 측판(110)의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를 이루게 됨에 따라 케이블의 설치시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없앨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판(110)의 단면 형상은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측판(110)들을 소정 방향으로 연장 설치할 수 있게 그 측판(110)들의 단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10)의 측면부에는 상기 제1장공(112)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212)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10)에 대한 제1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1실시예는, 상기측판(110)의 단부에 위치되게 안착되는 형태로 하여 설치될 수 있게 하부가 개구(214)된 사각봉 형상의 찬넬(Channel)로 이루어진다. 즉, 하부가 개구(214)된 "ㄷ"자 형상의 찬넬 구조를 이룸으로서, 측판(110)의 단부에 덮개 형태로 삽입 설치됨에 따라 연결부재(210)에 의한 연결 작업 후에도 견고한 상태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연결부재(210)와 측판(110)을 결합기 위해 체결구(3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체결구(310)는 제1,제2장공(112,212)들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와 측판(110)들을 착탈되게 나사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볼트(312)와 너트(314)를 이용함이 좋다. 즉, 상기 측판(110)의 단부에 연결부재(210)를 안착한 상태에서 그 측판(110)의 측면부에 형성헌 제1장공(112)과 상기 연결부재(210)의 측면부에 형성한 제2장공(212)을 일치되게 하여 그 제1,제2장공(112,212)을 통해 상기 체결구(3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1실시예는, 상기 연결부재(210)가 일직선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측판(110)들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설치됨에 따라 측판(110)들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연결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그 측판(110)들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100)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있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0)의 길이를 최대 2.4M로 결정하였을 경우 상기 지지바(104)의 거리는 NEMA VE 1-7998 규정에 의거 2.4M 이내에서 형성하도록 되며, 상기 연결부재(210)에 의해 측판(110)이 연결된다. 이 때, 도 4b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0) 한 셋트(SET)에 좌,우측 지지바(104)를 1개씩 설치하고 이 지지바(104)는 연결부재(210)의 근접한 곳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내구력에 견딜 수 있다. 따라서, 도 4b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104)가 케이블 트레이(110)의 한 셋트에 4개 이상 설치되었던 종래 기술로부터 본 고안은 2개로 결정하여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 제작, 설치 공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표시의 제2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20)에 대한 제2실시는, 그 연결부재(220)의 외측으로 상기 측판(110)에 대해 직교하는 또 다른 측판을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케이블 트레이(100)를 "T"자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20)는 그 연결부재(220)의 외측 방향으로 또 다른 측판을 설치할 수 있게 그 측판들에 대응되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보조연결부재(224)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연결부재(224)의 사이에 보조행거(226)에 일체로 연결되게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보조행거(226)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행거(226)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본인의 선등록에 의한 행거(10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220)에 따르면, 상기 측판(110)의 상면과 외측면에 접촉되게 "ㄱ"자 형의 단면을 갖는 찬넬 구조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재(220)의 외측으로 설치된 보조연결부재(224)는 하부가 개구된 형상의 사각 봉 형상의 찬넬을 소정 곡면을 갖도록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20)와 보조연결부재(224)의 측면부에는 각각 제2장공(222)들이 형성되어 측판(110)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20)가 "ㄱ"자 형상의 찬넬 구조를 갖으면 상기 측판(110)의 임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220)는 좌우 이동에 따른 위치 변경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측판(110)의 임의 위치에서 "T"자 형상으로 케이블 트레이(1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2개의 연결부재(220)를 사용하게 되면 "+"자 형상(Cross)으로 케이를 트레이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와같이 설치됨에 따라 케이블의 설치시 케이블의 안정감 이룰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표시의 제3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 표시의 제4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30,240)에 대한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는 그 연결부재(230,240)를 소정 방향으로 소정 곡면을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케이블 트레이(100)을 임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0)는 측판(110)에 대하여 좌측 혹은 우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고,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40)는 측판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3,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0,240)의 절곡 형성되는 각도는 30°~ 90° 사이의 다양한 곡각 지점을 이루게 절곡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물론, 제3,데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0,240)의 측면부에도 제2장공(232,242)들이 형성되어야 체결구에 의해 상기 측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0,240)는 상기 측판(110)들에 대응되는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보조행거(234,244)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보조행거(234,244)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 지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행거(234,244)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본인의 선등록에 의한 행거(10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230,240)들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100)를 원하는 임의 방향으로 즉, 상하좌우 방향 중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또 다른 측판을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0)를 이용하게 되면 좌방향 혹은 우방향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40)를 이용하게 되면 상방향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4실시예와는 반대 방향의 곡면을 갖는 연결부재를 제작하게 되면 하방향으로의 연결 설치 작업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연결부재들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간편하게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블 트레이에 구비되는 측판을 모서리부에 라운드를 갖는 사각봉 형상의 찬넬로 구성함에 따라 케이블의 설치시 그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여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부재들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를 소정 방향으로 간편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배선되는 케이블을 벽면 및 천장에 현가하기 위해 그 벽면이나 천장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지지바를 이용하여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도록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행거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장공(Slot)들이 형성된 사각 봉 형상의 찬넬로 이루어진 측판들;
    상기 측판들을 소정 방향으로 연장 설치할 수 있게 그 측판들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측면부에는 상기 제1장공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들을 구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제1,제2장공들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와 측판들을 착탈되게 나사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측판을 상하좌우 방향 중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다른 측판을 연결 설치할 수 있게 소정 방향으로 소정 곡면을 이루게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측판에 안착되게 하부가 개구된 찬넬(Channe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측판들에 대응되는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보조행거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으로는 상기 측판에 대해 직교하는 외측 방향으로 다른 측판을 설치할 수 있게 그 측판들에 대응되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보조연결부재가 더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연결부재들은 보조행거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ㄱ"형상의 단면구조이고,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Slot Hole)을 형성하여 상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KR20-2003-0040880U 2003-12-31 2003-12-31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KR200347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80U KR200347114Y1 (ko) 2003-12-31 2003-12-31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80U KR200347114Y1 (ko) 2003-12-31 2003-12-31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569 Division 2003-12-31 2003-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114Y1 true KR200347114Y1 (ko) 2004-04-08

Family

ID=4942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880U KR200347114Y1 (ko) 2003-12-31 2003-12-31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1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96B1 (ko) 2008-01-02 2008-03-24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96B1 (ko) 2008-01-02 2008-03-24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2673A (en) Electric box extension
US7559512B1 (en) Pipe hanger and pipe support system
US11296489B2 (en) Support system for electrical boxes
US7025314B1 (en) Multi-functional mounting bracket with integral electrical box
EP3680533B1 (en) Profiled section element with stepped sidewall
KR100612468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347114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US8714506B2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US8464985B2 (en) Attachment device for elongated member
KR100200269B1 (ko) 이중바닥용 판넬유니트
US10468864B2 (en) Outlet box for vertical or horizontal mounting
KR20100010500U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용 엘보우 트레이
KR100694487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200223940Y1 (ko) 전선 지지장치
JP6756183B2 (ja) 吊り下げ用照明器具、連結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102488206B1 (ko) 건축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300960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KR200300938Y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0124505Y1 (ko) 케이블 배선용 랙
US11387640B1 (en) Electrical receptacle box construction
EP3988735A1 (en) A rail for attaching a suspended ceiling system to a concrete ceiling
KR200285096Y1 (ko)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US20080034812A1 (en) Scrubboard Capable of Receiving Wirings Therein
JPS61240809A (ja) ケ−ブルラツク用連結金具
JP3360096B2 (ja) 配線・配管材用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