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40Y1 - 전선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40Y1
KR200223940Y1 KR2020000032099U KR20000032099U KR200223940Y1 KR 200223940 Y1 KR200223940 Y1 KR 200223940Y1 KR 2020000032099 U KR2020000032099 U KR 2020000032099U KR 20000032099 U KR20000032099 U KR 20000032099U KR 200223940 Y1 KR200223940 Y1 KR 200223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angle
cable support
ang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태식
Original Assignee
동남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남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2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4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중량 감소와 아울러 체결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전선(Cable)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위해 벽면으로부터 현가되게 고정되는 앵글 부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장공(Slit)들을 형성하고, 상기 앵글 부재에 제1장공을 통해 체결되어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대(Tray)의 양 측판들에는 상기 제1장공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측판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Tie Bar)는 보강용 경사단부를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성형품으로 하고, 상기 앵글부재와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의 대면 부위에는 체결나사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되는 와셔형 절연부재를 설치한 것에 의해, 중량 감소와 아울러 운반 및 시공작업의 편리성을 갖게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선 지지장치{a cable supporting Device}
본 고안은 육상의 공장 및 선박 등에 전선(Cable)배선 작업시 사용하는 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 감소와 취부의 위치 조절을 위해, 전선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그 지지대를 취부하는 앵글부재를 개량한 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공장 및 선박 등에는 전원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바닥이나 벽체를 따라 배설되며, 특히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케이블 지지대(Tray)를 사용하여 천정 등의 벽체를 따라서 배치함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 때문에 케이블 지지대는 작업상의 편리성이나 운반 등의 편리성을 위해 자체 중량을 줄일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케이블 지지용 지지대는 강재를 일일히 절단한후, 이를 프레스기에 의해 절곡부와 구멍을 설치하고, 이들을 다시 조합후 용접을 통하여 완성품을 만들고, 이어서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작업 공정수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강재로 인한 무게의 증가는 천정 벽면 등 공중으로 운반 이동하여 설치하는 작업 특성상 많은 노동력을 소요 되게 하는 작업상의 불편을 초래하고, 선박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설치 길이에 대응하여 평균적으로 10000m ~ 20000m의 길이에 해당하는 케이블 지지대가 설치되기 때문에 선박의 전체 무게 관리에 큰영향을 주게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 하여, 제작 공정수를 감소 시켜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하고, 또한 전체 중량의 감소를 달성되게 한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장공(Slit)에 의하여 취부에 대한 위치 조절을 쉽게 할 수 있게 한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는 청구항1의 고안과 관련된 배선되는 케이블을 벽체 등에 지지 하기위한 앵글부재들로 이루어진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 제1장공(Slit)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장공들을 통해 상기 앵글 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고정 지지하는, 나란하게 배치된 측판들과 상기 측판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들 및 상기 측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장공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들로 이루어진 케이블 지지대; 상기 제1,제2장공들을 통하여 상기 앵글부재와 상기 케이블 지지대를 착탈되게 나사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 및 상기 앵글부재와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의 대면 부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체결구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되는 와셔형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기재의 상기 연결부재는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성형품이고,단면에서 보아 '〔 '형상의 몸체 양단에는 내측으로 각도를 이루며 절곡된 경사 단부를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제작 공정수의 감소에 따른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의 효과와, 전체 중량의 감소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지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도3 표시에서 연결 부재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 : 케이블 20 : 결속밴드(Hoop Band)
100 : 케이블지지장치 120 : 케이블 지지대(Cable Tray)
122a,122b, 142a,142b : 장공(Slit) 124a,124b : 측판
126 : 연결부재(Tie Bar) 128 : 구멍
140a,140b : 앵글부재 160 : 체결구
180a,180b : 와셔(Washer)형 절연 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지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100)은 알루미늄 재질의 케이블 지지대(120)과 그 케이블 지지대(120)을 천정 벽체로부터 현가되게 지지하는 앵글부재들(140a,140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은 소정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측판들 (124a,124b)와, 상기 측판들(124a,124b)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측판들(124a,124b)와 일체로 부착된 연결부재(Tie Bar)(126)에 의해서 대략 사다리꼴 구조를 이루게 하고 있다. 상기 측판들(124a,124b)와 연결부재 (126)과의 결합은 일반적인 용접이나 끼움 맞춤에 의해서 실행되는데, 어느 것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연결부재(126)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측판들(124a,124b)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좁고 길게 된 장공들(122a,122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공들(122a,122b)는 상기 측판들 (124a,124b)의 강도를 고려하여 연결부재(126)의 각 사이로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천정 벽면(미도시)에 고정되어 현가되는 상기 앵글부재들(140a,140b)의 제1장공들(142a,142b)와의 취부에 제공된다. 상기 제1,제2장공들(142a,142b)(122a,122b)의 형성은 상기 앵글부재들(140a,140b)에 대하여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을 취부함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장공들(142a,142b)(122a,122b)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도1에서 보아 상하 혹은 좌우 위치로 거리를 조절하면서 용이 하게 취부할수 있는 취부 작업상의 편리성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제2장공들(142a,142b)(122a,122b)의 형성은 상기 앵글 부재들(140a,140b)이나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몸체를 그 장공 크기에 해당하는 무게 만큼 줄일 수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100)의 전체 무게를 감소 시킬수가 있다.
상기 앵글부재들(140a,140b)의 사이에 수평적으로 위치되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을 앵글부재들(140a,140b)에 체결하는 수단은 체결 보울트(162) 및 너트(164)로 이루어진 체결구(160)인데, 상기 체결구(160)의 체결보울트(162)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의 장공(122a,122b)에 대하여 일치되는 상기 앵글부재들 (140a,140b)의 장공들(142a,142b)를 관통한 후 상기 체결 너트(164)에 의해서 체결됨에 의해, 상기 지지대(120)과 앵글부재들(140a,140b)와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기 지지대(120)의 상부로는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10)들을 위치시켜 지지할 수 있는 데,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상에 얹혀지는 상기 케이블(10)은 결속밴드(20)에의해 상기 연결부재(126)의 구멍(128)을 통하여 결속 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상에 유동됨이 없게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와 상기 앵글부재들(140a,140b)와의 대면 부위에 는, 이온화 현상에 의한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혹은 상기 앵글부재들(140a, 140b)의 부식에 의해 발생될지도 모르는 전기적인 요인을 절연하기 위한 목적으로 와셔 형태의 절연 부재들(180a,180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 부재들 (180a,180b)는 상기 체결구(160)의 체결력에의해 상기 케이블 지지대(120)와 상기 앵글부재들(140a,140b)와의 대면부위에 협지되는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절연부재들(180a,180b)는 표면에 절연 재질의 테프론을 도포하거나 전체를 플라스틱재질로 제작한 것으로, 본고안에서는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도3 표시에서 연결 부재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연결부재(126)은 알루미늄으로 연속하여 압출 성형된 제품으로, 즉 상부에는 도 2에서 보아 케이블(10)의 결속밴드(20)을 결속함에 사용하는 구멍(128)이 형성된 기판(基板)부(126a)와, 그 기판부(126a)의 양단에서 연속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126b)에 의해서 단면에서 보아 '〔 '형상의 몸체를 이루며, 또한 상기 경사부(126b)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절곡된 경사 단부 (126c)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126)의 양단에 형성한 경사단부(126c)는 상기 연결부재(126)의 끝을 보강하여, 전체적으로 연결부재(126)으로 하여금 보강력을 갖게 한다. 상기 연결부재(126)은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함과 아울러 그 기판부(126a)에는 다수개의 구멍(128)들을 설치한 구조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26)의 무게를 줄여주는 경량성을 갖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블을 직접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 (Tray)를 알루 미늄으로써 압출 성형품으로 제작한 것에 의해, 제작 공정수의 감소에 따른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전체 중량의 감소 요인으로 설치 작업이나 운반 이송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선박에 설치시에는 선체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게 한다.

Claims (2)

  1. 배선되는 케이블을 벽체에 지지 하기위한 앵글부재들로 이루어진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 제1장공(Slit)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장공들을 통해 상기 앵글 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고정 지지하는 나란하게 배치된 측판들과, 상기 측판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들 및 상기 측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장공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들로 이루어진 케이블 지지대;
    상기 제1,제2장공들을 통하여 상기 앵글부재와 상기 케이블 지지대를 착탈되게 나사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 및
    상기 앵글부재와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의 대면 부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체결구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되는 와셔형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성형품이고,단면에서 보아 '〔 '형상의 몸체 양단에는 내측으로 각도를 이루며 절곡된 경사 단부를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 지지대.
KR2020000032099U 2000-11-16 2000-11-16 전선 지지장치 KR200223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99U KR200223940Y1 (ko) 2000-11-16 2000-11-16 전선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99U KR200223940Y1 (ko) 2000-11-16 2000-11-16 전선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40Y1 true KR200223940Y1 (ko) 2001-05-15

Family

ID=7306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099U KR200223940Y1 (ko) 2000-11-16 2000-11-16 전선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390B1 (ko) * 2001-06-25 2003-09-26 한국전력공사 지하설치형 개폐기의 가변형 지지대
KR200452039Y1 (ko) * 2008-08-21 2011-01-26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KR101267996B1 (ko) 2012-02-24 2013-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지구조를 지닌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390B1 (ko) * 2001-06-25 2003-09-26 한국전력공사 지하설치형 개폐기의 가변형 지지대
KR200452039Y1 (ko) * 2008-08-21 2011-01-26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KR101267996B1 (ko) 2012-02-24 2013-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지구조를 지닌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6943B2 (en) Cable support bracket
KR200257931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223940Y1 (ko) 전선 지지장치
AU2019206115B2 (en) An insulated wall panel system with cable support
KR100612468B1 (ko) 케이블 트레이
US20140203150A1 (en) Adjustable mounting assembly
KR200446280Y1 (ko)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US11283250B2 (en) Slider bracket assembly
KR200396733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20004130U (ko)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 장치
KR20100010500U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용 엘보우 트레이
KR200362776Y1 (ko)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JP4522112B2 (ja) 建物用庇
US20070125030A1 (en) Support for installations in housing technology and industry
JP3555029B2 (ja) バスダクト
KR200347114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US20050050807A1 (en) Conduit box and method of installing conduit
KR102488206B1 (ko) 건축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JP5009248B2 (ja) 外設部材を備える外装構造
KR102517201B1 (ko) 전선 설치용 조립식 트레이
JP2950419B1 (ja) 螺旋階段
CN214467649U (zh) 一种用于安装抱杆的支臂
JP2005030167A (ja) 天井構造
KR200296079Y1 (ko) 건축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