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096Y1 -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096Y1
KR200285096Y1 KR2020020015936U KR20020015936U KR200285096Y1 KR 200285096 Y1 KR200285096 Y1 KR 200285096Y1 KR 2020020015936 U KR2020020015936 U KR 2020020015936U KR 20020015936 U KR20020015936 U KR 20020015936U KR 200285096 Y1 KR200285096 Y1 KR 200285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low portion
ground
waste plast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람
김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람, 김춘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람
Priority to KR2020020015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096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배선되는 전선을 설치하는 트레이나 덕트, 파이프 등의 각종 전선배관을 지면이나 벽면에서 이격되게 고정 설치하는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성형하여 본체(10)를 이루되,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U"형 찬넬(5)을 일체로 조립구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3)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본체(10)와 상기 중공부(13)에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대(15)를 서로 삽입함에 의해 연결하도록 사용되는 받침대를 제공하므로서,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를 재활용함에 따른 경제적, 환경보호적 잇점은 물론 물기나 습기에 대해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인접하는 본체간에 상호 간단하게 연결 조립하여 사용하므로서 설치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SUPPORTER OF CABLE PIPE, TRAY AND DUCT}
본 고안은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배선되는 전선을 설치하는 트레이나 덕트, 파이프 등의 각종 전선배관을 지면이나 벽면에서 이격되게 고정 설치하는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각종 건물이나 주택내에 편리 시설을 갖추고자 지상이나 지하에 다수의 전선이 배선되고 있는데, 특히 지상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을 그대로 방지하면 미관을 해침은 물론 전선의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상기 전선을 각종 트레이나 덕트, 파이프 등의 전선배관에 의해 의해 안내되도록 배선하되, 상기 전선배관은 지면이나 벽면의 바닥에 접하여 설치할 수는 없는데, 이는 물기나 습기 등에 대해 전선이나 전선배관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U"자 형태의 금속재 찬넬을 우선적으로 바닥이나 벽면에 배설한 상태에서 상기 찬넬 상부로 트레이나 덕트, 파이프 등과 같은 전선배관을 별도의 클램프로 고정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찬넬이 금속재로 되어 있어, 물기나 습기에 약한 문제점은 물론 상기 찬넬을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기 위해서는 찬넬 상호간을 용접하여 연결해야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성형하여 본체를 이루되 그 상부에 "U"형 찬넬을 일체로 결합 구성하고, 또한 본체와 인접하는 본체를 연결하면서 사용하도록 하므로서, 물기나 습기에 대해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본체를 간편하게 연결함에 따라 설치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성형하여 본체를 이루되,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U"형 찬넬을 일체로 조립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본체와 상기 중공부에 대응되는형상의 연결대를 서로 삽입함에 의해 연결하도록 사용되는 전선 배관용 받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전선배관 5: 찬넬
10: 본체 12: 조립홈
13: 중공부 15: 연결대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이나 벽면등에 "U"형 찬넬(5)을 설치하여 그 상부로 트레이나 덕트, 파이프 등과 같이 전선을 설치하는 전선배관(2)을 클램프(3)에 의해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일정 길이를 갖는 본체(10)를 성형 제작하되, 상기 본체(10)상부에는 조립홈(12)을 형성하여 "U"형 찬넬(5)을 조립하고, 상기 본체(10)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3)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본체(10)와 상기 중공부(13)에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대(15)를 서로 삽입하면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공부(13)에는 양측단에서 일정 깊이의 위치에 단차홈(13')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대(15)가 단차홈(13')까지 지지되게 삽입되는 형태로 인접하는 본체(10)간에 상호 연결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체(10)를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외에 탄성 및 습기에 강한 재질의 폐자재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체 재질의 단순 변경정도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태나 반달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15)의 형상 또한 본체(10)(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중공부(13) 대응되게 형성된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22는 찬넬(5)을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 24는 본체(10)를 지면이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를 나태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받침대는 본체(10)를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성형제작하므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를 재활용하여 산업쓰레기를 줄이는 잇점을 갖기도 한다.
이와 같이 성형된 받침대 본체(10)는 상부의 조립홈(12)에 "U"형 찬넬(5)을 체결볼트(22)로 체결 고정한 상태로 지면이나 벽면에 앵커(24)에 의해 고정 설치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10)를 다수 연결한 상태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10)의 중공부(13)와 인접하는 본체(10)의 중공부(13)를 상기 중공부(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대(15)로 서로 삽입 연결하므로서, 인접하는 본체(10)(10)를 종래와 같이 별도의 용접작업없이 간단하게 조립 연결하게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본체(10)의 중공부(13)에는 양측단에서 일정 깊이의 위치에 단차홈(13')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연결대(15)가 단차홈(13')에 지지되는 위치까지 일정하게 삽입되면서 인접하는 본체(10)(10)의 중공부(13)에 양분되게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 설치된 본 고안의 받침대상에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각종 전선(1)을 배선할 트레이나 덕트, 파이프 등과 같은 전선배관(2)을 상기 "U"형 찬넬(5)에서 홀드다운클램프, 사이드레일클램프, 파이프클램프 등의 통상의 클램프(3)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찬넬(5)을 직접 지면이나 벽면에 고정한 상태로 전선배관(2)를 설치한 것에 비해 상기 본체(10)에 의해 지면이나 벽면에서 충분히 이격되어 물기나 습기의 영향을 적게 받고, 특히 상기 본체(10)가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되어 있어 부식등의 문제에 대해 더욱 안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받침대는,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성형하여 본체를 이루되 상부에 찬넬을 일체로 결합 구성하므로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를 재활용함에 따른 경제적, 환경보호적 잇점은 물론 물기나 습기에 대해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인접하는 본체간에 상호 간단하게 연결 조립하여 사용하므로서 설치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지면이나 벽면등에 "U"형 찬넬(5)을 설치하여 그 상부로 트레이나 덕트, 파이프 등과 같이 전선을 설치하는 전선배관(2)을 클램프(3)에 의해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로 일정 길이를 갖는 본체(10)를 성형 제작하되, 상기 본체(10)상부에는 조립홈(12)을 형성하여 "U"형 찬넬(5)을 조립하고, 상기 본체(10)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3)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본체(10)와 상기 중공부(13)에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대(15)를 서로 삽입하면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중공부(13)에는 양측단에서 일정 깊이의 위치에 단차홈(13')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대(15)가 단차홈(13')까지 지지되게 삽입되는 형태로 인접하는 본체(10)간에 상호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KR2020020015936U 2002-05-24 2002-05-24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KR200285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36U KR200285096Y1 (ko) 2002-05-24 2002-05-24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36U KR200285096Y1 (ko) 2002-05-24 2002-05-24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096Y1 true KR200285096Y1 (ko) 2002-08-13

Family

ID=7312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936U KR200285096Y1 (ko) 2002-05-24 2002-05-24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0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US7673422B2 (en) Modular buildings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WO2009005233A3 (en) Cable duct
KR200416740Y1 (ko) 가변형 케이블 트레이
KR200285096Y1 (ko) 노출형 전선 배관용 받침대
US6384329B2 (en) End cap for closing trunking for routing electrical conductors or cables
JP2007020344A (ja) ケーブルクリート
KR100709569B1 (ko) 건축물용 방수 전선관
KR100557478B1 (ko) 아치지붕구조와 이를 이용한 아치지붕의 시공방법
KR200209862Y1 (ko)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362776Y1 (ko)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KR200354666Y1 (ko) 레이스웨이용 조이너
WO2005106304A1 (en) Clip
KR100379752B1 (ko) 건물의 천정내부 배선구조
KR100694487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20050118746A (ko)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JPH08184096A (ja) グレーチングの連結構造
CN219035773U (zh) 转向固定卡件以及布线组件
CN219035774U (zh) 外拐角固定卡件以及布线组件
CN219035812U (zh) 内拐角固定卡件以及布线组件
KR200347114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KR102396140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CA2776267C (en) Brackets and covers for electrical wire routing at interior corners of a building
KR0124383Y1 (ko) 배관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