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193B1 -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193B1
KR101347193B1 KR1020120055556A KR20120055556A KR101347193B1 KR 101347193 B1 KR101347193 B1 KR 101347193B1 KR 1020120055556 A KR1020120055556 A KR 1020120055556A KR 20120055556 A KR20120055556 A KR 20120055556A KR 101347193 B1 KR101347193 B1 KR 10134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eces
terminal box
support ba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761A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120055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19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means for mounting on a single wall stu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93Service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으로부터 천장에 지지되는 길이를 갖게 한 지지바에 위치되어 조적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들의 고정면을 제공하며 고정면에는 단자함들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용 장공들이 형성된 장방형의 지지판; 이 지지판의 어느 일측 벽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상기 지지바를 넣어서 상하로 이동되게 고정지지하는 지지홈을 형성하는 한쌍의 지지편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들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설되어 탄성력을 갖게 하며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반원형상의 협지편과 이 협지편들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 결합공에 의하여 상기 협지편들과의 나사 체결 혹은 분리시 지지편들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바를 강하게 협지하는 조임력을 부여하거나 해제하는 나사 조임구 로 이루어진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Electric wire Box Bury Inbrick Wall}
본 발명은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천장부와 바닥부에 지지 되는 지지바로 부터 배선용 단자함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탈부착 및 조절을 비 숙련자라도 쉽고 빠르며 그리고 정밀도 있게 할 수 있게 한 조적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 벽체용 단자함은 건물의 벽체에 매입되어 배선관과 연결되어 각 방으로 전선을 보내거나 스위치 혹은 콘센트 등의 전기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것임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단자함을 벽돌로 형성되는 벽체(이하 "조적벽체"라 한다.)의 내부에 매입 설치하는 지지장치를 도5 내지 도7에 표시하였다.
도면 부호1은 건물의 바닥부(50)으로부터 천장부(40)에 지지되는 사각 단면을 갖는 지지봉을 표시한 것이다. 이 지지봉(1)에 배선용 단자함(1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이 설치되며, 이 지지판(2)는 지지봉(1)과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결합하고자 지지판(2)의 일 측에는 상기 지지봉(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하되 내부는 중공(中空)구조이며 양단은 개구된 연결부재(3)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문에 지지판(2)는 연결부재(3)를 통하여 상기 지지봉(1)의 외부로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지지봉(1)에 대한 지지판(2)의 위치 고정이나 혹은 해제는 상기 연결부재(3)에 나사 결합된 조절볼트(4)의 체결 혹은 분리에 의해 고정하거나 해제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판(2)의 장공(6)에 나사고정된 단자함(10)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수 있으며, 따라서 단자함(10)은 벽돌(20)을 쌓아 형성되는 벽체의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조적 벽체가 완성된 후에는 나사(5)만을 해체하는 것에 의하여, 조적벽체에 매입된 단자함(10)으로부터 단자함 지지장치를 분리하여 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단자함 지지장치는, 단자함 지지판(2)를 지지봉(1)에 결합함에 있어 중공 구조의 연결부재(3)을 통하여 지지봉(1)의 어느 일측 단부로부터 결합하여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자함 지지판(2)과 지지봉(1)의 결합은 물론 이동시에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는 불편이 있고, 또한 금속재질의 연결부재(3)와 지지봉(1)과의 마찰력으로 상하 이동 또한 자유롭지 못한 어려움이 있어서,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들의 사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하기 문헌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지지판을 지지봉으로부터 직접 탈부착하는 것이 있으나, 지지봉의 전 길이에 걸쳐서 나사공을 설치하여야하고, 또한 지지판을 작업자들이 일일히 나사공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나사로서 고정하여야 만 하므로 이 또한 작업자들로 하여금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게 하는 불편과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지지봉에 대한 단자함 지지판의 탈부착은 물론 이동을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는 조적벽체용 단자함 지지장치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1.국내 등록실용 20-0336928호, 조적 벽체에 매입되는 배선함의 지지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건물의 천장부와 바닥부에 지지 되는 지지바(Bar)로 부터 배선용 단자함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탈부착 및 조절을 공구의 사용이 없이도 조작할 수 있는 편리성과, 또한 비 숙련자라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조작의 용이성을 갖게 한 조적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판에 설치한 눈금에 의하여 단자함의 간격조절을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게 한 조적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적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는, 청구항 1기재의 건축물의 바닥으로부터 천장에 지지되는 길이를 갖게 한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위치되어 조적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들의 고정면을 제공하며 고정면에는 단자함들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용 장공들이 형성된 장방형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어느 일측 벽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상기 지지바를 넣어서 상하로 이동되게 고정지지하는 지지홈을 형성하는 한쌍의 지지편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들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설되어 탄성력을 갖게 하며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반원형상의 협지편과 이 협지편들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 결합공에 의하여 상기 협지편들과의 나사 체결 혹은 분리시 지지편들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바를 강하게 협지하는 조임력을 부여하거나 해제하는 나사 조임구 로 이루어진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적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는, 상기 장공들의 주변으로 단자함들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수 있게 한 단자함 간격조절용 눈금이 더 설치되고, 이 단자함 간격조절용 눈금에는 간격조절을 쉽게 하기 위한 숫자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바(Bar)와 지지판의 탈부착 및 조절을 공구의 사용이 없이도 조작할 수 있게 한 효과와, 비 숙련자라도 조작을 쉽게 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에 설치한 눈금에 의하여 단자함의 간격조절을 보다 정밀하고 쉽게 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평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II선 방향에 따라 지지바의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조적 벽체용 단자함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의거 본 발명에 따른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100)은, 건물의 바닥부로부터 천장부에 지지되는 길이를 이루며 원형 혹은 사각 단면(斷面)을 갖는 내부가 빈 지지바(1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각 단면의 지지바(110)을 일 예로 들어 표시하였다.
상기 지지바(110)에는 단자함들(10a,10b)를 탈착되게 취부하기 위한 장방형상의 지지판(120)이 위치되는데, 상기 지지판(120)은 조적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10a,10b)들의 취부면을 제공하며 취부면에는 단자함들(10a,10b)을 나사(7)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용 장공들(122a,122b)가 형성되어 있다. 장공(122a, 122b)로 형성한 이유는 지지판(120)에 취부되는 단자함(10a,10b)을 좌우로 이동할수 있게 함은 물론, 단자함들(10a,10b)끼리의 상호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 때문에 상기 장공들(122a,122b)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단자함들(10a,10b)의 간격을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숫자가 표시된 단자함 간격조절용 눈금(1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20)에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상기 지지판(120)을 지지바(110)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상.하 이동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조임수단(14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임수단(140)은 지지판(120)의 어느 일측 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상기 지지바(110)에 쉽게 끼우거나 혹은 이탈시킬 수 있게 하면서 지지바(110)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게 지지하는 지지홈(141)을 형성하는 한쌍의 탄성력을 갖게 한 지지편들 (142a,142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편들(142a,142b)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돌설되어 탄성력을 갖게 하면서 외주면에는 나선부(143)가 형성된 반원형상의 협지편들(144a,144b)이 구비되어 있고, 이 협지편들(144a,144b)에는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지지판(120)을 지지바(110)에 결합하기 위한 조절용 노브(knob)(146)가 결합되어 있다. 조절용 노브(146)의 내부에는 상기 협지편들(144a,144b)의 나선부(143)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 결합공(145)이 형성되어 있다.(도3참조)
따라서 상기 노브(146)가 협지편들(144a,144b)과의 나사 결합되어 결합력을 부여하거나 혹은 분리 여부에 따라 상기 지지편들(142a,142b)는 그 지지편들(142a,142b)의 사이로 위치되는 상기 지지바(110)를 강하게 협지하여 지지판(120)을 지지바(110)에 대하여 견실하게 고정된 상태로 있게 하거나 혹은 지지바(110)로부터 쉽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또 노브(146)을 해제방향으로 돌려서 느슨하게 하면 지지판(120)을 지지바(110)의 상부 혹은 하부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하면서 단자함의 설치위치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협지편들(144a,144b)과 지지편들(142a,142b)은 플라스틱소재로 탄성력을 갖게 형성되므로 노브(146)로부터의 나사 결합력으로 보다 강하게 조여지게 할수 가 있다. 상기 노브(146)의 외면부로는 작업자들이 손으로 잡고 돌릴 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하고자 미끄럼 방지홈(147)을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우측면도를,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평 단면도를, 그리고 도 4는 도 3의 II-II선 방향에 따라 지지바의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110)는 지지판(120)에 설치된 조임수단(140)에 의하여 단자함이 취부되는 지지판(120)을 지지바(110)의 옆측으로부터 쉽게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도면 5 내지 7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지판을 지지봉의 상.하단부에서 끼워서 결합하는 것과는 달리, 보다 편리하게 결합 혹은 분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지지바(Bar)와 지지판의 탈부착 및 조절을 공구의 사용 없이도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에 의해, 작업자들이 현장에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산업상 유용성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할 것이다.
10a,10b: 단자함
100 :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110 : 지지바
120 : 지지판
124 : 간격조절용 눈금
140 : 조임수단
146 : 조절용 노브

Claims (2)

  1. 건축물의 바닥으로부터 천장에 지지되는 길이를 갖게 한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위치되어 조적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들의 고정면을 제공하며 고정면에는 단자함들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용 장공들이 형성된 장방형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어느 일측 벽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상기 지지바를 넣어서 상하로 이동되게 고정지지하는 지지홈을 형성하는 한쌍의 지지편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들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설되어 탄성력을 갖게 하며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반원형상의 협지편과 이 협지편들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 결합공에 의하여 상기 협지편들과의 나사 체결 혹은 분리시 지지편들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바를 강하게 협지하는 조임력을 부여하거나 해제하는 나사 조임구 로 이루어진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조적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들의 주변으로 단자함들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수 있게 한 단자함 간격조절용 눈금이 더 설치되고, 이 단자함 간격조절용 눈금에는 간격조절을 쉽게 하기 위한 숫자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KR1020120055556A 2012-05-24 2012-05-24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KR10134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556A KR101347193B1 (ko) 2012-05-24 2012-05-24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556A KR101347193B1 (ko) 2012-05-24 2012-05-24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761A KR20130131761A (ko) 2013-12-04
KR101347193B1 true KR101347193B1 (ko) 2014-01-03

Family

ID=4998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556A KR101347193B1 (ko) 2012-05-24 2012-05-24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08B1 (ko)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조적부위 전기박스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703Y2 (ja) 1989-06-08 1996-10-02 ジャック ムー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ファイバ―ケ―ブルの内装管における端末防水プラグ
KR200328582Y1 (ko) 2003-07-02 2003-09-29 김근수 연결대를 갖는 단자함
KR101093898B1 (ko) 2009-12-24 2011-12-13 백민철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KR101100872B1 (ko) 2008-11-21 2012-01-02 (주)진성테크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703Y2 (ja) 1989-06-08 1996-10-02 ジャック ムー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ファイバ―ケ―ブルの内装管における端末防水プラグ
KR200328582Y1 (ko) 2003-07-02 2003-09-29 김근수 연결대를 갖는 단자함
KR101100872B1 (ko) 2008-11-21 2012-01-02 (주)진성테크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KR101093898B1 (ko) 2009-12-24 2011-12-13 백민철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08B1 (ko)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조적부위 전기박스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761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369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신축식 연결구조
EP2880230B1 (en) Modular framework support systems
KR10144873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
KR101901803B1 (ko)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0768255B1 (ko) 전선 거치장치
KR101243498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는 설치가 용이한 관통슬리브
KR101347193B1 (ko)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KR20140000615U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100675522B1 (ko) 공동주택 전기 단자함 고정구조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KR101803723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KR200476569Y1 (ko) 전선관 지지홀더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KR102062451B1 (ko)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200306554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100851850B1 (ko)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보호관 구조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2488206B1 (ko) 건축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0859543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JP2008111281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据付構造
JP2003079024A (ja) 鉄筋取付用ボックス固定装置
KR200379060Y1 (ko) 아웃트렛 박스의 고정구조
KR200476570Y1 (ko) 전선관 지지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