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451B1 -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 Google Patents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451B1
KR102062451B1 KR1020180055955A KR20180055955A KR102062451B1 KR 102062451 B1 KR102062451 B1 KR 102062451B1 KR 1020180055955 A KR1020180055955 A KR 1020180055955A KR 20180055955 A KR20180055955 A KR 20180055955A KR 102062451 B1 KR102062451 B1 KR 10206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ilding
body portion
coupled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277A (ko
Inventor
안정석
Original Assignee
안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석 filed Critical 안정석
Priority to KR102018005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4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대 및 보조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발명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말단에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보조대 및 보조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FRAME OF ELECTRIC BOX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시공 벽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스위치박스 및 콘센트박스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매립시키도록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경량화 시킨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에는 철근을 가로세로로 소정 간격 이격시켜 격자형태로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한 후 이 골격에 내외벽 거푸집을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외벽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벽체를 시공한다. 슬래브 시공시에는 벽체를 시공한 상태에서 상기 벽체의 상단에 슬래브 거푸집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후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상측에 철근을 격자형태로 배근한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슬래브를 시공한다.
한편 건축물의 벽체에는 전기배선을 위한 각종 배관용 설비가 설치되고, 상기 각종 배관용 설비의 종단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각종 전기기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기기기로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분전함, 스위치 및 콘센트 등이 있으며, 이들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외벽 거푸집이나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전기기기가 장착될 전기박스를 철근골조에 고정하여 매입 설치한다.
전기박스는 벽체 시공시 스위치나 콘센트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거푸집 내부에 미리 고정시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고 그 후에 거푸집을 철거하더라도 이들 전기박스는 벽체에 매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전기박스는 복수개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데, 전기박스를 콘크리트 타설 전 원하는 위치에 고정을 제대로 하지 않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시에 가해지는 힘이나 모멘트에 의해 전기박스의 위치가 변동되어 서로 간의 간격이 틀어져, 결국 시공 후에는 변형 및 비틀어진 상태로 양생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차후의 배선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미관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5367호 '전기매입박스 고정용 홀더'에서는 판재 형상의 고정홀더에 상하로 나란히 양측에 소정길이로 인출되게 연결간을 내입되도록 성형하여 구성함으로써 철근골조의 간격 및 폭 등에 구애됨이 없이 골조에 견고하면서도 정위치에 전기박스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정위치에 전기박스가 매설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전기박스를 철근골조에 긴밀하게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박스와 철근골조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골조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 철근골조에 고정된 전기박스의 위치도 변동되어 시공 후 전기박스의 위치가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53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베이스부를 고정시키고, 베이스부의 일면에 형성된 보조대에 외측에 스위치박스 및 콘센트박스를 구비한 지지대를 결합시킴으로써, 전기를 공급하는 스위치박스 및 콘센트박스를 건물 시공 벽체에 매립하고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철거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대 및
상기 보조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사각 판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를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하기위해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체결홀에 연통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건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디부를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디부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는 앵커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상기 'ㄱ'자형으로 돌출된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스위치박스 및 콘센트박스를 구비하는 걸이대, 상기 걸이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수나사부, 상기 걸이대를 서로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걸이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걸이대의 외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리에 연결되는 와이어형상의 지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있어서,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말단에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보조대 및 보조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는 건물의 바닥면에 베이스부를 고정한 후, 지지대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는 PVC재질로 형성되어, 종래의 무거운 고정대에 비해, 경량화 되어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고, 제조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는 베이스부를 건물의 바닥면에 결합시키기 위해, 종래의 앙카 볼트 대신, 에어카터 또는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므로, 시공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는 베이스부에 바침부를 형성하여, 시공이 완료되어 철거 시, 쇠꼬챙이로 바디부의 하면으로 집어넣은 후 들어 올리면 고정부재가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바디부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스위치박스 및 콘센트박스가 구비하여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의 길이가 다양하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발명의 지지대의 길이가 다양하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스위치박스 및 콘센트박스가 구비하여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의 길이가 다양하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는 베이스부(100), 보조베이스부(200) 및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100), 베이스부의 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대(200) 및 보조대의 일단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파트, 주택, 오피스텔 및 공장 등 전기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건물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지지대(300)를 수직하게 세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0)는 바디부(110), 체결홀(120), 및 받침부(130)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바디부(110)는 지지대(300)의 무게를 지탱하여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께는 약 8mm 내지 12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두께보다 얇은 경우, 지지대(300) 그리고 지지대(300)에 구비되는 스위치박스 및 콘센트박스의 하중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여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하중을 견딜 수 있으나 무게의 증가로 인하여 복수개로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며,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바디부(110)는 가로 및 세로의 넓이는 먼저, 가로의 경우 약 130mm 내지 170mm 정도로 형성되고, 세로의 경우 약 30mm 내지 70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로 및 세로의 경우 전술한 넓이보다 좁은 경우 바디부(110)가 흔들리거나 지지대(300)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지지대(300)의 하중에 의해 바디부(110)를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시킨 고정부재가 튕겨져 나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로 및 세로가 전술한 넓이보다 넓은 경우, 두께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무게의 증가로 운반 및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홀(120)은 바디부(110)를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하기위해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바디부(110)의 일면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다.
특히, 체결홀(120)은 바디부(11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바디부(110)의 일면을 관통하여 복수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홀(120)은 고정부재가 삽입 통과되어 건물의 바닥면에 결합됨으로써, 바디부(110)가 바닥면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콘크리트못 또는 에어타카 중 어느 하나로 채택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시공이 편리하고 철거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체결홀(120)은 전술한 고정부재의 사용을 위해 지름이 2mm 내지 4mm 정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130)는 바디부(11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체결홀(120)에 연통하여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건물의 바닥면에 결합되게 형성된다.
즉, 받침부(130)는 바디부(110)의 타면으로부터 바닥면방향으로 지름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체결홀(120)에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일단이 통과하여 건물의 바다멱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바디부(110)가 건물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받침부(130)는 바디부(110)를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받침부(130)는 시공이 완료되어 철거 시, 쇠꼬챙이로 바디부(110)의 하면으로 집어넣은 후 들어 올리면 고정부재가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바디부(110)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바디부(110)를 분리하기 위해 쇠꼬챙이뿐만 아니라, 건물 시공 현장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철근, 드라이버 및 망치 등을 사용하여 바디부(110)의 하부를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에 있어서, 베이스부(100)는 앵커홀(140) 및 고리(150)를 더 포함한다.
앵커홀(140)은 바디부(110)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와 결합되도록 바디부(110)의 일면을 관통하여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앵커홀(140)은 바디부(110)가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고리(150)는 바디부(110)의 일면에 'ㄱ'자형으로 돌출된다. 이는 후술하는 지지선(340)을 고리(150)에 연결시켜 지지대(300)대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조대(200)는 베이스부(100)의 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지지대(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지지대(300)가 내부로 삽입되게 형성된다.
즉, 보조대(200)는 바디부(110)의 일면 중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가 건물의 내벽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보조대(200)는 바디부(110)가 건물의 내벽이 형성되는 바닥면의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고정시키고,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가 건물의 내벽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보조대(200)가 바디부(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또한, 보조대(220)는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사각기둥의 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기둥, 삼각기둥 및 타원형상 등 그 도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300)는 보조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대(300)는 걸이대(310), 수나사부(320), 암나사부(330) 및 지지선(340)을 포함한다.
걸이대(3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측에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걸이대(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연장되어 길게 형성된 것 뿐만 아니라, 짧게 형성되어 복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길이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나사부(320)는 걸이대(3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암나사부(330)는 걸이대(310)를 서로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하도록 걸이대(310)의 타단에 형성되고, 수나사부(320)에 결합된다.
지지선(340)은 걸이대(310)의 외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150)에 연결되는 와이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선(340)은 걸이대(310)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바닥면으로부터 약 400mm 정도에 콘센트박스(312)가 위치하고, 바닥면으로부터 약 1200mm 정도에 스위치박스(311)가 위치하는 것을 감안하여, 걸이대(310)의 길이를 약 1300mm 내지 1800mm 정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이대(310)에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가 각각 전술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한다. 이때, 걸이대(310)는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것을 대비하여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지지선(340)을 연장하여 고리(150)에 결합시킴으로써, 걸이대(3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지대(300)는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사각기둥의 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기둥, 삼각기둥 및 타원형상 등 그 도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는 내벽이 시공되는 부분 중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가 위치해야할 부분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하여 베이스부(100)를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시키고, 베이스부(100)의 일면에 형성된 보조대(200)에 지지대(30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때, 지지대(300)는 보조대(200)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며 결합된다.
다음, 지지대(300)를 이루는 걸이대(310)에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가 위치해야할 부분에 대응하여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를 결합시킨다.
이후,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내벽을 시공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조적식 별돌로 내벽을 시공한 후, 모르타르가 굳을 때 까지 유지시킨다.
다음, 시공이 완료되면 걸이대(310)와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를 분리하고, 베이스부(100)를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마무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는 PV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바를 참고하며, 변형된 구성요소인 보조베이스부(2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므로, 도 6 내지 도 9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발명의 지지대의 길이가 다양하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는 베이스부(100), 보조베이스부(200') 및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100),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말단에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보조대(200')및 보조대에 나선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고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보조대(200')는 베이스부(10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말단에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여기서, 보조대(200')는 지지대(300)의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부(330)와 나선결합 되기 위해 수나사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대(200')는 베이스부(100)의 일면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베이스부(100)의 일면 중앙부분,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보조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조대(200')는 바디부(110)의 일면 중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가 건물의 내벽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보조대(200')는 바디부(110)가 건물의 내벽이 형성되는 바닥면의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고정시키고, 스위치박스(311) 및 콘센트박스(312)가 건물의 내벽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보조대(200')가 바디부(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대(300)는 보조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대(300)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330)가 수나사부로 형성된 보조대(200')에 나선결합 된다. 여기서, 지지대(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고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는 PV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10' :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100 : 베이스부
110 : 바디부
120 : 체결홀
130 : 받침부
140 : 앵커홀
150 : 고리
200, 200' : 보조대
300 : 지지대
310 : 걸이대
320 : 수나사부
330 : 암나사부
340 : 지지선

Claims (5)

  1.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사각 판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하기위해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체결홀에 연통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건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대; 및
    상기 보조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디부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는 앵커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ㄱ'자형으로 돌출된 고리를 더 포함하는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스위치박스 및 콘센트박스를 구비하는 걸이대;
    상기 걸이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수나사부;
    상기 걸이대를 서로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걸이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걸이대의 외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리에 연결되는 와이어형상의 지지선을 포함하는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말단에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1020180055955A 2018-05-16 2018-05-16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10206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55A KR102062451B1 (ko) 2018-05-16 2018-05-16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55A KR102062451B1 (ko) 2018-05-16 2018-05-16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77A KR20190131277A (ko) 2019-11-26
KR102062451B1 true KR102062451B1 (ko) 2020-01-03

Family

ID=6873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955A KR102062451B1 (ko) 2018-05-16 2018-05-16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805B1 (ko) * 2022-12-29 2024-02-02 임수영 조적 벽체용 다목적박스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660B1 (ko) * 2013-08-21 2014-02-12 하태길 가로등 회전윈드배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67U (ko) 1997-07-15 1999-02-18 은향자 전기매입박스고정용 홀더
KR20140132626A (ko) * 2013-05-08 2014-11-18 김삼환 인입선 지지 구조체
KR20160101427A (ko) * 2015-02-17 2016-08-25 홍두표 조적 벽체용 배전함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660B1 (ko) * 2013-08-21 2014-02-12 하태길 가로등 회전윈드배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805B1 (ko) * 2022-12-29 2024-02-02 임수영 조적 벽체용 다목적박스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77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7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200142351A (ko)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KR101237330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2062451B1 (ko)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101002354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766810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0406601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102128291B1 (ko) 철근 콘크리트 천장의 단열재 고정장치
KR102011988B1 (ko) 트러스 거더 탈착식 데크플레이트
KR101934520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시공용 거푸집 시스템 및 합벽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CN110344553A (zh) 一种楼梯吊装施工拼缝后浇带的支模结构及支模工艺
KR102126340B1 (ko) 슬리브배관의 배선이 가능한 중공슬래브 구조물
KR20180101678A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KR101272189B1 (ko)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
JP2011058228A (ja) 上下の調整機能を備えた架設梁
WO2001000943A1 (en) Hollow filler block for a block-and-rib reinforced concrete slab
KR101079781B1 (ko) 트러스 거더용 스페이서 결합구조
KR200459687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JP3214693B2 (ja) ボイドブロック固定金具、ボイドブロック、ハーフユニット及び簡易浮き止め金具、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ボイドスラブ施工方法
KR20110002820U (ko) 파이프 고정구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KR200298097Y1 (ko) 거푸집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