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87Y1 -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87Y1
KR200459687Y1 KR2020110007800U KR20110007800U KR200459687Y1 KR 200459687 Y1 KR200459687 Y1 KR 200459687Y1 KR 2020110007800 U KR2020110007800 U KR 2020110007800U KR 20110007800 U KR20110007800 U KR 20110007800U KR 200459687 Y1 KR200459687 Y1 KR 200459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uilding
fixing
main body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래
Original Assignee
박봉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래 filed Critical 박봉래
Priority to KR2020110007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면을 청소할 때 작업자가 매달리는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오목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뒷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설치구멍, 상기 설치구멍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선단에 로프를 걸어주기 위해 체결된 로프 고리 및, 상기 고정편의 후단에 형성되어 건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철근삽입구멍으로 이루어진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에서, 상기 설치구멍의 양쪽 뒤편으로 2개의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속으로 삽입된 고정편이 브라켓에 고정 부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장치는 로프고리를 지탱하는 고정편이 본체의 중앙에 관통 삽입되어 있으면서,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와 고정편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게 되어 다루기가 편리하고,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쉬우면서도, 장치를 콘크리트의 벽속에 단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로프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engaging the rope for cleaning the surface of a building}
본 고안은 고층 건물의 외벽이나 유리창 등을 닦고 청소할 때 작업자 매달리는 청소용 로프를 건물의 외벽에 붙들어 매는 청소용 로프를 고정하는 청소용 로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면서 건물을 지을 때 거푸집과 철근에 장착하기가 용이하며, 제작이 용이하게 한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외벽을 청소할 때 작업자가 로프에 매달려 건물의 꼭대기에서 내려오면서 청소를 하는데, 이와 같이 고층 건물에 로프를 매달아 고정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고층 건물에는 이러한 로프를 매달기 위한 로프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는 로프에 매달린 사람을 안전하게 지지해 줄 수 있어야 하므로 건물의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는 건물을 지을 때 건물의 벽체 내부에 배치하는 철골 또는 철근에 묶어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건물의 벽체를 보강하는 철근과 함께 건물의 벽면에 일부가 매설 되게 하여 안전하고 튼튼한 설치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즉, 고층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 또는 기둥에 부분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로프를 붙들어 매는 부분은 건물의 외벽면으로 노출 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건물의 벽체 속의 철근에 묶여 파묻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에 적당한 크기의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통해 로프 고정장치의 매설부를 관통하여 삽입시킨 다음, 거푸집을 제 위치에 조립하고 이어 매설부를 건물의 벽체 또는 기둥부분의 철근에 붙들어 맨 후에, 거푸집 속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로프 고정장치의 매설부가 관통된 거푸집을 부숴서 뜯어낸 다음 해체하도록 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면 로프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거푸집을 반드시 부숴야만 하기 때문에, 값이 비싼 거푸집 하나를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금속판재로 만들어진 거푸집을 사용하면 거푸집에 구멍을 뚫고 로프고정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금속 거푸집을 부숴져 뜯어낼 수가 없으므로 근본적으로 로프 고정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5년 3월 14일 자로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379649호의 "로프 고장장치"의 고안이 제안되어 있는바, 이 고안의 장치는 로프 걸이용 고리가 로프가 연결되는 걸고리부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부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의 일측에 볼트가 형성되며, 매립부에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를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어, 거푸집속에 매설된 매립부가 콘크리트속에 매설 고정되면, 걸고리부를 매립부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고안에 따른 장치는 로프를 거는 걸고리가 매립부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상기 매립부의 뒤쪽에 스크류로 이루어진 스페이서를 장착하여 세팅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여러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다루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매립부가 다른 지지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콘크리트속에 파묻혀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매달리는 로프를 튼튼하게 지탱해 주지 못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실용신안등록 20-379650호로 또 다른 "로프고정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 고안에 따른 장치는 콘크리트 벽 내부에 매립고정되는 박스의 내부에 가로로 고정바가 설치되고, 박스의 바깥으로 돌출된 고정바의 양쪽 선단에 보강편이 설치되어, 이 보강편의 선단에 너트를 사용하여 볼트를 체결하여 콘크리트에 튼튼하게 매설 고정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의 고안에 따른 장치는, 고정바의 양쪽 선단에 보강편을 부가 설치해야 하고, 이 보강편에 볼트를 체결해야 하므로 구조상으로 복잡하고 거추장스런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바의 선단에 결합한 볼트가 콘크리트 벽에 매설되어 로프를 지탱하기 위한 전체 장치를 단단하게 지지해 준다는 보장이 없어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안의 장치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특허공개 10-2008-74500호의 "로프고정장치"로 공개된 것이 있는바, 이 공개발명에 따른 로프고정장치는 콘크리트벽에 매설되는 박스의 양쪽 측면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바에 로프를 걸기 위한 연결구가 장착되고, 박스의 후면에 보강바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박스의 양쪽 측면으로 돌출된 구조물이 없고 단지 박스의 양쪽 뒤쪽에 보강바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상으로 간단할 수는 있지만, 로프 고리가 지지되는 박스를 콘크리트 벽에 단단하게 붙들어 매 주기 위한 고정수단이 없기 때문에, 로프 고리에 사람이 매달린 경우에 위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로프 고리가 단순히 박스의 양쪽 측벽에만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에 매달린 사람의 무게로 인하여 박스가 콘크리트 벽에서 빠져나오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고안의 고안자가 실용신안 출원하여 등록받은 20-406601호의 "건물청소용 로프 고정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바, 이 고안에 따른 장치는 본체의 중심에 로프를 거는 로프 고리가 설치되는 고정편이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뒤편 가장자리 4곳에 설치편이 돌출 설치되어, 상기 설치편에 형성된 관통구멍 속에 콘크리트 벽의 철근이 끼워지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안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벽의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에 설치편이 끼워져 결합하게 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본체의 뒷면이 콘크리트 속에 매몰되면서 고정편에 철근이 결속되어 단단하게 본체를 지지해 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안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는 고층에서 로프에 사람이 매달려도 콘크리트 벽의 내부에 위치한 철근이 지지해 주고 있기 때문에, 본체가 빠져나가거나 콘크리트 벽체에서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안에 따른 장치는 구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체의 4 코너에 뒤쪽으로 돌출된 설치편이 연장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4개의 설치편으로 인하여 장치의 부피가 커서 다루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4개의 설치편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철근을 삽입하여 붙들어 매기는 작업이 번거롭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조에서 로프를 걸어 주기 위한 로프고리가 체결되는 고정편이 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지 못하고, 본체와 고정편이 서로 분리된 부품으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고정편은 뒤쪽에 형성된 삽입구멍 속에 철근을 넣어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하기가 번거롭고, 전체가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로프고리가 걸려지는 고정편과 본체가 서로 다른 분리된 부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 및 보관 등의 경우에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다루기가 쉬우며, 건물을 지을 때 거푸집과 벽체에 설치하기가 용이하게 한 건물청소용 로프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건물의 외벽면을 청소할 때 작업자가 매달리는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오목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뒷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설치구멍, 상기 설치구멍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선단에 로프를 걸어주기 위해 체결된 로프 고리 및, 상기 고정편의 후단에 형성되어 건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철근삽입구멍으로 이루어진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에서, 상기 설치구멍의 양쪽 뒤편으로 2개의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속으로 삽입된 고정편이 브라켓에 고정 부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는 로프를 걸기 위한 로프 고리가 체결되는 고정편이 본체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관통삽입되어 있으면서, 본체의 뒤쪽으로 돌출된 고정 브라켓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편과 본체가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게 되므로 별도로 취급하지 않아도 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고정편의 뒤쪽에 형성된 철근 삽입구멍에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을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다른 수단을 부가 설치하지 않고서도 본체를 건물의 벽체에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고, 제작이 간편해지고 다루기가 편리해 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무엇보다도 로프고리를 지탱하는 고정편이 본체의 중앙에 관통 삽입되어 있으면서,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와 고정편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게 되어 다루기가 편리하고,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쉬우면서도, 장치를 콘크리트의 벽속에 단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로프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뒷면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를 건물의 철근에 나사로 묶어 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를 건물의 철근에 묶어 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의 일 예를 정면에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를 뒷면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전면에 오목홈(1)이 형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뒷면(3)에 관통 형성된 설치구멍(4), 상기 설치구멍(4)의 양쪽 뒤편으로 돌출된 브라켓(5), 상기 설치구멍(4)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5)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편(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6)의 선단에 로프를 걸어주기 위해 로프 고리(7)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6)의 후단에 건물의 벽체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 철근(8)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철근 삽입구멍(9)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 1에서 상기 본체(2)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치장소 또는 기타의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중심에 형성된 오목홈(1)의 주변에는 플랜지부(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부(11)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전면에 거푸집(12)을 밀착 설치할 때 콘크리트가 오목홈(1)속으로 들어가지 않기 위해 거푸집(12)과 본체(2)가 밀착되게 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본체(2)를 거푸집(12)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 못을 박을 수 있게 하는 못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고정편(6)과 본체(2)를 따로 따라 만든 다음, 고정편(6)을 본체(2)의 설치구멍(4) 속에 끼워 넣고 본체(2)의 뒤쪽으로 돌출된 브라켓(5)과 고정편(6) 사이를 용접으로 고정시켜면 고정편(6)이 본체(2)에 단단하게 부착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서는 본체(2)와 고정편(6)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할 때나 건설현장에서 작업할 때 다루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제작하기에도 간편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추어 본체(2)의 플랜지(11)를 거푸집(12)에 밀착하고, 플랜지(11)에 형성된 못구멍(13)속으로 못을 박아 본체(2)를 거푸집(12)에 고정시킨다.
이때 못구멍(13)으로 박히는 못은 단순히 본체(2)를 거푸집(12)에 붙잡아 주는 역할만 하므로 나중에 쉽게 빼낼 수 있게 하기 위해 못의 선단을 구부리지 않고 직선 그대로 박혀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거푸집(1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거푸집을 일반적인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와 같이 세팅한 후, 상기 고정편(6)의 뒤쪽에 형성된 철근 삽입구멍(9) 속에 보조 철근(8)을 삽입하고, 상기 보조 철근(8)을 건물의 내부 골격을 이루게 하기 위해 가로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철근(14,15)에 걸어 철사(16)로 엮어 준다.
이와 같이 고정편(6)은 뒤쪽의 철근 삽입구멍(9) 속에 끼워진 보조 철근(8)과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철근(14,15)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웬만한 하중에 의해서는 빠져나오지 않게 되므로, 고정편(6)의 로프 고리(7)에 로프를 걸어 매달린 사람을 안전하게 지지해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철근(8)은 건물의 벽체나 기둥 속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가로 및 세로 철근(14,15)에 묶어 줄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므로 지나치게 길게 준비할 필요는 없고, 대개 15~30cm 정도의 짧은 길이로 할 수가 있다.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건물의 벽체 또는 기둥에 내장 설치되는 철근(14,15)에 체결시켜 위치를 잠아 준 다음, 거푸집(12)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으면 건물의 벽에 속에 내장된 철근(14,15)과 본 고안의 장치를 체결하는 보조철근(8)이 고정편(6)의 뒤쪽 선단이 함께 콘크리트 속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건물의 벽체에 단단하게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건물의 벽체에 내장되는 철근(14,15) 등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거푸집 속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해 넣어도 콘크리트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위치 변경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기 거푸집(12) 속의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양생하고 난 후 거푸집(12)을 잡아당겨 양생 된 콘크리트에서 분리해 내면, 본체(3)의 플랜지부(11)와 오목홈(1)속에 위치하는 로프고리(7)가 건물의 바깥면으로 깨끗하게 노출 되게 되므로, 거푸집(12)과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본체(3)를 분리해 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거푸집(12)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2)의 플랜지부(11)에 형성된 못구멍(13)을 통하여 수직으로 박힌 못이 본체(2)를 거푸집(12)에 고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12)을 당기면 플랜지(11)의 못구멍(13)에 박힌 못이 거푸집에서 그대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간단하게 본체(2)와 거푸집(12)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건물을 청소하고자 할 때, 건물의 외벽면에 노출 설치된 로프고리(7)에 로프를 걸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건물의 청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건물 벽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2)와 로프를 직접 지지하는 고정편(6)이 본체(2)의 뒤쪽에 돌출 설치된 브라켓(5)을 통하여 용접으로 고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가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건설현장에서 다루기가 쉬워 작업하기가 쉽고, 이송 및 보관하기에도 용이하며, 고정편(6)에 직접 보조 철근(8)을 끼워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14,15)과 결속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 오목홈 2 - 본체
3 - 뒷벽 4 - 설치구멍
5 - 브라켓 6 - 고정편
7 - 로프고리 8 - 보조철근
9 - 철근 삽입구멍 11 - 플랜지부
12 - 거푸집 13 - 못구멍
14, 15 - 철근 16 - 철사

Claims (1)

  1. 전면에 오목홈(1)이 형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뒷벽면(3)에 관통 형성된 설치구멍(4), 상기 설치구멍(4)속으로 관통 삽입되는 고정편(6), 상기 고정편(6)의 선단에 로프를 걸어주기 위해 체결된 로프 고리(7) 및, 상기 고정편(6)의 후단에 형성되어 건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철근(8)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철근삽입구멍(9)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멍(4)의 양쪽 뒤편으로 2개의 브라켓(5)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4)속으로 삽입된 고정편(6)이 브라켓(6)에 고정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20110007800U 2011-08-29 2011-08-29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0459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800U KR200459687Y1 (ko) 2011-08-29 2011-08-29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800U KR200459687Y1 (ko) 2011-08-29 2011-08-29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687Y1 true KR200459687Y1 (ko) 2012-04-06

Family

ID=4660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800U KR200459687Y1 (ko) 2011-08-29 2011-08-29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30U (ko) * 2016-04-26 2017-06-09 고의환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102667805B1 (ko) * 2023-11-13 2024-05-22 이상은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01Y1 (ko) * 2005-11-02 2006-01-23 박봉래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01Y1 (ko) * 2005-11-02 2006-01-23 박봉래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30U (ko) * 2016-04-26 2017-06-09 고의환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200487493Y1 (ko) * 2016-04-26 2018-09-27 고의환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102667805B1 (ko) * 2023-11-13 2024-05-22 이상은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195B2 (en) Bracke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KR200406601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200459687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KR20140040580A (ko) 건설용 안전벨트 걸이구
KR200392054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JP397740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構築方法
KR20100030720A (ko)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JP5648328B2 (ja) 型枠装置及び型枠装置の盛り替え方法
JP6661142B1 (ja) 吊り足場
KR100835613B1 (ko)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KR100812262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50048993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101857682B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JP2004232366A (ja) つり足場
KR200485889Y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100533371B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용 브라켓
KR200487493Y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200410958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120005954U (ko) 거푸집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
JP2018150781A (ja) スラブの構築方法
KR20070035273A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지지틀
JP2507594Y2 (ja) 柱鉄筋ユニットの吊上げ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