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682B1 -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682B1
KR101857682B1 KR1020160030570A KR20160030570A KR101857682B1 KR 101857682 B1 KR101857682 B1 KR 101857682B1 KR 1020160030570 A KR1020160030570 A KR 1020160030570A KR 20160030570 A KR20160030570 A KR 20160030570A KR 101857682 B1 KR101857682 B1 KR 10185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leeve
building
box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869A (ko
Inventor
고의환
고재환
Original Assignee
고의환
고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환, 고재환 filed Critical 고의환
Priority to KR102016003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6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16B35/042Specially-shaped shafts for retention or rotation by a tool, e.g. of polygonal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유리창이나 타일 등의 외벽면을 청소할 때 작업자가 매달리는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이 개방되고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는 박스(20)와,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에 형성된 볼트관통구(25)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슬리브(50); 상기 박스(20)의 오목홈(24) 내에 위치하고, U자 형상으로 상부 양단부에는 상기 슬리브(50)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50)의 외경에 관통되는 로프고리(30);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슬리브(50)의 양끝에 결합되고 건물내부의 철근망의 철근에 결합되는 철근걸이부재(60); 상기 철근걸이부재(60)의 슬리브 삽입구(61), 상기 박스(20)의 볼트관통구(25), 상기 슬리브(5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너트(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로프고정장치는 철근걸이부재를 회동시켜 쉽게 철근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철근걸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철근과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철근부재를 평판의 부재로 프레스 가공하여 대량으로 쉽게 제작하여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유리창이나 타일 등의 외벽면을 청소할 때 작업자가 매달리는 로프를 건물에 고정시키기 위해, 철근걸이부재를 회동시켜 쉽게 철근에 체결시키고, 철근걸이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철근과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철근부재를 평판의 부재로 프레스 가공하여 대량으로 쉽게 제작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로프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한 한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외벽을 청소할 때 작업자가 로프에 매달려 건물의 꼭대기에서 내려오면서 청소를 하는데, 이때 로프를 건물의 정상부에 매어 고정해야 하므로, 통상의 고층 건물에는 이러한 로프를 매달기 위한 로프고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때문에 건물의 최고층에는 로프를 매어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물이 필요하고, 최근에 건축되는 건물에 있어서는 건물의 난간을 형성시킬 때 로프고정용 고리를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 설치시키고 있다. 한편, 로프고정장치는 로프에 매달린 사람을 안전하게 지지해 줄 수 있어야 하므로, 건물의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는 건물을 지을 때 건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골 또는 철근에 묶어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건물의 벽체를 보강하는 철근과 함께 로프고정장치의 일부가 건물의 벽면 속으로 매설되어지게 하여 안전하고 튼튼한 설치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즉, 고층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 또는 기둥에 부분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로프를 붙들어 매는 부분은 건물의 외벽 면으로 노출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건물의 벽체 속의 철근에 묶여 파묻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08-0074500호의 '로프 고정장치'에는 도 1과 같이, 로프 고정용의 로프고리(7)는 콘크리트(19)의 내부에 매립되는 고정편(6)과, 고정편(6)의 일단에 형성되어 로프가 연결되는 로프고리(7)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로프고리(7)를 난간의 콘크리트(19)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난간을 형성시키는 양측의 거푸집(12) 중에서 로프고리(7)부분이 노출되는 측에 설치되는 거푸집(12)에 로프고리(7)에 연결된 고정편(6)부위가 삽입되는 통공(17)을 형성시키고, 통공(17)의 내부로 고정편(6)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거푸집(12)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난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거푸집(12)의 사이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양측의 거푸집(12)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로프고리(7)가 설치된 거푸집(12)은 걸로프고리(7) 때문에 제거가 불가능하여 불가피하게 로프고리(7)가 위치되는 부위에 또 다른 커다란 구멍(18)을 형성시켜 거푸집(12)을 제거하여 왔다. 이렇게 구멍(18)이 형성된 거푸집(12)은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처분 할 수밖에 없다. 특히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철판재질의 거푸집의 경우 그 가격이 높아 경제적 손실이 크다. 보통 한 동의 건물에 5~20개의 고리가 설치되므로 적게는 5개 많게는 20개 정도의 거푸집이 폐기처분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로프고리(7)의 고정편(6)이 단순히 거푸집(12)에 형성된 통공(17)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임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시 로프고리(7)에 움직임이 발생되어 설치방향과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459687호의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에는 도 2a와 같이 오목홈(1)이 형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뒷면(3)에 관통 형성된 설치구멍(4), 상기 설치구멍(4)의 양쪽 뒤편으로 돌출된 브라켓(5), 상기 설치구멍(4)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5)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편(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6)의 선단에 로프를 걸어주기 위해 로프 고리(7)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6)의 후단에 건물의 벽체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 철근(8)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철근 삽입구멍(9)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건물청소용 고정장치는 도 2b와 같이 건물 시공시에 상기 고정편(6)에 형성된 철근삽입구멍(9)에 보조철근(8)을 가로로 삽입하고, 상기 보조철근(8)을 세로로 형성된 철근(14)에 철사(16)로 감아 고정한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물청소용 고정장치는 시공시 보조철근(8)을 절단하여 높은 곳으로 이송해야하고 상기 보조철근(8)을 철근 삽입구멍(9)에 삽입한 후에 철사(16)로 일일이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많으므로, 실제 공사현장에서는 보조철근(8)을 사용하지 않고 철사(16)로 상기 철근삽입구멍(9)과 철근(14, 15)을 묶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감춰지게 되어 겉으로는 건물청소용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실제로 상기 고정편(6)은 건물 구조물 내부의 철근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되지 못하고, 건물의 벽체 또는 기둥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시멘트부분에 의해서만 지지 되기 때문에 충분한 지지 강도를 받을 수가 없어 구조적으로 튼튼하지 못하여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고공의 공사현장에서 부품을 결합하고 시공을 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08-0074450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9687호 출원번호 제10-2015-0169851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06-051403호 .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설치가 용이하고 무엇보다도 로프고리가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과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안전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유리창이나 타일 등의 외벽면을 청소할 때 작업자가 매달리는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이 개방되고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는 박스(20)와,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에 형성된 볼트관통구(25)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슬리브(50); 상기 박스(20)의 오목홈(24) 내에 위치하고, U자 형상으로 상부 양단부에는 상기 슬리브(50)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50)의 외경에 관통되는 로프고리(30);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슬리브(50)의 양끝에 결합되고 건물내부의 철근망의 철근에 결합되는 철근걸이부재(60); 상기 철근걸이부재(60)의 슬리브 삽입구(61), 상기 박스(20)의 볼트관통구(25), 상기 슬리브(5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너트(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에 상기 볼트너트(40)에 체결되어 상기 박스(20)와 회동가능한 구조로 본체의 전면이 거푸집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평판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에 원형의 슬리브 삽입구(61)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삽입구(61)의 타단에는 원형의 철근삽입구(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상기 철근삽입구(62) 하측에 제1철근 걸이부(6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철근 걸이부(63)와 상기 슬리브 삽입구(61) 사이에 제2철근 걸이부(64)를 더 구비하며, 제1, 제2 철근 걸이부(63, 64)에는 건물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에 걸쳐져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재(63a) 및 제2걸림부재(6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제2 철근 걸이부(63, 64)에는 상기 철근에 회동결합시 원활한 회전에 의해 결합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63c) 및 제2가이드부(64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철근 걸이부(63, 64)에는 상기 철근에 회동결합시 원활한 회전에 의해 결합 후 철근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고정장치는 간결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거푸집을 치기 전에 건물의 벽이나 기둥을 이루는 철근에 철근걸이부재를 회동시켜 쉽게 체결시키고, 철근걸이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철근과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거푸집을 훼손시키지 않고서도 건물의 외벽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해 낼 수가 있으며, 슬리브(50)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하여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무엇보다도 로프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로프 고정고리와 콘크리트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례도
도 2는 종래의 로프 고정고리와 철근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의 구성요소인 철근걸이부재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의 구성요소인 볼트너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로프 고정고리와 콘크리트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례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로프 고정고리와 철근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의 구성요소인 철근걸이부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a에서 건물 난간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 설치되는 로프 고정용 고정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면이 개방되고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는 박스(20)와,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에 형성된 볼트관통구(25)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슬리브(50); 상기 박스(20)의 오목홈(24) 내에 위치하고, U자 형상으로 상부 양단부에는 상기 슬리브(50)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50)의 외경에 관통되는 로프고리(30);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슬리브(50)의 양끝에 결합되고 건물내부의 철근망의 철근에 결합되는 철근걸이부재(60); 상기 철근걸이부재(60)의 슬리브 삽입구(61), 상기 박스(20)의 볼트관통구(25), 상기 슬리브(5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너트(40)로 구성된다.
도 3a에서 상기 박스(20)를 사각형으로 도시하여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사각형으로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하여 장식적인 요소를 가미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20)에 형성된 오목홈(10)의 주변에는 플랜지부(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부(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박스(20)의 전면에 거푸집(12)을 밀착 설치할 때 콘크리트가 오목홈(10)속으로 들어가지 않기 위해 거푸집(12)과 박스(20)가 밀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박스(20)의 오목홈(24) 내에 위치하고, U자 형상으로 상부 양단부에는 상기 슬리브(50)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50)의 외경에 관통되는 로프고리(30)는 슬리브(50)을 관통하는 볼트너트(4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기 슬리브(50)는 박스(2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끝은 철근걸이부(60)의 슬리브삽입부(62)가 삽입되어 결합하며, 재질은 스테인레스 또는 FRP 등으로 제조되어 철재의 볼트너트(40)이 외부로 노출되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이물질이 오목홈(10)내로 스며드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에 상기 볼트너트(40)에 삽입된 슬리브(50)의 외측에 체결되어 상기 박스(20)와는 회동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본체의 전면이 거푸집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도 4와 같이 평판의 부재를 사용하여 일측단에 원형의 슬리브 삽입구(61)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삽입구(61)의 타단에는 원형의 철근삽입구(62)가 형성된다. 상기 철근삽입구(62)는 현장의 여건에 맞게 종래의 방법인 도 2a와 같이 보조철근(8)을 사용하여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상기 제1철근 걸이부(63)와 상기 슬리브 삽입구(61) 사이에 제2철근 걸이부(64)를 더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철근걸이부(63, 64)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철근걸이부재(60)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켜 철근에 체결하게 된다. 2개의 철근걸이부(63, 64)는 박스(20)와 건물의 철근과의 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재(63a) 및 제2걸림부재(64a)가 형성되고, 제1, 제2 철근 걸이부(63, 64)에는 제1가이드부(63c) 및 제2가이드부(64c)가 각각 형성되며, 제1, 제2 철근 걸이부(63, 64)에는 상기 철근에 회동결합시 원할한 회전에 의해 결합 후 철근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철근걸이부재(60)는 철근에 회동결합시 회전반경에 의해 가이드부(63c, 64c)에 의해 철근이 걸리지 않고 원할히 회전하여 제1, 제2 철근걸이부(63, 64)에 완전히 삽입되며, 완전히 삽입된 철근은 제1걸림턱 또는 제2 걸림턱에 의해 철근걸이부(63, 64)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되게 된다. 이렇게 체결된 철근걸이부는 벽체 내부에 가로로 형성된 철근(15)에 걸리는 구조로 결합되고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1의 종래기술에서 발생되는 거푸집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종래기술의 도 2에서 시공 중에 보조철근(9)에 고정편(6)을 삽입하여 상기 보조철근(9)을 철근(14)에 철사로 묶는 번거로움이 없이 철근걸이부(63)을 가로철근(15)에 걸기만 하면 되므로 건물시공 시 고공에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에 있어서도 평판의 부재를 사용하여 전단가공 등의 방법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는 철근(15)의 위치에 따라 박스(20)를 거푸집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각도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건물의 벽체 또는 기둥의 내부에 보강을 위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철근(15, 14)을 조립할 때 함께 설치하는데, 가로로 형성되는 철근(15)에 상기 철근걸이부재(60)를 체결하여 위치를 조정한 다음 박스(20)의 오목홈(10) 속에 스티로폼과 같은 보충재(29)를 채워 넣은 후 그 바깥에 거푸집을 덮어 조립한다. 그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체결된 거푸집 속으로 콘트리트를 채워 넣은 후 그 바깥에 거푸집(13)을 덮어 조립하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체결된 거푸집(12) 속으로 콘크리트를 채워넣으면, 건물의 벽에 속에 내장된 철근(15)과 본 발명의 장치를 체결하는 고정환봉(60)의 암부(62), 철근걸이부(63)가 함께 콘크리트 속에 고정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가 건물의 벽체에 단단하게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건물의 벽체에 내장되는 철근(15) 등에 걸리는 구조로 콘크리트와 함께 견고하게 체결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12)을 조립하여 설치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거푸집(12)을 서로 체결시켜 주지 않아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제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거푸집 속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해 넣어도 콘크리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위치 변경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기 거푸집(12)속의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양생하고 난 후 거푸집(12)을 분리해 내면, 박스(20))의 플랜지부(11)와 오목홈(10)속에 위치하는 걸림고리(15)가 건물의 바깥면으로 깨끗하게 노출 되게 되므로, 거푸집(12)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박스(20)를 분리해 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건물을 청소하고자 할 때, 건물의 외벽면에 노출 설치된 로프고리(70)에 로프를 걸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건물의 청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슬리브(50)의 양끝 부분에는 콘크리트 타설 시 이물질이 상기 박스(20)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패킹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50)의 재질은 부식이 방지되는 스테인레스 또는 FRP 중 어느 하나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박스(20)의 플랜지부(11)에는 박스(20)의 전면을 거푸집 면에 밀착 후 못을 박아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못구멍(13)이 형성된다.
도 6은 볼트너트의 형태를 개시하고 있는데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있다. 도 5a와 같이 볼트축(43)의 끝에 볼트나사산(44)을 형성하여 너트(45)로 결합하거나, 도 5b와 같이 볼트나사산(44) 부분에 할핀홀(48)을 구비하여 와셔(46)와 할핀(47)으로 볼트결합링(63)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5c와 같이 볼트나사산(44)이 없는 민자형의 볼트에 할핀홀(48)을 구비하여 할핀(47)으로 볼트결합링(63)을 체결할 수 있거나, 도 5d와 같이 볼트축(43)의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볼트홀(48a)을 형성하여 외측에서 보조볼트(49)로 체결하는 방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0 : 오목홈
2, 20 : 박스
22: 측벽
3, 30 : 뒷벽
4 : 설치구멍
5 : 브라켓
6 : 고정편
7, 70 : 로프고리
8 : 보조철근
9 : 철근 삽입구멍
11: 플랜지부
12 : 거푸집
13 : 못구멍
14, 15 : 철근
16 : 철사
17 : 통공
18 : 구멍
19 : 콘크리트
40: 볼트너트
41: 볼트
42: 볼트머리
43: 볼트축
44: 볼트나사산
45: 너트
46: 와셔
47: 할핀
48: 할핀홀
48a: 보조볼트홀
49: 보조볼트
50 : 슬리브
60 : 철근걸이부재
61 : 슬리브삽입구
62 : 철근삽입구
63 : 제1 철근걸이부
63a : 제1걸림부재
63b : 제1 걸림턱
63c : 제1 가이드부
64 : 제2 철근걸이부
64a : 제2걸림부재
64b : 제2 걸림턱
64c : 제2 가이드부

Claims (8)

  1. 건물 난간(200)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 설치되는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이 개방되고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는 박스(20)와,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에 형성된 볼트관통구(25)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슬리브(50); 상기 박스(20)의 오목홈(24) 내에 위치하고, U자 형상으로 상부 양단부에는 상기 슬리브(50)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50)의 외경에 관통되는 로프고리(30);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슬리브(50)의 양끝에 결합되고 건물내부의 철근망의 철근에 결합되는 철근걸이부재(60); 상기 철근걸이부재(60)의 슬리브 삽입구(61), 상기 박스(20)의 볼트관통구(25), 상기 슬리브(5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너트(40);로 구성되되,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평판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에 원형의 슬리브 삽입구(61)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삽입구(61)의 타단에는 원형의 철근삽입구(62)가 형성되며, 상기 철근삽입구(62)의 하측에 제1철근 걸이부(63)를 구비하고, 상기 제1철근 걸이부(63)와 상기 슬리브 삽입구(61) 사이에 제2철근 걸이부(6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걸이부재(60)는 상기 박스(20)의 양 측벽(22)에 상기 볼트너트(40)에 체결되어 상기 박스(20)와 회동가능한 구조로 본체의 전면이 거푸집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철근 걸이부(63, 64)에는 건물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에 걸쳐져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재(63a) 및 제2걸림부재(6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제2 철근 걸이부(63, 64)에는 상기 철근에 회동결합시 원활한 회전에 의해 결합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63c) 및 제2가이드부(64c)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제2 철근 걸이부(63, 64)에는 상기 철근에 회동결합시 원활한 회전에 의해 결합 후 철근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1020160030570A 2016-03-14 2016-03-14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10185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570A KR101857682B1 (ko) 2016-03-14 2016-03-14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570A KR101857682B1 (ko) 2016-03-14 2016-03-14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869A KR20170106869A (ko) 2017-09-22
KR101857682B1 true KR101857682B1 (ko) 2018-06-25

Family

ID=6003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570A KR101857682B1 (ko) 2016-03-14 2016-03-14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822U1 (ru) * 2020-10-01 2021-01-14 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Свясл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аната к плоской панел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282A (ja) * 2004-01-29 2005-08-11 Nippon Katan Co Ltd 連結構造体
KR200406601Y1 (ko) 2005-11-02 2006-01-23 박봉래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0431081Y1 (ko) * 2006-09-02 2006-11-14 오환기 청소용 고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282A (ja) * 2004-01-29 2005-08-11 Nippon Katan Co Ltd 連結構造体
KR200406601Y1 (ko) 2005-11-02 2006-01-23 박봉래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0431081Y1 (ko) * 2006-09-02 2006-11-14 오환기 청소용 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869A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06Y1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잠금장치
KR101457114B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1263002B1 (ko)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2024302B1 (ko) 외단열 시공구조
KR101857682B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200406601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CN108643405A (zh) 用于剪力墙转角暗柱区域的装配式模型板及其施工方法
CN216476335U (zh) 一种倾斜式框架混凝土圆柱模板加固系统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200485889Y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200487493Y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100978025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KR20170090052A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200410958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130032989A (ko)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KR20100020155A (ko) 거푸집 추락 방지 장치
KR200459687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80074500A (ko) 로프 고정장치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RU47410U1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этажного возведения внешней стены здания из монолит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а и навесная площадка системы
CN110080277B (zh) 采用安装胎架的直埋螺栓安装方法
CN215443103U (zh) 一种用于封堵预留洞口的支模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