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989A -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 Google Patents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989A
KR20130032989A KR1020110096763A KR20110096763A KR20130032989A KR 20130032989 A KR20130032989 A KR 20130032989A KR 1020110096763 A KR1020110096763 A KR 1020110096763A KR 20110096763 A KR20110096763 A KR 20110096763A KR 20130032989 A KR20130032989 A KR 20130032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horizontal
pin hole
flow path
euro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137B1 (ko
Inventor
정경용
Original Assignee
정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용 filed Critical 정경용
Priority to KR102011009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1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6)를 지지하는 타설판(2)과, 이 타설판(2)의 테두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으로 핀공(4)이 형성된 체결프레임(3)으로 이루어진 유로폼(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유로폼(1)을 수평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할 때, 상기 타설판(2)이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수평바(5)를 유로폼(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단과 양측부가 개방되어 수평바(5)가 삽입 안착되는 삽입홈(15)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프레임(3)의 핀공(4)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0); 및 상기 몸체(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바(5)를 몸체(10) 또는 유로폼(1)의 배면에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A clamp for euro form}
본 발명은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유로폼 설치시마다 재사용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할 뿐만 아니라 유로폼들의 정위치가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시공상의 정밀성을 향상시킨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나 바닥 시공시 규격화된 유로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로폼은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설치판의 상하좌우측에 소정폭의 상판, 하판 및 측면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 하판 및 측면판에는 소정간격으로 핀공이 형성된다.
한편, 건물 벽체 등의 시공시 상기 유로폼을 수평으로 복수개를 연결 설치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타설시 각 유로폼이 외측으로 밀려서 시공된 벽체가 매끄럽게 되지 못하는 점을 감안하여 유로폼들의 외측으로 수평바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철사를 이용하여 수평바를 유로폼에 고정시키는데, 즉 유로폼의 상판에 형성된 핀공을 관통시킨 철사를 수평바에 휘감아서 고정시키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서 여러 명의 작업자가 요구되어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작업을 소정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해야 하므로 이러한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또한, 길이가 길고 무거운 수평바가 철사만으로 지지되므로 매우 불안정적이어서 견고하지 못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철사를 많이 사용하거나 여러 부위를 철사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지며 재료비가 증가된다. 뿐만 아니라, 유로폼을 해체할 때에는 상기 철사를 다시 풀러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풀려진 철사는 그대로 버려지므로 재료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철사로 수평바를 조이는 정도가 각 부위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평바가 유로폼들을 매끄럽게 지지하기가 어려워서 타설된 콘크리트 벽면이 삐뚤어지는 등 시공상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벽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슬래브를 시공할 때, 유로폼의 상단에 수평으로 슬래브합판을 설치하게 되는데, 슬래브합판을 설치하기 전에 수평바를 철사를 이용하여 유로폼에 고정시키고 슬래브합판을 수평바의 상단에 못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슬래브합판은 수평바에 의해 지지되는데, 수평바는 철사만으로 유로폼에 고정되므로 슬래브합판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시 슬래브합판이 붕괴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초래되고, 시공된 슬래브의 시공상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특2002-000687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유로폼 설치시마다 재사용되어 재료가 낭비되지 않고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여 작업인력을 감축할 수 있어서 인건비가 절감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작업이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면서도 유로폼들의 정위치가 유지되므로 종래에 비해 시공상의 정밀도가 향상되는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타설된 콘크리트(7)를 지지하는 타설판(2)과, 이 타설판(2)의 테두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으로 핀공(4)이 형성된 체결프레임(3)으로 이루어진 유로폼(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유로폼(1)을 수평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할 때, 상기 타설판(2)이 정위치가 유지되도록 수평바(5)가 유로폼(1)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단과 양측부가 개방되어 수평바(5)가 삽입 안착되는 삽입홈(15)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프레임(3)의 핀공(4)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0); 및
상기 몸체(1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바(5)를 가압하여 몸체(10) 또는 유로폼(1)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고정부재(30)에 의해 가압된 수평바(5)가 몸체(10)의 삽입홈(15)의 내측에 고정되거나 또는 체결프레임(3)의 후단에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걸림돌기(20)는 몸체(10) 전단에서 전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부(21)와, 이 지지부(21)의 상단에서 직립되며 핀공(4)을 관통하는 상향돌부(22)와, 이 상향돌부(2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수평확장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확장부(23)의 전후방향 길이는 유로폼(1)의 핀공(4)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평확장부(23)가 핀공(4)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10)는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의 전후단에서 각각 직립된 제1 및 제2수직프레임(12, 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수직프레임(13)에는 전후로 관통된 나사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고정부재(30)는 상기 나사공(14)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며 선단에는 수평바(5)의 둘레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면(32a)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손잡이(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폼(1)의 핀공(4)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져지고 수평바(5)가 가압 고정되는 몸체(10)를 포함하는 고정클램프(9)로 수평바(5)를 유로폼(1)의 배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철사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여러 명의 작업자가 요구되지 않아서 인건비가 감소되고 작업시간이 상당히 단축됨은 물론 수평바(5)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며, 종래 철사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수평바가 삐뚤어져서 유로폼의 타설판이 평행하지 않던 것과 달리 기계적인 결합을 통해 수평바(5)가 삐뚤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유로폼(1)의 타설판(2)들이 제위치가 유지되어 건축물의 시공상의 정밀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슬래브를 시공할 때 슬래브합판(40)이 상기 고정클램프(9)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바(5)에 의해 지지되어 보다 견고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클램프(9)의 몸체(10) 전단에서 돌출되어 유로폼(1)의 핀공(4)에 관통된 후 수평으로 확장된 수평확장부(23)가 구비된 걸림돌기(20)를 구비하여, 고정클램프(9)를 핀공(4)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서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더욱 더 단축됨은 물론 고정클램프(9)를 재사용할 수 있어서 자원낭비를 예방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5)를 유로폼(1)의 배면에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재(30)가 고정클램프(9)의 몸체(10)에 나사결합을 통해 전후진되도록 구성하고 그 후단에 손잡이(33)를 구비하여, 작업자는 손잡이(33)를 잡고 돌리기만 하면 수평바(5)를 유로폼(1)에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서 작업이 좀 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상기 고정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된 고정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9)는 타설된 콘크리트(7)를 지지하는 타설판(2)과, 이 타설판(2)의 테두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으로 핀공(4)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체결프레임(3)으로 이루어진 유로폼(1)에 고정 설치되며, 이 유로폼(1)을 수평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할 때, 상기 타설판(2)들이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바(5)를 유로폼(1)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몸체(10), 걸림돌기(20) 및 가압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의 전단 및 후단에서 각각 직립된 제1 및 제2수직프레임(12, 13)으로 이루어지고, 수평프레임(11)과 제1 및 제2수직프레임(12, 13)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공간부가 수평바(5)가 끼워지는 삽입홈(15)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프레임(11)이 판 형태가 아니라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몸체(10)의 무게를 줄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13)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14)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20)는 제1수직프레임(12) 상측부에서 돌출되어 유로폼(1)의 핀공(4)에 끼워지는 것으로, 제1수직프레임(12)에서 전방 또는 상향 돌출된 지지부(21)와, 이 지지부(21)에서 직립되며 유로폼(1)의 핀공(4)을 관통하는 상향돌부(22)와, 이 상향돌부(22)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확장된 수평확장부(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확장부(23)의 전후방향 길이는 핀공(4)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평확장부(23)가 핀공(4)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가압고정부재(30)는 제2수직프레임(13)에 결합되어 삽입홈(15)에 끼워진 수평바(5)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수평바(5)를 몸체(10) 또는 유로폼(1)의 체결프레임(3)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2수직프레임(13)의 나사공(14)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축부재(31)와, 이 축부재(31)의 선단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수평바(5)의 둘레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완만한 가압면(32)이 구비된 가압판(32)으로 이루어지는데, 가압판(32)이 축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축부재(31)의 후단에는 고리(33)가 형성되어,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바아 형상의 공구를 고리(33)에 삽입하여 축부재(31)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축부재(31)의 후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돌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이 부분은 그대로 살렸습니다. 어차피 상세한 설명에는 이러한 내용이 포함되어도 무관하며 오히려 추후 권리화 등이 가능하며 타인의 침해에 대비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바(5)가 단면 원형인 것을 예시하여 상기 가압판(32)의 가압면(32a)도 이에 대응되는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수평바(5)가 단면 사각 등 다각형인 경우에는 가압판(32)의 가압면(32a)이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고정부재(30)가 몸체(10)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축부재(31)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삽입홈(15)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볼트 등으로 몸체(10)에 결합될 것이다.
미설명 부호 3a는 유로폼(1)의 체결프레임(3)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이고, 미설명 부호 6은 유로폼(1)의 서로 이격된 체결프레임(3)을 연결하여 타설판(2)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보강프레임이다. 또한, 미설명 부호 8은 유로폼(1)간을 서로 연결시키는 핀을 나타내며, 이 핀이 유로폼(1)의 핀공(4)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폼용 다기능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평바(5)를 유로폼(1)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공될 건축물의 벽면 등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유로폼(1)을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 설치하며, 고정클램프(9)의 걸림돌기(20)의 수평확장부(23)의 선단이 상향되게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로 유로폼(1)의 핀공(4)에 삽입한 후 수평확장부(23)의 후단부를 들어 올리면서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수평확장부(23)가 핀공(4)의 둘레부에 걸려지게 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고정클램프(9)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를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수평바(5)를 각 고정클램프(9)의 삽입홈(15)에 삽입되도록 끼운 후, 가압고정부재(30)의 손잡이(33)를 회전시키면 가압판(32)이 수평바(5)의 둘레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수평바(5)는 둘레면 일측이 가압판(32)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둘레면 타측은 체결프레임(3) 및 보강프레임(6)에 접촉되어, 가압판(32)과 체결 및 보강프레임(3, 6)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물론, 고정클램프(9)의 삽입홈(15)이 몸체(10)에서 좀 더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계한다면, 수평바(5)는 가압고정부재(30)에 의해 삽입홈(15)의 내주면에 가압될 것이다. 한편, 콘크리트(7) 타설작업이 끝난 후에, 작업자는 가압고정부재(30)의 손잡이(33)를 돌리기만 하면 가압 고정된 수평바(5)를 쉽게 인출할 수 있으며, 고정클램프(9)의 걸림돌기(20)도 유로폼(1)의 핀공(4)에서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철사를 이용하여 수평바를 유로폼에 고정시키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램프(9)를 이용하면 수평바(5)를 유로폼(1)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서 작업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작업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끝난 후에 수평바를 유로폼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철사를 다시 풀러야만 하던 종래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램프(9)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가압고정부재(30)의 손잡이(33)만 회전시키면 수평바(5)를 유로폼(1)에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서, 결국 수평바(5)를 유로폼(1)에(서) 고정 및 분리시키는 작업이 상당히 간편해지면 작업시간도 상당히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평바를 고정시키던 철사는 재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던 종래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램프(9)를 이용하면 고정클램프(9)를 유로폼(1)에(서) 쉽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자원낭비를 예방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번 사용상태도는 시공될 벽체의 상측에 수평으로 슬래브콘크리트(7a)를 타설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유로폼(1)의 상단에 슬래브콘크리트(7a) 타설을 위한 슬래브합판(40)을 수평으로 설치한다. 이때, 전번 실시예의 고정클램프(9)는 그대로 사용되며, 수평바(5)는 단면이 상하로 길이가 긴 사각형으로 이루어져서 유로폼(1)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된 슬래브합판(4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슬래브합판(40)은 수평바(5)와 유로폼(1)의 지지돌기(3a)의 상단에 놓여지며, 슬래브합판(40)은 수평바(5)에 못(41)으로 고정된다. 이때, 지지돌기(3a)에 의해 슬래브합판(40)이 체결프레임(3)과 면접촉되지 않고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고정클램프(9)의 걸림돌기(20)의 수평확장부(23)가 핀공(4)을 통해 상기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평바(5)를 고정클램프(9)를 이용하여 유로폼(1)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전번 사용상태와 동일하며, 효과 또한 그대로 적용될 뿐만 아니라 슬래브합판(40)이 종래에 비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시공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타설된 콘크리트(6)를 지지하는 타설판(2)과, 이 타설판(2)의 테두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으로 핀공(4)이 형성된 체결프레임(3)으로 이루어진 유로폼(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유로폼(1)을 수평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할 때, 상기 타설판(2)이 정위치가 유지되도록 수평바(5)가 유로폼(1)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단과 양측부가 개방되어 수평바(5)가 삽입 안착되는 삽입홈(15)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프레임(3)의 핀공(4)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0); 및
    상기 몸체(10)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바(5)를 가압하여 몸체(10) 또는 유로폼(1)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고정 부재(30)에 의해 가압된 수평바(5)가 몸체(10)의 삽입홈(15)의 내측에 고정되거나 또는 체결프레임(3)의 후단에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20)는 몸체(10) 전단에서 전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부(21)와, 이 지지부(21)의 상단에서 직립되며 핀공(4)을 관통하는 상향돌부(22)와, 이 상향돌부(2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수평확장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확장부(23)의 전후방향 길이는 유로폼(1)의 핀공(4)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평확장부(23)가 핀공(4)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수평프레임(11)과, 이 수평프레임(11)의 전후단에서 각각 직립된 제1 및 제2수직프레임(12, 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수직프레임(13)에는 전후로 관통된 나사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고정부재(30)는 상기 나사공(14)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며 선단에는 수평바(5)의 둘레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면(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KR1020110096763A 2011-09-26 2011-09-26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KR10128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63A KR101283137B1 (ko) 2011-09-26 2011-09-26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63A KR101283137B1 (ko) 2011-09-26 2011-09-26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989A true KR20130032989A (ko) 2013-04-03
KR101283137B1 KR101283137B1 (ko) 2013-07-05

Family

ID=4843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763A KR101283137B1 (ko) 2011-09-26 2011-09-26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2780A1 (en) * 2020-07-17 2022-01-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Attachment device for clamping to a structural compon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528B1 (ko) 2020-05-06 2022-05-20 남준식 유로폼 고정구
KR102574486B1 (ko) 2022-12-28 2023-09-06 장공익 유로폼용 결착 구조형 파이프 고정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9007B2 (ja) * 1992-09-25 1998-10-08 株式会社大林組 コンクリート締固め装置
JP2002098110A (ja) * 2000-09-25 2002-04-05 Aiwa Giken:Kk C形クランプ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2780A1 (en) * 2020-07-17 2022-01-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Attachment device for clamping to a structural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137B1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26530B (zh) 一种钢框模板组件
KR20070114876A (ko) 슬래브 지지장치
JP2008115591A (ja) コンクリートユニット型枠スライド工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ユニット型枠の支持金具およびコンクリート型枠締付金具および横バタ材ホールド金具
KR101283137B1 (ko) 유로폼용 다기능 고정클램프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KR200444261Y1 (ko)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100737841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CN106499180B (zh) 一种新型外模板加固及外脚手架拉结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CN205134546U (zh) 可循环利用易拆卸悬挑工字钢预埋件
JP4234544B2 (ja) 鉄筋挟持具
KR20130028846A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20100001450U (ko) 기둥거푸집용 지지바 고정구
KR101132893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0828161B1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101857682B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JP2011184951A (ja) バタ材締着金具a型およびバタ材締着金具b型およびセパレータ抜取り式の大型型枠移設工法
KR20120060691A (ko) 안전망 가설용 걸이장치
CN210659253U (zh) 一种现浇楼梯支模
KR20090105554A (ko) 슬래브 거푸집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방법
KR101332417B1 (ko) 다단 연결용 서포트
KR200423936Y1 (ko) 슬래브 지지장치
JP5231376B2 (ja) 木製残存型枠の形成方法
KR20090009766U (ko) 유로폼형 탈형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