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255B1 - 전선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255B1
KR100768255B1 KR1020070042033A KR20070042033A KR100768255B1 KR 100768255 B1 KR100768255 B1 KR 100768255B1 KR 1020070042033 A KR1020070042033 A KR 1020070042033A KR 20070042033 A KR20070042033 A KR 20070042033A KR 100768255 B1 KR100768255 B1 KR 10076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cket
wire
magne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희
최병국
이상응
Original Assignee
이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희 filed Critical 이익희
Priority to KR102007004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현장이나 건물 내부의 보수 공사 등 작업 장소에서 작업 수행을 위한 각종 전선들을 공중에 떠받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선 거치장치는,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하부면에 반구형의 볼볼수용홈과, 이 볼볼수용홈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부유되어 지지되는 바아 형태의 거치바아와; 상기 거치바아의 외면에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바아의 상단에 고정되게 형성되어, 볼수용홈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트가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에 부착되거나 탈거되면서 전선 거치장치의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전선 거치장치를 금속 구조물이 존재하는 작업장의 임의의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 후에도 부착위치에 자국이 남지 않는다.
전선, 거치대, 거치장치, 마그네트, 거치바아, 볼

Description

전선 거치장치{Apparatus for Hanging Ca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선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선 거치장치가 작업장의 천장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그네트 20 : 브라켓
21 : 마그네트 결합홈 22 : 볼수용홈
23 : 관통홀 24 : 가이드홀
30 : 거치바아 31 : 거치부
35 : 볼 36 : 숫나사부
37 : 암나사부 40 : 보호커버
본 발명은 전선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현장이나 건물 내부의 보수 공사 등 작업 장소에서 작업 수행을 위한 각종 전선들을 공중에 떠받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 거치장치는 건설 현장이나 기타 다수의 전선을 외부에 노출하고 있는 작업장에서 전선의 보호와 정돈 및 그를 통한 감전사고의 방지 내지는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사용된다.
즉, 이와 같은 전선 거치장치는 건설 현장 등 여러 작업장에서 각종 공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임시 동력선 등 각종 전선을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공중에 배선되도록 한다.
상기 전선 거치장치에 의해서, 건설 현장 등 작업장의 전선들이 거칠은 바닥면에 끌리면서 피복이 벗겨지는데 따르는 감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특히 바닥면의 습기가 높거나 물기가 있는 작업장일 경우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면 감전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선 거치장치의 필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또한, 전선 거치장치를 통해서 작업장의 여러 전선들을 가지런하게 정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장에 전선들이 어지럽게 배선되는데 따르는 합선 등의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환경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선 거치장치의 일 예로 경량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 현장의 바닥면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이동식 전선 거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의 전선 거치장치는 중량의 감소를 통해 이동성을 높여 설치와 수거 작업이 용이하 도록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전선 거치장치는 그 중량이 가벼운 관계로 중량의 고압선이나 비교적 다수의 전선을 거치할 경우, 그 중량을 견디지 못하고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의 전선 거치장치의 다른 일 예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97026호(공고일자: 2002.12.02.)에 공사현장의 원형 강관이나 콘크리트 벽면 등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전선 거치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선 거치대는 공사 현장의 원형 강관에 끼워져 사용되거나 콘크리트 벽면 등의 구조물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사용 장소에 제약이 따르고, 고정되는 구조물과의 결합력이 약해 외력이 가해지거나 중량이 많이 가해지게 되면 쉽게 떨어져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선 거치대는 강관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할 경우에는 고정 및 분해가 비교적 용이하지만, 콘크리트 벽체 등의 구조물 등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고정할 경우에는 고정 및 분해 작업이 어렵고, 작업후 나사가 결합된 구멍이 남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장소에 제약이 거의 없으며, 전선 거치후 외력이 가해지거나 고중량의 전선이 거치되더라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선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분해 후 고정시켰던 흔적이 남지 않는 전선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선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하부면에 반구형의 볼수용홈과, 이 볼수용홈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부유되어 지지되는 바아 형태의 거치바아와; 상기 거치바아의 외면에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바아의 상단에 고정되게 형성되어, 볼수용홈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선 거치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트가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에 부착되거나 탈거되면서 전선 거치장치의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전선 거치장치를 금속 구조물이 존재하는 작업장의 임의의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분리 후에도 부착위치에 자국이 남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전선 거치장치는,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 예컨대 천장 내부의 금속 프레임(F)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마그네트(10)와, 상기 마그네트(10)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의 하측에 유동 가능한 부유 상태로 지지되는 기다란 바아 형태의 거치바아(30)와, 상기 거치바아(30)의 외면에 아래쪽으로 만곡된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부(31)와, 상기 거치바아(30)의 상단에 고정되게 형성되어 브라켓(20)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볼(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20)의 상부면에는 상기 마그네트(10)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마그네트 결합홈(21)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10)는 상기 브라켓(20)의 마그네트 결합홈(21) 내측에서 볼트(12) 및 너트(13)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의 하부면에는 상기 볼(35)을 수용하는 반구형의 볼수용홈(2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볼수용홈(22)의 하측에는 관통홀(23)이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수용홈(22)의 일측에는 브라켓(20)의 외측으로 연통되는 가이드홀(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0)의 가이드홀(24)을 통해 거치바아(30)의 상단부와 볼(35)을 브라켓(20) 내측 공간으로 삽입하고, 상기 볼(35)을 볼수용홈(22) 내측에 삽입시켜 브라켓(20)과 거치바아(30)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볼(35)이 브라켓(20) 내측의 볼수용홈(22)에 안치된 상태로 지지되면, 상기 거치바아(30)는 브라켓(20)에 대해 유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따라서 거치바아(30)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볼(35)이 볼수용홈(22) 내측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므로, 거치바아(30)가 브라켓(20)에 대해 일정정도 유동하여 마그네트(10)에 수평 방향의 힘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상기 볼(35)은 거치바아(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35)의 외면에 숫나사부(36)를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하고, 거치바아(30)의 상단부에 암나사부(37)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볼(35)의 숫나사부(36)가 거치바아(30)의 암나사부(37)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볼(35)이 거치바아(30) 상단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볼(35)을 거치바아(30)와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볼(35)만 브라켓(20)에 먼저 삽입한 다음, 볼(35)과 거치바아(30)를 결합시킴으로써 거치바아(30)를 브라켓(20)에 조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바아(30)와 거치부(31)는 철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부(31)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거치부(31)에 걸려진 전선과 거치부(31)의 표면 간의 마찰에 의해 전선 피복이 벗겨지고 통전이 이루어질 가능 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에 대비하여 상기 거치부(31)의 외면에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된 튜브형태의 보호커버(40)를 끼워 전선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바아(30)는 외부에서 사람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노란색과 검은색이 교대로 채색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선 거치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마그네트(10)를 브라켓(20)의 마그네트 결합홈(21)에 삽입하고, 볼트(12)와 너트(13)를 이용하여 마그네트(10)와 브라켓(20)을 상호 결합시킨다. 그리고, 볼(35)을 브라켓(20)의 일측 개방 부분을 통해 삽입한다. 이 때, 볼(35)의 숫나사부(36)는 브라켓(20)의 가이드홀(24)을 따라 이동하여 볼(35)이 볼수용홈(22) 내측에 삽입될 때 관통홀(23)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거치바아(30)의 상단부의 암나사부(37)를 상기 볼(35)의 숫나사부(36)와 나사결합시켜 볼(35)과 거치바아(30) 상단을 결합시키고, 이로써 거치바아(30)를 브라켓(20)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10)와 브라켓(20)과 거치바아(3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마그네트(10)를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 예컨대 천장의 금속 프레임에 부착시키면, 거치바아(30) 및 거치부(31)가 천장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고, 사용자는 거치부(31)에 전선을 걸어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첫번째 실시예의 전선 거치장치는 거치바아(30) 및 거치부(31)가 수평 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때 거치바아(30)가 브라켓(20)에 대해 일정 정도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그네트(10)에 수평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거치바아(30)가 브라켓(20)에 대해 유동하지 않고 완전히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4에 두번째 실시예로 도시된 것과 같이, 브라켓(120)의 하측에 복수개의 거치부(131)를 갖는 거치바아(130)가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120)의 상부면은 단순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상부면에는 브라켓(120) 및 거치바아(130)를 외부의 금속 구조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마그네트(110)가 볼트(112) 및 너트(113)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31)들에는 마찰에 의해 전선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커버(140)가 끼워진다.
물론, 이 두번째 실시예의 전선 거치장치 역시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전선 거치장치와 마찬가지로, 전체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마그네트(110)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들이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거나, 개별적으로 성형된 다음 볼트와 너트 등의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트를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에 자 력에 의해 부착시키거나 분리함으로써 전선 거치장치를 작업장의 원하는 위치에 간단히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선 거치장치를 장소의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전선 거치후 외력이 가해지거나 고중량의 전선이 거치되더라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거치바아가 브라켓에 대해 일정 정도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 거치바아에 수평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거치바아가 브라켓에 대해 힘의 방향으로 일정 정도 유동하므로, 마그네트로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거치장치의 사용을 완료하고 전선 거치장치를 분리한 후, 부착했던 위치에 자국이나 나사 체결용 구멍이 남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 후 사후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9)

  1.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하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유동 가능하게 부유된 상태로 지지되는 거치바아와;
    상기 거치바아에 고정되게 형성되며,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선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오목한 반구형의 볼수용홈과, 상기 반구형 볼수용홈의 하부에 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과, 상기 반구형 볼수용홈의 일측에 외부로 연통되게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바아의 상단부에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반구형의 볼수용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유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볼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에 숫나사부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바아의 상단에 상기 볼의 숫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숫나사부가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볼이 거치바아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상기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마그네트 결합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외면에 끼워져 거치부와 전선 간의 마찰에 의한 피복 손상을 방지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바아와 거치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장치.
  9. 작업장의 금속 구조물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하부면에 반구형의 볼수용홈과, 이 볼수용홈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부유되어 지지되는 바아 형태의 거치바아와;
    상기 거치바아의 외면에 아래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바아의 상단에 고정되게 형성되어, 볼수용홈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선 거치장치.
KR1020070042033A 2007-04-30 2007-04-30 전선 거치장치 KR100768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033A KR100768255B1 (ko) 2007-04-30 2007-04-30 전선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033A KR100768255B1 (ko) 2007-04-30 2007-04-30 전선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255B1 true KR100768255B1 (ko) 2007-10-18

Family

ID=3881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033A KR100768255B1 (ko) 2007-04-30 2007-04-30 전선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2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83Y1 (ko) * 2008-02-19 2010-05-07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보수용 고리형 거치대
KR200449713Y1 (ko) * 2008-03-04 2010-08-03 문승용 전선거치구
KR20160011759A (ko) * 2014-07-22 2016-02-02 주식회사 원세이프티 전선 거치대
KR20180066528A (ko) * 2016-12-09 2018-06-19 (주)엠에스엔지니어링 전선 거치 장치
KR20200000017U (ko) 2018-06-25 2020-01-0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선 안전 거치대
RU195685U1 (ru) * 2019-09-24 2020-02-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Дон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ГТУ) Угловая траверса
CN110797828A (zh) * 2019-11-18 2020-02-14 徐州柚创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vr头盔线束悬挂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754Y1 (ko) 2003-10-08 2004-01-13 후앙 예아-옌 다기능 행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754Y1 (ko) 2003-10-08 2004-01-13 후앙 예아-옌 다기능 행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83Y1 (ko) * 2008-02-19 2010-05-07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보수용 고리형 거치대
KR200449713Y1 (ko) * 2008-03-04 2010-08-03 문승용 전선거치구
KR20160011759A (ko) * 2014-07-22 2016-02-02 주식회사 원세이프티 전선 거치대
KR101661205B1 (ko) * 2014-07-22 2016-10-11 주식회사 원세이프티 전선 거치대
KR20180066528A (ko) * 2016-12-09 2018-06-19 (주)엠에스엔지니어링 전선 거치 장치
KR101928511B1 (ko) * 2016-12-09 2019-03-12 (주)엠에스엔지니어링 전선 거치 장치
KR20200000017U (ko) 2018-06-25 2020-01-0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선 안전 거치대
RU195685U1 (ru) * 2019-09-24 2020-02-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Дон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ГТУ) Угловая траверса
CN110797828A (zh) * 2019-11-18 2020-02-14 徐州柚创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vr头盔线束悬挂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255B1 (ko) 전선 거치장치
KR100795722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배선 안전장치
KR10125703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물
KR10158522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2466801B1 (ko) 무타공식 벽걸이 tv 거치장치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KR20100009007U (ko) 지중전력구용 케이블 지지대
KR200480058Y1 (ko) 전선 거치대
CN210074201U (zh) 一种带异型线夹的接地线装设组合工具
KR100731920B1 (ko) 전기 배관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케이블 트레이.
KR100796210B1 (ko) 벽면 매설용 건축 전기 콘센트박스
KR10191611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89128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
CN106801534B (zh) 易支设的建筑施工现场临时用电装配式支撑转接装置
JP4124908B2 (ja) 営巣防止具
KR100920146B1 (ko) 작업대가 구비된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2067815B1 (ko)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 행거기구
KR101347193B1 (ko) 조적 벽체용 단자함 조절 및 지지장치
KR200449713Y1 (ko) 전선거치구
CN204782190U (zh) 一种建筑施工现场临时用电装配式支撑转接装置
KR102129938B1 (ko) 전선 거치대
CN110034524A (zh) 一种用于电线接线盒的悬吊固定装置
KR102501283B1 (ko) 다기능 장착 효율성 향상 공동주택용 배전선 트레이
AU716033B3 (en) A device for suspending cords or leads
CN202691540U (zh) 壁挂式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