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938B1 - 전선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선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938B1
KR102129938B1 KR1020180128843A KR20180128843A KR102129938B1 KR 102129938 B1 KR102129938 B1 KR 102129938B1 KR 1020180128843 A KR1020180128843 A KR 1020180128843A KR 20180128843 A KR20180128843 A KR 20180128843A KR 102129938 B1 KR102129938 B1 KR 10212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line
horizontal line
wire holder
wir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968A (ko
Inventor
장윤식
Original Assignee
장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식 filed Critical 장윤식
Priority to KR102018012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9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벽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전선 거치가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전선 거치대는 링 형태로 구비되는 상부링과; 상기 상부링의 하단에 상단이 장착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며, 굽힘 가능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을 따라 제1 철심이 구비되는 수직줄과; 상기 수직줄에 일단이 부착되고,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며, 굽힘 가능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을 따라 제2 철심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줄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는 수평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선 거치대{ELECTRIC WIRE HANGER}
본 발명은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벽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전선 거치가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공사에서는 필수적으로 전기 사용 작업이 수반되는데, 이때 다수의 전선 가닥들이 공사 현장의 바닥에 놓여 방치된 상태에서 전기 사용 작업들이 진행됨으로써 현장이 어지럽게 되고, 전선 피복이 벗겨지거나 또는 물기 등으로 인해 감전 사고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건설 현장이나 기타 전선을 외부에 노출하고 있는 작업장에서는 전선의 보호와 정돈 및 그를 통한 감전 사고의 방지 내지는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전선 거치대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선 거치대는 건설 현장 등에서 공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임시 동력선 등의 각종 전선을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공중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선들이 거친 바닥면에 끌리면서 피복이 벗겨져 생길 수 있는 감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한다. 특히, 바닥면에 습기가 많거나 물기가 있는 작업장일 경우 전선 피복이 벗겨지면 감전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선거치대는 더욱 필요해진다. 또한, 전선 거치대를 통해서 작업장의 여러 전선들을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장에 전선들이 어지럽게 배선되는데 따르는 합선 등의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환경도 개선할 수 있다.
종래의 전선 거치대의 일예로는 경량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 현장의 바닥면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이동식 전선 거치대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식 전선 거치대는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중량이 가벼워서 무거운 고압선이나 다수의 전선을 거치할 경우, 전선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전선거치대가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등록실용 제20-0297026호 "전선거치대"(2002.11.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벽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전선 거치가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선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는, 링 형태로 구비되는 상부링과; 상기 상부링의 하단에 상단이 장착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며, 굽힘 가능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을 따라 제1 철심이 구비되는 수직줄과; 상기 수직줄에 일단이 부착되고,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며, 굽힘 가능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을 따라 제2 철심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줄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는 수평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는, 상기 수직줄의 하단에 장착되고, 벽면에 박힌 못에 끼울 수 있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줄은, 그 끝단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는, 상기 수직줄과 수평줄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줄이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그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수평줄의 단부가 수평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수직줄과 수평줄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해지고, 벽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전선 거치가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대는 상부링(10)과, 상기 상부링(10)의 하단에 장착되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줄(20)과, 상기 수직줄(20)에 다수개가 수평으로 부착되는 수평줄(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링(10)은 링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박힌 못(M)에 끼워져 본 거치대가 벽면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못(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벽면에 설치되는 접착식 고리나 자석 고리, 배관 등에 끼우거나 걸 수 있다.
상기 수직줄(20)은 상기 상부링(10)의 하단에 상단이 장착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며 굽힘 가능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을 따라 제1 철심(21)이 구비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상기 수평줄(30)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수평줄(30)의 단부가 묶여서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철심(21)은 상기 수직줄(20)이 굽힘된 후에 이러한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줄(30)은 상기 수직줄(20)에 일단이 부착되고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며 굽힘 가능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을 따라 제2 철심(31)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줄(20)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전선이나 전선 뭉치를 감아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철심(31)은 상기 수평줄(30)이 전선을 감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수직줄(20)에 묶이기 위해서 굽힘된 후에 이러한 굽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줄(30)은 그 끝단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부(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줄(30)의 단부가 상기 수직줄(20)에 묶인 상태에서 상기 수평줄(30)의 단부가 상기 수직줄(20)에 걸리어 쉽게 이탈되거나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거치대는 상기 수직줄(20)의 하단에 장착되고 링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링(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링(40)은 상기 수직줄(20)의 하부를 못에 손쉽게 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본 거치대를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거치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박힌 못(M)에 상기 상부링(10)을 끼워 고정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줄(30)로 전선(W)을 감은 후에 상기 수평줄(30)의 단부를 상기 수직줄(20)에 묶어 상기 수평줄(30)과 수직줄(20)을 통해 상기 전선(W)을 고정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는 상기 수직줄(20)과 수평줄(30)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줄(20)이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그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수평줄(30)의 단부가 수평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구(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구(50)는 상기 수직줄(20)과 수평줄(30)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수직줄(20)에 상기 수평줄(30)을 보다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구(50)는 상기 수직줄(20)이나 수평줄(30)의 단부를 내측으로 끼우면 견고히 고정되는 원터치식 배관고정 기구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상부링
20 : 수직줄
21 : 제1 철심
30 : 수평줄
31 : 제2 철심 32 : 걸림부
40 : 하부링
50 : 결합구
M : 못
W : 전선

Claims (3)

  1. 링 형태로 구비되는 상부링(10)과;
    상기 상부링(10)의 하단에 상단이 장착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며, 굽힘 가능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을 따라 제1 철심(21)이 구비되는 수직줄(20)과;
    상기 수직줄(20)에 일단이 부착되고,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며, 굽힘 가능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을 따라 제2 철심(31)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줄(20)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고, 전선을 감은 상태로 상기 수직줄(20)에 단부가 묶일 는 수평줄(30)과;
    상기 수직줄(20)의 하단에 장착되고, 벽면에 박힌 못에 끼울 수 있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링(40)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줄(30)은,
    그 끝단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부(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거치대는,
    상기 수직줄(20)과 수평줄(30)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줄(20)이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그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수평줄(30)의 단부가 수평으로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수직줄(20)과 수평줄(3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KR1020180128843A 2018-10-26 2018-10-26 전선 거치대 KR10212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843A KR102129938B1 (ko) 2018-10-26 2018-10-26 전선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843A KR102129938B1 (ko) 2018-10-26 2018-10-26 전선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968A KR20200046968A (ko) 2020-05-07
KR102129938B1 true KR102129938B1 (ko) 2020-07-03

Family

ID=7073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843A KR102129938B1 (ko) 2018-10-26 2018-10-26 전선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9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2218A (ja) 1998-01-29 2002-01-22 ジェット,ロジャー 可撓性ケーブル管理システム
KR200407977Y1 (ko) 2005-11-21 2006-02-06 종 완 김 플렉시블 튜브
US20090283645A1 (en) 2008-05-15 2009-11-19 Orbit Industries, Inc. Cable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043B2 (ja) * 1995-03-15 2000-04-04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製造用の布線用保持具
US6543094B2 (en) * 2001-08-30 2003-04-08 J. D'addario & Co., Inc. Cable management tie wrap
KR200297026Y1 (ko) 2002-09-03 2002-12-02 신승철 전선거치대
KR200443586Y1 (ko) * 2007-05-28 2009-02-26 김천호 전선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2218A (ja) 1998-01-29 2002-01-22 ジェット,ロジャー 可撓性ケーブル管理システム
KR200407977Y1 (ko) 2005-11-21 2006-02-06 종 완 김 플렉시블 튜브
US20090283645A1 (en) 2008-05-15 2009-11-19 Orbit Industries, Inc. Cable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968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9170B2 (en) Strap for suspending wires that is reconfigurable for various attachment systems
KR200488728Y1 (ko)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KR100768255B1 (ko) 전선 거치장치
KR102129938B1 (ko) 전선 거치대
US9337631B2 (en) Illuminated cable pulling and retrieval device
KR101492041B1 (ko) 케이블 가설용 행거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BR0301044B1 (pt) estrutura de enrolamento para fio terra composto de fibra ótica.
KR101931483B1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RU166062U1 (ru) Дистанцер
JP7229457B2 (ja) 吊り下げ式コンセント
KR20160001012U (ko) 케이블 정리장치
JP2000104862A (ja) 高所吊り用具
KR101692048B1 (ko) 와이어가 구성된 접이식 전선 거치대
JP6408456B2 (ja)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US20170254146A1 (en) Multipurpose ladder attachment
JP4852515B2 (ja) 牽引端及び牽引方法
JP3209165U (ja) 連結部材付蓄光線
JP5576530B1 (ja) ケーブル支持金具
US7936961B2 (en) Hidden drop storage device
KR200277572Y1 (ko) 전선 풀림장치
JP3212829U (ja) ケーブル引込具
KR20200000017U (ko) 전선 안전 거치대
KR20220133059A (ko) 통신주 안전 캡
JP2020195207A (ja) 鳥害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