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511B1 - 전선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511B1
KR101928511B1 KR1020160167458A KR20160167458A KR101928511B1 KR 101928511 B1 KR101928511 B1 KR 101928511B1 KR 1020160167458 A KR1020160167458 A KR 1020160167458A KR 20160167458 A KR20160167458 A KR 20160167458A KR 101928511 B1 KR101928511 B1 KR 10192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nhole
vertical bar
outer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528A (ko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엠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6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5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93Service 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는 작업장의 금속구조물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착유닛, 상기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길이방향의 몸체부를 구비하는 수직바아유닛 및 상기 수직바아유닛에 결합되며,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선 거치 장치{Apparatus For Hanging Cable}
본 발명은 전선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된 전선들이 흔들리더라도 부착부가 탈락되지 않는 전선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선 거치 장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전선걸이부가 결합된 길이방향의 파이프가 자성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전선이 흔들리는 경우, 자성체와 부착부가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일반적으로, 오목한 갈고리 형태의 전선걸이부가 길이방향의 파이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별도의 지지부재가 구비되지 않아서, 상기 전선걸이부에 무거운 중량의 전선들이 거치되는 경우, 상기 전선걸이부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전선 거치 장치의 길이가 일정하여, 작업장의 높이가 높은 경우, 전선 거치 장치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선 거치 장치를 부착유닛, 수직바아유닛 및 거치유닛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직바아유닛을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전선들이 거치된 후, 일정각도만큼 흔들리더라도 상기 수직바아유닛이 부착유닛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지지부를 거치유닛에 구비함으로써, 무거운 전선들이 거치되더라도, 걸이부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거치유닛의 원통부, 걸이부 및 지지부를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하여, 내충격성, 내열성 및 전기 절연성을 높이고자 한다.
거치유닛의 원통부, 걸이부 및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각각의 연결부분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복수개의 몸체부를 연결함으로써, 높은 천장의 작업장에도 전선 거치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 거치 장치는, 작업장의 금속구조물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착유닛, 상기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길이방향의 몸체부를 구비하는 수직바아유닛 및 상기 수직바아유닛에 결합되며,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바아유닛의 나사돌기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또 하나의 몸체부를 더 포함하여, 복수개의 몸체부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바아유닛은 회동볼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볼트부는 상기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머리부 및 상부가 상기 머리부와 함께 상기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나사홈에 결합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에는 제1핀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유닛은 상기 회동볼트부의 머리부 및 상기 나사산부의 상부와 연결되는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 및 상기 내부하우징의 수용홈에 결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하우징은 상기 회동볼트부의 나사산부가 관통하여 연결되는 중앙통공부가 중앙부에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직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내부하우징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통공부의 직경은 상기 회동볼트부의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회동볼트부의 나사산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는 상기 중앙통공부의 주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동볼트부 머리부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중앙통공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하우징은 외주면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수직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중앙부 하단으로부터 상기 외부하우징의 완충부까지 일정거리만큼의 이격거리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볼트부의 머리부 및 나사산의 상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유닛은 상기 제1핀홀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제2핀홀이 형성된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측면 상부로부터 오목한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내측 하부와 상기 원통부의 측면을 함께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유닛은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2핀홀 및 제1핀홀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유닛과 상기 수직바아유닛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핀은 상기 제2핀홀 및 상기 제1핀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가 제1핀홀에 위치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거치유닛과 상기 수직바아유닛을 강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하우징 및 상기 내부하우징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유닛의 원통부, 걸이부 및 지지부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유닛의 원통부, 걸이부 및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 거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직바아유닛을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전선들이 거치된 후, 일정각도만큼 흔들리더라도 상기 수직바아유닛이 부착유닛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지지부를 거치유닛에 구비함으로써, 무거운 전선들이 거치되더라도, 걸이부가 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거치유닛을 일체로 형성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제조하여, 내충격성, 내열성 및 전기 절연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넷째, 복수개의 몸체부를 연결함으로써, 높은 천장의 작업장에도 전선 거치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의 부착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의 거치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의 거치유닛의 부착유닛 및 수직바아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의 거치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는 개략적으로, 부착유닛(100), 수직바아유닛(200) 및 거치유닛(300)을 포함한다.
부착유닛(100)은 작업장 천장의 금속구조물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수직바아유닛(200)은 상부가 상기 부착유닛(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수직바아유닛(200)은 상부에 나사홈(210)이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돌기(220)가 형성된 길이방향의 몸체부(201)를 구비한다.
거치유닛(300)은 상기 수직바아유닛(200)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결합되며, 전선을 거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직바아유닛(200)은 회동볼트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볼트부(230)는 머리부(235) 및 나사산부(233)로 구성된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235)는 부착유닛(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나사산부(233)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산부(233)의 상부는 상기 머리부(235)와 함께 부착유닛(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나사산부(233)의 하부는 몸체부(201)의 나사홈(2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는 수직바아유닛(200)이 부착유닛(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술할 거치유닛(300)에 무거운 중량의 전선을 거치한 후, 상기 전선들이 일정각도만큼 흔들리더라도, 상기 수직바아유닛(200)이 부착유닛(100)으로부터 탈락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전선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직바아유닛(200)의 몸체부(201)에는 복수개의 제1핀홀(2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핀홀(250)에는 후술할 거치유닛(300)의 고정핀(370)이 삽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부착유닛(100)은 외부하우징(130), 내부하우징(150) 및 자성체(17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30)에는, 전술한, 회동볼트부(230)의 머리부(235) 및 나사산부(233)의 상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30)은 경사부(131) 및 수직부(132)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131)는 깔때기 형상이며, 중앙부에는 회동볼트부(230)의 머리부(235)가 걸리고, 나사산부(233)가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앙통공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통공부(133)의 직경은 회동볼트부(230)의 머리부(235)의 직경보다는 작으며, 나사산부(233)의 직경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머리부(235)가 중앙통공부(133)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나사산부(233)가 상기 중앙통공부(133)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직부(132)는 상기 경사부(13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31)와 상기 수직부(132)가 형성하는 공간에 후술할 내부하우징(150)이 수용 및 결합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경사부(131)에는 완충부(13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완충부(134)는 중앙통공부(133)의 주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회동볼트부(230)의 머리부(235) 하단이 상기 완충부(134)에 안착되어 회동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회동볼트부(230) 머리부(235)의 회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134)는 상기 중앙통공부(133)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부하우징(150)은 외주면이 외부하우징(130)의 수직부(132)와 접촉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130)과 결합된다.
외부하우징(130)의 경사부(131)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복수개의 체결돌기(137)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하우징(150)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37)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통공(15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190) 등을 상기 통공(157)에 관통시켜 상기 체결돌기(137)의 나사산에 체결함으로써, 내부하우징(150)을 외부하우징(13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하우징(150)의 중앙부 하단은 외부하우징(130)의 완충부(134)까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되어 있다.
이는 회동볼트부(230)의 머리부(235) 및 나사산의 상부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부하우징(150)의 상부에는 수용홈(15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51)에는 자성체(170)가 결합된다.
상기 내부하우징(150)의 중앙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체결홀(153)이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170)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홀(153)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관통공(17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180) 등을 상기 관통공(173)에 관통시켜, 상기 체결홀(153)의 나사산에 결합함으로써, 자성체(170)를 내부하우징(15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170)는 내부하우징(15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자성체(170)의 상단이 상기 내부하우징(150)의 상단보다 약간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를 작업장의 금속구조물에 부착할 때, 자성체(170)가 내부하우징(150)의 상단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금속구조물에 부착되기 위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유닛(300)은 수직바아유닛(200)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결합된다.
거치유닛(300)은 원통부(310), 걸이부(320), 지지부(350) 및 고정핀(370)으로 구성된다.
원통부(310)는 수직바아유닛(200)의 몸체부(201)에 삽입되며, 상기 원통부(310)에는 복수개의 제2핀홀(3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핀홀(315)은 수직바아유닛(200)의 몸체부(201)에 형성된 제1핀홀(250)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고정핀(370)은 원통부(310)에 형성된 제2핀홀(315) 및 몸체부(201)에 형성된 제1핀홀(250)에 관통되도록 삽입된다.
즉, 상기 고정핀(370)은 거치유닛(300)과 수직바아유닛(200)을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핀(370)은 양단에 삽입부(3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371)는 제2핀홀(315) 및 제1핀홀(25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고정핀(370)의 중앙부에는 돌기부(37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370)을 제2핀홀(315) 및 제1핀홀(250)에 관통되도록 삽입하면, 상기 돌기부(373)는 제1핀홀(25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 형성된 돌기부(373)가 상기 제1핀홀(250) 내부에 강하게 밀착되어 삽입되므로, 결과적으로, 거치유닛(300)과 수직바아유닛(200)을 강하게 결합하게 된다.
거치유닛(300)의 걸이부(320)는 원통부(310)의 측면 상부로부터 오목한 갈고리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걸이부(320)에 작업장의 전선들이 거치된다.
지지부(350)는 상기 걸이부(320)의 내측 하부와 상기 원통부(310)의 측면을 함께 지지하도록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이부(320)에 무거운 중량의 전선들이 거치되는 경우, 상기 걸이부(320)가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지지부(350)를 거치유닛(300)에 구비함으로써, 무거운 전선들이 거치되더라도, 상기 걸이부(32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유닛(300)의 원통부(310), 걸이부(320) 및 지지부(350)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이 강하고, 전기 절연성이 좋으므로,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유닛(300)의 소재로 쓰이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거치유닛(300)의 원통부(310), 걸이부(320) 및 지지부(35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거치유닛(30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원통부(310), 걸이부(320) 및 지지부(350) 각각의 연결부분의 내충격성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부착유닛(100)의 외부하우징(130) 및 내부하우징(150) 역시,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유닛(100), 수직바아유닛(200) 및 거치유닛(300)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에 또 하나의 몸체부(202) 및 거치유닛(300)을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수직바아유닛(200)의 몸체부(201)와 마찬가지로, 상기 또 하나의 몸체부(202)의 상부에는 나사홈(21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사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미 설치된 수직바아유닛(200)의 몸체부(201)의 나사돌기(220)에 상기 또 하나의 몸체부(202)의 나사홈(211)을 체결함으로써, 복수개의 몸체부(201, 202)가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장마다 천장에 설치된 금속구조물의 높이가 다르므로, 천장이 높은 경우, 위와 같이, 복수개의 몸체부(201, 202)를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추가 연결된 몸체부(202)에도 제1핀홀(2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핀홀(250)에 선택적으로 거치유닛(300)을 결합할 수 있다.
즉, 전선이 거치되는 작업환경에 따라서, 모든 제1핀홀(250)에 거치유닛(300)을 결합할 수도 있고, 일부의 제1핀홀(250)에만 거치유닛(300)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거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부착유닛 130: 외부하우징
131: 경사부 132: 수직부
133: 중앙통공부 134: 완충부
150: 내부하우징 151: 수용홈
170: 자성체 200: 수직바아유닛
201: 몸체부 210, 211: 나사홈
220, 222: 나사돌기 230: 회동볼트부
233: 나사산부 235: 머리부
250: 제1핀홀 300: 거치유닛
310: 원통부 320: 걸이부
315: 제2핀홀 350: 지지부
370: 고정핀 371: 삽입부
373: 돌기부

Claims (15)

  1. 작업장의 금속구조물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착유닛;
    상기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길이방향의 몸체부를 구비하는 수직바아유닛; 및
    상기 수직바아유닛에 결합되며, 전선을 거치하는 거치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바아유닛은 회동볼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볼트부는
    상기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머리부; 및
    상부가 상기 머리부와 함께 상기 부착유닛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나사홈에 결합되는 나사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유닛은,
    상기 회동볼트부의 머리부 및 상기 나사산부의 상부와 연결되는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 및
    상기 내부하우징의 수용홈에 결합되는 자성체;
    를 포함하는 전선 거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아유닛의 나사돌기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또 하나의 몸체부를 더 포함하여,
    복수개의 몸체부가 연결되는 전선 거치 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제1핀홀이 형성된 전선 거치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회동볼트부의 나사산부가 관통하여 연결되는 중앙통공부가 중앙부에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
    를 포함하여,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직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내부하우징이 수용되는 전선 거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공부의 직경은
    상기 회동볼트부의 머리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회동볼트부의 나사산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선 거치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앙통공부의 주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동볼트부 머리부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중앙통공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선 거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은
    외주면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수직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중앙부 하단으로부터 상기 외부하우징의 완충부까지 일정거리만큼의 이격거리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볼트부의 머리부 및 나사산의 상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선 거치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제1핀홀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제2핀홀이 형성된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측면 상부로부터 오목한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내측 하부와 상기 원통부의 측면을 함께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전선 거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은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2핀홀 및 제1핀홀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유닛과 상기 수직바아유닛을 결합하는 전선 거치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2핀홀 및 상기 제1핀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가 제1핀홀에 위치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거치유닛과 상기 수직바아유닛을 강하게 결합하는 전선 거치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 및 상기 내부하우징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인 전선 거치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의 원통부, 걸이부 및 지지부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인 전선 거치 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의 원통부, 걸이부 및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된 전선 거치 장치.
KR1020160167458A 2016-12-09 2016-12-09 전선 거치 장치 KR101928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458A KR101928511B1 (ko) 2016-12-09 2016-12-09 전선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458A KR101928511B1 (ko) 2016-12-09 2016-12-09 전선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28A KR20180066528A (ko) 2018-06-19
KR101928511B1 true KR101928511B1 (ko) 2019-03-12

Family

ID=6279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458A KR101928511B1 (ko) 2016-12-09 2016-12-09 전선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5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55B1 (ko) * 2007-04-30 2007-10-18 이익희 전선 거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037Y1 (ko) * 1996-12-24 1999-07-15 신승철 전선거치대
KR20110001111U (ko) * 2009-07-24 2011-02-01 김규섭 전선용 행거
KR20110010948U (ko) *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태건상사 스탠드형 케이블 행거
KR101479289B1 (ko) * 2012-10-12 2015-01-06 김규섭 전선용 행거
KR101661205B1 (ko) * 2014-07-22 2016-10-11 주식회사 원세이프티 전선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55B1 (ko) * 2007-04-30 2007-10-18 이익희 전선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28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3981B1 (en) Pivotable cable ring wire management system
US8148635B1 (en) Camera mounting assembly including mounting bar and adapter plate for mounting a security camera or fixture to an electrical box
US8076575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for mounting and supporting a security camera or fixture
US7614922B1 (en) Quick attachment junction box
EA033706B1 (ru) Изолятор
EP2086080B1 (en) Ceiling suspension assembly
KR101928511B1 (ko) 전선 거치 장치
US7531744B1 (en) Ceiling box
KR101138484B1 (ko) 나사 구멍 고정부를 갖는 위생 장착 장치
KR20190087950A (ko) 고정 장치, 고정 장치 키트 및 고정 장치 키트의 용도
KR101931809B1 (ko)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JP4165549B2 (ja) 引掛シーリングおよび照明装置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KR100796728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US6966678B2 (en) Foldable ceiling lamp
JP5199721B2 (ja) 照明器具
JP2011216315A (ja) ランプ取付用アダプタおよび照明器具
JP6824578B2 (ja) 充電コネクタ取付部材
US6027369A (en) Hingeable wiring block
CN218972542U (zh) 灯杆安装接口
EP2814119A1 (en) An electrical component
KR100633259B1 (ko) 케이블 고정용 밴드
EP3021440A1 (en) A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al device
JP2001177941A (ja) 埋め込み型器具及び直付け器具装置
JP2005110571A (ja) 鳥害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