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728B1 -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728B1
KR100796728B1 KR1020070101908A KR20070101908A KR100796728B1 KR 100796728 B1 KR100796728 B1 KR 100796728B1 KR 1020070101908 A KR1020070101908 A KR 1020070101908A KR 20070101908 A KR20070101908 A KR 20070101908A KR 100796728 B1 KR100796728 B1 KR 10079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fixing
connector
pipe
wir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이앤씨
Priority to KR102007010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며, 일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 및 배선관 체결부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이격 배치되며 선단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외측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의 선단이 배선박스 내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여 배선박스 내의 전선 결선공간 및 배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배선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배선관, 연결구, 배선박스, 삽입공, 고정부, 배선관 체결부, 탄성돌기

Description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Connector for fixing wiring pipe}
본 발명은 배선관을 배선박스 등에 고정하기 위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박스 내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여 배선박스 내에서 최대한의 결선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선관의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배선 등을 천장 혹은 벽 등에 매입 설치하기 위하여, 배선관이 이용된다. 통상 배선관의 교차지점에는 배선박스가 설치되며, 배선박스 내에서 전기 배선들이 상호 결선된다. 이때, 배선관을 배선박스 등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가 이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일예들을 보인 것이다. 먼저, 배선박스(10)의 측벽부에는 배선관(20)을 연결하기 위한 삽입공(12)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삽입공(12)만을 도시하였으나, 통상적으로 삽입공(12)은 배선박스(10)의 측벽부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 삽입공(12)에는 단관 형태의 배선관 고 정용 연결구가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선단부에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되며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32)가 구비되고, 이 나사부(32)가 끝나는 허리지점에 상기 삽입공(12)의 외측에 결려지는 걸림턱(34)이 형성되며, 기단부에 배선관(20)이 삽입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36)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나사부(32)는 배선박스의 내부에서 와셔(38)와 너트(40)와 결합되어, 배선박스(1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배선관 체결부(36)에는 배선관(20)의 선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42)이 구비되며, 배선관(20)의 선단을 배선관 체결부(36)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42)에 볼트(44) 및 너트(46)를 죄어 배선관(20)을 배선관 체결부(36)에 체결 고정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구는 비좁은 배선박스 내에서 상기 너트(40)를 체결하여 연결구를 배선박스(10)에 체결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하며, 부품수가 많고 결합 및 분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나사부(32)가 배선박스(10) 내로 상당길이 돌출됨으로 인해, 배선박스(10) 내에서 전선들을 결선하는 공간이 부족하며, 돌출된 나사부에 전선들이 긁혀 누전 또는 쇼트 등의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간단한 조립구조를 갖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가 개발되었다. 도 2는 도 1의 연결구의 단점을 개선한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일예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50)와, 배선관(20)이 삽입 체결되는 배선관 체결부(52)로 구성된다. 고정부(50) 및 배선관 체결부(52)는 각각 단관 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54)가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50)의 둘레에는 기단측을 향해 외향 경사진 다수개의 탄성돌기(56)와, 이 탄성돌기(56)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돌기(58)가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부(50)를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탄성돌기(56)와 고정돌기(58) 사이에 배선박스(10)의 측벽부가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배선관 체결부(52)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내향 탄성돌기(60)가 구비되며, 이 내향 탄성돌기(60)는 배선관(20)의 나선홈(22)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배선관(20)을 체결 고정시킨다. 한편, 고정부(50)가 배선박스(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선박스(10) 내에서 전선들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박스(10)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50)에 단말캡(62)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종래 연결구에 비해, 간편하게 조립되며 부품수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탄성돌기(56)가 고정부(50)의 둘레에 배치되며, 기단측을 향해 외향 경사지게 구비됨으로 인해, 도 3의 설치상태 단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부(50)의 선단부 상당부위가 배선박스(10)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여전히 배선박스(10) 내부에서 전선을 결선하고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선관 체결부(52)의 내향 탄성돌기(60)가 배선관(20)의 나선홈(22)에 억지끼움 결합됨으로 인해, 배선관(20)의 분리가 곤란하다. 이로 인해, 배선관(20)의 시공이 잘못된 경우 혹은 시공 후 배선 관(20)의 연결부위에 보수가 필요한 경우, 배선관(20)을 분리하기 위해 그 단부를 커팅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 배선관(20)이 짧아짐으로 인해 배선관(20)을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배선박스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배선박스 내에서 전선의 결선 및 배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배선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며, 일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배선관 체결부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이격 배치되며 선단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외측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관 체결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배선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홈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와 배선관 체결부는 연결부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배선관 체결부의 외경이 상기 고정부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고정부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고정부를 확경 고정시키며, 그 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커버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단말캡이 더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캡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말캡의 둘레부에는 단말캡의 선단부에서 단말캡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따르면,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의 선단에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이에 이격하여 배선박스 외측에 걸려지도록 선단측으로 외향 경사진 탄성돌기를 구비함으로써, 배선박스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면서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되며, 이에 따라 배선박스 내에서 전선의 결선 및 배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의 내측으로 배선관 둘레의 나선홈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를 구비하여, 배선관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전기 배선 등을 천장 또는 벽 등에 매입 설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선 등이 배선되는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이다. 배선박스는 다수의 배선관이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배선관으로부터 인출된 전선등을 결선 및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배선관을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한 후, 배선관 내부에서 전선 등의 결선 작업이 이루어지며, 커넥트 등에 의해 결선이 완료된 전선들은 배선박스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통상 결선된 전선들의 배선작업이 완료되면, 배선박스의 전면에 덮개 등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일단에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70)가 구비되며, 타단에 배선관(20)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80)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배선박스(10)의 측벽부에는 배선관(20)을 연결하기 위한 삽입공(12)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공(12)은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며, 통상적으로 삽입공(12)은 배선박스(10)의 각 벽측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70) 및 배선관 체결부(80)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72)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갖는다. 이처럼 절개부(72)를 구비한 단관 형태는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여, 각 구성이 배선박스(10) 및 배선관(20)과 상호 결합될 때 외주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70)의 선단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걸림돌기(74)가 구비된다. 이 걸림돌기(74)는 삽입공(12) 주변의 배선박스(10) 내측에 걸려지는 것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걸림돌기(74)는 4개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걸림돌기(74)의 수량은 가감될 수 있으며, 고정부(70)의 선단에서 플랜지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부(70)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돌기(74)와 이격되어 다수개의 탄성돌기(76)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탄성돌기(76)는 고정부(70)의 둘레에서 선단측을 향해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돌기(76)는 고정부(70)의 둘레에 3개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탄성돌기(76)의 수량 역시 가감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을 통과하도록 배선박스(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은 조립구조에서, 고정부(70)의 외주연이 상기 탄성돌기(76)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삽입되며, 상기 걸림돌기(74)와 탄성돌기(76) 사이에 배선박스(10)의 측벽 두께면이 가압 지지되어 고정부(70)가 배선박스(10)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설치상태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70)의 선단에 배선박스(10)의 내벽에 걸려지는 걸림돌기(74)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부(70)의 선단부가 배선박스(10) 내로 돌출되는 부위가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선박스(10)의 내부 공간에서 전선들을 결선할 때 결선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선된 전선들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배선관 체결부(80)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선관 체결부(80)의 내주연에는 배선관(2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홈(22)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82)가 구비된다. 배선관(2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돌부(82)는 단발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배선관(20)을 회전시켜 배선관 체결부(80)에 체결할 때, 배선관(20)의 나선홈(22)이 상기 나선돌부(82)에 쉽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배선관(20)이 체결될 때, 배선관 체결부(80)는 상기 절개부(72)에 의해 확경되면서 배선관(20)의 내주연을 가압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배선관(20)이 배선관 체결부(8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선관 체결부(80)는 연결부(78)를 매개로 하여 고정부(70)와 연결되며, 그 외경이 고정부(70)의 외경에 비해 작게 설계된다. 이와 같이, 배선관 체결부(80)의 외경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연결구를 배선박스(10) 내부에서 외측으로 삽입할 때 배선관 체결부(80)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상기 고정부(70)를 배선박스(1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해서, 단말캡(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캡(90)은 고정부(70)의 선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부(70)의 내주연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부(70)를 확경시켜 삽입공(1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단말캡(90)은 그 선단부에 배선박스(10)의 내벽측에 걸려지며 상기 걸림돌기(74)를 커버하는 플랜지부(9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단말캡(90)은 절연체로 구성되며, 단말캡(90)의 플랜지부(92)는 상기 걸림돌기(74)를 커버하여, 걸림돌기(74)가 전선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캡(9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94)가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고정부(7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고정홈(79)이 형성된다. 따라서, 단말캡(90)의 고정돌기(94)가 고정부(70)의 고정홈(79)에 결합되어, 단말캡(90)이 요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단말캡(90)은 고정부(70)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다. 이와 같은 단말캡(90)을 고정부(70) 내측으로 삽입 결합하기 위해, 단말캡(90)의 둘레부에는 선단부에서 시작하여 단말캡(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96)이 형성된다. 단말캡(90)은 이 절개홈(96)에 의해 외주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고정부(70)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고정부(70)의 선단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74)를 구비하며, 이에 이격되어 고정부(70)의 선단측을 향해 외향 경사진 다수개의 탄성돌기(76)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결구는 배선박스(10)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해 삽입되며, 상기 탄성돌기(76)와 걸림돌기(74) 사이에 배선박스(10)의 측벽 두께면이 가압되어, 배선박스(10)에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보여지듯이, 배선박스(10) 내로 돌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하며, 이는 배선박스(10) 내에서 충분한 전선 결선공간 및 배치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장점은 배선관 체결부(80)의 내주연에 배선관(20)의 나선홈(22)과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82)를 구비한다는 점이다. 배선관 체결부(8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72)를 가지므로, 배선관(20)의 스크류 체결이 보다 용이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배선관(20)의 외주연을 가압 지지하므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따른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선박스 12 : 삽입공
20 : 배선관 22 : 나선홈
70 : 고정부 72 : 절개부
74 : 걸림돌기 76 : 탄성돌기
78 : 연결부 79 : 고정홈
80 : 배선관 체결부 82 : 나선돌부
90 : 단말캡 92 : 플랜지부
94 : 고정돌기 96 : 절개홈

Claims (6)

  1. 배선관(20)을 배선박스(10)에 체결 고정하며, 일단에는 상기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7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선관(20)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80)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0) 및 배선관 체결부(80)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72)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70)의 선단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공(12) 주변의 배선박스(10) 내측에 걸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74)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70)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돌기(74)와 이격 배치되며 선단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2) 주변의 배선박스(10) 외측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7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관 체결부(80)의 내주연에는 상기 배선관(2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홈(22)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8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0)와 배선관 체결부(80)는 연결부(78)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배선관 체결부(80)의 외경이 상기 고정부(70)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0)의 선단에는 고정부(70)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고정부(70)를 확경 고정시키며, 그 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74)를 커버하는 플랜지부(92)가 형성된 단말캡(90)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홈(79)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캡(90)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홈(79)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9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캡(90)의 둘레부에는 단말캡(90)의 선단부에서 단말캡(9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9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1020070101908A 2007-10-10 2007-10-10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10079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908A KR100796728B1 (ko) 2007-10-10 2007-10-10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908A KR100796728B1 (ko) 2007-10-10 2007-10-10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728B1 true KR100796728B1 (ko) 2008-01-21

Family

ID=3921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908A KR100796728B1 (ko) 2007-10-10 2007-10-10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7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206B1 (ko) 2009-12-15 2011-05-17 조신복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
KR101088037B1 (ko) 2009-04-20 2011-11-29 우세산업 주식회사 배선관 코넥터
KR20160100744A (ko) 2015-02-16 2016-08-24 (주)진성테크 조인트박스
KR20220044185A (ko) * 2015-02-02 2022-04-06 김경복 관 및 박스연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43Y1 (ko) 2004-05-25 2004-09-01 전인석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43Y1 (ko) 2004-05-25 2004-09-01 전인석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037B1 (ko) 2009-04-20 2011-11-29 우세산업 주식회사 배선관 코넥터
KR101035206B1 (ko) 2009-12-15 2011-05-17 조신복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
KR20220044185A (ko) * 2015-02-02 2022-04-06 김경복 관 및 박스연결구
KR102516942B1 (ko) 2015-02-02 2023-04-03 김경복 관 및 박스연결구
KR20160100744A (ko) 2015-02-16 2016-08-24 (주)진성테크 조인트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108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lug and socket components
KR100796728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US20130071179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US6676375B2 (en) Chandelier adaptor for ceiling fan
KR200474526Y1 (ko) 가요전선관 연결구
US9024195B2 (en) Grommet
KR20090129956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090130819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120012500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130015246A (ko)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KR101163835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JP5140737B2 (ja) 接続フランジ、特に電気接続端子用の接続フランジ
KR101687109B1 (ko) 전선관용 접속장치
KR20110038219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JP6920692B2 (ja) 電線管支持具
US830501A (en) Protecting-bushing for electric-circuit wires.
KR20150033232A (ko) 관연결구
KR20080005804U (ko) 배선관용 커넥터
KR20010000560U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연결구
KR20110113255A (ko) 배선관 연결구
KR0124707Y1 (ko) 전기,통신용 노출박스
JP6437818B2 (ja) ケーブル固定構造
KR101636286B1 (ko)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
KR20100091400A (ko) 전선가요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