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835B1 -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835B1
KR101163835B1 KR1020090095415A KR20090095415A KR101163835B1 KR 101163835 B1 KR101163835 B1 KR 101163835B1 KR 1020090095415 A KR1020090095415 A KR 1020090095415A KR 20090095415 A KR20090095415 A KR 20090095415A KR 101163835 B1 KR101163835 B1 KR 10116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fixing
pipe
fastening
wir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217A (ko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09009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8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며, 선단과 타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되는 돌기 및 홈과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돌부와 전선고정부의 단말갭이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선단과 상기 타단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홈에서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원주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홈에는 상기 삽입공 주변이 삽입되는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의 선단이 배선박스 내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여 배선박스 내의 전선 결선공간 및 배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선단과 타단이 원주의 걸림 돌기의 크기를 다르게 구비하고, 상기 선단과 타단 중에 선택 원주의 걸림 돌기가 배선박스의 맞는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배선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으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배선관 체결부에 배선박스 및 배선관이 선택 체결 고정구비되며, 상기 선단과 타단의 중에 체결하고, 내부의 전선을 전선고정부에 고정하는 단말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의 선단이 배선박스 내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여 배선박스 내의 전선 결선공간 및 배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배선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배선관, 구멍, 선단, 타단, 고정부, 체결부, 원주돌기, 홈, 크기,상호연결

Description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connection tube}
본 발명은 배선관을 배선박스 등에 고정하기 위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관을 배선박스 내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여 배선박스 내에서 최대한의 결선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선관의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배선관을 상호연결시 연결이 용이하고, 전선을 고정하여 배선관의 늘려 전선을 고정하여 배선관의 수축을 방지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배선 등을 천장 혹은 벽 등에 매입 설치하기 위하여, 배선관이 이용된다. 통상 배선관의 교차지점에는 배선박스가 설치되며, 배선박스 내에서 전기 배선들이 상호 결선된다. 이때, 배선관을 배선박스 등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가 이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일예들을 보인 것이다. 먼저, 배선박스(10)의 측벽부에는 배선관(20)을 연결하기 위한 삽입공(12)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삽입공(12)만을 도시하였으나, 통상적으로 삽입공(12)은 배선박스(10)의 측벽부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 삽입공(12)에는 단관 형태의 배선관 고정용 연 결구가 장착된다.
종래에는 배선박스의 16mm용 삽입공에 전용고정부의 선단과 16mm전용 배선관 체결부의 타단이 구비되며,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현재 목적에 근접한 것의 통상의 배선박스의 삽입공은 수개의 이종이 있으며, 배선관은 22,16,14mm 등이 있다, 종래는 배선박스의 삽입공은 수개의 이종이 있으나 16mm전용으로 많은 수량의 배선관을 연결하여야 할 때 16mm의 수량 이외에는 쓰지를 못하는 매우 큰 불편함이 있다, 이들의 호환이 절실히 요구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선단부에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되며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32)가 구비되고, 이 나사부(32)가 끝나는 허리지점에 상기 삽입공(12)의 외측에 결려지는 걸림턱(34)이 형성되며, 기단부에 배선관(20)이 삽입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36)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나사부(32)는 배선박스의 내부에서 와셔(38)와 너트(40)와 결합되어, 배선박스(1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배선관 체결부(36)에는 배선관(20)의 선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42)이 구비되며, 배선관(20)의 선단을 배선관 체결부(36)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42)에 볼트(44) 및 너트(46)를 죄어 배선관(20)을 배선관 체결부(36)에 체결 고정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구는 비좁은 배선박스 내에서 상기 너트(40)를 체결하여 연결구를 배선박스(10)에 체결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하며, 부품수가 많고 결합 및 분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나사부(32)가 배선박스(10) 내로 상당길이 돌출됨으로 인해, 배선박스(10) 내에서 전선들을 결선하는 공간이
부족하며, 돌출된 나사부에 전선들이 긁혀 누전 또는 쇼트 등의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간단한 조립구조를 갖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가 개발되었다. 도 2는 도 1의 연결구의 단점을 개선한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일예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50)와, 배선관(20)이 삽입 체결되는 배선관 체결부(52)로 구성된다. 고정부(50) 및 배선관 체결부(52)는 각각 단관 형태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54)가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50)의 둘레에는 기단측을 향해 외향 경사진 다수개의 탄성돌기(56)와, 이 탄성돌기(56)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돌기(58)가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부(50)를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탄성돌기(56)와 고정돌기(58) 사이에 배선박스(10)의 측벽부가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배선관 체결부(52)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내향 탄성돌기(60)가 구비되며, 이 내향 탄성돌기(60)는 배선관(20)의 나선홈(22)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배선관(20)을 체결 고정시킨다. 한편, 고정부(50)가 배선박스(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선박스(10) 내에서 전선들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박스(10)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50)에 단말캡(62)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종래 연결구에 비해, 간편하게 조립되며 부품수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탄성돌기(56)가 고정부(50)의 둘레에 배치되며, 기단측을 향해 외향 경사지게 구비됨으로 인해, 도 3의 설치상태 단면도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고정부(50)의 선단부 상당부위가 배선박스(10)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여전히 배선박스(10) 내부에서 전선을 결선하고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선관 체결부(52)의 내향 탄성돌기(60)가 배선관(20)의 나선홈(22)에 억지끼움 결합됨으로 인해, 배선관(20)의 분리가 곤란하다. 이로 인해, 배선관(20)의 시공이 잘못된 경우 혹은 시공 후 배선관(20)의 연결부위에 보수가 필요한 경우, 배선관(20)을 분리하기 위해 그 단부를 커팅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 배선관(20)이 짧아짐으로 인해 배선관(20)을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배선관의 Ø16mm전용으로 배선박스(10)의 전용 Ø22mm구멍에만 삽입되며, 배선박스(10)의 Ø22mm구멍 이하 또는 이상에는 체결이 불가한 문제점이 발생 된다.
또한 16mm배선관과 16mm배선관을 상호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또한 16mm배선관과 14mm배선관을 상호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또한 14mm배선관과 14mm배선관을 상호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배선박스의 이종 구멍에 대응하는 선단과 타단에 이종의 고정부로 배선박스의 구멍에 체결하고, 배선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배선관 상호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배선관 내부의 전선을 전선고정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선단과 타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와 배선관 체결부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의 내부로 돌기한 외부의 홈의 선단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원주 돌출되며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내부로 돌기한 외부의 홈에는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삽입공의 내주연이 삽입고정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선단 및 타단에 체결되는 단말갭에는 단말갭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의한 선단과 타단 중 한곳에 단말갭을 체결하고, 단말갭 내부의 전선을 전선을 고정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의한 선단과 타단 중 한곳에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내부의 전선을 고정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단과 타단에는 배선관 체결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배선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홈에 스크류체결되는 나선돌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와 배선관 체결부 구비의 선단과 타단은 연결부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타단은 외경이 상기 선단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단과 타단 중에 원주의 걸림 돌기가 배선박스의 다양한 삽입공 중에 맞는 구멍에 삽입 및 홈에 삽입공의 내주연이 삽입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고정부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고정부를 확경 고정시키며, 그 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커버하고,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가 형성된 단말캡이 더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는 박스의 삽입공에 체결 고정되는 원주돌출과 박스의 삽입공의 내주연이 체결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캡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부의 원주돌출에 결합되는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의 외부측 홈은 고정부의 내부측으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말캡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부의 내부측 돌기에 체결하는 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말캡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부의 내부측 돌기에 체결하는 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선단과 타단의 배선관 체결부에 배선관이 체결 고정구비되며, 상기 선단과 타단의 배선관 체결부에 배선관의 외경 홈에 체결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의 삽입공에 체결고정은 선단과 타단의 중에 배선관 체결부에 배선관이 체결 고정구비되며, 상기 선단과 타단의 배선관 체결부에 배선관의 연결은 상호체 결연결 고정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의 내측으로 배선관 둘레의 나선홈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를 구비한다.
상기 일단과 타단의 배선관 체결부에 같은 크기(Ø)의 배선관이 상호체결 연결고정된다.
또한 상기 일단과 타단의 배선관 체결부에 상호 다른 크기(Ø)의 배선관을 체결 연결고정된다. 상기 다른 크기의 배선관 상호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하는 일측에 돌기와 대응 측에 구멍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선택에 따라 같은 크기, 다른 크기의 배선관 상호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하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관 체결부에 피스 등의 고정체를 체결 고정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배선관 체결부 보다 적은 크기의 배선관을 체결시 배선관 둘레의 나선홈에 스크류 체결되는 고정체를 체결 고정하는 구멍에 고정체를 체결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단말캡의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단말캡에 전선 고정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따르면,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의 선단에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이에 상응하여 배선박스 내측 몸체가 삽입되도록 홈을 구비함으로써, 배선박스의 다양한 구멍에 맞는 선단과 타단 중의 고정부가 배선박스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면서 배선박스에 체 결 고정되며, 이에 따라 배선박스 내에서 전선의 결선 및 배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과 타단의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의 내측으로 배선관 둘레의 나선홈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를 구비하여, 배선관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같은 크기의 배선관 상호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크기의 배선관 상호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관 체결부에 피스 등의 고정체를 체결 고정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배선관 체결부 보다 적은 크기의 배선관을 체결시 고정체를 체결 고정하는 구멍에 고정체를 체결 고정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관을 늘어난 상태를 상태에서 고정용 연결구의 단말캡의 내부의 전선을 단말캡의 전선 고정부에 고정하여 배선관을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여 재료의 절약효과와 배선관의 수축을 방지하여 전선의 노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관을 늘어난 상태를 상태에서 고정용 연결구의 단말캡의 내부의 전선을 단말캡의 전선 고정부에 고정하여 배선관을 늘어난 상태를 상태를 유지하여 재료의 절약효과가 있다.
이처럼 박스의 다양한 구멍에 일측이 삽입되며, 다양한 배선관을 상호 체결고정 및 배선관의 수축을 방지하여 전선 노출을 방지하는 복합기능의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전기 배선 등을 천장 또는 벽 등에 매입 설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선 등이 배선되는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이다. 배선박스는 다수의 배선관이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배선관으로부터 인출된 전선등을 결선 및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배선관을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한 후, 배선관 내부에서 전선 등의 결선 작업이 이루어지며, 커넥트 등에 의해 결선이 완료된 전선들은 배선박스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통상 결선된 전선들의 배선작업이 완료되면, 배선박스의 전면에 덮개 등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에 체결 고정하며, 선단(70)과 타단(80)에는 상기 배선박스(20)의 삽입공(12)을 상기 걸림돌기(72),(82)와 홈(74),(84)에 고정하며, 선단(70)및 타단(8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선단을 선택한 도시도는 걸림돌기(72)와 홈(74)에 고정하며,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의 나선돌부(76),(86)에 선단을 선택한 도시도는 배선관을 나선돌부(86)에 체결하며, 선단(70)과 타단(80)의 걸림돌기(72),(74)와 홈(82),(84)에 중에 선단을 선택한 도시도는 걸림돌기(72)에 체결하며, 단말갭(90)에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부(98)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선단(70)과 상기 타단(80)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71)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의 홈(74),(84)의 선단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삽입공(12) 주변의 배선박스(10) 내측에 걸려지는 걸림돌기(72),(82)가 구비되고,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의 홈(74),(84)에는 상기 삽입공(12) 주변에 홈(74),(84)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선단(70) 선단을 선택한 도시도는 걸림돌기(72)에 전선고정부(98) 구비의 단말갭(9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단(70)과 상기 타단(80)에는 배선관(20) 체결의 내주연에는 상기 배선관(2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홈(22)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 돌부(76),(86)가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의 몸체를 상호 수축하는 양측의 돌기(78),(88)를 압축하여 삽입공(12)에 체결하며, 선단(70)을 선택한 도시도는 돌기(72)에 삽입공(12) 주변 및 홈(82)에 고정되며, 이에 상기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홈(22)에 상기 나선돌부(86)가 스크류 체결되며, 상기 돌부에 선택 체결하는 전선고정부(98) 구비의 단말갭(90)이 체결된다. 상기 타단(80)은 외경이 상기 선단(70)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는 또 다른 크기의 삽입공(12)에 삽입된다. 또한 또 다른 크기의 배선관(22)을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의한 전선을 고정하는 돌기의 고정부를 상기 선단(70)과 타단(80)에 내부 측으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의한 전선을 고정하는 돌기의 고정부를 상기 선단(70)과 타단(80) 중에 내부 측으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 예의 도 5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단(70)과 타단(80) 중에 선단(70)을 사용한 원주의 걸림돌기(72)가 배선박스(20)의 삽입공(12)에 삽입 및 홈(74),(84)에 삽입공(12)의 내주연이 삽입고정되며, 타단(80)에 단말갭(90)의 전선고정부(98)에 전선을 삽입으로 전선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 및 타단에 필요에 의한 삽입공(12) 주변의 배선박스(20) 내측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걸림 돌기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배치되며 선단측으로 외향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2) 주변의 배선박스(20) 외측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단 또는 타단 중에 선택한 내주연에 밀착되어 단부를 확경 고정시키며, 그 단부에 상기 걸림 돌기를 커버하고,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홈 형성 돌기의 전선고정부(98)가 형성된 단말캡(90)이 더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70) 및 타단(80)의 둘레에는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에 체결 고정되는 원주 돌출의 돌기(72),(82)와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의 내주연이 체결 고정되는 고정 홈(74),(84)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캡(90)의 외주연에는 상기 선단(70) 및 타단(80)의 원주돌출 돌기(72),(82)보다 높게 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말캡(90)의 외주연에는 상기 홈(74)인 내부측 돌기에 체결하는 홈(96) 이 구비된다.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의 내부 돌부에 배선관이 체결고정 구비되며, 상기 선단과 타단의 내부에 배선관(20)의 외경 나선홈(22)에 체결되는 나선돌부(76),(86)가 형성된다.
상기 배선박스(10)의 삽입공(12)에 체결고정은 선단(70)과 타단(80)의 중에 나선돌부(76),(86)에 배선관의 외경 나선홈(22)이 체결고정 구비되며,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의 내부에 상호 배선관을 삽입 내부의 나선돌부(76),(86)에 외경 나선홈(22)이 체결고정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 에시예의 도 6에 따르면, 배선관(20)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의 내측으로 배선관 둘레의 나선홈(22)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76),(86)를 구비한다.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의 내부에 같은 크기(Ø)의 배선관이 상호체결 연결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의한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의 내부 나선돌부(76),(86)에 상호 다른 크기(Ø)의 배선관(20)의 나선돌기(22)를 체결 연결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의한 상기 다른 크기의 배선관 상호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하는 일측에 돌기와 대응 측에 구멍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선택에 의해 같은 크기, 다른 크기의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선단과 타단 중에 선택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하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선택에 따라 같은 크기, 다른 크기의 배선관 상호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하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70)과 타단(80)의 내부에 배선관(20)의 나산 홈(22)에 체결되는 피스 등의 고정체를 체결 고정하는 양측에 구멍 구비하고, 내부보다 적은 크기의 배선관을 체결시 상기 구멍에 고정체를 체결이 배선관 둘레의 나선홈에 고정체가 체결 고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절개부(71)를 구비한 단관 형태는 탄성적으로 축경 가능하여, 각 구성이 결합 될 때 배선박스(10)의 외주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홈(74),(84)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원주의 걸림돌기(72)가 구비된다. 이 걸림돌기(72)는 삽입공(12) 주변의 배선박스(10) 내측에 걸려지는 것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걸림돌기(72),(82)는 원주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걸림돌기(72),(82)는 다수개의 부분 돌기가 될 수 있으며, 홈(74)의 선단에서 플랜지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홈(74)의 선단 둘레에는 상기 걸림돌기(72),(82)와 이격되어 다수개의 탄성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는 전선고정부(98)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선고정부(98)의 내주연에 배선(100)의 피복을 체결시 압착하는 홈 형성된 탄성 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필요에 의한 전선고정부(98)의 내주연에 배선(100)의 피복을 체결시 압착하는 홈 형성된 탄성 돌기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선단(70)과 타단(80)의 내부에 배선관(2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돌부(76),(86)는 단발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배선관(20)을 회전시켜 배선관을 체결할 때, 배선관(20)의 나선홈(22)이 상기 ㄴ돌나선돌부(76),(86)에 쉽게 안착 될 수 있다. 또한, 배선관(20)이 체결될 때, 내부는 상기 절개부(71)에 의해 확경되면서 배선관(20)의 외주연을 가압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배선관(20)이 내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70)과 타단(80)은 통상의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호 연결되며, 타단(80)은 그 외경이 선단(70)의 외경에 비해 작게 설계된다. 이와 같이, 타단(80)의 외경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연결구를 배선박스(10)의 이종의 삽입공 중에 선택 내부에서 외측으로 삽입할 때 선택한 선단 또는 타단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단말캡(90)은 내부측으로 전선관을 삽입 고정하는 전선고정 돌기(98)를 구비하고, 선택한 선단 또는 타단에 삽입 체결한다. 또한 상기 단말캡(90)은 필요에 의한 일측을 선단부를 높게하고, 선단부와 플랜지부(92)까지 나머지 일측에 올라타게 얇게 형성하고, 통상의 양측 조절부(78)의 상호압착으로 나머지 일측의 내측으로 단말캡(90)의 구멍이 작아지는 올라탈 수 있게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한 상기 단말캡(90)은 전선고정부를 선단 또는 타단에 결합시 내부로 모여들어 조여지게 형상을 구비하고, 선단 또는 타단에 결합시 형상이 내부로 조여들어 구멍이 적어저 내부의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결구는 배선박스(10)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해 삽입되며, 상기 홈(74),(84)에 배선박스(10)의 측벽 두께면이 삽입되며, 돌기(72),(82)가 가압되어, 배선박스(10)에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보여지듯이, 선단(70) 타단(80) 중의 선택의 단말캡(90) 내부의 전선고정부(98)에 전선을 끼워 압착 고정하며, 이는 배선관(20) 내의 전선을 고정하여 배선관(20)의 수축을 방지되어 자원을 절약화 하며. 배선박스(10) 내로 돌출되는 연결구의 부위를 최소화하며, 이는 배선박스(10) 내에서 충분한 전선 결선공간 및 배치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따른 기술적 장점은 선단과 타단은 배선박스(10)의 크기가 다른 삽입공에 선택 체결되는 되고, 원주 돌기(72),(82)는 앙측에 단말갭이 없어도 전선 피복을 벗기는 것을 방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기의 배선관이 고정되며, 체결한 단말갭(20) 내부의 전선을 고정부(98)에 고정하며, 배선관(20)의 상호 연결의 선단 및 타단에 같은 크기의 배선관(20)을 체결고정하며, 또한 선단 및 타단의 일측에 다른 크기의 배선관(20)을 체결연결 고정하며, 배선관(20)을 당겨 체결 이때 배선관(20)의 수축을 방지하는 단말갭(20) 내부의 전선을 고정부(98)를 구비한다는 점이다.
선단(70),타단(8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71)를 가지므로, 배선관(20)의 스크류 체결이 보다 용이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배선관(20)의 외주연을 가압 지지하므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보다 적은 치수는 고정구멍 구비하고, 고정체로 배선관을 고정할 수있다. 또한 필요에 의한 선단(70)과 타단(80) 중의 일측에 고정구멍과 나머지 일측에 돌기를 구비하고, 배선관(20)을 내부하고,
조절부(78)의 상호압착으로 고정구멍에 나머지 일측의 돌기가 체결고정이
배선관(20)의 나선홈(22)에 나선돌부(76),(86) 중에 선택한 돌기가 체결할 수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따른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배선관 상호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선박스 12 : 삽입공
20 : 배선관 22 : 나선홈
70 : 선단 71 : 절개부
72,82 : 걸림돌기 74,84 : 고정홈
76,86 : 나선돌부 80 : 타단
90 : 단말캡 92 : 플랜지부
94 : 고정돌기 96 : 전선고정부

Claims (4)

  1.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며, 선단과 타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되는 돌기와 홈과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돌부와 전선고정부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선단(70)과 상기 타단(80)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선단과 타단에서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삽입공(12) 주변의 배선박스(10) 내측에 걸려지는 원주의 걸림돌기(72).(82)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72).(82)의 시작에는 삽입공(12) 주변이 삽입되는 홈(74).(84)이 구비되며, 상기 선단(70)과 타단(80) 중 배선관(20)의 체결 상대 측에 체결되며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98)가 형성된 단멀갭(9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95415A 2009-10-08 2009-10-08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10116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15A KR101163835B1 (ko) 2009-10-08 2009-10-08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15A KR101163835B1 (ko) 2009-10-08 2009-10-08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17A KR20110038217A (ko) 2011-04-14
KR101163835B1 true KR101163835B1 (ko) 2012-07-11

Family

ID=4404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415A KR101163835B1 (ko) 2009-10-08 2009-10-08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8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212U (ja) 1983-11-08 1985-06-01 日動電工株式会社 可撓電線管接続用コネクタ
KR200198543Y1 (ko) * 2000-04-17 2000-10-02 주식회사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전선용 커플링
KR200360643Y1 (ko) 2004-05-25 2004-09-01 전인석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212U (ja) 1983-11-08 1985-06-01 日動電工株式会社 可撓電線管接続用コネクタ
KR200198543Y1 (ko) * 2000-04-17 2000-10-02 주식회사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전선용 커플링
KR200360643Y1 (ko) 2004-05-25 2004-09-01 전인석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17A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108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lug and socket components
EP0871254B1 (en) Rotationally unrestrained grounding coupling for external grounding of fittings
US11114798B2 (en) Connector
CN104348019A (zh) 用于电气插入式连接器的壳体壁螺旋连接
KR100796728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US9024195B2 (en) Grommet
KR20100133887A (ko) 배선관연결구
CN103688412A (zh) 缆线联接构件
US20040251682A1 (en) Range taking snap-in connector
KR101163835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US9960528B2 (en) Electric device
KR20090130819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110038219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120012500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130015246A (ko)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KR20110113255A (ko) 배선관 연결구
KR100557750B1 (ko) 가요전선관의 커넥터
KR100917998B1 (ko) 등기구용 연결구
KR20130113845A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체
KR200257555Y1 (ko) 피뢰침
KR0124707Y1 (ko) 전기,통신용 노출박스
KR102392439B1 (ko) 광전지용 커넥터
KR20080005804U (ko) 배선관용 커넥터
CN206022762U (zh) 快插电气连接装置
KR20130000986U (ko) 배선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