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205B1 - 전선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선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205B1
KR101661205B1 KR1020140092622A KR20140092622A KR101661205B1 KR 101661205 B1 KR101661205 B1 KR 101661205B1 KR 1020140092622 A KR1020140092622 A KR 1020140092622A KR 20140092622 A KR20140092622 A KR 20140092622A KR 101661205 B1 KR101661205 B1 KR 10166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inge
present
receiv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759A (ko
Inventor
최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세이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세이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세이프티
Priority to KR102014009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2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43Channels formed by wire or analogous n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부착하여 전선을 거치하는 것으로 전선을 거치하는 전선걸이구의 본체를 가변되게 구성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거칠하고, 전선 걸이구 본체가 자유롭게 회동 되도록 구성하여 천정이나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더라도 설치장소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으며, 거치된 전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는, 철골의 하단 및 측부에 부착하도록 자성체를 갖는 탈착구(110)와, 상기 탈착구의 하단에 제1힌지(132)에 의해 결합되어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체(130)와, 내부로 걸이구 본체(140)가 내장되며 상기 회전체(130)의 제2힌지(133)에 의해 결합되어 제2힌지를 중심으로 180도 이상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로 수납되며 필요에 따라 하단으로 하강 가변 되며 하단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선을 거치할 수 있는 전선걸이구(142)가 구비되는 걸이구본체(140)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선 거치대{ELECTRIC WIRE HANGER}
본 발명은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 현장이나 건물 내부의 보수 공사 등 작업 장소에서 작업 수행을 위한 각종 전선을 상부로 떠받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선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이나 건물 내부의 보수 공사시 작업장의 바닥면에는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어 감전사고 및 전기 사고가 많이 발생된다.
특히, 우천시에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빗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빗물이 고인 곳에 전선이 노출되면 감전 사고와 같은 전기 사고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선 거치대를 이용하여 전선을 바닥면에서 이격시켜 공중으로 올려 전선을 정리하고 있다.
일예로, 건축물에 스텐다드식의 전선 거치대를 이용하여 전선을 거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텐다드식의 전선 거치대는 건축자재의 이동시 충격이 조금만 가해지더라도 쓰려져 버려 전선을 거치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로 천정에 설치된 철골 빔에 자성체에 의해 부착하거나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설치하여 전선을 거치하는 방식의 전선 거치대도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천정에 부착하여 전선을 거치하는 전선 거치대는 공간에 따른 설치 제약이 많다. 그리고 이러한 전선 거치대는 천정에 설치되기 때문에 천정이 높을 시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을 거치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리고 전선 거치대의 유동성이 없어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기 마련이고, 유동성이 없어 벽면에 부착사용상 제약이 따른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천정이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설치에 따른 제약이 최소화할 수 있는 전선거치대의 보급이 되어야만 보다 안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등록번호 제10-1247212호(2013.03.19)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96719호(2005.09.16)
종래의 전선 거치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천정에 부착하여 전선을 거치하는 것으로 전선을 거치하는 전선걸이구의 본체를 가변되게 구성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거칠할 수 있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는 탈착구를 중심으로 전선 걸이구 본체가 자유롭게 회동 되도록 구성하여 천정 이나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더라도 설치장소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도록 사용을 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는 거치된 전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부재가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전선이 외부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안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는 탈착구의 하단에 제1힌지를 중심으로 360°회전가능한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에 제2힌지에 의해 180° 이상 회전가능하도록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하단으로 가변이 되는 전선 걸이구 본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탈착구는 본체의 상단부 내측으로 수납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홈으로 자성체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장의 철골등에 부착사용이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는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단은 캡이이 결합되고 수납부의 상단 내주연에는 나사부이 형성되고, 하단은 걸림턱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걸이구 본체는 수납부로 수납되는 봉과 상기 봉의 상단은 나사부가 형성되며, 봉의 하단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선을 거치할 수 있는 전선걸이구를 구비하여 전선을 거치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회전체는 브라켓이 제1힌지에 결합되어 360°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제2힌지에 의해 몸체를 고정하되, 상기 제2힌지에 중심으로 몸체가 180°이상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전선 걸이구의 일측에는 끼움공를 형성하여 거치된 전선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는 전선을 거치하는 어떠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더라도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함은 물론 전선 걸이구 본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사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공구 없이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거치된 전선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전기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등 보다 안전한 환경속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가 천정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가 측벽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거치대 구조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첨부 도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100)는 작업장의 철골구조물의 천정 및 벽면 등의 구조에 제약을 받지 않고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자성체를 갖는 탈착구(110)와, 상기 탈착구의 하단에 자유자재로 회동되는 회전체(130) 및 상기 회전체(130)의 하단에 제2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180도 이상회전되는 걸이구 본체(140)를 수용하는 몸체(120)로 이루어져 전선을 거치하도록 이루어진다.
탈착구(110)와 회전체(130)는 제1힌지(132)에 의해 조립되어 탈착구를 중심으로 회전체가 360도로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몸체(120)는 제2힌지(133)에 의해 최전체에 결합되어 180도 이상 회동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140)의 내부에 수용되는 걸이구본체(140)는 몸체(120)에서 하단으로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100)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탈착구(110)는 본체(111)의 상단부 내측으로 수납홈(112)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홈으로 자성체(113)가 수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113)의 상단으로부터 제1힌지가 본체의 하단까지 관통되어 회전체(130)와 연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130)는 상기 제1힌지(132)에 의해 탈착구(110)의 하단에 설치된다.
즉, 제1힌지(132)에 회전체의 브라켓(131)이 회동되게 결합되며, 브라켓(131)에는 제2힌지(133)에 의해 몸체(120)의 캡(122) 부분이 180도 이상 회동되게 결합된다.
상기 몸체(120)의 내부는 전선 걸이구 본체(140)의 봉(141) 부분이 수납되게 수납부(121)가 형성되되, 수납부(121)의 상단 외주연에는 나사부(123)가 형성된다.
몸체(120)의 내부에 수납되는 걸이구본체(140)의 봉(141)의 상단은 걸림부(147)가 형성되며 걸림부(147)의 외주연은 나사부(143)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나사부(123)와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이때 걸이구 본체를 회전시켜 나사부(123)와 나사부(143)를 풀어주면 걸이구 본체(140)가 하단으로 하강하게 되어 가변이 된다.
그리고 하강된 걸이구 본체의 상단 걸림부(147)는 몸체(120)의 하단 걸림턱(134)에 걸려 더 이상 빠지는 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걸이구 본체(140)의 봉(141) 하단부분에는 전선을 걸어 거치할 수 있는 걸이구(142)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걸이구(142)는 반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걸이구(142)의 일측에는 끼움공(142a)이 타공되며, 상기 끼움공(142a)에는 걸이구에 걸쳐진 전선이 충격에 의해 이탈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속부재(144)가 조립되어 진다.
그리고 걸이구의 타단에는 상기 단속부재(144)가 끼줘지게 단속홀(142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전선 거치대(100)는 철빔의 하단 및 측벽에 자성체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구(110)와 상기 탈착구(110)의 하단에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체(13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에는 걸이구본체(140)를 수용하는 몸체(120)가 제2힌지(133)에 의해 180도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걸이구본체(140)는 일측으로 회전함에 의해 하단으로 하강하여 가변되게 이루어진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봉(141)의 상단 걸림부(147)에는 수납공(147a)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으로 자성체(148)를 수용하여 캡(122)의 하단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걸이구 본체(140)가 몸체(120)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선을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때로는 걸이구본체(140)를 잡아당겨 하강시킨 후 전선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100)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사현장의 천정에 본 발명의 전선 거치대(100)를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몸체(120)의 하단을 잡고 탈착구(110)가 철골 빔의 하단에 위치시키면 자성체(113)의 자력에 의해 탈착구(11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서 단속부재(144)를 위로 회전시킨 후 바닥에 너져분히 방치된 전선을 걸이구(142)로 올려 정리정돈을 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정리정돈이 끝난 후, 단속부재(144)를 회전시켜 단속홀(142b)에 끼우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걸이구에 정리된 전선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정이 너무 높을 경우, 걸이구본체(1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봉(141)의 상단에 구비된 나사부(143)가 몸체(120)의 나사부(123)에서 풀려 걸이구본체(140)가 하단으로 하강하여 가변 된다.
상기와 같이 하단으로 가변된 상태에서 위와 같이. 단속부재(144)를 오픈하고 걸이구(142)에 전선을 정리정돈하여 거치한 후 다시 단속부재(144)를 잠그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선을 정리정돈을 행할 수 있다.
이때, 몸체(120)가 회전체(130)의 제2힌지를 중심으로 180도 이상 회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회전체(130)는 제1힌지(132)를 중심으로 360도로 회전되어 지므로, 전선이 다양한 배치되도 제약을 받지 않고 전선을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 거치대(100)를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탈착구(110)를 벽면에 부착하면 몸체의 무게중심에 의해 하단으로 하강하게된다.
즉, 몸체의 무게중심에 의해 회전체(130)가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2힌지를 중심으로 몸체(120)가 회전되어 몸체(120)가 수직을 유지하게된다.
이와 같이, 제1힌지 및 제2힌지를 중심으로 몸체가 항상 수직을 향하도록 유지되므로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직이 유지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걸이구 본체(140)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다.
수직이 유지된상태에서 단속부재를 오픈한 후 걸이구(142)에 전선을 거치하고 다시 단속부재(144)를 회전시켜 단속홀(142b)에 끼운 후 전선을 정리정도하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전선을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천정 또는 벽에 어느 공간에서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부착하여 복잡하게 배선된 전선을 공중으로 올려 정리정돈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전선으로 인한 감전사고 및 합선사고 등의 전기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전선 걸이구 본체가 되므로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전선 거치대 110: 탈착구
111: 본체 112: 수납홈
113: 자성체 120: 몸체
121: 수납부 132: 제1힌지
122: 캡 123: 나사부
124: 걸림턱 125: 브라켓
133: 제2힌지 130: 걸이구본체
131: 봉 132: 전선걸이구
134: 단속부재
B: 철빔 W: 전선

Claims (5)

  1. 삭제
  2. 작업장의 철골구조물에 부착하여 전선을 거치하는 전선 거치대에 있어서,
    본체(111)의 상단부 내측으로 수납홈(112)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홈으로 자성체(113)가 구비되는 탈착구(110)와,
    내부에 수납부(121)가 구비되며 상단은 캡이(122)이 결합되고 수납부(121)의 상단 내주연에는 나사부(123)이 형성되고, 하단은 걸림턱(134)이 형성되는 몸체(120)와,
    상기 수납부로 수납되는 봉(141)과, 상기 봉의 상단은 외주연에 나사부(143)가 형성되는 걸림부(147)가 형성되며, 봉의 하단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선을 거치할 수 있는 전선걸이구(142)가 구비되는 걸이구본체(140)와,
    상기 탈착구(110)의 상부에서 하단으로 관통되게 제1힌지(1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힌지에 브라켓(131)이 360°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브라켓에는 제2힌지(133)에 의해 몸체(120)가 고정되되, 상기 제2힌지를 중심으로 몸체가 180°이상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140)는 봉의 상단 나사부(143)가 몸체(120)의 수납부 상단 나사부(123)에 맞물려진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하여 맞물린 나사부가 풀리면걸이구본체(140)가 하단으로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141)의 상단에는 걸림부(147)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의 내측으로 수납공(147a)을 형성하며 수납공으로 자성체(148)를 구비하여 캡(122)의 하단으로 탈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걸이구(142)의 일측에는 끼움공(142a)를 형성하여 거치된 전선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부재(1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거치대.
KR1020140092622A 2014-07-22 2014-07-22 전선 거치대 KR10166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22A KR101661205B1 (ko) 2014-07-22 2014-07-22 전선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22A KR101661205B1 (ko) 2014-07-22 2014-07-22 전선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759A KR20160011759A (ko) 2016-02-02
KR101661205B1 true KR101661205B1 (ko) 2016-10-11

Family

ID=5535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622A KR101661205B1 (ko) 2014-07-22 2014-07-22 전선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511B1 (ko) * 2016-12-09 2019-03-12 (주)엠에스엔지니어링 전선 거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55B1 (ko) * 2007-04-30 2007-10-18 이익희 전선 거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719Y1 (ko) 2005-07-04 2005-09-27 김천호 전선 거치대
KR101247212B1 (ko) 2011-11-03 2013-04-01 신재훈 전선거치장치
KR101479289B1 (ko) * 2012-10-12 2015-01-06 김규섭 전선용 행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55B1 (ko) * 2007-04-30 2007-10-18 이익희 전선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759A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926B2 (en) Remote overhead anchor
KR101661205B1 (ko) 전선 거치대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CN208168316U (zh) 一种建筑外墙安装支架
JP5971969B2 (ja) 鳥害防止具
KR20080110373A (ko) 잭 베이스
KR20130052180A (ko) 지지용 와이어 텐션 유지 및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걸고리장치
JP2015006040A (ja) 操作棒用フック装置
JP4706265B2 (ja) 天井旋回扇の取付装置
EP3521228B1 (en) Cable reel
JP3811136B2 (ja) 親綱支持器
KR20090090909A (ko) 완강기용 거치대
JP6913336B2 (ja) 避難用はしご装置
JP6312223B2 (ja) 荷降ろし補助具
JP2006305057A (ja) 高所掛止用フック金具
JP3100173U (ja) 梯子用転倒防止保持具
JP6467106B1 (ja) 安全ネット用ブラケット
CA2813795A1 (en) Man basket
JP5639677B2 (ja) 表示装置設置装置
JP2003336276A (ja) マンホール用収納式タラップ
JP6414671B2 (ja) 庇及び庇の施工方法
JP2018027850A (ja) ユニットルームの吊り上げ構造
CN213175027U (zh) 一种可组装的水泥电线杆
KR20130004269U (ko) 소화기 거치대
JP2012161199A (ja) 脱落防止機能付き高圧引下線引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