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570Y1 - 전선관 지지홀더 - Google Patents

전선관 지지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570Y1
KR200476570Y1 KR2020130006393U KR20130006393U KR200476570Y1 KR 200476570 Y1 KR200476570 Y1 KR 200476570Y1 KR 2020130006393 U KR2020130006393 U KR 2020130006393U KR 20130006393 U KR20130006393 U KR 20130006393U KR 200476570 Y1 KR200476570 Y1 KR 200476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conduit
reinforcing bar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655U (ko
Inventor
하철상
Original Assignee
하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철상 filed Critical 하철상
Priority to KR2020130006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57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5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관 지지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 타설된 후의 전기배선 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해 전선관을 노출되게 고정토록 하여 전기배선 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길이로 된 바형태의 고정대의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봉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이 형성된 양측으로는 고정대를 철근에 고정끈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로 형성하여 일정하지 않게 배근되어진 철근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지지봉을 고정대와 분리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삽입홈으로 고정볼트를 결합하여 지지홀더를 철근뿐만이 아니라 거푸집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관 지지홀더{conduit support holder}
본 고안은 전선관 지지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 타설된 후의 전기배선 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해 전선관을 콘크리트 타설 전에 노출되게 고정토록 하여 전기배선 작업을 위한 시공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및 바닥, 천정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전에 건축물에 사용되는 전기배선작업을 위하여 거푸집 내부에 전선을 분배하는 박스가 설치되고 박스에서 분배되는 전선을 외부로 노출시켜 전기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전선관을 이용하여 철근에 고정끈(철사)으로 고정시키고 노출되게 고정되어진 전선관의 내부에는 전선을 삽입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선관을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전기공사가 용이하도록 전선관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격자형태로 배근된 철근에 현장에서 별도의 작업을 통해 일정길이로 철근봉을 절단하여 철사 등의 고정끈을 이용하여 배근된 철근에 철근봉을 직립되게 고정한 후 전선관을 철근봉에 밀착시켜 고정끈으로 직립고정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이 전선관의 직립고정을 위하여 철근봉을 절단하는 작업과 배근된 철근에 고정끈을 이용하여 철근봉을 묶음으로 고정하는 별도의 작업을 공사현장에서 해야하기 때문에 전선관의 직립고정을 위한 현장 시공에 많은 시간이 투여가 되면서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와 작업에 따른 에로사항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격자로 배근된 철근 사이에 전선관을 설치할 수 없고 철근과 인접된 부분에만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선관의 직립고정을 위하여 전선이 설치되는 정확한 위치작업이 어려운 것이었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단순히 철근에 고정끈으로 묶음 고정된 철근봉이 불안정하여 타설을 위하여 쏟아지는 콘크리트에 의해 철근봉이 철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분리가 되면서 동시에 전선관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묻히게 되면서 전선관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공개실용 20-1999-0022525호
따라서 본 고안은 전선관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면서 이러한 전선관을 견고하면서 안정적이게 배근된 철근에 직립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정길이로 된 바형태의 고정대의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봉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이 형성된 양측으로는 고정대를 철근에 고정끈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로 형성하여 일정하지 않게 배근되어진 철근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을 분리되도록 하고 고정대에는 지지봉이 결합되는 결합홀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전선관을 고정하는 위치에 따라서 지지봉을 이동시켜 작업을 용이토록 하고 상기 분리되어진 지지봉에 고정볼트를 결합토록 함으로써 시공되는 현장상황에 따라서 지지홀더를 철근에 고정하거나 거푸집에 고정하여 작업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의 상,하에는 내측에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에 일정길이의 철근봉 또는 전산볼트나 철근봉을 끼임고정토록 함으로써 시공되는 현장상황에 맞게 지지홀더의 높이를 조절하여 전선관의 직립고정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격자형태로 배근된 철근의 상측에 위치시켜 철근에 고정대를 묶음 고정하고 중앙에 형성된 지지봉에 전선관을 밀착시켜 끈으로 고정하거나 지지봉에 철근봉 또는 전산볼트를 삽입하여 전선관을 고정토록 함으로써 전선관의 직립을 위한 고정작업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시공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지지봉의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지지봉을 분리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장착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철근에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철근에 설치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목재거푸집에 장착을 위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관 지지홀더는 평평한 판체로 되면서 일정길이의 바형태로 된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의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지지봉(20)이 형성되어 격자형태로 배근된 철근(40)의 상측에 고정대(10)가 놓여져 고정대(10)를 철근(40)에 고정끈(31)으로 고정하고 전선관(30)을 고정대(10)의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봉(20)에 밀착시켜 고정끈(31)으로 묶음고정하여 고정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끈(31)으로는 작업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철사나 강도가 있는 실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선관(30)을 직립고정하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전선관뿐만 아니라 배관이나 파이프 등을 고정할 때도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대(10)와 지지봉(2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철근(40)에 고정하거나 분리된 지지봉(20)에 고정볼트(32)를 결합하여 철근(40)에 고정하지 않고 거푸집(50)에 직접 박음고정토록 한 후 지지봉(20)에 전선관(30)을 직립되게 고정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철근(40) 및 거푸집(50)의 시공에 따라서 고정대(10)와 지지봉(20)을 결합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지지봉(20)을 고정대(10)에서 분리하여 지지봉(20)에 고정볼트(32)를 결합한 상태로 거푸집(50)에 직접 고정토록 함으로써 고정끈(31)의 사용없이도 박음고정토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전선관(30)을 지지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10)에는 분리되는 지지봉(20)이 끼임결합되는 결합공(12)을 형성토록 하고, 상기 결합공(12)은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로 형성하여 전선관(3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지지봉(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관(30)의 직립고정을 위한 시공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20)에는 결합공(12)에 끼임고정되는 것이고, 이때 지지봉(20)이 결합공(12)에 어느 정도 끼워진 상태에서 더 이상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지지봉(20)의 하단 또는 중앙 외측으로 돌출테(22)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테(22)가 고정대(10)의 상면에 지지되어 빠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봉(20)에는 관통되지 않게 상,하 양측으로 일정깊이로 내입되어진 삽입공(21)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21)에 철근봉 또는 전산볼트(33)나 고정볼트(32)를 끼임고정토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삽입공(21)을 통해 고정볼트(32)를 끼임고정토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봉(20)의 높이가 낮을 경우 전선관(30)이 밀착되는 부분이 적게 되면서 전선관(30)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고 휘어짐 등으로 인해 전선관(30)이 지지봉에서 이탈 또는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봉(20)의 삽입공(21)으로 철근봉 또는 전산볼트(33)를 끼임고정토록 함으로써 어느 정도 높이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전선관(30)을 견고하게 직립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공(21)의 바닥면에 근접한 내측으로 나사산(23)을 형성하여 전산볼트(33)를 단순히 끼임고정하지 않고 조임고정토록 함으로써 전산볼트(33)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봉(20)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10)의 중앙에 지지봉(20)이 형성된 양측으로 고정대(10)를 고정끈(31)을 이용하여 철근(40)에 묶음고정하기 위하여 고정홀(11)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홀(11)은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로 형성토록 함으로써 배근되는 철근(40)의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홀(11)을 이용하여 철근(40)의 간격에 맞게 고정끈(31)을 묶음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을 고정대에 분리한 상태에서 대칭 또는 사방으로 고정홀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브라켓에 상기 지지봉을 결합하여 목재로 이루어진 거푸집에도 설치가 가능토록 하여 다양한 거푸집 또는 철근에 모두 설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10: 고정대 11: 고정홀
12: 결합공
20: 지지봉 21: 삽입공
22: 돌출테 23: 나사산
30: 전선관 31: 고정끈
32: 고정볼트 33: 전산볼트, 철근봉
40: 철근
50: 거푸집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격자형태로 배근된 철근(40)의 상측에 위치되어 철근(40)에 고정끈(31)으로 고정되는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에는 상향 돌출되는 지지봉(20)이 결합되어 전선관(30)을 지지봉(20)에 직립되게 밀착시켜 고정끈(31)으로 고정하여 전선관(30)을 타설되는 콘크리트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토록 하는 전선관 지지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0)에는 지지봉(20)이 끼임결합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위치된 다수의 결합공(12)을 형성하여 지지봉(20)의 위치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전선관(3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지지봉(20)의 위치를 조절토록 하고 상기 지지봉(20)의 하단에는 결합공(12)에 끼임결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인입되지 못하도록 돌출테(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지지홀더.
  4. 삭제
  5. 격자형태로 배근된 철근(40)의 상측에 위치되어 철근(40)에 고정끈(31)으로 고정되는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에는 상향 돌출되는 지지봉(20)이 결합되어 전선관(30)을 지지봉(20)에 직립되게 밀착시켜 고정끈(31)으로 고정하여 전선관(30)을 타설되는 콘크리트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토록 하는 전선관 지지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0)의 중앙에 지지봉(20)이 형성된 양측으로 고정끈(31)을 철근(40)에 묶음고정토록 하기 위한 고정홀(11)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로 형성토록 하여 철근(40)에 배근된 간격에 따라서 고정대(10)를 묶음고정을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지지홀더.
KR2020130006393U 2013-08-01 2013-08-01 전선관 지지홀더 KR200476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93U KR200476570Y1 (ko) 2013-08-01 2013-08-01 전선관 지지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93U KR200476570Y1 (ko) 2013-08-01 2013-08-01 전선관 지지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55U KR20150000655U (ko) 2015-02-12
KR200476570Y1 true KR200476570Y1 (ko) 2015-03-12

Family

ID=5257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393U KR200476570Y1 (ko) 2013-08-01 2013-08-01 전선관 지지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57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048A (ja) * 1997-04-02 1998-12-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配管・配線固定用埋め込み部材および配管・配線固定具
KR20100001615U (ko) * 2008-08-05 2010-02-16 김흥국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048A (ja) * 1997-04-02 1998-12-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配管・配線固定用埋め込み部材および配管・配線固定具
KR20100001615U (ko) * 2008-08-05 2010-02-16 김흥국 알루미늄 거푸집에 끼워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가진 탄성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55U (ko)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985B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KR101308957B1 (ko) 에이치바 및 이 에이치바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US8496398B2 (en) Rebar sleeve unit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200476569Y1 (ko) 전선관 지지홀더
KR200476570Y1 (ko) 전선관 지지홀더
KR101627159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JP2014206025A (ja) カルバート
KR101526200B1 (ko)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KR100859543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1272189B1 (ko)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
KR101386405B1 (ko) 슬래브 매입형 콘크리트 박스
CN104264989B (zh) 一种固定对拉金属杆件的装置
JP2013241746A (ja) PCa型枠の固定構造
KR101311706B1 (ko) 코너바 및 이 코너바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KR102062451B1 (ko)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JP5596529B2 (ja) 補強用鉄筋の取付け構造
KR101294745B1 (ko) 방수턱거푸집 설치구조
KR20110002820U (ko) 파이프 고정구
KR20160017348A (ko) 거푸집 보강 지지대
KR200487493Y1 (ko)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JP2015048655A (ja) 太陽光発電装置における太陽光発電パネル架設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488206B1 (ko) 건축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650476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