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200B1 -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 Google Patents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200B1
KR101526200B1 KR1020130130006A KR20130130006A KR101526200B1 KR 101526200 B1 KR101526200 B1 KR 101526200B1 KR 1020130130006 A KR1020130130006 A KR 1020130130006A KR 20130130006 A KR20130130006 A KR 20130130006A KR 101526200 B1 KR101526200 B1 KR 101526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pport
supporter
support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428A (ko
Inventor
오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3875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62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Priority to KR102013013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2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에 일부 매립되어 있는 씨디관을 직립하게 하는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조적 방법 및 중량체 설치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CD PIPE SUPPORTING APPARATUS AND WEIGHT FIXING METHOD AND WALL INSTALLING METHOD}
본 발명은 슬라브에 일부 매립되어 있는 씨디관을 직립하게 하는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조적 방법 및 중량체 설치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때 각 층간 전기선 씨디관이나 통신선 씨디관 등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슬라브의 내부로 배근된 바닥 철근 사이로 씨디관을 매설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며, 이후, 상기 슬라브상에 벽체를 형성할 때, 상기 벽체 내부에 상기 씨디관을 매립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씨디관(B)은 슬라브 타설을 위한 바닥 철근(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씨디관(B)을 직립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일부는 상기 바닥 철근(1)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직립되어 있는 절곡 철근(2)을 이용하였다.
즉, 상기 절곡 철근(2)의 수평부는 상기 바닥 철근(1)에 고정되고, 수직부에는 상기 씨디관(B) 중 직립하고자 하는 부분이 와이어 등에 의해 묶여서 직립된다.
이는 상술한 씨디관(B)의 플렉서블한 특성 상 지지되지 않으면 옆으로 누워버리므로 상술한 절곡 철근(2)과 같은 지지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이때, 상기 씨디관(B)을 직립시킨 후 상기 바닥 철근(1)상에 슬라브를 타설하게 된다.
한편 벽체는 상기 직립된 씨디관(B) 주위에 조적되며 상기 직립된 씨디관(B)의 끝단부에 스위치 박스 등과 같은 씨디관 연결 박스(BB)를 벽체 내부에 설치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절곡 철근(2)은 현장에서 철근을 조달 절곡한 후 수평부를 상기 바닥 철근(1)에 매설한다.
이후, 상기 절곡 철근(2)의 수직부에 와이어 등을 이용해서 씨디관(B)이 직립되도록 설치하는 관계로 작업 공수가 많아 작업 지연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비용 역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종래 기술은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관계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435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씨디관의 직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작업 공수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조적 방법과 중량체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 슬라브(S)로부터 노출된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 장치(10)는 거푸집(D)에 고정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지지대 장착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거푸집(D)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상에 형성되는 중공의 수용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는 상기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내부에 형성되는 내통(110)과 상기 내통(110) 주위에 일정 반경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통(12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의 내통(110)과 외통(120) 공간에 상기 수용부(210)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씨디관 지지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슬라브(S)로부터 노출된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 장치(10)는 거푸집(D)에 고정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지지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거푸집(D)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상에 형성되는 중공의 수용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300)는 중공의 지지대 본체(340)와, 상기 지지대 본체(340) 저면에 형성되는 내통(310) 및 상기 내통(310) 주위에 일정 반경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통(320)을 포함하여, 상기 내통(310)과 외통(320) 공간에 상기 수용부(210)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3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씨디관 지지 장치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삭제
이때, 상기 지지체 본체(340)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리브(342)와, 상기 지지체 본체(340) 외측면에 요홈되는 노치(34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ST)는 철근 또는 전산 볼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ST)로서 전산 볼트를 이용하여 중량체(WB)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산 볼트가 장착된 지지대 장착부(100)를 고정부(200)에 고정하되 상기 전산 볼트의 상단일부는 테이핑하여 주변과 차단하는 단계와, 바닥 슬라브를 타설하되 상기 전산 볼트 중 테이핑된 부분은 바닥 슬라브상으로 노출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된 부분의 테이프를 제거한 후 중량체(WB)를 상기 전산 볼트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량체 설치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벽체(WA)를 조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지지대(ST)가 장착된 지지대 장착부(100) 또는 지지체(300)를 고정부(200)에 고정하는 단계와, 씨디관(B)을 상기 지지대(ST) 또는 지지체(300)에 묶어 상기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단계와, 바닥 슬라브(S)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씨디관(B) 주위로 벽체(WA)를 조적하는 단계와, 상기 벽체(WA)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씨디관(B)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 박스(BB)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체 조적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씨디관을 보다 용이하게 직립할 수 있어 보다 작업 공수를 줄이고 이에 따라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씨디관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및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체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벽체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및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체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디관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벽체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S)로부터 노출된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 장치(10)는 거푸집(D)에 고정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지지대 장착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거푸집(D)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상에 형성되는 중공의 수용부(2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는 상기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내부에 형성되는 내통(110)과 상기 내통(110) 주위에 일정 반경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통(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의 내통(110)과 외통(120) 공간에 상기 수용부(210)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대(ST)가 설치되는 지지대 장착부(100)가 고정부(200)에 설치되어 고정된 후 상기 지지대(ST)에 상술한 플렉서블한 재질의 씨디관(B, 도 1 참조)을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묶어서 고정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절곡 철근(2, 도 1참조)을 조달한 후, 상기 절곡 철근(2)의 수평부는 바닥 철근(1, 도 1참조)에 설치하고, 상기 절곡 철근(2)의 수직부에는 상기 씨디관(B)을 설치하여 상기 씨디관(B)을 직립하게 하는 구성인 관계로 작업 공수가 많아 효율적이 못하고 이에 따라 비용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지지대(ST)가 삽입된 지지대 장착부(100)를 고정부(200)에 장착하기만 하면 씨디관을 상기 지지대(ST)에 묶을 수 있어 종래보다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통(120)와 내통(110) 그리고 수용부(2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형성되는 내통(110)과 상기 내통(110) 주위로 일정 반경 이격되어 형성되되 유사하게 원통 형상인 외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통(120)과 내통(110) 사이의 원주 방향의 빈 공간에 상기 중공의 원통 형상인 수용부(210)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통(120)이 상기 수용부(210)를 덮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상기 고정부(200)의 수용부(210)를 오염시키지 않아 상기 고정부(200)를 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 타설 후 거푸집(D)을 해체를 하면 상기 고정부(200)가 거푸집(D)에 남아 있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0) 외측면에 콘트리트로 오염되지 않아 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통(110)의 도면상 상부면에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40)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걸림턱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의 지지판(220)은 거푸집(D)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판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220)의 4군데 모서리에 형성되는 고정공(222)을 고정구(F)가 관통 후 거푸집(D)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200)가 거푸집(D)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110)의 삽입홈(130)은 지지대(ST)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지지대(ST)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나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ST)는 철근 또는 전산 볼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작업 현장에서 철근을 확보하여 상기 철근을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의 삽입홈(130)에 삽입하여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산 볼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데, 상기 전산 볼트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중량체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와 같이 철근이나 전산 볼트를 지지대(ST)로 사용하는 것은 아래의 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내통(110)의 저면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힌 형상도 가능하고 개방된 형상도 가능하나, 만일 상기 내통(110)의 저면이 개방되어 있으면 고정부(200) 탈거 시, 지지대(ST)의 저면이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막힌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는 삽입되는 지지대(ST) 즉 철근 등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 가능하며 보다 용이하게 크기 별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색채를 다르게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아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씨디관(B)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선 등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전선 외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배관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아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며 이하 중복되는 언급은 생략한다.
실시예2
본 발명은 상기 지지 장치(10)는 거푸집(D)에 고정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지지체(3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부(200)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상기 거푸집(D)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상에 형성되는 중공의 수용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체(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300)는 중공의 지지대 본체(340)와, 상기 지지체 본체(340) 저면에 형성되는 내통(310) 및 상기 내통(310) 주위에 일정 반경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통(32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체 본체(340)가 실시예1의 지지대(ST) 역할을 하며, 상기 지지체(340)의 저면에 상술한 내통(310)과 외통(320)을 구비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지지체(300)의 내통(310)과 외통(320) 공간에 상기 수용부(210)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3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점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 본체(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이되, 그 외측면에 돌출되는 리브(342)와, 상기 지지체 본체(340) 외측면에 요홈되는 노치(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342)는 상기 지지체 본체(340) 외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 본체(34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가진 링 형상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리브(342)는 상기 지지체 본체(340)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삽입통 본체(34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리브(342)의 형상이 달라지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노치(343)는 상술된 바와 같이 지지체 본체(340)의 외측면에 요홈된 형태로 형성되는 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노치(343)에 의해 상기 지지체 본체(340)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어 상기 지지체 본체(34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치(343)는 여러 형상이 가능한데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의 노치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2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3
본 발명은 바닥 슬라브(S)로부터 노출된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지지 장치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장치(10)는 지지대(ST)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거푸집(D)에 고정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200)는 판체 형상으로서 상기 거푸집(D)에 고정되는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상에 형성되어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중공의 수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ST)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점이 상이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의 수용부(210)에 앞서 설명한 내통과 외통이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대(ST)가 직접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ST)에 상술한 바와 같이 씨디관을 와이어 등에 의해 묶어서 고정 수 있다.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4
이하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여 상술한 지지 장치(10)를 이용하되 지지대(ST)로서 전산 볼트를 이용하여 중량체(WB)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지지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D)에 고정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지지대 장착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ST)는 전산 볼트를 사용한다.(도 2 및 도 3a참조)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산 볼트가 장착된 지지대 장착부(100)를 고정부(200)에 고정하되 상기 전산 볼트의 상단 일부(T)는 테이핑하여 주변과 차단하는 단계(이하 제1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전산 볼트가 지지대 장착부(10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200)에 고정되거나 혹은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를 고정부(200)에 먼저 고정한 후 상기 전산 볼트를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단 볼트의 상단 일부(T)는 테이핑하여 주변과 차단하는데, 이는 슬라브 타설 시 콘크리트가 상기 전산 볼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바닥 슬라브(S)를 타설하되 상기 전산 볼트 중 테이핑된 부분은 바닥 슬라브(S)상으로 노출하는 단계(이하 제2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S)를 타설하되 그 높이는 상기 테이핑 된 부분이 바닥 슬라브(S)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타설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산 볼트의 상단부는 테이핑 되어 콘크리트가 묻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테이핑된 부분의 테이프를 제거한 후 중량체(WB)를 상기 전산 볼트에 설치하는 단계(이하 제3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전산 볼트의 테이핑된 부분을 제거하면 나사산이 노출되므로 상기 나사산에 중량체(WB)의 고정부재(N)(예를 들어 너트 등)를 상기 나사산에 결합하면 중량체(WB)를 보다 용이하게 바닥 슬라브(S)에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5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지지 장치(10)를 이용하여 벽체(WA)를 조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기 지지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D)에 고정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지지대 장착부(10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1에서 설명된 지지대 장착부(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실시예2의 지지체(300)의 사용도 가능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하 실시예1의 지지대 장착부(100)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를 고정부(200)에 고정하는 단계(이하 제1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에서 지지대 장착부(100)에 상기 지지대(ST)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를 고정부(200)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에 지지대(ST)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씨디관(B)을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의 지지대(ST)에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묶어서 상기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단계(이하 제2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바닥 슬라브(S)를 타설하는 단계(이하 제3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상기 씨디관(B) 중 일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S)에 매립되고, 상기 바닥 슬라브(S)에서 노출되어 직립된 부분은 매립되지 않게 된다.
이 후, 상기 직립된 씨디관(B) 주위로 벽체(WA)를 조적하는 단계(이하 제4단계라 함)와, 상기 벽체(WA)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씨디관(B)이 연결되는 씨디관 연결 박스(BB)를 설치하는 단계(이하 제5단계라 함)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벽체(WA)를 씨디관(B) 주위로 쌓되 상기 씨디관(B)이 연결되는 씨디관 연결 박스(BB)를 상기 벽체(WA)에 매립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씨디관 연결 박스(BB)는 스위치 박스 등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지지대 장착부 110 : 내통
120 : 외통 130 : 삽입홈
200 : 고정부 210 : 수용부
220 : 지지판 300 : 지지체
310 : 내통 320 : 외통
340 : 지지체 본체 342 : 리브
343 : 노치 ST : 지지대

Claims (7)

  1. 바닥 슬라브(S)로부터 노출된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 장치(10)는 거푸집(D)에 고정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지지대 장착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거푸집(D)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상에 형성되는 중공의 수용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는 상기 지지대(ST)가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내부에 형성되는 내통(110)과 상기 내통(110) 주위에 일정 반경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통(12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의 내통(110)과 외통(120) 공간에 상기 수용부(210)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 장착부(1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관 지지 장치.
  2. 바닥 슬라브(S)로부터 노출된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 장치(10)는 거푸집(D)에 고정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에 장착되는 지지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거푸집(D)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상에 형성되는 중공의 수용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300)는 중공의 지지대 본체(340)와, 상기 지지대 본체(340) 저면에 형성되는 내통(310) 및 상기 내통(310) 주위에 일정 반경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통(320)을 포함하여,
    상기 내통(310)과 외통(320) 공간에 상기 수용부(210)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300)가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관 지지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본체(340)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리브(342)와, 상기 지지체 본체(340) 외측면에 요홈되는 노치(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관 지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ST)는 철근 또는 전산 볼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관 지지 장치.
  6.  제1항에 기재된 지지 장치를 이용하되 지지대(ST)로서 전산 볼트를 이용하여 중량체(WB)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산 볼트가 장착된 지지대 장착부(100)를 고정부(200)에 고정하되 상기 전산 볼트의 상단일부는 테이핑하여 주변과 차단하는 단계와,
    바닥 슬라브를 타설하되 상기 전산 볼트 중 테이핑된 부분은 바닥 슬라브상으로 노출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된 부분의 테이프를 제거한 후 중량체(WB)를 상기 전산 볼트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설치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벽체(WA)를 조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지지대(ST)가 장착된 지지대 장착부(100) 또는 지지체(300)를 고정부(200)에 고정하는 단계와,
    씨디관(B)을 상기 지지대(ST) 또는 지지체(300)에 묶어 상기 씨디관(B)을 직립시키는 단계와,
    바닥 슬라브(S)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씨디관(B) 주위로 벽체(WA)를 조적하는 단계와,
    상기 벽체(WA)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씨디관(B)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 박스(BB)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조적 방법.
KR1020130130006A 2013-10-30 2013-10-30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KR101526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006A KR101526200B1 (ko) 2013-10-30 2013-10-30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006A KR101526200B1 (ko) 2013-10-30 2013-10-30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428A KR20150049428A (ko) 2015-05-08
KR101526200B1 true KR101526200B1 (ko) 2015-06-05

Family

ID=5338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006A KR101526200B1 (ko) 2013-10-30 2013-10-30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50U (ko)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탐진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98Y1 (ko) * 2016-04-20 2018-05-28 주식회사 탐진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30Y1 (ko) * 2003-11-01 2004-02-11 아이월드 주식회사 슬라브 매립형 전선관 연결부재
KR200408599Y1 (ko) * 2005-11-09 2006-02-13 김세열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KR100917394B1 (ko) * 2009-05-11 2009-09-17 (주)와이즈산전 중하중용 무굴착형 통신케이블 지지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30Y1 (ko) * 2003-11-01 2004-02-11 아이월드 주식회사 슬라브 매립형 전선관 연결부재
KR200408599Y1 (ko) * 2005-11-09 2006-02-13 김세열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KR100917394B1 (ko) * 2009-05-11 2009-09-17 (주)와이즈산전 중하중용 무굴착형 통신케이블 지지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50U (ko)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탐진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428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8321B2 (en) Embeddable mounting device
US10273698B2 (en) Connector for form boards and system for cast construction
US8496398B2 (en) Rebar sleeve unit
KR101526200B1 (ko)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KR200445323Y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KR20090117224A (ko) 슬래브 지지장치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KR101648698B1 (ko) 배관 서포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76569Y1 (ko) 전선관 지지홀더
JP3081653U (ja) 巾木パネルの固定具
JP2009102896A (ja) Pc柱接続部における電気的接続構造とその接続方法
JP4313431B1 (ja) 箱抜用型枠支持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3133801U (ja) 筒状及び角筒型抜き型の固定金具
JPH0215104Y2 (ko)
JP5817889B2 (ja) 配線ボックスの配設構造、配線ボックスを埋設したコンクリート壁体、及びその構築方法
CN210217165U (zh) 一种新型混凝土输送配件
KR102626358B1 (ko)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KR200481249Y1 (ko)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20110002820U (ko) 파이프 고정구
KR20190019449A (ko) 벽체간 간격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JP2003079024A (ja) 鉄筋取付用ボックス固定装置
CN210361887U (zh) 一种应用于预制建筑的预埋线盒定位结构
JP3199418U (ja) 床スリーブユニット
KR101332527B1 (ko)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09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410

Effective date: 20181123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1247;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109

Effective date: 2019091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17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115

Effective date: 2019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