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49Y1 -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 Google Patents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49Y1
KR200481249Y1 KR2020160001635U KR20160001635U KR200481249Y1 KR 200481249 Y1 KR200481249 Y1 KR 200481249Y1 KR 2020160001635 U KR2020160001635 U KR 2020160001635U KR 20160001635 U KR20160001635 U KR 20160001635U KR 200481249 Y1 KR200481249 Y1 KR 200481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vertical
horizontal
electric box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덕
Original Assignee
이승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덕 filed Critical 이승덕
Priority to KR2020160001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bar extending between two separate studs of a wall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고안은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시 전기박스가 고정되는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상기 수직철근과 상기 수평철근에 고정된 전기박스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고안은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간의 교차부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는 전기박스 고정대를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사이에 고정된 전기박스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APPARATUS FOR FIXING ELECTRICAL BOX FOR WALL FRAME CONSTRUCTION}
본 고안은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시 전기박스가 고정되는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상기 수직철근과 상기 수평철근에 고정된 전기박스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에는 철근을 가로세로로 소정 간격 이격시켜 격자형태로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한 후 이 골격에 내외벽 거푸집을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외벽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벽체를 시공한다. 슬래브 시공시에는 벽체를 시공한 상태에서 상기 벽체의 상단에 슬래브 거푸집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후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상측에 철근을 격자형태로 배근한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슬래브를 시공한다.
한편 건축물의 벽체에는 전기배선을 위한 각종 배관용 설비가 설치되고, 상기 각종 배관용 설비의 종단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각종 전기기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기기기로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분전함, 스위치 및 콘센트 등이 있으며, 이들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외벽 거푸집이나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전기기기가 장착될 전기박스를 철근골조에 고정하여 매입 설치한다.
전기박스는 벽체 시공시 스위치나 콘센트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거푸집 내부에 미리 고정시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고 그 후에 거푸집을 철거하더라도 이들 전기박스는 벽체에 매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전기박스는 복수 개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데, 전기박스를 콘크리트 타설 전 원하는 위치에 고정을 제대로 하지 않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시에 가해지는 힘이나 모멘트에 의해 전기박스의 위치가 변동되어 서로 간의 간격이 틀어져, 결국 시공 후에는 변형 및 비틀어진 상태로 양생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차후의 배선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미관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벽체 시공시 전기박스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9-005367호(공개일: 1999.02.18.)에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9-005367호는 판재 형상의 고정홀더에 상하로 나란히 양측에 소정길이로 인출되게 연결간을 내입되도록 성형하여 구성함으로써 철근골조의 간격 및 폭 등에 구애됨이 없이 골조에 견고하면서도 정위치에 전기박스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정위치에 전기박스가 매설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9-005367호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에서는 전기박스를 철근골조에 긴밀하게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박스와 철근골조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골조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 철근골조에 고정된 전기박스의 위치 또한 함께 변동되어 시공 후 전기박스의 위치가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골조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골조는 수직철근(1)과 수평철근(2)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근되고, 이들(1, 2)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은 이들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하여 결속선(철선)(3)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데, 이때 결속선(3)을 통한 고정력이 약해 콘크리트 타설시 각 철근에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다른 경우 이들(1, 2)이 서로 뒤틀려 위치가 변동되고, 이로 인해 철근에 고정된 전기박스의 위치 또한 함께 변동되어 시공 후 전기박스의 위치가 뒤틀리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되었다.
KR 20-1999-005367 U, 1999. 02. 18.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전기박스가 고정되는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상기 수직철근과 상기 수평철근에 고정된 전기박스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좌우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수직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철근을 교차하도록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수평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철근 사이에는 전기박스가 고정되는 골조 벽체 시공을 위한 철근골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과 상기 제1 수평철근이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의 상부와 상기 제1 수평철근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블럭; 상기 제1 수직철근과 상기 제2 수평철근이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의 하부와 상기 제2 수평철근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블럭; 및 상기 제1 상부고정블럭과 상기 제1 하부고정블럭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고정블럭은 상기 제1 수평철근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하는 제1 수평고정홈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의 상부를 고정하는 제1 수직고정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블럭은 상기 제2 수평철근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하는 제2 수평고정홈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2 수직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수평고정홈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직고정홈부는 각각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홈과, 내측으로 상기 경사홈과 연결되어 상기 경사홈과 연통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수평고정홈부는 각각 'U'자형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고정홈부는 상기 연결바를 통해 상호 연통하되,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홈과, 내측으로 상기 경사홈과 연결되어 상기 경사홈과 연통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박스가 장착된 철근골조 구조에서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간의 교차부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는 전기박스 고정대를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수직철근과 수평철근 사이에 고정된 전기박스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골조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골조 벽체 시공용 철근골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조 벽체 시공용 철근골조에 전기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골조 벽체 시공용 철근골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조 벽체 시공용 철근골조에 전기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는 전기박스(4)가 고정된 골조 벽체 시공용 철근골조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 또는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사이에 고정된 전기박스(4)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철근골조는 도 3과 같이, 좌우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을 교차하도록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사이에는 전기박스(4)가 배치된다. 일례로 전기박스(4)의 상부는 제1 수평철근(2)에 고정되고 하부는 제2 수평철근(2')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본 고안에서 전기박스(4)가 장착되는 위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을 서로 고정한다.
이러한 전기박스 고정대(10)는 상부고정블럭(11), 하부고정블럭(12) 및 연결바(13)를 포함한다.
상부고정블럭(11)은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수평철근(2)이 교차되는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1)의 상부와 제1 수평철근(2)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한다.
하부고정블럭(12)은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1, 1')과 제2 수평철근(2')이 교차되는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1, 1')의 하부와 제2 수평철근(2')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한다.
연결바(13)는 봉 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고정블럭(11)과 하부고정블럭(12)을 서로 연결하여 상부고정블럭(11)과 하부고정블럭(12) 간의 간격을 유지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부고정블럭(11)은 제1 수평철근(2)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제1 수평고정홈부(111)와, 제1 수평고정홈부(111)와 일체로 이웃하게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1, 1')의 상부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제1 수직고정홈부(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고정블럭(12) 또한 제2 수평철근(2')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제2 수평고정홈부(121)와, 제2 수평고정홈부(121)와 일체로 이웃하게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1, 1')의 상부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제2 수직고정홈부(122)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수평고정홈부(111)는 상방향으로 개구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홈(111a)과, 내측으로 경사홈(111a)과 연통된 고정홈(111b)을 포함하고, 제1 수직고정홈부(112)는 측방향으로 개구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홈(112a)과, 내측으로 경사홈(112a)과 연통된 고정홈(112b)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수평고정홈부(121)는 상방향으로 개구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홈(121a)과, 내측으로 경사홈(121a)과 연통된 고정홈(121b)을 포함하고, 제2 수직고정홈부(122)는 측방향으로 개구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홈(122a)과, 내측으로 경사홈(122a)과 연통된 고정홈(122b)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부고정블럭(11) 및 하부고정블럭(12)에 각각 형성된 홈부(111, 112, 121, 122)는 경사홈(111a, 112a, 121a, 122a)과 고정홈(111b, 111b, 121b, 12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이 고정홈(111b, 111b, 121b, 122b)에 억지 끼움된 후에는 경사홈(111a, 112a, 121a, 122a)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한편, 고정홈(111b, 111b, 121b, 122b)의 직경을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간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10)에서는 경사홈(111a, 112a, 121a, 122a)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나사 또는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홈(111b, 111ba, 121b, 122b)에 삽입된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의 고정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10)는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간의 교차부를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 또는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사이에 고정된 전기박스(4)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20)는 일례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10)와 마찬가지로 상부고정블럭(21), 하부고정블럭(22) 및 연결바(23)를 포함하고, 상부고정블럭(21)은 제1 수평고정홈부(211)와 제1 수직고정홈부(212)를 포함하고, 하부고정블럭(22) 또한 제2 수평고정홈부(221)와 제2 수직고정홈부(222)를 포함한다.
다만,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20)에서는, 일례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10)와 다르게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을 고정 지지하는 제1 및 제2 수평고정홈부(211, 222)에는 'U'자형 단일 고정홈(211a, 221a)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을 고정 지지하는 제1 및 제2 수직고정홈부(212, 222)에는 일례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10)와 마찬가지로 경사홈(212a, 222a)과 고정홈(212b, 222b)이 형성되어 일례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20)에 비해 홈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30)는 도 5에 도시된 전기박스 고정대(20)와 같이, 상부고정블럭(31), 하부고정블럭(32) 및 연결바(33)를 포함하고, 상부고정블럭(31)은 제1 수평고정홈부(311)와 제1 수직고정홈부(312)를 포함하고, 하부고정블럭(32)은 제2 수평고정홈부(321)와 제2 수직고정홈부(322)를 포함한다.
다만, 또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30)에서는, 다른 예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20)와 다르게 제1 및 제2 수직철근(1, 1')을 고정 지지하는 제1 및 제2 수직고정홈부(312, 322)에 형성된 경사홈(312a, 322a)과 고정홈(312b)은 연결바(33)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연결바(33)의 측부에도 제1 및 제2 수직고정홈부(312, 322)에 형성된 경사홈(312a, 322a) 및 고정홈(312b)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경사홈과 고정홈이 형성되어 경사홈(312a, 322a)과 고정홈(312b)과 연통한다.
이와 같이, 또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30)에서는 제1 및 제2 수직고정홈부(312, 322)에 형성된 경사홈(312a, 322a) 및 고정홈(312b)과 연통하도록 연결바(33)의 측부에 경사홈과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전기박스 고정대(10, 20)에 비해 전기박스 고정대(30)와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1, 1') 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1, 1')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기박스 고정대(40)는 도 4에 도시된 전기박스 고정대(10)와 마찬가지로 상부고정블럭(41), 하부고정블럭(42) 및 연결바(43)를 포함하고, 다만, 연결바(43)는 상부고정블럭(41)의 하부로부터 신장된 제1 원형관(431)과, 하부고정블럭(42)의 상부로부터 신장된 제2 원형관(43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원형관(431, 432)은 내부 빈 관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호 나사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 원형관(43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원형관(432)의 내주면에는 제1 원형관(431)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 원형관(431)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 원형관(432)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 또한 배제하지 않는다.
연결바(43)는 제1 및 제2 원형관(431, 432)이 상호 나사 결합되고, 그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연결바(43)의 전체 길이는 증가되거나 축소되고, 이에 따라 상부고정블럭(41)과 하부고정블럭(42) 간의 간격을 작업자가 임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간의 간격이 서른 다른 철근골조 구조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기박스 고정대(10, 20, 30)는 연결바(13, 23, 33)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고 고정됨에 따라 제1 및 제2 수평철근(2, 2') 간의 간격이 서른 다른 철근골조 구조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철근 배근시 항상 전기박스 고정대의 길이에 맞추어 제1 및 제2 수평철근 간의 간격이 결정됨에 따라 철근골조의 구조 변경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도 7과 같이, 전기박스 고정대(40)의 연결바(43)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 : 제1 및 제2 수직철근
2, 2' : 제1 및 제2 수평철근
3 : 결속선
4 : 전기박스
10, 20, 30, 40 : 전기박스 고정대
11, 21, 31, 41 : 상부고정블럭
12, 22, 32, 42 : 하부고정블럭
13, 23, 33, 43 : 연결바

Claims (4)

  1. 좌우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수직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철근을 교차하도록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수평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철근 사이에는 전기박스가 고정되는 골조 벽체 시공을 위한 철근골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과 상기 제1 수평철근이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의 상부와 상기 제1 수평철근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블럭;
    상기 제1 수직철근과 상기 제2 수평철근이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의 하부와 상기 제2 수평철근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블럭; 및
    상기 상부고정블럭과 상기 하부고정블럭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바;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블럭은 상기 제1 수평철근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하는 제1 수평고정홈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의 상부를 고정하는 제1 수직고정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블럭은 상기 제2 수평철근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고정하는 제2 수평고정홈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수직철근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2 수직고정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고정홈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직고정홈부는 각각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홈과, 내측으로 상기 경사홈과 연결되어 상기 경사홈과 연통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평고정홈부는 각각 'U'자형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고정홈부는 상기 연결바를 통해 상호 연통하되,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홈과, 내측으로 상기 경사홈과 연결되어 상기 경사홈과 연통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2020160001635U 2016-03-28 2016-03-28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200481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35U KR200481249Y1 (ko) 2016-03-28 2016-03-28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35U KR200481249Y1 (ko) 2016-03-28 2016-03-28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249Y1 true KR200481249Y1 (ko) 2016-09-09

Family

ID=5695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635U KR200481249Y1 (ko) 2016-03-28 2016-03-28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4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652U (ja) * 1993-03-23 1994-10-07 憲明 大場 鉄筋仮止め具
JPH07102778A (ja) * 1993-10-08 1995-04-18 Tokyo Tekko Co Ltd 壁用鉄筋メッシュの連結方法および連結装置
KR19990000090U (ko) 1997-06-03 1999-01-15 이형수 질 세척기
KR20120038277A (ko) * 2010-10-13 2012-04-23 (주)남영산업 철근 연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652U (ja) * 1993-03-23 1994-10-07 憲明 大場 鉄筋仮止め具
JPH07102778A (ja) * 1993-10-08 1995-04-18 Tokyo Tekko Co Ltd 壁用鉄筋メッシュの連結方法および連結装置
KR19990000090U (ko) 1997-06-03 1999-01-15 이형수 질 세척기
KR20120038277A (ko) * 2010-10-13 2012-04-23 (주)남영산업 철근 연결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88B1 (ko) 휨 모멘트 및 정 모멘트 저항력 확대구조를 갖는 상하 2분할 조립식 피씨 구조물용 피씨 월
KR102019193B1 (ko) 옹벽 시공방법
CN105421748A (zh) 一种悬挑脚手架的锚固装置
KR20190017509A (ko)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CN104775617A (zh) 现浇混凝土模板加固方法
KR200481249Y1 (ko) 골조 벽체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101377720B1 (ko) 가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CN105649329A (zh) 一种大截面框架柱模板加固结构及施工方法
KR20100113901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CN105649320A (zh) 一种浇注墙体的支模及施工方法
KR20190106435A (ko) 철근 구조물 고정장치
KR20130021178A (ko)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KR200238498Y1 (ko) 보강망 장치
KR101526200B1 (ko)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110019188A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102126340B1 (ko) 슬리브배관의 배선이 가능한 중공슬래브 구조물
TWI632274B (zh) 懸吊式鋼筋工作架及使用其之施工方法
KR100761052B1 (ko) 가변형 합벽지지대
KR101045000B1 (ko) 탈부착형 합벽지지대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2626358B1 (ko)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