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193B1 -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193B1
KR102019193B1 KR1020180064826A KR20180064826A KR102019193B1 KR 102019193 B1 KR102019193 B1 KR 102019193B1 KR 1020180064826 A KR1020180064826 A KR 1020180064826A KR 20180064826 A KR20180064826 A KR 20180064826A KR 102019193 B1 KR102019193 B1 KR 10201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vertical support
formwork panel
uni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화
Original Assignee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강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강대화 filed Critical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지형의 전방에 벽체 시공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수직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전방 하측에 기초거푸집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상부거푸집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거푸집패널과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수평연결부재를 고정한 후 상기 상부거푸집패널에 대응하는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상부 상부 콘크리트 벽체가 시공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옹벽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 원활한 설치 적용이 가능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표고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벽의 한쪽 면 상에서 물질을 억누르는 벽체로서 정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9198호에 나타난 벽체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종래 기술은 기초콘크리트(1) 상부에 일단은 기초콘크리트(1)에 매설되고 타단은 상방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는 지지재(3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 상부에는 들뜸방지재(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콘크리트(1) 상부에 거푸집패널(110) 다수개를 상기 지지재(300) 전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한 후 좌우로 일렬배치시키고 상호연결시켜 1단의 거푸집패널벽체(100)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1단의 거푸집패널벽체(100)의 거푸집패널(110)의 후면 상단부에 전면 하단부가 맞닿는 상하 이음재(200)를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패널벽체(100)의 후면에 상하 이음재(200)를 설치한 후 상기 상하 이음재(200)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재(300)에 고정되는 연결재(400)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1단의 거푸집패널벽체(100) 상부에 거푸집패널(110) 다수개를 적층하여 2단의 거푸집패널벽체(100)를 형성하되 1단의 상하 이음재(200)의 전면 상단부와 2단의 거푸집패널벽체(100) 후면 하단부를 맞닿아 일체화시킨다.
이후 1단의 상하 이음재(200)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재(300)에 고정되는 연결재(400)를 설치한다.
상기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높이만큼의 다단의 거푸집패널벽체(100)를 형성하고, 상기 다단의 거푸집패널벽체(100) 후면에서 지지재(30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벽체(50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벽체구조는 거푸집패널(110)의 높이가 증대될수록 거푸집패널(110)의 외측으로 거푸집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하는데 이를 위하여 많은 설치공간을 점유하게 되면서 협소한 장소에서는 시공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거푸집패널(110) 후방측으로 콘크리트를 한번에 많은 양을 타설 시 상술한 지지대를 많은 수량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 그 경우에도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91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푸집 지지대가 거푸집 외측의 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경사진 지형 전반에 걸쳐 구조적으로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사진 지형의 전방에 벽체 시공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수직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전방 하측에 기초거푸집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상부거푸집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거푸집패널과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수평연결부재를 고정한 후 상기 상부거푸집패널에 대응하는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상부 상부 콘크리트 벽체가 시공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거푸집패널과 상기 수직지지부재 사이로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보조수직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경사진 지형의 전방에 단위수직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의 전방에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의 전방에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보다 길이가 짧은 기초거푸집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후에,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의 외측으로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를 설치한 다음,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에 대응하는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의 상부에 또 다른 단위수직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의 상부에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또 다른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또 다른 단위수직지지부재 및 또 다른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에 수평연결부재를 고정한 후에,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상기 수평연결부재의 단부를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된 또 다른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의 상부 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이루는 상부거푸집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평연결부재의 단부에 상기 상부거푸집패널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결속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상부거푸집패널을 고정한 다음, 상기 설치된 상부거푸집패널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부 콘크리트 벽체가 시공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상부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하는 단계는 반복하여 이루어지며, 상부 콘크리트 벽체가 시공높이에 도달 시 상기 최상단에 위치되는 상부거푸집패널은 상기 최상단에 위치되는 상기 또 다른 단위수직지지부재 및 또 다른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의 최상단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옹벽 시공방법은 상부거푸집패널 내부에 설치된 수직지지부재와 수평연결부재를 통해 지지되므로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상부거푸집패널의 외측에 상당 크기의 지지대 등을 적용하지 않고서도 옹벽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부거푸집패널은 수직지지부재와 수평연결부재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지지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옹벽 시공방법은 기초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킨 다음 상부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므로 수직지지부재가 매우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후속작업이 진행되므로 안정적인 시공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단계적으로 일정 높이만큼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및 구축 시공을 다수회 반복하면서 계획고까지 옹벽을 구축하는 경우 작업상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최종 구축된 옹벽의 내구성 향상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옹벽의 시공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용 거푸집지지를 이용한 옹벽 거푸집의 시공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지지부재 및 보조수직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거푸집패널이 횡측으로 다수 개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수평지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용 거푸집지지를 이용한 옹벽 거푸집의 시공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용 거푸집지지는 수직지지부재(122)와, 기초거푸집패널(120)과,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130)와, 상부거푸집패널(150)과, 수평연결부재(14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는 경사진 지형의 전방에 소정 이격된 위치로 상하 수직방향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전면 콘크리트 벽체(W) 높이와 비슷한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는 우수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며 자재의 수급이 용이하고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이형 철근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는 설치 초기에 자립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단부가 지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로부터 전방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로는 보조수직지지부재(121)가 설치적용되며, 상기 보조수직지지부재(121)는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보다 굵기가 얇은 강봉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수직지지부재(122) 및 보조수직지지부재(121)는 상하방향에 교차되는 횡방향 즉 옹벽이 축조되는 횡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 이격간격마다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측지지부재(123)가 추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횡측지지부재(123) 또한 이형 철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지지부재(122)에 용접이나 철사 등을 이용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횡측지지부재(123)는 상기 보조주식지지부재(121)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며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기초거푸집패널(120)은 수직지지부재(122)의 전방 지면에 상기 수직지지부재(122)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거푸집패널(120)은 구축하고자 하는 전면 콘크리트 벽체(W)의 하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용되며, 상기 기초거푸집패널(120)은 전면 콘크리트 벽체(W)의 성형이 완료되면 철거되는 구성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기초거푸집패널(120)의 외측으로는 기초거푸집패널(120)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130)가 설치된다. 상기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130)는 기초거푸집패널(120)과 지면 사이에 비스듬하게 고여 설치되는 방식이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거푸집패널(150)은 복수 개가 기초거푸집패널(120)의 상부에 하측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설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거푸집패널(150)은 단위체로 구성될 경우 취급과 설치가 어려우므로 구축될 전면 콘크리트벽체(W)의 높이가 높을 경우 분할 구성하여 상방으로 연결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거푸집패널(150)도 전면 콘크리트 벽체(W)의 성형이 완료되면 기초거푸집패널(120)과 함께 철거되는 구성을 이룸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연결부재(140)는 수직지지부재(122)와 상부거푸집패널(150)을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구성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수평연결부재(140)와 수직지지부재(122)와의 연결은 철사 등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쉽고 간편하게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수직지지부재(122)가 스틸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감안할 때, 수직지지부재(122)를 동일한 스틸재질로 구성하고 용접을 통해 매우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평연결부재(140)와 상부거푸집패널(150)과의 연결은 상부거푸집패널(150)이 전면 콘크리트 벽체(W)의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 철거되는 것을 감안하여 상부거푸집패널(150)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거푸집패널(150)에 수평연결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51a)이 형성되고, 상부거푸집패널(150)을 관통한 상기 수평연결부재(140)의 단부에 상부거푸집패널(15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결속부재(16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결속부재(160)와 수평연결부재(140)의 단부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결속부재(160)는 너트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연결부재(140)의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가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용 거푸집지지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사진 지형(10)의 전방에 지형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로 상기 보조수직지지부재(121) 및 수직지지부재(122)를 설치하고, 횡방향으로 횡측지지부재(123)를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는 경사진 지형(10)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는 자립이 가능하도록 지면에 하단부를 일정 깊이로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부재(122)의 설치가 완료되면, 수직지지부재(122)의 전방에 기초거푸집패널(12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기초거푸집패널(120)의 지지를 위하여 기초거푸집패널(120)의 외측에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130)를 설치할 수 있다.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130)는 종래에 지면과 거푸집패널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방식을 따른다. 상기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130)는 기초거푸집패널(120)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며 기초거푸집패널(120)의 외측으로 큰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작업에 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기초거푸집패널(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초거푸집패널(12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시간 양생과정을 거쳐 기초 콘크리트 벽체(W1)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기초 콘크리트 벽체(W1)가 형성되면, 상기 수직지지부재(122)에 상방으로 상부거푸집패널(150)과 수평연결부재(140)를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부재(122)는 하단부가 기초 콘크리트부재에 의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수평연결부재(140)들의 고정작업을 매우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부재(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기초거푸집패널(120)의 상부에 구획된 구간에 해당하는 상부거푸집패널(15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부거푸집패널(150)을 설치한 이후에는 상부거푸집패널(150)에 수평연결부재(140)를 고정시킨다. 상부거푸집패널(150)과 수평연결부재(140)의 고정은 상부거푸집패널(150)의 관통공(151a)에 수평연결부재(140)의 단부를 통과시킨 후에 상부거푸집패널(150)을 관통한 상기 수평연결부재(140)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부거푸집패널(150)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완료하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단위 구간별로 상부거푸집패널(150)과 수평연결부재(140)가 설치된 구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굳어진 구간 상측으로 다시 상기 상부거푸집패널(150)과 수평연결부재(14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계획고에 이르기까지 다수 회 반복하여 설정된 높이에 이르는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용 거푸집지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부거푸집패널(150)이 수직지지부재(122)와 수평연결부재(140)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지형에 직접 고정시키는 종래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견고한 구축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신속하고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경사진 지형 상부측에서도 거푸집패널의 고정 작업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다단 방식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옹벽이 구축됨으로써 안정적인 작업 보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상부 콘크리트 벽체(W2)까지 구축된 후에는 상기 기초거푸집패널(120)과 상부 콘크리트패널(150)을 철거하여 전면 콘트리트 벽체(W)를 완성시키게 된다.
전면 콘크리트 벽체(W)가 완성된 후에는, 도시된 것처럼, 별도로 식생존(70)을 구축시키거나 배수구 형성과 전면 콘크리트 벽체(W)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연결부재(140)의 단부 커팅 등과 같은 마무리 작업을 실시하게 됨은 기존의 기술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지지부재 및 보조수직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부재 및 보조수직지지부재는 상방으로 결속되는 단위수직지지부재들(111~114) 및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들(121~124)로 분할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단위수직지지부재들(111~114)은 이형철근이 적당하며 상호간에 용접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속되며, 상기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들(121~124)은 상기 이형철근보다는 그 두께가 얇으나 소정 굵기를 가지는 철근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부재 및 보조수직부재가 단위수직지지부재들(111~114) 및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들(121~124)로 구성되면, 상기 각 수직지지부재와 보조수직부재의 설치와 취급이 매우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시공 높이에 따라 각기 다른 길이의 수직지지부재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재수급 및 현장 설치 환경면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각각의 단위수직지지부재들(111~114) 및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들(121~124)을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공지된 다양한 철근 결합 방법 중 일 형태를 적용하여 연결하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거푸집(150)과 상기 각 단위수직지지부재를 상측으로 단계별로 축조 시 각 거푸집(150)이 축조된 높이에 대응하는 만큼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즉, 콘크리트 벽체 또한 하부로부터 상부로 단계적으로 시공함으로써 거푸집 구축 및 최종 생성되는 콘크리트 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업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거푸집패널이 횡측으로 다수 개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부거푸집패널(150)이 횡측으로 다수 개(n) 설치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부거푸집패널(150)이 상당수 이상 설치될 경우 상기 상부거푸집패널(150) 높이만큼 콘크리트가 타설 시 한 개의 수평연결부재(140)만으로는 상부거푸집패널(150)의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부거푸집패널(150)이 횡측으로 3개 이하인 경우에는 한 개의 수평연결부재를 적용하되, 그 이상인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부거푸집패널(150)이 n개 설치 시에 상기 수평연결부재(140)는 n/2 에서 소숫점 이하를 제외한 갯수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횡측으로 상부거푸집패널(150)이 3개 이하인 경우 상기 수평연결부재는 1개가 적용되도록 하되, 상부거푸집패널이 4개인 경우에는 2개, 6개인 경우 3개가 적용되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부거푸집패널(150)이 n개 설치 시에 상기 수평연결부재(140)는 n/2의 굵기를 가지는 수평연결부재가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되며 자석부(173)가 구비된 링형상의 결착부(172) 및 상기 결착부(172)의 하측으로 소정 길이 및 중량을 가지는 로드부(174)를 구비하는 수평지시부(170)를 상술한 수평연결부재(140)에 설치한 후 기초거푸집패널(120) 또는 상부거푸집패널(150)의 수평 설치가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석부(173)에 의하여 소정 경사지게 설치된 수평연결부재(140)에도 일정 위치로 결착부(172)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로드부(174)의 무게에 의하여 지반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평지시부(170)에 수평하도록 기초거푸집패널(120) 또는 상부거푸집패널(150)을 설치하여 옹벽의 수직 구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10: 수직지지부재 120: 기초거푸집패널
130: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 140: 수평연결부재
150: 상부거푸집패널 160: 결속부재
W1: 기초 콘크리트 벽체 W2: 상부 콘크리트 벽체
W: 전면 콘크리트 벽체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경사진 지형의 전방에 단위수직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의 전방에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의 전방에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보다 길이가 짧은 기초거푸집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후에,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의 외측으로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거푸집패널 지지대를 설치한 다음,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에 대응하는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의 상부에 또 다른 단위수직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의 상부에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또 다른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또 다른 단위수직지지부재 및 또 다른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에 수평연결부재를 고정한 후에, 일측이 개구되며 자석부가 구비된 링형상의 결착부 및 상기 결착부의 하측으로 소정 길이 및 중량을 가지는 로드부를 포함하는 수평지시부의 상기 결착부를 상기 수평연결부재에 설치하고, 상기 기초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상기 수평연결부재의 단부를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된 또 다른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의 상부 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이루는 상부거푸집패널을 자중에 의하여 지반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기 로드부의 상하방향에 맞추어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평연결부재의 단부에 상기 상부거푸집패널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결속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상부거푸집패널을 고정한 다음, 상기 설치된 상부거푸집패널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부 콘크리트 벽체가 시공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상부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하는 단계는 반복하여 이루어지며,
    상부 콘크리트 벽체가 시공높이에 도달 시 상기 최상단에 위치되는 상부거푸집패널은 상기 최상단에 위치되는 상기 또 다른 단위수직지지부재 및 또 다른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의 최상단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 및 단위보조수직지지부재는 옹벽이 축조되는 횡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 이격간격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단위수직지지부재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측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상부거푸집패널이 n개 설치 시에 상기 수평연결부재는 n/2 에서 소숫점 이하를 제외한 개수가 적용되는,
    옹벽 시공방법.
KR1020180064826A 2018-06-05 2018-06-05 옹벽 시공방법 KR10201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26A KR102019193B1 (ko) 2018-06-05 2018-06-05 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26A KR102019193B1 (ko) 2018-06-05 2018-06-05 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193B1 true KR102019193B1 (ko) 2019-09-06

Family

ID=6794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826A KR102019193B1 (ko) 2018-06-05 2018-06-05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1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1150B2 (ja) 2020-05-12 2022-04-27 喜央 山下 壁面パネル及び壁面構築方法
JP7194850B1 (ja) 2022-02-15 2022-12-22 株式会社エスイー 擁壁パネルの補助支持装置
JP7194853B1 (ja) 2022-05-25 2022-12-22 株式会社エスイー 法面安定化擁壁における擁壁パネルの支持構造
JP7234438B1 (ja) 2022-03-25 2023-03-07 株式会社エスイー 法面安定化擁壁の構築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746A (ja) * 2001-07-09 2003-01-24 Joji Yamashita 壁面構築兼外装用の型枠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9198B1 (ko) 2005-05-25 2007-01-15 권혁준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KR100890828B1 (ko) * 2008-05-02 2009-03-31 원명수 보강토 rc옹벽
KR100956280B1 (ko) * 2007-11-05 2010-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강성 벽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4189977A (ja) * 2013-03-26 2014-10-06 Joji Yamashita もたれ式擁壁の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746A (ja) * 2001-07-09 2003-01-24 Joji Yamashita 壁面構築兼外装用の型枠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9198B1 (ko) 2005-05-25 2007-01-15 권혁준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KR100956280B1 (ko) * 2007-11-05 2010-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강성 벽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90828B1 (ko) * 2008-05-02 2009-03-31 원명수 보강토 rc옹벽
JP2014189977A (ja) * 2013-03-26 2014-10-06 Joji Yamashita もたれ式擁壁の構築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1150B2 (ja) 2020-05-12 2022-04-27 喜央 山下 壁面パネル及び壁面構築方法
JP7194850B1 (ja) 2022-02-15 2022-12-22 株式会社エスイー 擁壁パネルの補助支持装置
JP2023118174A (ja) * 2022-02-15 2023-08-25 株式会社エスイー 擁壁パネルの補助支持装置
JP7234438B1 (ja) 2022-03-25 2023-03-07 株式会社エスイー 法面安定化擁壁の構築方法
JP2023142344A (ja) * 2022-03-25 2023-10-05 株式会社エスイー 法面安定化擁壁の構築方法
JP7194853B1 (ja) 2022-05-25 2022-12-22 株式会社エスイー 法面安定化擁壁における擁壁パネルの支持構造
JP2023173049A (ja) * 2022-05-25 2023-12-07 株式会社エスイー 法面安定化擁壁における擁壁パネルの支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193B1 (ko) 옹벽 시공방법
JP3940211B2 (ja) コンクリート製主塔の水平梁の施工法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DK2630306T3 (en) Assemblable disposable FOR CONSTRUCTION OF MODULAR formwork FOR PRODUCTION OF CONCRETE FOUNDATION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10449A (ko) 아치교의 시공 방법
CN102535495A (zh) 一种装配式建筑u型槽基础及其施工方法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1798138B1 (ko) 멀티 프리캐스트 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89812B1 (ko) 조립식 강재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한 변단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제작방법
KR101748781B1 (ko) 프리캐스트 벽체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828341B1 (ko) 판형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05883B1 (ko)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초 매트 시공 방법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JP5003253B2 (ja) Rc大梁の施工方法
JP2016125258A (ja) 鉄筋籠用の補強枠、フープ筋、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鉄筋籠
KR101045000B1 (ko) 탈부착형 합벽지지대
JP3208100U (ja) 地中構造物構築用の足場装置
CN105525629A (zh) 地铁车站施工方法及装置
CN206616569U (zh) 预应力预制格构柱
KR100750535B1 (ko) 강재 거푸집 밸런스러그
KR100679986B1 (ko) 무량판 데크 설치용 현수식 지지 거더의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역타설 공법
JP2019218684A (ja) カルバートの製造方法
JP6261333B2 (ja) 耐震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