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198B1 -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198B1
KR100669198B1 KR1020050043895A KR20050043895A KR100669198B1 KR 100669198 B1 KR100669198 B1 KR 100669198B1 KR 1020050043895 A KR1020050043895 A KR 1020050043895A KR 20050043895 A KR20050043895 A KR 20050043895A KR 100669198 B1 KR100669198 B1 KR 10066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refabricated panel
concrete
wall structur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000A (ko
Inventor
권혁준
Original Assignee
권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7073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691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준 filed Critical 권혁준
Priority to KR102005004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198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는 간단한 공정으로 마감재가 부착된 조립식패널과 콘크리트벽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별도의 마감재 공정이 생략되어 공기가 단축되고 공비가 절감되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향상되고, 벽체의 백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시공되고,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의 일단부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돌기와 대응되는 연결홈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면에 마감재가 부착된 조립식패널 다수개가 상하좌우로 상호연결되며 적층되는 다단의 조립식패널벽체;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의 후면에 위치되는 부재로써, 하층의 조립식패널 상단부와 상층의 조립식패널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하 이음재;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서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직각앵글형 부재로써, 일단은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고 타단은 상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지지재; 상기 상하 이음재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재에 고정되는 연결재; 및 상기 조립식패널벽체 후면에서 상기 지지재를 포함하도록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벽체; 를 포함하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감일체형 벽체구조{Wall structure unified the finish material}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의 일 실시예의 시공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f는 도 1e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에서 사용되는 조립식패널의 후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에서 사용되는 조립식패널의 횡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에서 사용되는 조립식패널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초콘크리트 10 :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100 : 조립식패널벽체 110 : 조립식패널
111 : 마감재(조립식패널) 112 : 고정공(조립식패널)
113 : 연결돌기(조립식패널) 114 : 연결홈(조립식패널)
200 : 상하 이음재 300 : 지지재
400 : 연결재 500 : 콘크리트벽체
600 : 들뜸방지재 610 : 이음재
700 : 형틀거푸집 710 : 스페이서
800 : 결합볼트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는 사면 및 절토면에 형성되는 옹벽 또는 공원 등에 시공되는 의장용 가벽과 같이 공간을 구획하거나 의장용 또는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모든 벽체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공정으로 마감재가 부착된 조립식패널과 콘크리트벽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별도의 마감재 공정이 생략되고 공기가 단축되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향상되고, 벽체의 백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 및 절토면에 형성되는 옹벽 또는 공원 등에 시공되는 의장용 가벽과 같이 공간을 구획하거나 의장용 또는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모든 벽체구조물들은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고, 그 구조체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즉 종래의 벽체구조물 시공방법은 시공현장에 거푸집을 반입하여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다음 구조체가 형성되면 거푸집을 해체 및 철거하여 시공현장에서 반출시키고, 그 뒤 마감재를 시공현장으로 반입하여 벽체구조물의 외부에 마감재를 시공함으로써 벽체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거푸집 설치 및 외부 마감재 시공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으로 거푸집 설치 및 해체와 마감재 설치에 따른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게 됨으로 공기 및 공비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되고, 시공과정 또한 번거로워 시공성이 저하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는 간단한 공정으로 마감재가 부착된 조립식패널과 콘크리트벽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별도의 마감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되고 공비가 절감되며, 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향상되며, 벽체의 백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시공되고,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의 일단부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돌기와 대응되는 연결홈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면에 마감재가 부착된 조립식패널 다수개가 상하좌우로 상호연결되며 적층되는 다단의 조립식패널벽체;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의 후면에 위치되는 부재로써, 하층의 조립식패널 상단부와 상층의 조립식패널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하 이음재;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서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직각앵글형 부재로써, 일단은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고 타단은 상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지지재; 상기 상하 이음재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재에 고정되는 연결재; 및 상기 조립식패널벽체 후면에서 상기 지지재를 포함하도록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벽체; 를 포함하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는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와 지지재 사이에 위치되며 기초콘크리트에 일단이 매설되고 타단은 상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들뜸방지재; 및 상기 조립식패널벽체 후면의 하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들뜸방지재에 고정되는 이음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는 간단한 공정으로 마감재가 부착된 조립식패널과 콘크리트벽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별도의 마감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되고 공비가 절감되며, 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 공성이 향상되며, 벽체의 백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발명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의 일 실시예의 시공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e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1f는 도 1e의 A-A'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에서 사용되는 조립식패널(110)의 후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에서 사용되는 조립식패널(110)의 횡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에서 사용되는 조립식패널(110)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 상부에 일단은 기초콘크리트(1)에 매설되고 타단은 상방을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는 지지재(300)를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재(3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연결재(400)로 조립식패널벽체(100)와 일체화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지지재(300)를 포함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벽체(500)와 조립식패널벽체(100)의 일체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기초콘크리트(1) 상부에는 들뜸방지재(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들뜸방지재(600)는 추후 설치되는 조립식패널벽체(100)와 지지재(300) 사이에 위치되며 일단이 기초콘크리트(1)에 매설되고 타단은 상방을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는 짧은 길이의 부재로써, 추후 콘크리트 타설 시 조립식패널벽체(10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 상부에 조립식패널(110) 다수개를 상기 지지재(300) 전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한 후 좌우로 일렬배치시키고 상호연결시켜 1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를 설치한다.
이때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립식패널(110)은 전면에 마감재(111)가 부착되어 있고, 후면에 다수개의 고정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패널(110)은 한번의 시공으로 조립식패널(110)과 마 감재(111)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 추후 별도의 마감재 시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며 공기 및 공비를 절감시키고, 후면에 형성된 고정공(112)으로 추후 시공되는 상하 이음재(200)와 용이하게 결합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조립식패널(110)은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의 일단부에는 연결돌기(113)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돌기(113)와 대응되는 연결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 시 이러한 연결돌기(113) 및 연결홈(114)이 끼움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좌우로 일렬배치되며 용이하게 상호연결되는 1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조립식패널벽체(100)는 벽체를 구성하는 조립식패널(110)과 조립식패널(110) 사이에 어떠한 틈새도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자연스럽게 습기 및 우수의 유입이 차단됨으로 시공완료 후 발생될 수 있는 백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1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의 하단부에 일단이 상기 조립식패널벽체(100) 후면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들뜸방지재(600)에 고정되는 이음재(610)를 설치함으로써 추후 콘크리트 타설 시 조립식패널벽체(10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1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의 조립식패널(110)의 후면 상단부에 전면 하단부가 맞닿는 상하 이음재(200)를 설치한다. 이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패널(110)과 상하 이음재(200)는 조립식패널(110)의 고정공(112) 및 상하 이음재(200)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결합볼트(800)로 용이하게 결합된다.
조립식패널벽체(100)의 후면에 상하 이음재(200)를 설치한 후 상기 상하 이 음재(200)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재(300)에 고정되는 연결재(40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재(400)는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상하 이음재(200) 및 지지재(300)에 고정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조립식패널벽체(100)와 지지재(300)를 일체화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추후 지지재(300)를 포함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벽체(500)와 조립식패널(110)이 일체화되게 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 상부에 조립식패널(110) 다수개를 적층하여 2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를 형성하되 1단의 상하 이음재(200)의 전면 상단부와 2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 후면 하단부를 맞닿아 일체화시킨다.
이후 1단의 상하 이음재(200)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재(300)에 고정되는 연결재(400)를 설치한다.
도 1d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높이만큼의 다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를 형성하고, 상기 다단의 조립식패널벽체(100) 후면에서 지지재(300)를 포함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벽체(500)를 형성한다.
이때 콘크리트벽체(500)를 형성하기 위한 형틀거푸집(700) 사용여부는 시공상황에 따라 택일될 수 있다. 즉 도 1d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벽체(500)를 형성할 경우에는 지지재(300)의 후면에 형틀거푸집(700)을 설치하고 상기 상하 이음재(200)와 형틀거푸집(700)을 스페이서(710)로 연결시켜 벽체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및 절토면에 시공되는 옹벽 등에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를 적용할 경우에는 지지재(300)의 후면에 별도의 형틀거푸집(700)을 설치하지 않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지지재의(300) 후면은 성토하여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형틀거푸집(700)의 설치 공정은 생략할 수 있어 공정 단축의 효과는 있으나, 콘크리트 타설 시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소요됨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사면 및 절토면에 형성되는 옹벽 또는 공원 등에 시공되는 의장용 가벽과 같이 공간을 구획하거나 의장용 또는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모든 벽체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10)는 이러한 형틀거푸집(700)의 사용이 시공현장 상황에 따라 택일되어 시행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는 조립 및 용접과 같은 간단한 공정으로 마감재가 부착된 조립식패널과 콘크리트벽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별도의 마감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하고 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벽체 시공공정이 보다 단순화되고 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향상되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는 조립식패널에 형성된 연결돌기 및 연 결홈으로 조립식패널벽체를 구성하는 조립식패널과 조립식패널 사이가 견고하게 차단됨으로 어떠한 틈새도 발생되지 않게 되어 습기 및 우수의 유입이 차단됨으로 백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시공되고,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의 일단부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돌기와 대응되는 연결홈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면에 마감재가 부착된 조립식패널 다수개가 상하좌우로 상호연결되며 적층되는 다단의 조립식패널벽체;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의 후면에 위치되는 부재로써, 하층의 조립식패널 상단부와 상층의 조립식패널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하 이음재;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서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직각앵글형 부재로써, 일단은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고 타단은 상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지지재;
    상기 상하 이음재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재에 고정되는 연결재; 및
    상기 조립식패널벽체 후면에서 상기 지지재를 포함하도록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벽체;
    를 포함하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와 지지재 사이에 위치되며 기초콘크리트에 일단이 매설되고 타단은 상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들뜸방지재; 및
    상기 조립식패널벽체 후면의 하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들뜸방지재에 고정되는 이음재;
    를 더 포함하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재의 후면에 설치되는 형틀거푸집을 더 포함하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조립식패널벽체와 상하 이음재는 상기 조립식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공 및 상하 이음재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결합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5. 삭제
KR1020050043895A 2005-05-25 2005-05-25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KR100669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895A KR100669198B1 (ko) 2005-05-25 2005-05-25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895A KR100669198B1 (ko) 2005-05-25 2005-05-25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000A KR20060122000A (ko) 2006-11-30
KR100669198B1 true KR100669198B1 (ko) 2007-01-15

Family

ID=3770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895A KR100669198B1 (ko) 2005-05-25 2005-05-25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379B1 (ko) 2009-07-30 2011-10-05 (주)삼미세계스톤 자연석 옹벽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19193B1 (ko) 2018-06-05 2019-09-06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379B1 (ko) 2009-07-30 2011-10-05 (주)삼미세계스톤 자연석 옹벽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19193B1 (ko) 2018-06-05 2019-09-06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옹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000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SG185173A1 (en) A prefabricated element of a multi-storey building and a semi-prefabricat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7467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결합구조물
KR100669198B1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KR102621195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이중벽 구조물
KR200387408Y1 (ko)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KR100875960B1 (ko) Pc계단의 시공방법
KR100665210B1 (ko) 맨홀 제작용 콘크리트 거푸집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0676193B1 (ko) 철골 계단 구조
JP4924967B2 (ja) 塔状構造体
KR100880022B1 (ko)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KR20130022656A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KR1021208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KR101376407B1 (ko) 창문 일체형 pc 패널의 구조
JP3889497B2 (ja) コンクリート製地下室の成形工法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KR20160035834A (ko) 건축물의 층조인트 누수방지 방법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323

Effective date: 20120531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