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224A - 슬래브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224A
KR20090117224A KR1020080043167A KR20080043167A KR20090117224A KR 20090117224 A KR20090117224 A KR 20090117224A KR 1020080043167 A KR1020080043167 A KR 1020080043167A KR 20080043167 A KR20080043167 A KR 20080043167A KR 20090117224 A KR20090117224 A KR 2009011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ing
slab
outer pipe
in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광
김호주
심용직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102008004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224A/ko
Publication of KR2009011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래브 거푸집 합판을 지지하는 장선재와 멍에재의 일부분이 각각 안착되는 채널형의 받이부, 상기 받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 파이프 및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외주면 일부분에는 확장플랜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파이프는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외관 파이프와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장치에 의하면, 받이부를 통해 멍에재와 장선재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며 상부로부터의 수직하중을 동바리로 집중시켜 동바리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슬래브, 동바리, 받이부, 멍에재, 장선재, 외관 파이프, 내관 파이프

Description

슬래브 지지장치{DEVICE FOR SUPPORTING SLAVE}
본 발명은 슬래브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바리의 단부에 삽입되어 멍에재와 장선재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여 동바리의 좌굴 및 붕괴를 방지시키는 슬래브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벽체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벽체면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다수개의 동바리와 멍에재, 장선재를 이용해 거푸집을 지지하게 되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서 슬래브를 구성하게 된다.
슬래브 공사 시에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휨 현상이 발생되거나 붕괴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슬래브가 완전히 양생될 때까지는 동바리로 그 저면을 견고히 지지해주어야 하며,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된 후에 그 거푸집을 제거하여 슬래브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층고가 3.5m이상이 될 경우에는 동바리와 이웃한 다른 동바리를 수평연결파이프로 각각 연결,고정하여 동바리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 하는 횡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종래에 교회 신축현장 등 안전관리가 취약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바리(10)의 상단부에 강관파이프(20)를 클램프(30) 체결하여 멍에재로 사용하였고, 그 상부에 각재의 장선재(40)를 안착시킨 후 고정하였다.
도 1에서 미설명된 도면번호 50은 슬래브 합판이다.
그러나, 상기 클램프가 제대로 체결되지 않거나 불량일 경우에는 슬래브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을 동바리가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슬래브 거푸집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슬래브의 표면이 고르게 양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서는 상부로부터의 수직하중에 의해 클램프의 결합력이 약하게 되어 상부로부터의 하중이 제대로 동바리에 전달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동바리가 좌굴되어 붕괴됨과 동시에 공사현상에서 많은 인명 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바리가 보다 견고하게 슬래브를 지지하도록 하여 슬래브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휨이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동바리 붕괴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슬래브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슬래브 지지장치는 슬래브 거푸집 합판을 지지하는 장선재와 멍에재의 일부분이 각각 안착되는 채널형의 받이부, 상기 받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 파이프 및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외주면 일부분에는 확장플랜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파이프는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외관 파이프와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내관 파이프의 외면에 돌출되며 상기 확장플랜지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부에 내관 파이프를 삽입하여 고정 시, 상기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부는 외관 파이프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 수개의 제1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걸림편은 외관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두 세트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내관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걸림편은 내관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두 세트 이상 형성되며,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부에 내관 파이프를 삽입하여 고정 시,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세트의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은 외관 파이프의 내주면과 내관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2개씩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이부의 양측 벽면의 상부에는 상기 장선재의 측면이 지지되도록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장치에 의하면, 받이부를 통해 멍에재와 장선재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며 상부로부터의 수직하중을 동바리로 집중시켜 동바리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관 파이프와 내관 파이프의 결합상태를 변경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관 파이프와 내관 파이프가 결합되는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지지장치는, 건설현장에서 슬래브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동바리의 상단에 연결되어 좀 더 효과적으로 멍에재와 장선재를 지지하여 동바리 설치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부(100), 외관 파이프(200) 및 내관 파이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측과 양측이 개방된 채널형의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받이부(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멍에재(A)와 장선재(B)가 안착되는데 우선적으로 멍에재의 일부분이 바닥면에 접하는 상태로 안착되고 그 상부에 장선재가 안착된다.
여기서, 장선재(B)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상기 받이부(100)의 양측 벽면에는 장선재가 흔들리지 않고 지지되도록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이부(100)에 두 개의 멍에재와 두 개의 장선재가 안착되어 고정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령, 상기 받이부(100)의 양측 벽면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켜 한 개의 멍에재만 안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절개부(110)의 폭을 감소시켜 한 개의 장선재만 안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멍에재와 장선재는 각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관 파이프(200)는 받이부(10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며 상기 받이부(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관 파이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면에는 제1 걸림부(210)가 돌출된다.
상기 제1 걸림부(210)는 외관 파이프(200)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걸림편(2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걸림편(211)은 외관 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이격되어 두 세트 이상 다단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트라 함은 외관 파이프(20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걸림편(211)을 말하며, 각각의 세트에서 외관 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제1 걸림편(211)의 위치는 외관 파이프(200)의 원주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세트를 이루는 제1 걸림편(211)의 개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적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면 된다. 아울러, 2개로 적용시에는 각각의 제1 걸림편(211)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세트 간 이격거리는 가능한 상호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내관 파이프(300)는 외관 파이프(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일부분에는 확장플랜지부(310)가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플랜지부(310)는 내관 파이프(300)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동바리(S)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부분이고, 내관 파이프(300)의 확장플랜지부(310) 아래의 하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걸림절개부(330)를 형성시켜서 동바리(S)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미도시)와 걸리도록 함으로써 삽입된 동바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관 파이프(300)의 외면에도 외관 파이프(200)와 마찬가지로 돌출되는 제2 걸림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 파이프(300)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걸림편(3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편(321)도 제1 걸림편(211)과 마찬가지로 내관 파이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두 세트 이상 다단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세트에서 내관 파이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제2 걸림편(321)의 위치는 내관 파이프(300)의 원주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세트를 이루는 제2 걸림편(321)의 개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적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면 되지만 상기 제1 걸림편(211)의 개수와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만약, 2개로 적용시에는 각각의 제2 걸림편(321)도 제1 걸림편(211)과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 파이프(200)의 각각의 제1 걸림편(211) 세트 간 이격거리(h1)는 가능한 상호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하지만 그 이격거리는 상기 제2 걸림편(321)의 내관 파이프(300)의 길이방향 상의 폭(h2)보다 조금 크게 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2개의 제1 걸림편(211)의 외관 파이프(200) 원주방향 상 이격되는 거리(h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편(321)의 내관 파이프(300) 원주방향 상 거리(h4)보다 길게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 파이프(200)와 내관 파이프(300)는 일정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스틸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표면에 부식 방지를 위한 부식방지액 또는 부식방지 페인트 등이 도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장치의 설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받이부(100)에는 멍에재와 장선재가 안착되고 안착된 멍에재와 장선재는 움직여지지 않도록 일부분의 측면이 받이부(100)의 양측 벽면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받이부(100)에 일체로 형성된 외관 파이프(200)에는 내관 파이 프(300)가 삽입된 상태이다.
그 다음, 상기 내관 파이프(300)의 하부에는 건설현장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동바리(S)가 삽입되어 슬래브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슬래브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거리와 동바리 길이와의 관계에 따라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 파이프(200)와 내관 파이프(300)의 결합관계에 따라 이를 가능하도록 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내관 파이프(300)를 회전시켜 제2 걸림편(321)의 위치를 조절한후 내관 파이프(300)를 일정거리 상하 이동시킨 후 다시 회전시킨다. 가령, 한 세트를 이루는 제1, 제2 걸림편(321)의 개수가 2개일 경우에는 내관 파이프(300)를 90°가까이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2 걸림편(321)은 한 세트를 이루는 2개의 제1 걸림편(2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내관 파이프(300)는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조절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내관 파이프(300)를 이동시킨 후 다시 내관 파이프(300)를 회전시키면 제2 걸림편(321)은 기존에 걸렸던 세트의 제1 걸림편(211)이 아닌 다른 세트의 제1 걸림편(211)에 걸리게 된다. 즉, 제2 걸림편(321)의 상면은 제1 걸림편(211)의 저면에 접하는 상태가 되어 슬래브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내관 파이프(300)의 상승 및 하강을 저지시키게 된다.
한 세트를 이루는 제1, 제2 걸림편(321)의 개수가 3개 이상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과정을 동일하게 반복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관 파이프와 내관 파이프가 결합되는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받이부 110: 절개부
200: 외관 파이프 210: 제1 걸림부
211: 제1 걸림편 300: 내관 파이프
310: 확장플랜지부 320: 제2 걸림부
321: 제2 걸림편 330: 걸림절개부
1000: 슬래브 지지장치 S: 동바리
A: 멍에재 B: 장선재

Claims (5)

  1. 슬래브 거푸집 합판을 지지하는 장선재와 멍에재의 일부분이 각각 안착되는 채널형의 받이부;
    상기 받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 파이프; 및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외주면 일부분에는 확장플랜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파이프는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외관 파이프와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내관 파이프의 외면에 돌출되며 상기 확장플랜지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부에 내관 파이프를 삽입하여 고정 시, 상기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외관 파이프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걸림편은 외관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두 세트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내관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걸림편은 내관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두 세트 이상 형성되며,
    상기 외관 파이프의 내부에 내관 파이프를 삽입하여 고정 시,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은 외관 파이프의 내주면과 내관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2개씩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지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의 양측 벽면의 상부에는 상기 장선재의 측면이 지지되도록 절개 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지지장치.
KR1020080043167A 2008-05-09 2008-05-09 슬래브 지지장치 KR20090117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167A KR20090117224A (ko) 2008-05-09 2008-05-09 슬래브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167A KR20090117224A (ko) 2008-05-09 2008-05-09 슬래브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224A true KR20090117224A (ko) 2009-11-12

Family

ID=4160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167A KR20090117224A (ko) 2008-05-09 2008-05-09 슬래브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22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30B1 (ko) * 2010-08-23 2011-05-11 황그네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CN104675145A (zh) * 2015-02-15 2015-06-03 泰博混凝土模板与支撑(陕西)有限公司 一种浇筑混凝土楼板及梁底模板支撑体系
KR101846143B1 (ko) * 2016-06-18 2018-04-06 주식회사블루폼 거푸집 연결장치
CN112502481A (zh) * 2020-11-27 2021-03-16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纵横两用支托板及施工方法
KR102395499B1 (ko) * 2022-02-16 2022-05-06 윤종필 높낮이 개별 제어에 기인하여 수평 시공이 보장되는 간편 설치형 폐기물 처리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30B1 (ko) * 2010-08-23 2011-05-11 황그네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CN104675145A (zh) * 2015-02-15 2015-06-03 泰博混凝土模板与支撑(陕西)有限公司 一种浇筑混凝土楼板及梁底模板支撑体系
KR101846143B1 (ko) * 2016-06-18 2018-04-06 주식회사블루폼 거푸집 연결장치
CN112502481A (zh) * 2020-11-27 2021-03-16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纵横两用支托板及施工方法
KR102395499B1 (ko) * 2022-02-16 2022-05-06 윤종필 높낮이 개별 제어에 기인하여 수평 시공이 보장되는 간편 설치형 폐기물 처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5717C (en) Constructional elements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US20060188336A1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for concrete reinforcing bars
KR20090117224A (ko) 슬래브 지지장치
KR20130073866A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
KR20100078070A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102039732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KR101616867B1 (ko)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JPH117189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足場板支持装置
KR100558596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US763204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rming drainage and trench forming systems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JP2014190116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構築方法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0686385B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190106435A (ko) 철근 구조물 고정장치
KR20200044405A (ko) 가변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200480637Y1 (ko) 통폼 연결 브래킷
KR20190001642A (ko) 종이관 거푸집용 핸들링 장치
KR100947410B1 (ko) 콘크리트 벽을 축조하기 위한 가변 길이형 타이
KR101526200B1 (ko)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KR101501693B1 (ko)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KR20160003777U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