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866A -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866A
KR20130073866A KR1020127020634A KR20127020634A KR20130073866A KR 20130073866 A KR20130073866 A KR 20130073866A KR 1020127020634 A KR1020127020634 A KR 1020127020634A KR 20127020634 A KR20127020634 A KR 20127020634A KR 20130073866 A KR20130073866 A KR 20130073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building unit
concrete structure
fix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카마타
카즈마사 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칸쿄우 세이조우 가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칸쿄우 세이조우 가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칸쿄우 세이조우 가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located in the joint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8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using wire netting, a lattice or the like as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88Scaffoldings or removable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해체하지 않고 건축 다음 공정으로 이동 가능하여, 낮은 비용으로 내구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W1, W2)를 토대(F) 위에 입설시켜 형성된다. 이 벽체(W1, W2)는 각각 표면에 크고 작은 리브가 형성된 다공상의 강제 거푸집 패널(1)과, 이러한 복수 병설되는 거푸집 패널(1)의 하단을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홈을 구비한 런너(2)와, 상단을 끼워맞추는 캡(3)을 가지고 구성된다. 그리고, 런너(2)의 하면에는 그 런너(2)와 대략 직교하도록 양쪽에 리브가 설치된 장판상의 하부 고정 부재(4)가, 또한 캡(3)의 표면에는 그 캡(3)과 대략 직교하도록 양쪽에 리브가 설치된 장판상의 상부 고정 부재(5)가 가교·고정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BUILDING UNIT FOR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OF EXECUTING CONSTRUCTION USING SAID BUILDING UN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기본 구조와 벽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초 구조와 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는, 건설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거푸집 간에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된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목제 합판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경화하면 해체, 청소하여 다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제 합판 거푸집 이외에, 최근 라스 거푸집이라는 강제(鋼製) 거푸집이 보급되어,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시공에 사용하게 되었다. 이 라스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 및 재사용을 하지 않고, 그대로 묻어 버린다. 따라서 거푸집 본체의 판상 부분을 금속 그물망 모양(메쉬상)으로 형성하여, 재료의 저비용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그물망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거푸집 전체의 경량화를 실현하여 시공성을 높임과 동시에, 그 그물망 사이로 콘크리트의 잉여수를 누출시킴으로써, 높은 품질의 콘크리트 양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라스 거푸집을 이용한 종래 기술의 하나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라스 거푸집 공법 및 그 라스 거푸집용 거푸집판이 제안되어 있다.
이 라스 거푸집용 거푸집판은, 바깥쪽으로 돌출된 단면 대략 디귿(ㄷ) 자 모양의 볼록형 지주부와 라스 그물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그 볼록형 지주부의 바깥쪽에 돌출된 돌출 단면의 외부에 가로막대를 고정하여 거푸집을 제작함으로써, 라스 그물을 이용한 거푸집판의 장점인 경량화 및 재료비 절감을 살리면서, 거푸집으로서 제작된 경우의 강성을 강화하고, 들보 부분이나 벽 부분과 동시에 슬라브부에 대한 콘크리트의 타설도 실시할 수 있도록 건축 공법을 개선하여, 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거푸집판에 설치된 세퍼레이터 삽입을 위한 개구 중 미사용 개구에서 콘크리트의 잉여수를 누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제2002-138664호
그러나, 전술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라스 거푸집 공법 및 그 라스 거푸집용 거푸집판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라스 거푸집 공법 및 그 라스 거푸집용 거푸집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판에 설치된 개구에서 콘크리트에 포함된 수분을 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 누출량을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지나치게 수분을 누출시켜 오히려 콘크리트의 품질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라스 거푸집 용 거푸집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판상 부분이 망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노출되어 외기나 토사와 끊임없이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진행되고, 내구성을 손상, 열화를 촉진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공법 및 거푸집판은, 콘크리트 타설시에 세퍼레이터 등의 건재를 많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잡하게 되어, 비용 면에서도 우수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해체하지 않고 건축 다음 공정으로 이행 가능하여, 저비용과 내구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여 입설(立設)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어 해체가 불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으로서,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진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거푸집 패널과,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하단측 간에 교설(橋設)되는 하부 교설 부재와,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상단측 간에 교설되는 상부 교설 부재와,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개장(介裝)되어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삽통되는 지지 고정 부재와, 지지 고정 부재에 의해 거푸집 패널 바깥쪽에 긴합(緊合) 및 고정되는 봉상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을 갖고, 상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에서 잔목을 끼워맞춰 지지하는 잔목 지지 부재를 더 갖고, 잔목 지지 부재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끼워맞춤 홈에서 한쌍의 벽체 간에 상부 교설 부재를 끼워맞춰 괘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해체가 불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으로서, 복수 겹쳐쌓여서 한쌍의 벽체 본체를 구성하는 판상의 단위 건축 유닛과, 최상단에 겹쳐쌓이는 단위 건축 유닛의 상면에 교설되는 상부 교설 부재를 가지고 구성되며, 단위 건축 유닛은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진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과,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하단측 간에 교설되는 하부 교설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부 교설 부재는, 거푸집 패널의 하단에 끼워맞춤되는 단면 ㄷ자 모양의 런너와,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에 끼워맞춰진 런너 간에 교설되는, 양쪽 선단이 구부려지는 대략 수직 상향으로 리브가 형성된 하부 고정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런너는 상면에서 볼 때 직선형 또는 L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교설 부재는, 거푸집 패널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는 단면 ㄷ자 모양의 캡과,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에 끼워맞춰진 캡 간에 교설되는, 양쪽 선단이 구부려지는 대략 수직 하방으로 리브가 형성된 상부 고정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캡은 상면에서 볼 때 직선형 또는 L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 부재는 장판상 부재와, 장판상 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쪽 선단에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입설하는 제1 리브와, 장판상 부재의 양쪽 선단에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입설하는 제2 리브를 갖고, 제2 리브는, 제1 리브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져 입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해체가 불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으로서, 장판상의 부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하부 교설 부재를 토대 위에 재치 고정하는 공정과, 재치 고정된 하부 교설 부재 위에,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지는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을 서로 마주 보게 입설시키는 공정과,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상단측에 장판상의 부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 후에, 장판상 부재의 양쪽 선단에 대략 수직으로 리브가 연설되고 양쪽 선단이 돌출된 상부 지지 부재를, 리브를 서로 대향하는 거푸집 패널 간에 끼워맞춰, 돌출된 선단을 상부 교설 부재 위에 재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 후에,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을 구비한 잔목 지지 부재를, 하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에 의해 상부 교설 부재를 끼워맞춰 복수 괘착하는 공정과, 복수의 잔목 지지 부재의 상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에 잔목을 끼워맞추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 후에,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지지 부재를 개장하는 공정과,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지지 고정 부재를 삽통하고, 지지 고정 부재에 의해 거푸집 패널의 바깥쪽에 봉상 부재를 긴합 및 고정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해체가 불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으로서, 장판상의 부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하부 교설 부재를 토대 위에 재치 고정하는 공정과, 재치 고정된 하부 교설 부재 위에,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지는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을 서로 대향시켜 입설시키는 공정에 의해, 벽체의 구성 단위인 단위 건축 유닛을 구축하고, 1단 하단의 단위 건축 유닛의 상단 측에, 하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여 단위 건축 유닛을 복수단 겹쳐쌓고, 최상단의 단위 건축 유닛의 상단 측에는, 장판상의 부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은, 양쪽 선단이 구부려져 대략 수직 상방으로 리브가 형성된 하부 고정 부재를, 복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략 평행하게 토대 위에 재치 고정하는 공정과, 재치 고정된 하부 고정 부재 위에, 상방으로 개구된 홈부를 구비한 단면 ㄷ자 모양의 한쌍의 런너를 하부 고정 부재에 대략 직교하여 재치 고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거푸집 패널을 입설하는 공정은, 거푸집 패널 하단을 재치 고정한 런너의 홈부에 끼워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은, 거푸집 패널의 상단에, 하방으로 개구한 홈부를 구비한 단면 ㄷ자 모양의 캡을 끼워맞추는 공정과, 끼워맞춘 캡 상면에서 양쪽 선단이 구부려져 대략 수직 하방으로 리브가 형성된 상부 고정 부재를 한쌍의 벽체 간에 교설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로서,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지는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거푸집 채널과,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하단측 간에 교설되는 하부 교설 부재와,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상단측 간에 교설되는 상부 교설 부재와, 서로에 대향하는 거푸집 패널 간에 개장되어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가지므로, 매우 간단한 부재에 의해 뛰어난 강도를 갖는 건축 유닛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변형 및 중성화 등에 의한 열화가 없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쉽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로서, 복수 겹쳐쌓여 한쌍의 벽체 본체를 구성하는 판상의 단위 건축 유닛과, 최상단에 겹쳐쌓이는 단위 건축 유닛의 상면에 교설되는 상부 교설 부재를 가지고 구성되는 단위 건축 유닛은,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지는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과,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하단측 간에 교설되는 하부 교설 부재를 가지므로, 매우 간단한 부재에 의해 뛰어난 강도를 갖는 건축 유닛을 쉽게 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변형 및 중성화 등에 의한 열화가 없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구축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거푸집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거푸집 패널 A-A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거푸집 패널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6은,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런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하부 고정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상부 고정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c)는 하부 고정 부재 또는 상부 고정 부재의 양쪽 선단이 구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b)는 지지 부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부분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선단 부분에 사용되는 L자형으로 구부려져 가공된 거푸집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a)는 L자형 캡(73)의 하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표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벽체 코너 부분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며, (a)는 도 19의 X-X 단면도이고, (b)는 도 19의 Y-Y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잔목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상부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잔목 지지 부재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잔목 지지 부재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봉상 부재의 고정 개소를 확대한 측면 단면도이며, (b)는 그 정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이 도면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W1, W2)를 토대(F) 위에 입설시켜 형성된다. 이 한쌍의 벽체(W1, W2) 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벽체(W1, W2)의 두 대향면 측(콘크리트 타설 측)을 간단하게 안쪽이라고 하고, 그 반대 측을 바깥쪽이라고 한다.
이들 벽체(W1, W2)는 각각 표면에 크고 작은 리브가 형성된 다공상의 강제(鋼製) 거푸집 패널(1)과, 이러한 복수 병설되는 거푸집 패널(1)의 하단을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홈을 구비한 런너(2)와, 상단을 끼워맞추는 캡(3)을 가지고 구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되는 한쌍의 벽체(W1, W2) 하단, 즉 런너(2) 하면에는, 그 런너(2)와 대략 직교하도록 양단에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장판상의 하부 고정 부재(4)가 가교·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벽체(W1, W2)의 상단, 즉 캡(3) 상면에는 그 캡(3)과 대략 직교하도록, 양단에 리브가 설치된 장판상의 상부 고정 부재(5)가 가교·고정되어 있다. 이 상부 고정 부재(5)는 상기 하부 고정 부재(4)와 같은 모양이며, 벽체(W1, W2)에 고정될 때의 리브 방향만 다르다(하부 고정 부재(4)의 리브는 대략 수직 상향으로, 상부 고정 부재(5)의 리브는 대략 수직 하향으로 돌출한다).
또한 벽체(W1, W2) 간에는 지지 고정 부재(6)가 장가(張架)됨과 동시에, 벽체(W1, W2)의 바깥쪽 면(대향하는 면의 뒷면)에는 그 지지 고정 부재(6)에 의해 봉상 부재(7)가 체결 고정되고, 복수의 거푸집 패널(1)에 도설(渡設)된다.
이로써 거푸집 패널(1)의 휨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구조체를 안정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봉상 부재(7)는, 이른바 가로막대라고 하는 봉상의 건축 재료이며, 예를 들면, 직경 10mm 정도의 철근, 강제 파이프 또는 목재 등을 사용한다. 또한, 봉상 부재(7)를 거푸집 패널(1)에 지지 고정하는 지지 고정 부재(6)는 번선(annealing wire), 강제 와이어, 지선, 봉상 부재 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면에서 이 지지 고정 부재(6)를 일례로서 번선(番線)으로 하고 있다.
또한 벽체(W1, W2) 간에는 런너 모양의 지지 부재(8)가 개장된다.
이 지지 부재(8)의 양쪽 선단은, 벽체(W1, W2)의 두 대향면에 당접하고 있고, 벽체(W1, W2) 간을 일정한 치수로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로서 사용된다.
또한 벽체(W1, W2)는 강제 파이프 관이나 평판 등으로 구성된 서포트재(9)에 의해 지지되고, 벽체(W1, W2)가 바깥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캡(3)과 상부 고정 부재(5)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상부 교설 부재라고 하고, 런너(2) 및 하부 고정 부재(4)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하부 교설 부재라고 한다.
(제1 실시 형태의 거푸집 패널(1)의 구성)
다음은,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전술한 거푸집 패널(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거푸집 패널(1)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이 도면을 이용하여 그 거푸집 패널(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1)은, 강제 판 형상의 재질을, 정면은 대략 사각형으로 하고, 단면은 대략 각진 파형으로 구부려, 절단 가공하여 성형한 거푸집 패널이다.
예를 들어, 이 거푸집 패널(1)의 완성품의 크기는, 길이 300~7000mm, 폭 600mm, 두께 O.2~1.0mm 정도이다.
이렇게 패널 강판을, 단면을 대략 각진 파형으로 구부림으로써, 거푸집 패널(1)에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볼록 조(11)가 소정 간격으로 병설되어, 패널(1) 자체의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패널 단면을 등변의 각진 파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특히 표면 또는 뒷면 측에서의 힘에 대하여 우수한 강도를 발휘한다.
또한 이하, 볼록 조(11)의 형성 방향을 거푸집 패널(1)의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거푸집 패널(1)에서 그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볼록 조(11)는, 상면(31)과, 이 상면(31)의 양 폭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는 두 면의 측면(32)으로 구성된다.
이 상면(31)의 폭 방향의 길이와 측면(32)의 폭 방향(깊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10~20mm 정도이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볼록 조(11)의 폭 방향의 간격은, 예를 들어 10~50mm 정도이다.
또한 각 볼록 조(11) 간의 오목 면에는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폭 방향 단면이 凸상인 리브(12)와, 폭 방향 단면이 凹상인 홈부(16)가 볼록 조(11)에 평행하게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폭 방향으로 볼록 조(11)→홈부(16)→리브(12)→홈부(16) →리브(12)→···→홈부(16)→볼록 조(11)→···과 같이 설치되어 있고, 볼록 조(11)의 폭 방향의 양쪽에 홈부(16)가 연설되어 있다.
이 리브(12)는, 예를 들어, 폭 8~20mm 정도, 높이 3~10mm 정도이고, 그 폭 방향 단면이, 예를 들어 반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16)는, 예를 들어, 폭 2~10m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 조(11)의 패널 폭 방향의 양쪽, 즉 리브(12)와 그 리브(12)에 인접하는 홈부(16)와의 사이 경계선상에는 소정 길이의 칼집(13)이 소정 간격으로 볼록 조(11)와 평행하게 점선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점선 모양의 칼집(13) 라인을 따라 거푸집 패널(1)을 소정의 각도로 구부림으로써, 거푸집의 코너 부분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점선 모양의 칼집(13) 열을 따라, 거푸집 패널(1)을 정역방향으로 수회 반복하여 구부림으로써, 쉽게 절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벽체(W1, W2)를 조립할 때, 그 치수와 모양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거푸집 패널(1)을 제공할 수 있어서, 시공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그 칼집(13)은, 미소 폭, 소정 길이로 거푸집 패널(1)의 양면을 관통한 칼집으로서,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에, 그 칼집(13)으로부터 액상 콘크리트와 모르타르 및 필요한 수분은 누출하지 않고 잉여수를 배출시키는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이 칼집(13)은, 폭이 0.3~1mm 정도, 길이가 10~50mm 정도이고, 그 칼집(13)의 길이 방향의 간격이 10~30mm 정도의 점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칼집(13) 열의 폭 방향 간격은 실질적으로 볼록 조(11)의 폭 방향 간격, 또는 볼록 조(11) 상면(31)의 폭 방향의 길이이기 때문에, 이 볼록 조(11)의 패널 폭 방향의 형성 주기 또는 상면(31)의 폭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칼집(13) 열의 폭 방향 간격을 10~50mm 정도의 임의 간격으로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거푸집 패널(1)의 구부림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 자재로 설계할 수 있어서, 거푸집 시공 시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 조(11)의 상면(31) 측에는, 복수의 뚜껑 모양의 뚜껑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뚜껑부(14)는, 거푸집 패널(1)을 입설할 때, 거푸집 패널(1)의 바깥쪽 방향으로 개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그 개구한 뚜껑부(14)로부터 잉여수가 배출된다. 또한, 뚜껑부(14)를 인위적으로 개구시켜 그 개구로부터 지지 고정 부재(6)를 인출하여 봉상 부재(7)를 거푸집 패널(1)의 바깥쪽 표면에 긴박·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거푸집 패널의 전면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조(11)의 상면(31) 측에는, 원형의 일부분을 남기고 앞뒤로 관통한 C자형의 칼집(21)과, 그 칼집(21)을 설치하지 않고 남긴 원의 일부분인 구부림부(22)가 설치되어 전술의 뚜껑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그 벽체(W1, W2) 간에 타설한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그 구부림부(22)를 따라 뚜껑부(14)가 거푸집 패널(1) 바깥쪽으로 개구한다. 이때, 볼록 조(11)의 상면 측(31)과 열린 뚜껑부(14) 간에는 잉여수를 배출하는 데 충분한 미소 폭의 간극(15)이 형성된다. 또한 이렇게 형성되는 간극(15)의 폭은 미소 폭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 간극(15)으로부터 콘크리트 자체와 필요한 수분이 누출하는 것이 아니라, 잉여수만이 배출된다. 또한 더 빨리 잉여수를 배출시킬 경우에는, 뚜껑부(14)를 거푸집 패널(1)의 바깥쪽으로 더 개구시켜, 배출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4)를 인위적으로 개구하여, 지지 고정 부재(6)를 거푸집 패널(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개구로부터 인출한 지지 고정 부재(6)를 사용하여 봉상 부재(7)를 거푸집 패널(1) 바깥쪽면 상에서 복수 개소 긴박시킴으로써 봉상 부재(7)를 거푸집 패널(1)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런너(2), 캡(3)의 구성)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런너(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캡(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너(2) 및 캡(3)은 단면 ㄷ자 모양의 레일 형상을 이루는 강제 부재이다.
런너(2) 및 캡(3)은 대략 같은 형상이며, 거푸집 패널(1)에 끼워맞출 때의 리브 방향만이 다르다(런너(2)의 리브는 대략 수직 상향으로, 캡(3)의 리브는 대략 수직 하향으로 돌출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런너(2)는 장판상 부재(26)의 길이 방향의 양쪽 변에 수직 상향 리브(27)를 각각 연설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그 리브(27) 간에는 거푸집 패널(1)의 하단을 끼워맞추는 홈부(28)가 형성된다. 또한, 장판상 부재(26) 및 리브(27)에 나사(탭 나사)와 콘크리트 못 등을 끼워넣거나 박아넣거나 함으로써, 런너(2)를 거푸집 패널(1)과 하부 고정 부재(4), 토대(F)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은, 런너(2)와 대칭적으로, 장판상 부재(36)의 길이 방향의 양쪽 변에 수직 하향 리브(37)가 각각 연설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그 리브(37) 간에는 거푸집 패널(1)의 상단을 끼워맞추는 홈부(38)가 형성된다. 또한, 장판상 부재(36) 및 리브(37)에 나사(탭 나사) 등을 끼워넣거나 박아넣거나 함으로써, 캡(3)을 거푸집 패널(1)과 상부 고정 부재(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하부 고정 부재(4) 및 상부 고정 부재(5)의 구성)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하부 고정 부재(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상부 고정 부재(5)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 부재(4) 및 상부 고정 부재(5)는 장판상의 부재의 양쪽 선단에 리브가 연설되어 구성되는 강제의 부재이며, 두 벽체(W1, W2) 간에 교설 고정함으로써 벽체(W1, W2) 간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이러한 벽체(W1, W2)가 바깥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고정 부재(4) 및 상부 고정 부재(5)의 리브는, 도면에서 장판상 부재의 양쪽 선단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지만, 이 연설 부분은 구부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연설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고정 부재(4)는 장판상 부재(41)와 그 장판상 부재(41)의 양쪽 선단이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형성되는 상방향 리브(42)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 하부 고정 부재(4)는, 거푸집 패널(1)의 하단을 끼워맞추는 런너(2)의 하면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W1, W2) 간에 교설된다. 이때, 하부 고정 부재(4)의 양쪽 선단의 리브(42)의 안쪽은, 두 벽체(W1, W2)의 런너(2)의 바깥쪽에 각각 당접시켜 나사 등을 타설함으로써, 하부 고정 부재(4)를 런너(2) 및 거푸집 패널(1)에 고정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고정 부재(5)는 장판상 부재(51)와 그 장판상 부재(51)의 양쪽 선단이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형성되는 하방향 리브(52)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 상부 고정 부재(5)는, 거푸집 패널(1)의 상단을 끼워맞추는 캡(3)의 하면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W1, W2) 간에 교설된다. 이때, 상부 고정 부재(5)의 양쪽 선단의 리브(52)의 안쪽은 두 벽체(W1, W2)의 캡(3)의 바깥쪽에 각각 당접시켜 나사 등을 타설함으로써 상부 고정 부재(5)를 캡(3)과 거푸집 패널(1)에 고정한다.
또한, 도 7(c)는 하부 고정 부재(4) 또는 상부 고정 부재(5)의 양쪽 선단이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하부 고정 부재(4) 및 상부 고정 부재(5)는, 공장 출하 시 및 건설 현장에 운반 시 등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개소에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평판상의 부재이어도 좋다. 그리고 벽체(W1, W2) 간의 간격 등의 각 치수에 따라 그 선단을 구부림으로써, 그 구부린 결과 형성된 리브를 런너(2) 또는 캡(3) 등에 당접시켜 고정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지지 부재(8)의 구성)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지 부재(8)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는 장판상 부재(81)와 그 장판상 부재(81)의 길이 방향의 양쪽 변에 수직 하향의 한쌍의 리브(82)가 각각 연설되어 구성된다. 또한 장판상 부재(81)의 양쪽 선단에 수직 상향의 리브(83)가 각각 연설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그 리브(83)에 나사 등을 타설함으로써, 이 지지 부재(8)를 거푸집 패널(1)의 안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지지 부재(8)는, 서로 대향하도록 입설하는 벽체(W1, W2) 간에 개장되어 고정됨으로써, 벽체(W1, W2) 간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이러한 벽체(W1, W2)가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b)는 지지 부재(8)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지지 부재(8)는, 전술의 런너(2) 또는 캡(3)과 같은 단면 ㄷ자 모양의 부재의 리브의 양쪽 선단의 일부를 절제하고, 남은 장판상 부재의 돌출 부분을 구부려 리브(83)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제1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다음은,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콘크리트 구조체 등의 토대(F) 위에 복수의 하부 고정 부재(4)를 소정 간격 폭(예를 들면, 600mm 간격)을 유지하여 대략 평행하게 재치하고, 콘크리트 못(61)을 하부 고정 부재(4) 위로부터 토대(F)에 박아넣어, 하부 고정 부재(4)를 토대(F)에 고정한다.
다음에, 한쌍의 런너(2)를 그 토대(F)에 고정한 하부 고정 부재(4)와 직교하도록 겹쳐서 재치한다. 이 한쌍의 런너(2)는 지지 부재(8)의 대략 길이만큼의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대략 평행하게 재치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못(62)을, 런너(2) 위로부터 하부 고정 부재(4)를 관통하도록 토대(F)에 박아넣어, 런너(2)를 하부 고정 부재(4) 및 토대(F)에 고정한다.
다음에, 재치한 런너(2)의 홈부(28)에 거푸집 패널(1)의 하단을 끼워맞추고, 거푸집 패널(1)을 입설한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1)의 길이 방향의 양쪽 선단이 소정 폭 겹치도록 한다.
다음에, 입설한 거푸집 패널(1)의 상단에 캡(3)을 끼워맞춘다.
그 다음, 그 캡(3)과 대략 직교하도록, 복수의 상부 고정 부재(5)를 그 캡(3) 위에 소정 간격의 폭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재치한다.
그리고, 나사(64)를 상부 고정 부재(5) 위로부터 캡(3)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상부 고정 부재(5)를 캡(3)에 고정한다.
다음에, 거푸집 패널(1)의 뚜껑부(14)를 개구시키고, 그 열린 개구에 지지 고정 부재(6)를 삽통하여, 벽체(W1, W2) 간에 유가(遊架)시킨다. 보다 자세하게는, 먼저 두 벽체(W1, W2)의 거푸집 패널(1)의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뚜껑부(14)를 개구시킨다. 그리고 벽체(W1)의 뚜껑부(14)의 개구 바깥쪽에서 지지 고정 부재(6)를 삽통하여, 벽체(W1, W2) 간을 통해 벽체(W2)의 뚜껑부(14)의 개구에서 바깥쪽으로 일단 내보내고, 반복하여 다시 그 벽체(W2)의 다른 뚜껑부(14)의 개구에서 삽입하여, 다시 벽체(W1, W2) 간을 통해 벽체(W1)의 다른 뚜껑부(14)의 개구에서 바깥쪽으로 내보낸다.
또한 이 지지 고정 부재(6)는, 예를 들면, (벽체의) 높이 방향 500mm, 폭 방향 300mm 간격 정도로 유가시킨다.
다음에,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1)을, 전술한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1)과 겹치는 부분을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거푸집 패널(1)끼리 고정한다.
다음에, 지지 부재(8)를 벽체(W1, W2) 간에 끼워맞추고, 지지 부재(8)의 리브(83)에 나사(66)를 박아넣어, 지지 부재(8)를 두 벽체(W1, W2)의 거푸집 패널(1)에 고정한다.
다음에, 하부 고정 부재(4)의 양쪽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리브(42)를 형성하고, 이 리브(42)를 런너(2)의 리브(27)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나사(63)를 하부 고정 부재(4)의 바깥쪽에서 런너(2)의 양 리브(27) 및 거푸집 패널(1)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거푸집 패널(1)과 런너(2)를 하부 고정 부재(4)에 고정한다.
또한 상부 고정 부재(5)의 양쪽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리브(52)를 형성하고, 이 리브(52)를 캡(3)의 리브(37)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나사(65)를 상부 고정 부재(5)의 바깥쪽에서 캡(3)의 양 리브(37) 및 거푸집 패널(1)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캡(3)과 상부 고정 부재(5)를 거푸집 패널(1)에 고정한다.
다음에, 전술한 지지 고정 부재(6)를 벽체(W1, W2) 간에 장가시킴과 동시에, 그 지지 고정 부재(6)로 두 벽체(W1, W2)의 거푸집 패널(1)의 바깥쪽에 봉상 부재(7)를 각각 긴박시켜, 런너(2)와 대략 평행하게 고정한다.
이상의 공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을 구성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부분의 건축 유닛의 전체 구성)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부분의 건축 유닛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선단 부분은, 구축하는 벽 모양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한다. 이 선단 부분에서는, 타설 콘크리트가 누출되지 않도록 개구하는 벽체(W1, W2) 간을 벽체로 더 봉지(封止)할 필요가 있다.
이하,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해당 선단 부분의 구성, 작용 및 효과 등은, 전술의 실시 형태와 같은 것으로 한다. 또한 해당 선단 부분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것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동일한 부재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부분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선단 부분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에 의하면, 서로 대략 평행하게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W1, W2)에 벽체(W3, W4)를 연설하여, 벽체(W1, W2) 간의 개구를 봉지한다는 점이 전술한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벽체(W3, W4)는 L자형으로 구부려져 가공된 전술한 거푸집 패널(1)과, 그 구부려진 거푸집 패널(1)의 상단을 끼워맞추는 L자형 캡(73)을 가지고 구성된다.
(선단 부분에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의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1)은, 파선상의 칼집(13) 열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구부려져서, 코너 부분 등의 벽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그 칼집(13) 열을 따라, L자형(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가공된 거푸집 패널(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선단 부분에서는,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진 거푸집 패널(1)을, 벽체(W1, W3)가 연설하는 코너 부분, 벽체(W2, W3)가 연설하는 코너 부분, 벽체(W1, W4)가 연설하는 코너 부분과 벽체(W2, W4)가 연설하는 코너 부분에 사용한다.
(선단 부분에 사용되는 L자형 캡의 구성)
도 12(a)는, L자형으로 구부려져 가공된 거푸집 패널(1)의 상단을 끼워맞추는 L자형 캡(73)의 하면 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상면 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 캡(73)은 단면 ㄷ자 모양의 레일 형상을 하는 강제의 부재이며, 상면에서 볼 때 L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 캡(73)은, L자형 판상 부재(74)의 길이 방향의 양쪽 변에 수직 하향 리브(75)를 각각 연설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그 리브(75) 간에는 거푸집 패널(1)의 상단을 끼워맞추는 홈부(76)가 형성된다. 또한, L자형 판상 부재(74) 및 리브(75)는 각각 복수의 삽통공(77a, 77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삽통공(77a, 77b)에 나사 등을 삽통시킴으로써, 이 L자형 캡(73)을 거푸집 패널(1)과 상부 고정 부재(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부분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도 13은 그 선단 부분에서 서로 연설하는 벽체(W1, W3)로 구성되는 코너 부분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도면을 이용하여 해당 코너 부분의 시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다른 부분의 시공 방법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부 고정 부재(4)에 콘크리트 못(61)을 박아넣어 토대(F)에 고정한다.
다음에, 런너(2)(도시하지 않음)를 하부 고정 부재(4) 위에 겹쳐서 고정한다.
다음에, L자형으로 구부린 거푸집 패널(1)을 하부 고정 부재(4) 상에 재치한다. 이때 L자형으로 구부린 거푸집 패널(1)의 길이 방향의 양쪽 선단이, 서로 인접하는, 상면에서 볼 때 직선상인 거푸집 패널(1)의 길이 방향의 측면 가장자리와 소정 폭 겹치게 고정하여 연결한다. 이때, 상면에서 볼 때 직선상 및 L자형인 거푸집 패널(1)이 전체로서 연속적인 하나의 거푸집 패널(1)을 형성하도록 연결시킨다.
다음에, 입설한 거푸집 패널(1)의 모서리 부분의 상단에 L자형 캡(73)을 끼워맞춘다. 또한, 그 입설한 거푸집 패널(1)의 상단에서 L자형 캡(73)이 끼워맞춰지지 않은 부분에는 캡(3)을 끼워맞춘다. 이때 끼워맞춘 캡(3)과 L자형 캡(73)이 전체로서 상면에서 볼 때 연속되도록 한다.
다음에, L자형 캡(73)과 대략 직교하도록, 복수의 상부 고정 부재(5)를 그 캡(3)과 L자형 캡(73) 위에 소정 간격 폭을 갖고 대략 평행하게 재치한다.
그리고, 나사를 상부 고정 부재(5) 위로부터 L자형 캡(73)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상부 고정 부재(5)를 L자형 캡(73)에 고정한다.
이상의 작업을 반복하여, 서로 대향하는 벽체(W3, W4)를 구성한다.
다음에, 벽체(W3, W4)를 구성하는 거푸집 패널(1)의 뚜껑부(14)를 개구시키고, 그 열린 개구에 지지 고정 부재(6)를 삽통하여, 벽체(W3, W4) 간에 유가시킨다.
이 지지 고정 부재(6)의 유가 작업은, 전술한 벽체(W1, W2) 간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자세한 것은 생략한다.
다음에,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1)을, 전술한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1)과 겹치는 부분을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거푸집 패널(1)끼리를 고정한다.
다음에, 하부 고정 부재(4)의 양쪽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리브(42)를 형성하고, 이 리브(42)를 런너(2)의 리브(27)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나사를 하부 고정 부재(4)의 바깥쪽으로부터 런너(2)의 리브(27) 및 거푸집 패널(1)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거푸집 패널(1)과 런너(2)를 하부 고정 부재(4)에 고정한다.
또한, 상부 고정 부재(5)의 양쪽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리브(52)를 형성하고, 이 리브(52)를 L자형 캡(73)의 리브(75)와 캡(3)의 리브(37)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나사를 상부 고정 부재(5)의 바깥쪽으로부터 L자형 캡(73)의 리브(75) 및 거푸집 패널(1), 및 캡(3)의 리브(37) 및 거푸집 패널(1)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L자형 캡(73), 캡(3) 및 상부 고정 부재(5)를 거푸집 패널(1)에 고정한다.
다음에, 전술한 지지 고정 부재(6)를 벽체(W3, W4) 간에서 장가함과 동시에, 그 지지 고정 부재(6)로 두 벽체(W3, W4)의 거푸집 패널(1)의 바깥쪽에서 봉상 부재(7)를 각각 긴박시켜, 런너(2)와 대략 평행하게 고정한다.
이상으로, 선단 부분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이 완성된다.
또한 전술한 L자형으로 구부린 거푸집 패널(1)의 상단 폭이, L자형 캡(73)의 홈부(76)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그 L자형으로 구부린 거푸집 패널(1)의 상단을 당해 L자형 캡(73)의 홈부(76)뿐만 아니라 그 L자형 캡(73)에 인접한 다른 L자형 캡(73)과 캡(3)의 홈부(38, 76)에 끼워맞춘다.
이와 반대로, 전술한 L자형으로 구부린 거푸집 패널(1)의 하단 폭이, L자형 캡(73)의 홈부(76)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L자형으로 구부린 거푸집 패널(1)의 상단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다른 거푸집 패널(1)의 상단을, 해당 L자형 캡(73)의 홈부(76)에 대해 끼워맞춘다.
이상으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이 완성된다.
그 후, 입설한 벽체(W1, W2) 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와 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한다. 건축 유닛 자체는 그대로 해체하지 않고, 건축물 구조체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기존의 콘크리트 거푸집 시공 방법처럼 세퍼레이터, 폼 타이(form tie) 및 비컨(beacon) 같은 건축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지 고정 부재(6) 및 철근 등의 봉상 부재(7) 같은 매우 간단한 부재에 의해 우수한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묻어 버리므로, 그 해체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 기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그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뚜껑부(14)가 바깥쪽으로 압압되어 뚜껑이 열리고, 그 열린 뚜껑부(14)의 간극에서 콘크리트의 잉여수가 배출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필요 최소한의 뚜껑부(14)의 간극이 형성되므로, 그 간극에서는 콘크리트 자체 및 필요한 수분이 누출되지 않고 콘크리트의 잉여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우 고품질의 내구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은 거푸집 패널(1)에 의해 덮여, 외기와의 접촉에서 보호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매우 고품질의 내구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의 선단 부분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에 대해서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범용성이 높고, 다양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쉽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뚜껑부(14)의 형상을 대략 원형으로 했지만, 뚜껑부(14)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 또는 기타 닫힌 도형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칼집과 구부림부를 설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봉상 부재(7)로서 직경 10mm 정도의 철근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보다 강도가 높은 재료, 예를 들면, 직경 50mm, 두께 2~3mm 정도의 단관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의 전체 구성)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하,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 작용 및 효과 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전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이 도면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전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가 붙어있는 것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동일한 부재 등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W11, W12)를 토대(F) 위에 입설시켜 형성된다. 이 한쌍의 벽체(W11, W12)는 각각 단위 건축 유닛(100)의 벽체의 구성 단위를 높이 방향으로 복수단 겹쳐쌓아 구성된다.
이 단위 건축 유닛(100)은 표면에 크고 작은 리브가 형성된 다공상의 강제 거푸집 패널(101)과, 이들 복수 병설되는 거푸집 패널(101)의 하단을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홈을 구비한 런너(2)와, 상단을 끼워맞추는 캡(3)과, 런너(2)의 하면에 그 런너(2)와 대략 직교하도록 가교·고정되는 양단에 리브가 설치된 장판상의 하부 고정 부재(4)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상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거푸집 패널(101)의 높이 방향의 폭이 제1 실시 형태의 거푸집 패널(1)에 비해 짧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거푸집 패널(1)은, 그 높이 방향의 폭이, 벽체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는 반면, 거푸집 패널(101)은 그 높이 방향의 폭이 벽체 높이의 몇 분의 1의 길이로 구성된다. 거푸집 패널(101)을 짧은 길이로 함으로써, 높이에 대한 요청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복수단 겹쳐쌓은 최상단의 단위 건축 유닛(100)의 캡(3) 상면에는, 그 캡(3)과 대략 직교하도록, 양단에 리브가 설치된 장판상의 상부 고정 부재(5)가 가교·고정된다.
(제2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다음은,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콘크리트 구조체 등의 토대(F) 위에 복수의 하부 고정 부재(4)를 소정 간격 폭(예를 들면, 600mm 간격)을 유지하여 대략 평행하게 재치하고, 콘크리트 못(111)을 하부 고정 부재(4) 위로부터 토대(F)에 박아넣어, 하부 고정 부재(4)를 토대(F)에 고정한다.
다음에, 한쌍의 런너(2)를 그 토대(F)에 고정한 하부 고정 부재(4)와 직교하도록 겹쳐서 재치한다. 이 한쌍의 런너(2)는 지지 부재(8)의 대략 길이만큼의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대략 평행하게 재치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못(112)을 런너(2) 위로부터 하부 고정 부재(4)를 관통하도록 토대(F)에 박아넣어, 런너(2)를 하부 고정 부재(4) 및 토대(F)에 고정한다.
다음에, 재치한 런너(2)의 홈부(28)에 거푸집 패널(101)의 하단을 끼워맞추고, 거푸집 패널(101)을 입설한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101)의 길이 방향 양쪽 선단이 소정 폭 겹치도록 한다.
다음에, 입설한 거푸집 패널(101)의 상단에 캡(3)을 끼워맞춘다. 그 다음, 캡(3)과 대략 직교하도록, 복수의 상부 고정 부재(5)를 그 상부 고정 부재(5) 위에 소정 간격 폭을 유지하여 대략 평행하게 재치한다.
그리고, 나사(114)를 캡(3) 위로부터 상부 고정 부재(5)를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캡(3)을 상부 고정 부재(5)에 고정한다.
다음에, 서로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101)을, 전술한 인접하는 거푸집 패널(101)과 겹치는 부분을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거푸집 패널(101)끼리 고정한다.
이상으로, 최하단의 단위 건축 유닛(100)이 완성된다.
다음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완성된 최하단의 단위 건축 유닛(10O)의 캡(3) 상면 상에 복수의 하부 고정 부재(4)를 소정 간격 폭(예를 들면, 6OOmm 간격)을 유지하여 대략 평행하게 재치한다.
다음에, 한쌍의 런너(2)를, 그 캡(3) 상에 재치한 하부 고정 부재(4)와 직교하도록 겹쳐서 재치한다.
그리고, 나사(115)를 런너(2) 위로부터 하부 고정 부재(4)와 최하단의 거푸집 패널(101)의 캡(3)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런너(2)와 하부 고정 부재(4)를 최하단 단위 건축 유닛(100)에 고정한다.
그 후, 최하단의 단위 건축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거푸집 패널(101) 및 캡(3)을 설치한다.
이상으로, 최하단으로부터 2단째의 단위 건축 유닛(100)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단위 건축 유닛(100)의 조립을 최상단까지 복수단 반복한다.
도 18은 최상단의 단위 건축 유닛(100)의 조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의 단위 건축 유닛(100)에서, 거푸집 패널(101)의 상단에 캡(3)을 끼워맞춘 후, 그 캡(3)에 상부 고정 부재(5)를 설치한다. 즉, 상부 고정 부재(5)의 양쪽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리브(52)를 형성하고, 이 리브(52)를 캡(3)의 리브(37)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나사(116)를 상부 고정 부재(5)의 바깥쪽에서 캡(3)의 두 리브(37) 및 거푸집 패널(101)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캡(3)과 상부 고정 부재(5)를 거푸집 패널(101)에 고정한다.
또한, 나사(117)를 상부 고정 부재(5) 위로부터 최상단의 거푸집 패널(101)의 캡(3)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상부 고정 부재(5)를 최상단 단위 건축 유닛(100)에 고정한다.
다음에, 복수단의 단위 건축 유닛(100)의 하부 고정 부재(4)의 양쪽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리브(42)를 형성하고, 이 리브(42)를 런너(2)의 리브(27)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나사(113)를 하부 고정 부재(4)의 바깥쪽에서 런너(2)의 두 리브(27) 및 거푸집 패널(101)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거푸집 패널(101)과 런너(2)를 하부 고정 부재(4)에 고정한다.
이상으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이 완성된다.
그 후, 입설한 벽체(W11, W12) 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와 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한다. 건축 유닛 자체는 그대로 해체하지 않고, 건축물 구조체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구축 목적의 벽체(W11, W12) 높이의 몇분의 1 높이 폭의 단위 건축 유닛(100)을 복수단 겹쳐쌓아 구성되므로, 구축 목적의 벽체(W11, W12) 높이에 맞춰 거푸집 패널을 절단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필요한 단수의 단위 건축 유닛(100)을 겹쳐쌓으므로써 다양한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구축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축 목적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높이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는, 그 벽체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길이가 긴 거푸집 패널을 준비하는 것이 곤란하고, 길이가 긴 거푸집 패널은 휨이 커지기 때문에, 강도 면에서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길이가 긴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지 않고도 뛰어난 강도의 벽체(W11, W12)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벽체 코너 부분을 복수단의 거푸집 패널(100)에 의해 구축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어, 서로 대략 평행한 한쌍의 거푸집 패널을 2세트 사용하여 사방을 거푸집 패널로 둘러싼 벽체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그 서로 대략 평행한 한쌍의 거푸집 패널 간에 하부 고정 부재(4) 및 상부 고정 부재(5)를 교설 고정한다. 즉, 그 사방을 거푸집 패널로 둘러싼 벽체 내부에서는, 하부 고정 부재(4) 및 상부 고정 부재(5)가 대략 직교하여 서로 겹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그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뚜껑부(14)가 바깥쪽으로 압압되어 뚜껑이 열리고, 열린 뚜껑부(14)의 간극에서 콘크리트의 잉여수가 배출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필요 최소한의 뚜껑부(14)의 간극이 형성되므로, 그 간극에서는, 콘크리트 자체와 필요한 수분이 누출되지 않고, 콘크리트의 잉여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우 고품질의 내구성이 풍부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은 거푸집 패널(1)에 의해 덮여져, 외기와의 접촉에서 보호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억제할 수 있어서, 매우 고품질의 내구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의 전체 구성)
다음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하,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 작용 및 효과 등은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0은 그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며, (a)는 도 19의 X-X 단면도이고, (b)는 도 19의 Y-Y 단면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가 붙어있는 것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동일한 부재 등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W31, W32)를 토대(F) 위에 입설시켜 형성된다. 이 한쌍의 벽체(W31, W32) 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벽체(W31, W32)의 두 대향면 측(콘크리트 타설 측)을 간단히 안쪽이라고 하고, 그 반대 측을 바깥쪽이라고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제1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의 구성뿐만 아니라, 목제 잔목(140)과, 이 잔목(140)을 지지하는 잔목 지지 부재(130)를 갖는다. 이 잔목 지지 부재(130)는 캡(3)의 복수 개소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괘착(掛着)되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부재이다. 이 괘착된 잔목 지지 부재(130)의 끼워맞춤 홈에 잔목(140)을 끼워맞춤으로써 잔목(140)을 거푸집 패널(1)의 외면 상에 압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상부 고정 부재(5) 대신에, 다른 형태의 상부 지지 부재(15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 상부 지지 부재(150)를 캡(3)의 상면 여러 군데 교설 고정함으로써 벽체(W31, W32) 간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이들 벽체(W31, W32)가 바깥쪽으로 넘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들 본 실시 형태 특유의 구성 요소인 잔목 지지 부재(130) 및 상부지지 부재(15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잔목 지지 부재(130)의 구성)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잔목 지지 부재(1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목 지지 부재(130)는, 평판상의 바닥부(131)와, 그 바닥부(131)의 측면 가장자리 중 한쪽에 대략 수직 상향으로 연설되는 리브(132)와, 그 리브(132)의 측면 선단에 대략 수직으로 연설되는 평판상의 괘착부(133)와, 그 괘착부(133)의 측면 선단에 대략 수직 하방으로 연설되는 리브(134)와, 전술한 바닥부(131)의 측면 가장자리의 다른 쪽에 대략 수직 상방으로 연설되는 리브(135)와, 그 리브(135)에 외방으로 연설되는 외방편(136)을 가지고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31) 및 그 바닥부(131)의 양쪽 선단에 대해 수직 상방으로 연설되는 리브(132, 135)에 의해 대략 사각형의 끼워맞춤 홈(137)이 형성된다. 이 끼워맞춤 홈(137)에는 잔목(140)이 끼워맞춰져 지지된다.
또한, 전술한 괘착부(133) 및 그 괘착부(133)의 양쪽 선단에 대해 수직 하방으로 연설되는 리브(132, 134)에 의해, 대략 사각형의 끼워맞춤 홈(138)이 형성된다. 이 끼워맞춤 홈(138)은 캡(3)에 끼워맞춰져 괘착된다.
또한, 괘착부(133)에는, 삽통공(139)이 설치되고, 나사 등을 삽통하여 잔목 지지 부재(130)를 캡(3)에 괘착 고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상부 지지 부재(150)의 구성)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상부 지지 부재(15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 부재(150)는 장판상 부재(151)와, 그 장판상 부재(151)의 길이 방향의 양쪽 변에 수직 상향의 한쌍의 리브(152)가 각각 연설되어 구성된다. 또한, 한쌍의 리브(152) 간에는 홈(154)이 형성된다. 또한 장판상 부재(151)의 양쪽 선단(153)은 그 리브(152)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 상부 지지 부재(150)는, 전술한 지지 부재(8)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이 상부 지지 부재(150)는, 전술한 지지 부재(8)와 달리, 그 양쪽 선단(153)을 구부려 가공하지 않는다.
(제3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다음은,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 잔목 지지 부재(130) 및 상부 지지 부재(150)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지만, 기타 시공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해당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잔목 지지 부재(150)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입설한 거푸집 패널(1)의 상단에 캡(3)을 끼워맞춘다.
다음에, 나사(161)를 캡(3)의 바깥쪽으로부터 캡(3)의 두 리브(37) 및 거푸집 패널(1)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캡(3)을 거푸집 패널(1)에 고정한다.
다음에, 상부 지지 부재(150)의 양쪽 선단(153)의 하면을 두 벽체(W31, W32)의 캡(3) 상면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나사(162)를 상부 지지 부재(150) 위로부터 캡(3)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상부 지지 부재(150)를 캡(3)에 고정한다.
이상으로, 잔목 지지 부재(150)의 설치가 종료된다.
다음은, 잔목 지지 부재(130)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잔목 지지 부재(130)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1)에 끼워맞춰 고정한 캡(3)을 잔목 지지 부재(130)의 끼워맞춤 홈(138)에 끼워맞춘다.
그리고, 나사(163)를 잔목 지지 부재(130) 위로부터 캡(3)을 관통하도록 박아넣어, 잔목 지지 부재(130)를 캡(3)에 괘착 고정한다.
이상으로, 잔목 지지 부재(130)의 설치가 종료된다.
이 설치된 잔목 지지 부재(130)의 끼워맞춤 홈(137)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목(140)이 끼워맞춰진다.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이 완성되면, 입설한 벽체(W31, W32) 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와 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한다. 콘크리트 경화 후에는, 잔목 지지 부재(130) 및 잔목(150)을 제거하여 재사용하고, 건축 유닛의 다른 부분은 그대로 해체하지 않고, 건축물 구조체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기존의 콘크리트 거푸집 시공 방법처럼 세퍼레이터, 폼 타이 및 비콘 같은 건축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지 고정 부재(6), 철근 등의 봉상 부재(7), 잔목(140) 같은 매우 간단한 부재에 의해 우수한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잔목 지지 부재(130)를 캡(3)에 괘착하고, 그 잔목 지지 부재(130)에 뛰어난 강도를 가진 잔목(140)을 끼워맞춰 거푸집 패널(1)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거푸집 패널(1)을 휘게 하는 일 없이, 안정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잔목(140)은 입수가 쉽고 매우 싸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도 효과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벽체(W31, W32) 간에 상부 지지 부재(150)를 끼워맞춰 고정하기 때문에, 벽체(W31, W32) 간을 일정한 치수로 유지할 수 있어서, 안정적인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벽체 코너 부분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은, 상부 고정 부재(5) 대신에, 상부 지지 부재(150)를 갖는 것이지만, 상부 고정 부재(5)와 함께 상부 지지 부재(150)를 설치하여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건축 유닛에, 본 실시 형태 특유의 구성인 잔목 지지 부재(130), 잔목(140) 및 상부 지지 부재(150)를 추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벽체(W31, W32) 양쪽에 잔목 지지 부재(130) 및 잔목(140)을 장착하는 것이지만, 이 벽체(W31, W32)의 한쪽에 장착하게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그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뚜껑부(14) 바깥쪽으로 압압되어 뚜껑이 열리고, 뚜껑부(14) 사이 빈틈에서 콘크리트의 잉여수가 배출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필요 최소한의 뚜껑부(14)의 간극이 형성되므로, 그 간극에서 콘크리트 자체와 필요한 수분은 누출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잉여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우 고품질의 내구성이 풍부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은, 거푸집 패널(1)에 의해 덮여져, 외기와의 접촉에서 보호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억제할 수 있어서, 매우 고품질의 내구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하,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 작용 및 효과 등은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전체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W41, W42)를 토대(F) 위에 입설시켜 형성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번선 등의 지지 고정 부재(6)에 의해 봉상 부재(7)를 거푸집 패널(1) 표면 측에 긴박·고정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봉상 부재(7)의 형상에 맞춰 만곡되어 있는 판상 부재인 유지 고정 부재(160)에 의해 봉상 부재(7)를 고정한다.
이 유지 고정 부재(160)는, 소위 세퍼레이터 등의 봉상 부재인 간격 유지 부재(170)에 의해 전술한 한쌍의 벽체(W41, W42)의 표면 측에 설치된다. 즉 간격 유지 부재(170)는 두 벽체(W41, W42)의 거푸집 패널(1)의 뚜껑부(14)에서 양쪽 선단이 돌출하도록 두 벽체(W41, W42)를 삽통시키고, 그 양쪽 벽체(W41, W42)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간격 유지 부재(170)의 양쪽 선단에 유지 고정 부재(160)가 나선 삽입되어 장착된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봉상 부재(7)의 고정 개소를 확대한 측면 단면도이고, (b)는 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고정 부재(160)는 장판상 부재의 한쪽 선단이 봉상 부재(7)의 형상에 맞춰 측면에서 볼 때 원호상으로 만곡되고, 다른 한쪽 선단은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평판상의 다른 한쪽 선단에는 간격 유지 부재(170)를 나선 삽입하는 삽통공(16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170)의 양쪽 선단은 나사 가공되어 있고, 이 나사 부분을 전술한 유지 고정 부재(160)의 삽통공(165)에 나선 삽입함으로써, 두 벽체(W41, W42)의 바깥쪽 표면에 유지 고정 부재(160)를 설치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간격 유지 부재(170)의 벽체(W41, W42)의 안쪽으로부터는 와셔(171)가 나선 결합되고, 이 와셔(171)와 전술한 유지 고정 부재(160)에 의해 긴합시킴으로써, 간격 유지 부재(170)가 거푸집 패널(1)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유지 고정 부재(160)의 만곡 부분 안쪽과 거푸집 패널(1)의 표면 쪽에서 봉상 부재(7)를 협지하여, 봉상 부재(7)를 거푸집 패널(1) 표면에 고정한다.
그 외의 구성 및 시공 방법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번선 등의 지지 고정 부재(6) 대신에, 일부가 만곡된 판상 부재인 유지 고정 부재(160) 및 봉상 부재인 간격 유지 부재(170)를 이용하여 벽체(W41, W42) 간의 간격을 소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가로막대 등의 봉상 부재(7)를 거푸집 패널(1) 표면상에 고정하는 시공을 간단한 부재로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유지 고정 부재(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쪽 선단이 만곡되고, 다른 한쪽 선단에 삽통공(165)이 설치된 장판상의 부재이지만, 일부가 봉상 부재(7) 형상에 맞춰 만곡되고, 만곡되지 않은 부분에 삽통공(165)이 설치되어 있으면,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벽체(W41, W42) 양쪽에 잔목 지지 부재(130) 및 잔목(140)을 장착하는 것이지만, 이 벽체(W41, W42) 중 하나에 장착해도 좋다.
<실시예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번선, 철근, 잔목 같은 매우 간단한 부재에 의해 우수한 강도를 지닌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은,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묻어 버리므로, 그 해체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공사 기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그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뚜껑부(14)가 외측으로 압압되어 뚜껑이 열리고, 열린 뚜껑부(14)의 간극에서 콘크리트의 잉여수가 배출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자기 압력에 의해 필요 최소한의 뚜껑부(14)의 간극이 형성되므로, 그 간극으로부터는, 콘크리트 자체와 필요한 수분은 누출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잉여수만을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우 고품질의 내구성이 풍부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은, 거푸집 패널(1)에 의해 덮여져, 외기와의 접촉에서 보호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억제할 수 있어서, 매우 고품질의 내구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 거푸집 패널(1), 런너(2), 캡(3), 하부 고정 부재(4), 상부 고정 부재(5), 지지 고정 부재(6), 봉상 부재(7),지지 부재(8), 서포트재(9), L자형 캡(73), 잔목 지지 부재(130), 상부 지지 부재(150), 유지 고정 부재(160), 간격 유지 부재(170) 등의 각 부재는, 방청 가공이 이루어진 강제 부재이어도 좋다. 또한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진 수지제 부재이어도 좋다.
1, 101 거푸집 패널
2 런너
3 캡
4 하부 고정 부재
5 상부 고정 부재
6 지지 고정 부재
7 봉상 부재
8 지지 부재
9 서포트재
11 볼록 조
12, 27, 37, 42, 52, 75, 82, 83, 132, 134, 135, 152 리브
13, 21 칼집
14 뚜껑부
15 간극
16, 28, 38, 76 홈부
22 구부림부
26, 36, 41, 51, 81, 151 장판상 부재
77a, 77b, 139, 165 삽통공
31 상면
32 측면
61, 62, 111, 112 콘크리트 못
63~66, 113~117, 161~163 나사
73 L자형 캡
74 L자형 판상 부재
100 단위 구축 유닛
130 잔목 지지 부재
131 바닥부
133 괘착부
136 외방편
137, 138 끼워맞춤 홈
140 잔목
150 상부 지지 부재
153 장판상 부재의 선단
154 홈
160 유지 고정 부재
170 간격 유지 부재
171 와셔
F 토대
W1~W4, W11, W12, W31, W32, W41, W42 벽체

Claims (16)

  1.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해체가 불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으로서,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진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거푸집 패널과,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하단측 간에 교설되는 하부 교설 부재와,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상단측 간에 교설되는 상부 교설 부재와,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개장되어 상기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삽통되는 지지 고정 부재와,
    상기 지지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거푸집 패널 외측에 긴합 및 고정되는 봉상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을 구비하고, 상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에서 잔목을 끼워맞춰 지지하는 잔목 지지 부재를 더 갖고,
    상기 잔목 지지 부재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끼워맞춤 홈에서 상기 한쌍의 벽체 간의 상부 교설 부재를 끼워맞춰 괘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4.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해체가 불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으로서,
    복수 겹쳐쌓여 상기 한쌍의 벽체 본체를 구성하는 판상의 단위 건축 유닛과,
    최상단에 겹쳐쌓이는 상기 단위 건축 유닛의 상면에 교설되는 상부 교설 부재를 가지고 구성되고,
    상기 단위 건축 유닛은,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지는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과,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하단측 간에 교설되는 하부 교설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교설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하단에 끼워맞춰지는 단면 ㄷ자 모양의 런너와,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에 끼워맞춰진 런너 간에 교설되는, 양쪽 선단이 구부려져 대략 수직 상방으로 리브가 형성된 하부 고정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상면에서 볼 때 직선형 또는 L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교설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상단에 끼워맞춰지는 단면 ㄷ자 모양의 캡과,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에 끼워맞춰진 캡 간에 교설되는, 양쪽 선단이 구부려져 대략 수직 하방으로 리브가 형성된 상부 고정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면에서 볼 때 직선형 또는 L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장판상 부재와, 상기 장판상 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쪽 선단에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입설하는 제1 리브와, 상기 장판상 부재의 양쪽 선단을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 입설하는 제2 리브를 갖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1 리브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져 입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10.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해체가 불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으로서,
    장판상의 부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하부 교설 부재를 토대 위에 재치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재치 고정된 하부 교설 부재 상에,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진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을 서로 대향시켜 입설시키는 공정과,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의 상단 측에, 장판상의 부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 후에,
    장판상 부재의 양쪽 선단에 대략 수직으로 리브가 연설되어 양쪽 선단이 돌출된 상부 지지 부재를, 상기 리브를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끼워맞추고, 상기 돌출된 선단을 상기 상부 교설 부재 상에 재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 후에,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을 구비한 잔목 지지 부재를, 하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에 의해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끼워맞춰 복수 걸어붙이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잔목 지지 부재의 상방으로 개구한 끼워맞춤 홈에 잔목을 끼워맞추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13.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 후에,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지지 부재를 개장하는 공정과,
    상기 서로 대향한 거푸집 패널 간에 지지 고정 부재를 삽통하고, 상기 지지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거푸집 패널 외측에 봉상 부재를 긴합 및 고정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14. 서로 대향하여 입설하는 한쌍의 벽체를 가지고 구성되는 해체가 불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시공 방법으로서,
    장판상의 부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하부 교설 부재를 토대 위에 재치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재치 고정된 하부 교설 부재 상에, 표면에 일부분을 남긴 닫힌 도형 모양의 칼집으로 이루어지는 뚜껑부가 설치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을 서로 대향시켜 입설시키는 공정에 의해, 상기 벽체의 구성 단위인 단위 건축 유닛을 구축하고,
    1단 하단의 상기 단위 건축 유닛의 상단 측에, 상기 하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여 상기 단위 건축 유닛을 복수단 겹쳐쌓고,
    최상단의 상기 단위 건축 유닛의 상단 측에는, 장판상의 부재가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은,
    양쪽 선단이 구부려져 대략 수직 상방으로 리브가 형성된 하부 고정 부재를, 복수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략 평행하게 토대 위에 재치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재치 고정된 하부 고정 부재 상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홈부를 구비한 단면 ㄷ자 모양의 한쌍의 런너를 상기 하부 고정 부재에 대략 직교하여 재치 고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푸집 패널을 입설하는 공정은,
    상기 거푸집 패널의 하단을 상기 재치 고정한 런너의 홈부에 끼워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교설 부재를 재치 고정하는 공정은,
    상기 거푸집 패널의 상단에, 하방으로 개구한 홈부를 구비한 단면 ㄷ자 모양의 캡을 끼워맞추는 공정과,
    상기 끼워맞춘 캡의 상면에서, 양쪽 선단이 구부려져 대략 수직 하방으로 리브가 형성된 상부 고정 부재를 상기 한쌍의 벽체 간에 교설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의 시공 방법.
KR1020127020634A 2010-05-20 2010-05-20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 KR20130073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8535 WO2011145197A1 (ja) 2010-05-20 2010-05-20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建築ユニット及びその建築施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866A true KR20130073866A (ko) 2013-07-03

Family

ID=4499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634A KR20130073866A (ko) 2010-05-20 2010-05-20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19228A1 (ko)
KR (1) KR20130073866A (ko)
CN (1) CN102791936A (ko)
WO (1) WO2011145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7688A1 (de) * 2012-09-28 2014-04-03 Harsco Infrastructure Services Gmbh Wandschalung mit optionaler Ankerstelle
AU2013384881A1 (en) * 2013-03-27 2015-11-12 Eaa Research Engineer Pty Ltd Panel for a building structure, a building system and a building structure having the building panel
JP6402060B2 (ja) * 2015-03-30 2018-10-10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基礎構造および基礎構造の施工方法
CN104818849B (zh) * 2015-05-17 2017-02-01 中铁二十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一种空间曲形肋梁钢结构施工方法
CN105297957A (zh) * 2015-10-08 2016-02-03 安徽同济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预制填充墙板及其安装方法
CN108884675A (zh) * 2016-03-29 2018-11-23 Ezibs有限公司 便于干法装饰的外部隔热一体化隔热块系统及其施工方法
US10066383B1 (en) * 2017-04-18 2018-09-04 Patrick Perasso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CN107100299B (zh) * 2017-06-19 2023-05-05 麦高德(吉林)工业化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免拆模板复合外墙及其建造方法
DE102018203262A1 (de) * 2018-03-06 2019-09-12 Peri Gmbh Scha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vertikaler Wandabschnitte mit Anschlussbewehrungselementen für eine Geschossdecke
US10597881B1 (en) * 2018-08-02 2020-03-24 Rafael Huguet, Sr. Wall system
CN109184192B (zh) * 2018-10-11 2024-03-19 付志红 一种快拆模板固定体系及其固定体系内的固定方法
CN109339442B (zh) * 2018-12-05 2024-02-27 曹海峰 具有限位结构的桥板及其使用方法
CN113373973B (zh) * 2021-01-13 2022-11-01 贵州智华建设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u型槽路堑组合结构挡土墙
CN113530056A (zh) * 2021-07-16 2021-10-22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顶板预埋波纹管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80855U (ko) * 1979-06-12 1980-12-25
JPH05113030A (ja) * 1991-10-23 1993-05-07 Asahi Chem Ind Co Ltd 型枠設置用ライナー
JPH0626195A (ja) * 1993-02-16 1994-02-01 Yasuyuki Tsuruta 構築物施工用結合具
JPH0782753A (ja) * 1993-09-16 1995-03-28 Nisseki House Kogyo Kk 布基礎の施工方法
JPH10219706A (ja) * 1997-02-13 1998-08-18 Dow Kakoh Kk 土間床用断熱ユニット、土間床断熱工法及び土間床断熱構造
JP3752677B2 (ja) * 2003-03-07 2006-03-08 実典 柳原 型枠パネル及び補助金具
JP2007126836A (ja) * 2005-11-01 2007-05-24 Nsp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壁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5197A1 (ja) 2011-11-24
US20130119228A1 (en) 2013-05-16
CN102791936A (zh)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866A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건축 유닛 및 그 건축 시공 방법
US6266938B1 (en) Steel floor structure
US20060188336A1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for concrete reinforcing bars
KR200399026Y1 (ko) 조립식 물탱크의 보강구조
GB2319274A (en) Framework for use in concrete walls for supporting wall shuttering
JP532554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建築ユニット及びその建築施工方法
KR100991046B1 (ko)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EP1947254A2 (de) Holz-Beton-Verbundtragwerk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EA200500949A1 (ru)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пустотелых стеклян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1422789B1 (ko)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3735781B2 (ja) ダブル配筋用スペーサ
JP2007162252A (ja) 鉄骨建造物における外壁・屋根の断熱施工方法
CN108026727B (zh) 夹持件
KR100763003B1 (ko) 슬라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JP6587802B2 (ja) 配筋用スペーサおよび配筋方法
JP4065271B2 (ja) 建築用型枠
RU109769U1 (ru) Здание, возведенное с помощью набора универса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2678291B1 (ko) U블록용 강재인방과 u블록이 결합된 u블록 인방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50222B1 (ko) 트러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JP7243008B2 (ja) 建物及び建物の施工方法
KR200421003Y1 (ko) 슬라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KR200184986Y1 (ko) 벽체 기초용 형틀
JP201422776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JP699363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構造物接続兼用補強鉄筋ラン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