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527B1 -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 Google Patents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527B1
KR101332527B1 KR1020130067733A KR20130067733A KR101332527B1 KR 101332527 B1 KR101332527 B1 KR 101332527B1 KR 1020130067733 A KR1020130067733 A KR 1020130067733A KR 20130067733 A KR20130067733 A KR 20130067733A KR 101332527 B1 KR101332527 B1 KR 10133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elastic
box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내문
양근영
Original Assignee
양근영
양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근영, 양내문 filed Critical 양근영
Priority to KR102013006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3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용 전기박스 고정구의 외형을 원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는 탄성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주철근 사이의 4각형상의 수평 공간에 슬래브용 전기박스 고정구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구조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전기박스의 형상과 크기의 차이에 따른 수용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수용된 전기박스의 탄성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가 외측 원호부와 내측 지지원호부의 펴짐과 수용의 상호 협력 작용에 의한 탄성고정구조인데다 탈형 시 알루미늄 거푸집과 함께 드릴나사볼트도 빠져나오는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전기박스의 고정이 견고할 뿐 아니라 슬래브표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Elastic device fixing electric box in the slab}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용 전기박스 고정구의 외형을 원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는 탄성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주철근 사이의 4각형상의 수평 공간에 슬래브용 전기박스 고정구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구조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전기박스의 형상과 크기의 차이에 따른 수용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수용된 전기박스의 탄성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외측 원호부와 내측 지지원호부의 펴짐과 수용의 상호 협력 작용에 의한 탄성 고정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전기박스가 탄성고정구조에 의하여 전기박스가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탄성고정구조가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가 외측 원호부와 내측 지지원호부의 펴짐과 수용의 상호 협력 작용에 의한 탄성고정구조인데다 탈형 시 알루미늄 거푸집과 함께 드릴나사볼트도 빠져나오는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전기박스의 고정이 견고할 뿐 아니라 슬래브표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건축물 시공 시 통상 건축물의 슬래브에는 옥내용 전선을 배선하기 위하여 전기박스가 매설된다.
전기박스는 슬래브가 타설되기 전, 즉 슬래브 거푸집위에 설치된다. 슬래브 거푸집에는 주 철근이 상하 종횡으로 배치된 그 사이에 설치된다. 슬래브 타설과 함께 전기박스도 콘크리트에 매설된다. 전기박스가 거푸집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슬래브 거푸집에는 고압펌프에 의해 분사되는 시멘트 몰탈이 분사된다. 이때 전기박스는 제 위치에 있어야한다. 전기박스가 제 위치에 있어야 이와 연결된 케이블 관도 제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시멘트 몰탈의 고압분사에 의해 전기박스가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박스 보강망은 매립박스 주변의 슬래브 균열을 방지하는 구성들이 대부분이다. 슬래브 균열을 방지한 예로, 실용신안등록제20-0203661호(이하 ‘종래기술’이라한다)가 있다.
이에 대한 도면은 도1a와 도1b에 도시되어있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슬래브거푸집(2) 위에 미리 배근되어 있는 상부 매립철근(3)과 하부 매립철근(4)을 들어 올리고 배근간격을 강제로 넓혀서 슬래브거푸집(2) 위에 매립박스(1)를 안치시키게 되고, 더욱이 슬래브거푸집(2)에 매립박스(1)를 안치시킨 후 그 매립박스(1) 위에 얹혀있는 하부 매립철근(4)을 상향 굴곡 시켜 이격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매립박스 설치과정에 따른 결과로 그 매립박스(1) 주변의 슬래브(5) 단면 내에 위치한 상부 매립철근(3)과 하부 매립철근(4)은 배근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었으며, 하부 매립철근(4)의 경우에는 슬래브(5) 단면내의 중간에 편중되게 위치되어서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필요이상 증가되므로, 매립박스(1)주변의 슬래브(5)가 원래의 구조적강도 및 하중감당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따라서 매립박스 주변의 슬래브에 인장응력이 작용되면 구조적강도 및 하중감당능력이 취약한 부위로부터 쉽게 균열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일단 발생된 균열은 매립박스에 연결 배관되는 전선관을 따라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서 슬래브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한 것이 종래기술의 도1b이다.
도1b는 매립박스(1)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불량한 배근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및 하부 매립철근(3)(4)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매립박스(1) 주변의 슬래브(5)를 견고하게 보강하여 줌으로써, 매립박스(1) 주변의 슬래브(5)에 균열이 생성됨을 억제하여서 시공된 슬래브(5)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은 매립박스(1)를 중심으로 주변의 슬래브(5)를 수평방향으로 보강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은 각각 종방향 철근(11, 21)들 및 횡방향 철근(12,22)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되게 고정시켜서 격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종방향 철근(11, 21)들 및 횡방향 철근(12, 22)들 사이의 교차지점마다 수직철근(10a)을 고정시켜서 수평 공간(A)들이 확보되도록 조립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은 매립박스(1)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 립박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상향 절곡된 하부 매립철근(4)을 대신하여 슬래브(5)의 단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보강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평공간(A)은 슬라브거푸집(2)에 고정 설치된 매립박스(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서,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이 매립박스(1)를 중심으로 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슬래브 거푸집에는 종ㆍ횡방향으로 주 철근이 배치되어있기는 하지만 슬래브 전체가 촘촘한 것만은 아니다. 종ㆍ횡방향의 주 철근의 배치는 슬래브의 주변으로 갈수록 촘촘하고 중앙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조금씩 넓어지기 때문이다.
중앙부에 가까운 지점에 전기박스를 설치한다면 종래기술과 같은 과정으로 인한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지점은 전기박스가 거푸집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고압펌프로부터 분사되는 몰탈로 인해 전기박스가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아야하기 때문이다. 요즘 건축물에 사용되는 거푸집은 알루미늄 거푸집이 주로 사용된다. 목재거푸집에 비해 재사용횟수가 많으므로 경제적이다.
알루미늄 거푸집과 전기박스 고정구의 고정은 전동구의 회전에 의해 자주식으로 파고들어가는 드릴 나사못이 바람직하다.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그 효율성이 좋기 때문이다.
⒜ 본 발명은 슬래브용 전기박스 고정구의 외형을 원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는 탄성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주철근 사이의 4각형상의 수평 공간에 슬래브용 전기박스 고정구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구조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전기박스의 형상과 크기의 차이에 따른 수용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수용된 전기박스의 탄성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 알루미늄 거푸집에 체결된 드릴나사볼트의 전동공구 삽입부에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가 삽입ㆍ고정된 상태에서 양생된 슬래브로부터 알루미늄 거푸집이 탈형됨으로써 알루미늄 거푸집과 함께 드릴나사볼트도 빠져나오게 되어 양생된 슬래브표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 또한 외측 원호부와 내측 지지원호부의 펴짐과 수용의 상호 협력 작용에 의한 탄성 고정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전기박스가 탄성고정구조에 의하여 전기박스가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탄성고정구조가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래브의 거푸집에 설치되면서 주철근(50) 사이의 4각형상의 수평 공간부에 삽입ㆍ설치되는 전기박스 고정구에 있어서
원형상의 프레임(20)과 그 내부의 탄성 고정구조(30)에 의하여 전기박스(40)가 탄성ㆍ고정되되 프레임(20)에는 드릴나사볼트(25)가 삽입되는 볼트 체결부(23)와 철근 받침부(21)가 형성되어있으면서 볼트 체결부(23)는 외부로 돌출ㆍ형성되어있고, 철근 받침부(21)는 상부에 형성되어있으며, 탄성 고정구조(30)에는 프레임(20)에 고정된 연결부(32)와, 연결부(32)에 고정된 외측 원호부(33)와, 그리고 내측 지지원호부(34)로 형성되고, 외측 원호부(33)와 내측 지지원호부(34)가 서로 반대방향의 원호가 형성되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또 내측 지지원호부(34)의 탄성 펴짐에 대하여 그 늘어난 길이만큼 외측 원호부(33)가 이를 수용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이다.
여기에다 상기 프레임(20)의 중간부 외측 원호방향을 따라 보강테(22)를 다 수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이다.
또한 드릴나사볼트(25)는 드릴부(256)와, 나선부(254)와, 그리고 전동공구 삽입부(25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이다.
본 발명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의 외형이 원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슬래브 주철근(50) 사이의 4각형상의 수평 공간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4각형상의 수평 공간이 정사각형에서 약간 벗어난 직사각형인 경우에도 본 발명 원형상의 탄성 고정구가 약간 변형되면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다. 4각형상과는 달리 원형상이므로 그 변형의 정도가 크기 때문이다.
원형상의 프레임(20)은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를 지지하는 주 지지부재이므로 프레임(20)의 두께와 폭이 클수록 유리하다.
프레임(20)을 보강하기위하여 프레임(20)의 중간부 외측 원호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테(22)를 형성한 것이다.
먼저, 드릴나사볼트(25)에 의하여 프레임(20)이 알루미늄 거푸집(60)에 고정되는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볼트 체결부(23)는 프레임(20)의 외부로 돌출ㆍ형성되어있다. 드릴나사볼트(25)가 볼트 체결부(23)에 삽입되어 알루미늄 거푸집(6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드릴나사볼트(25)에는 머리부가 없다.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드릴나사볼트(25)를 먼저 체결한 다음 볼트 체결부(23)를 삽입하여 프레임(20)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드릴나사볼트(25)와 알루미늄 거푸집(60)과의 고정은 전동공구 삽입부(252)에 전동공구를 삽입하고, 이를 회전시켜 드릴나사볼트(25)의 나선부(254)가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나사ㆍ고정되게 함으로써 고정이 완료된다.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나사ㆍ고정된 드릴나사볼트(25)의 전동공구 삽입부(252)는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23)에 삽입되어 프레임(20)을 고정되게 하므로 이때의 드릴나사볼트(25)의 전동공구 삽입부(252)는 프레임(20)의 ‘체결고정부’로서 역할을 겸하게 된다.
다음으로 탈형시 알루미늄 거푸집(60)과 드릴나사볼트(25)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드릴나사볼트(25)가 고정되어있으면서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23)에 드릴나사볼트(25)의 전동공구 삽입부(252)가 견고하게 삽입ㆍ고정된 상태에서 슬래브에 콘크리트 몰탈이 타설되게 된다. 일정기간의 양생기간을 거친 다음 알루미늄 거푸집(60)을 탈형하게 된다. 알루미늄 거푸집(60)이 탈형되게 되면 알루미늄 거푸집(60)에 고정된 드릴나사볼트(25)도 함께 빠져나오게 된다. 드릴나사볼트(25)에 머리부가 없기 때문이다.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는 슬래브 콘크리트(S)에 그대로 매설되어있다.
드릴나사볼트(25)가 알루미늄 거푸집(60)과 함께 빠져나왔기 때문에 슬래브 콘크리트(S)의 표면에는 돌출된 이물질이 없어 슬래브표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 슬래브용 탄성 고정구조(30)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 원호부(33)와 내측 지지원호부(34)가 서로 반대방향의 원호를 그리면서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도4와 같이 전기박스(40)는 상기 탄성 고정구조(30) 내에 삽입된다. 삽입된 전기박스(40)는 내측 지지원호부(34)를 밖으로 밀면서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내측 지지원호부(34)에는 밖으로 밀린 만큼 강한 탄성작용을 받게 된다.
내측 지지원호부(34)가 밖으로 밀리면서 내측 지지원호부(34)가 펴지게 된다. 펴진 늘어난 길이는 원호가 이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외측 원호부(33)에 의하여 수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외측 원호부(33)와 내측 지지원호부(34)의 펴짐과 수용의 상호 협력에 의한 탄성고정구조(30)이므로 전기박스(40)가 탄성고정구조(3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탄성고정구조(30)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 본 발명은 슬래브용 전기박스 고정구의 외형을 원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는 탄성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므로 슬래브 주철근 사이의 4각형상의 수평 공간에 슬래브용 전기박스 고정구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고, 이와 동시에 내부구조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전기박스의 형상과 크기의 차이에 따른 수용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수용된 전기박스의 탄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 알루미늄 거푸집에 체결된 드릴나사볼트의 전동공구 삽입부에 프레임의 볼트 체결부가 삽입ㆍ고정된 상태에서 양생된 슬래브로부터 알루미늄 거푸집이 탈형되게 한 구성이므로 알루미늄 거푸집과 함께 드릴나사볼트도 빠져나오게 되어 양생된 슬래브표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 또한 외측 원호부와 내측 지지원호부의 펴짐과 수용의 상호 협력 작용에 의한 탄성고정구조이므로 탄성고정구조에 의하여 전기박스가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탄성고정구조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a]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제시된 기존기술의 단면도
[도1b] 도1a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한 종래기술의 사시도
[도2]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의 사시도
[도3]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가 슬래브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4] 도3의 평면도
[도5] 본 발명의 프레임이 알루미늄 거푸집에 체결ㆍ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가 슬래브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의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프레임(20)이 알루미늄 거푸집에 체결ㆍ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의 프레임(20)의 형상은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원형상이고, 프레임(20)의 내부에는 탄성 고정구조(30)가 형성되어있다.
프레임(20)의 외부에는 도2에서와 같이 볼트 체결부(23)가, 그 상부에는 철근 받침부(21)가, 그리고 그 하부에는 거푸집 받침부(24)가 형성되어있다.
프레임(20)과 탄성 고정구조(30)는 일체로 고정되어있다.
탄성 고정구조(30)는 도2에서와 같이 외측 원호부(33)와 내측 지지원호부(34)가 서로 반대방향의 원호를 그리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전기박스(40)는 탄성 고정구조(30)의 내측 지지원호부(34)에 삽입ㆍ안착된다. 이때 전기박스(40)는 내측 지지원호부(34)를 밖으로 밀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된다. 내측 지지원호부(34)는 전기박스(40)에 의하여 밖으로 밀린 만큼 내측 지지원호부(34)가 펴지게 되고, 이때 내측 지지원호부(34)는 강한 탄성작용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내측 지지원호부(34)의 펴진 길이는 원호가 이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외측 원호부(33)에 의하여 수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측 원호부(33)와 내측 지지원호부(34)의 펴짐과 수용의 상호 협력 작용에 의한 탄성고정구조(30)이므로 전기박스(40)의 고정이 견고할 뿐만 아니라 탄성고정구조(30)역시 안정된 구조를 갖는다.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의 고정은, 먼저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드릴나사볼트(25)를 고정한 다음, 프레임(20)의 볼트 체결부(23)에 상기 드릴나사볼트(25)의 ‘체결고정부’[즉, 전동공구 삽입부(252)]를 삽입ㆍ고정하는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드릴나사볼트((25)의 고정은, 전동공구 삽입부(252)에 전동공구를 삽입하고, 이를 회전시켜 드릴나사볼트(25)의 나선부(254)가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나사ㆍ고정되게 함으로써 알루미늄 거푸집(60)에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제, 알루미늄 거푸집(60)의 탈형과 관련하여 기술적 관계를 설명한다.
콘크리트 몰탈이 타설되기 전에는 알루미늄 거푸집(60)에 드릴나사볼트(25)에 의하여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가 고정되어있을 뿐이다.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이 타설되게 되면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는 콘크리트(S)에 매설된 상태이다.
그 후 타설된 몰탈이 양생되면 알루미늄 거푸집(60)을 탈형하게 된다.
드릴나사볼트(25)는 알루미늄 거푸집(60)과 고정되어있으면서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의 프레임(20)과는 강한 힘에 의하여 빠져나올 수 있는 삽입구조이다. 드릴나사볼트(25)에는 머리부가 없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거푸집(60)의 탈형 시에는 알루미늄 거푸집(60)에 강한 힘을 가해야한다. 알루미늄 거푸집(60)의 표면과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이 서로 강하게 접착되어있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거푸집(60)이 탈형되게 되면 드릴나사볼트(25)도 함께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60)과 함께 드릴나사볼트(25)가 빠져나왔기 때문에 슬래브 콘크리트(S)의 표면에는 돌출된 이물질이 전혀 없어 슬래브표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10)가 외측 원호부(33)와 내측 지지원호부(34)의 펴짐과 수용의 상호 협력 작용에 의한 탄성고정구조(30)인데다 탈형 시 알루미늄 거푸(60)집과 함께 드릴나사볼트(25)도 빠져나오는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전기박스(40)의 고정이 견고할 뿐만 아니라 슬래브표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20; 프레임, 21; 철근 받침부, 22; 보강테, 23; 볼트 체결부, 24; 거푸집 받침부, 25; 드릴나사볼트, 252; 전동공구 삽입부, 254; 나선부, 256; 드릴부
30; 탄성고정구조, 32; 연결부, 33; 외측 원호부, 34; 내측 지지원호부
40; 전기박스
50; 주철근
60; 알루미늄 거푸집
S; 슬래브 콘크리트

Claims (3)

  1. 슬래브의 거푸집에 설치되면서 주철근 사이의 4각형상의 수평 공간부에 삽입ㆍ설치되는 전기박스 고정구에 있어서

    원형상의 프레임(20)과 그 내부의 탄성 고정구조(30)에 의하여 전기박스(40)가 탄성ㆍ고정되되 프레임(20)에는 드릴나사볼트(25)가 삽입되는 볼트 체결부(23)와 철근 받침부(21)가 형성되어있으면서 볼트 체결부(23)는 외부로 돌출ㆍ형성되어있고, 철근 받침부(21)는 상부에 형성되어있으며, 탄성 고정구조(30)에는 프레임(20)에 고정된 연결부(32)와, 연결부(32)에 고정된 외측 원호부(33)와, 그리고 내측 지지원호부(34)로 형성되고, 외측 원호부(33)와 내측 지지원호부(34)가 서로 반대방향의 원호가 형성되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또 내측 지지원호부(34)의 탄성 펴짐에 대하여 그 늘어난 길이만큼 외측 원호부(33)가 이를 수용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중간부 외측 원호방향을 따라 보강테를 다 수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드릴나사볼트(25)는 드릴부(256)와, 나선부(254)와, 그리고 전동공구 삽입부(25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KR1020130067733A 2013-06-13 2013-06-13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KR10133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733A KR101332527B1 (ko) 2013-06-13 2013-06-13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733A KR101332527B1 (ko) 2013-06-13 2013-06-13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527B1 true KR101332527B1 (ko) 2013-11-22

Family

ID=4985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733A KR101332527B1 (ko) 2013-06-13 2013-06-13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5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23Y1 (ko) 2009-03-19 2009-07-21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23Y1 (ko) 2009-03-19 2009-07-21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KR101570484B1 (ko)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0847236B (zh) 一种预制电缆井及其施工方法
KR101523987B1 (ko)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h형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벽체용 에코 거푸집의 제작방법
KR101459003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KR101272601B1 (ko) 옥상 조형물의 피씨 접합 구조
KR101590180B1 (ko)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1332527B1 (ko)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CN111021593A (zh) 装配式剪力墙板连接装置及剪力墙板装配方法
KR101854653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75676B1 (ko) 합판거푸집 보강 띠판형 장선, 합판거푸집 보강구조 및합판거푸집 보강구조 해체 후 마감방법
CN111321807B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柱-柱集束钢筋连接结构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26200B1 (ko) 씨디관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 설치 방법과 벽체 조적 방법
KR101415369B1 (ko)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20033988A (ko) 철콘 구조의 고급화 방안
KR20130076845A (ko) 하이브리드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2381592B1 (ko)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KR100763027B1 (ko) 피씨 구조 방수턱
CN211114230U (zh) 一种剪力墙水平连接结构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