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369B1 -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369B1
KR101415369B1 KR1020120043816A KR20120043816A KR101415369B1 KR 101415369 B1 KR101415369 B1 KR 101415369B1 KR 1020120043816 A KR1020120043816 A KR 1020120043816A KR 20120043816 A KR20120043816 A KR 20120043816A KR 101415369 B1 KR101415369 B1 KR 101415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urface treatment
precast concrete
present
concre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710A (ko
Inventor
김강수
이득행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3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상부 현장타설 덧침 콘크리트 사이의 접촉면에서 충분한 수평전단강도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에 있어서, (a)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추가로 타설하는 단계와, (b)표면처리용 콘크리트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추가로 타설되고 요철이 형성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매개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덧침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압착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Surface treatment method for increasing shear bond strength of precast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by extrusion}
본 발명은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상부 현장타설 덧침 콘크리트 사이의 접촉면에서 충분한 수평전단강도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바닥판 공법으로 PC 부재의 상부에 덧침 콘크리트(Topping Concrete)를 현장타설하는 하프 PC 공법(Half PC Method, 부분 PC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C 부재의 상부에 현장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는 PC 부재와 일체화됨으로써 표면을 마감하며 추가적인 강도와 강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설계기준에서는 PC 부재와 현장타설 덧침 콘크리트의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접촉면에 충분한 수평전단강도를 가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PC 부재와 덧침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PC 부재의 상부 표면을 타설 직후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6mm 깊이 이상으로 거친표면처리를 하거나 상부 표면에 돌출되는 전단철근을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압축강도 4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압출압착 성형방식(Extrusion Method)으로 제작되는 PC 부재는 슬럼프가 매우 작고(거의 제로 슬럼프) 경화가 빠르기 때문에 완성된 PC 부재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기가 불가능하며 압착(강하게 두르림)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PC 부재 상부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전단철근을 돌출하여 배치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특1994-0019945(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1994. 9. 15.(특허문헌 1)이 있다. 이 배경기술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훅크(110)를 접합면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매설하고 표면을 거친마감으로 성형하여 현장타설 덧침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를 제안한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위에서도 이미 언급한 것처럼 슬럼프값이 제로에 가까워 경화가 빠르고 압착방식으로 제작되어 훅크를 돌출되게 설치할 수 없는 PC 부재의 상부 표면 마감방법으로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20396(대림산업(주) 등) 1998. 7. 15. (특허문헌 2)이 있다. 이 배경기술에서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의 표면에 시어 키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해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 위를 회전하면서 시어 키이 형상을 성형하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를 지지하고 또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로울러에 지지대가 결합되도록 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지지재가 삽입되는 삽입수단을 형성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의 시어 키이 성형기구를 개시한다. 이 배경기술에 따르면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 위에 시어 키이 성형기구를 올려놓은 다음 손잡이를 잡고 시어 키이 성형기구를 밀면 시어 키이 성형기구에 형성된 로울러가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 위에서 회전하면서 로울러의 자중에 의해 시어 키이(220) 형상이 도 10에서 같이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200) 표면에 성형하게 되는데,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압출압착방식으로 제작되어 콘크리트가 단단하고 견고한 PC 부재의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적용하기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갖는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공개특허공보 특1994-0019945(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1994. 9. 15.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20396(대림산업(주) 등) 1998. 7. 15.
본 발명은 제로 슬럼프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압출압착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부 표면을 거칠게 처리함으로써 덧침 콘크리트와의 전단부착성능을 향상시켜 접촉면에서 충분한 수평전단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압출압착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에 있어서, (a)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추가로 타설하는 단계와, (b)표면처리용 콘크리트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추가로 타설되고 요철이 형성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매개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덧침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단계에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갈퀴장치 또는 롤러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처리용 콘크리트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진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a)단계와 (b)단계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타설되고, 상기 (b)단계에서 요철은 거푸집에 의해 만들어진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은 돌기를 형성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간격재와, 상기 간격재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간격재의 위치를 고정시켜 거푸집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고정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재는 2개의 앵글부재를 위쪽에서 연결부재로 볼트 접합하여 채널형 단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PC 부재의 상부 표면에 소량의 물을 뿌리거나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친수성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PC 부재의 상부 표면을 처리할 수 있는 공법으로서 현장타설 덧침 콘크리트와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어 수평전단력에 대한 충분한 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표면의 돌출부 높이를 철근의 높이만큼 제작할 경우 현장에서 철근배근시 사용되는 간격재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필요에 따라 PC 부재의 상부 표면에 물, 시멘트 페이스트, 친수성 에폭시 수지 등을 도포하여 계면의 부착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압출압착 성형방식 PC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PC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출압착 성형방식 PC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PC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출압착 성형방식 PC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예에 적용되는 거푸집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도 6의 A-A 단면도이고 (b)는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PC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의 시어 키이 성형기구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성능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방법은 슬럼프가 매우 작고(거의 제로 슬럼프) 경화가 빠르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단단하고 견고하여 완성된 PC 부재의 표면을 직접적으로 거칠게 처리하기가 불가능하며 압착(강하게 두르림)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PC 부재 상부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전단철근을 돌출하여 배치하는 것도 불가능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표면에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PC 부재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는 압축강도 4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이고 슬럼프값은 제로 또는 제로에 가깝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는 국내외의 여건의 차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분야, 사용되는 대상(일반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규준(KS, 콘크리트 시방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그리고 기술자나 제품생산업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따르면 토목이나 건축구조물 모두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일반적으로 40MPa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슬럼프값은 슬럼프콘(Slump Cone)을 들어올린 후 처져 내린 길이를 cm 단위로 읽은 값으로서 콘크리트의 시공연도(Workability)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슬럼프값이 클수록 묽은 콘크리트이다. 표준 슬럼프값은 바닥이나 보에서 진동다짐의 경우 5~10cm이고 진동다짐이 아닌 경우 15~18cm이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의 슬럼프값은 0~0.2cm 정도로 거의 제로 슬럼프이다. 따라서 PC 부재는 콘크리트의 경화가 빠를 뿐만 아니라 경화된 콘크리트는 단단하여 PC 부재의 표면에 직접 홈을 형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PC 부재의 상부 표면에 별도의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표면처리용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을 거친마감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본 발명은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 및 표면처리용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거친마감을 하는 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3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들 방식의 공통점은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부 표면을 직접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덧침 콘크리트와 PC 부재 사이의 수평전단강도를 확보한다는 점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압출압착 성형방식 PC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PC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은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된 PC 부재(10)의 상부 표면에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를 추가로 타설한 후 갈퀴장치 또는 롤러장치(30)를 이용하여 표면처리용 콘크리트의 표면에 홈(21)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작된 PC 부재(10)의 상부 표면에 먼저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를 추가로 타설한다.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는 압축강도 20~40MPa 정도의 보통 콘크리트로서 표준 슬럼프값을 가진다. 따라서 고강도의 PC 부재(10)와 달리 표면에 직접 홈(21)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홈(21)은 굵지 않은 콘크리트의 표면에 거친 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갈퀴장치 또는 롤러장치(30)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홈(21)은 도시된 것처럼 PC 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길이방향과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사선방향, 사선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마름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21)은 덧침 콘크리트와의 전단부착성능 확보를 위해 충분한 깊이를 가져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6mm 이상의 깊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PC 부재(10)의 경화 정도에 따라 PC 부재(10)와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를 타설하기 전에 PC 부재(10)의 상부 표면에 소량의 물을 뿌리거나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친수성 에폭시 수지를 도포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PC 부재(10)로 PC 중공 슬래브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도시된 PC 중공 슬래브에 제한되지 않으며 덧침 콘크리트로 일체화되어 합성 슬래브로 거동하는 다양한 단면의 PC 슬래브 예를 들면, 리브드 슬래브, 더블 티 슬래브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제작된 PC 부재(10)의 상부 표면에 추가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를 타설하고 타설후 즉시 갈퀴장치 또는 롤러장치(30)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홈(21)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작업으로도 간단하게 표면을 처리할 수 있고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화방식으로도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에는 불가능하였던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된 PC 부재(10)의 상부 표면에 현장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와의 전단부착강도를 향상시키는 거친표면마감을 빠르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출압착 성형방식 PC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PC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은 제작된 PC 부재(10)의 상부에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를 타설하고 롤러장치(30) 등을 이용하여 홈(21)을 형성하는 제1 실시 예와 달리 PC 부재(10)를 제작하기 위한 제로 슬럼프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한 직후에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a)를 거나이트(Gunite, 40)를 이용한 뿜칠방식으로 도포하여 PC 부재(10)의 경화 후에 표면에 자연적인 요철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로(20a)는 숏크리트(shotcrete)가 사용된다. 숏크리트란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 시공 면에 뿜는 콘크리트를 말한다. 숏크리트로는 SFRC(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강섬유보강콘크리트) 숏크리트 또는 시멘트 페이스트 숏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SFRC 숏크리트는 강섬유가 혼입되어 있어 미소균열을 억제하므로 시멘트 페이스트 숏크리트보다 강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르면 PC 부재 콘크리트 타설 직후 바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뿜칠 시공함으로써 거푸집이 필요 없이 PC 부재의 상부 표면에 다양한 형상의 자연적인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시공자의 숙력도에 관계 없이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출압착 성형방식 PC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제3 실시 예에 적용되는 거푸집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의 (a)는 도 6의 A-A 단면도이고 (b)는 도 6의 B-B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PC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방법은 제작된 PC 부재(10)의 상부에 거푸집(50)을 설치한 후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b)를 타설하여 PC 부재(10)의 상부 표면에 다양한 형상의 돌기(22)를 형성한다.
돌기(22)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50)은, 도 6과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돌기(22)를 형성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간격재(51)와, 이 간격재(51)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간격재(51)의 위치를 고정시켜 거푸집(5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고정재(52)로 구성된다. 간격재(51) 사이에는 일정한 틈(51a)이 형성되고 이 틈(51a)에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b)가 타설되고 경화되어 돌기(22)를 형성한다. 따라서 간격재(51)는 돌기(22)를 형성시키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는 틈(51a)을 형성하면 되므로 그 형상이나 구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앵글부재(511)를 위쪽에서 연결부재(512)로 볼트 접합하여 채널형 단면으로 구성하면, 앵글부재(5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형성되는 돌기(22)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정재(52)로는 도시된 사각형 단면형상의 부재 이외에 다양한 단면 형상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간격재(51)의 연결부재(512)에 볼트 접합된다. 도면에서는 간격재(51)가 PC 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간격재(51)의 배치방향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거푸집(50)을 제작된 PC 부재(10)의 상부에 설치하고 표면처리용 콘크리트(20b)를 타설하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돌기(22)가 만들어져 PC 부재(10)의 상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따라서 덧침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돌기(22)의 형성 높이를 철근의 배근 위치와 일치시키면 현장에서 철근 배근시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한편, 도면에서 돌기(22)는 PC 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에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PC 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격자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PC 부재
20, 20a, 20b: 표면처리용 콘크리트
21: 홈
22: 돌기
30: 롤러장치
40: 거나이트
50: 거푸집
51: 간격재
52: 고정재

Claims (7)

  1.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에 있어서,
    (a)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추가로 타설하는 단계와,
    (b)표면처리용 콘크리트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에서 거푸집은 돌기를 형성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간격재와, 상기 간격재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간격재의 위치를 고정시켜 거푸집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고정재로 구성되며,
    상기 (b)단계에서 요철은 거푸집에 의해 만들어진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요철이 형성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매개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덧침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는 2개의 앵글부재를 위쪽에서 연결부재로 볼트 접합하여 채널형 단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표면처리용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PC 부재의 상부 표면에 소량의 물을 뿌리거나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친수성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KR1020120043816A 2012-04-26 2012-04-26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KR10141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16A KR101415369B1 (ko) 2012-04-26 2012-04-26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16A KR101415369B1 (ko) 2012-04-26 2012-04-26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10A KR20130120710A (ko) 2013-11-05
KR101415369B1 true KR101415369B1 (ko) 2014-07-04

Family

ID=4985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16A KR101415369B1 (ko) 2012-04-26 2012-04-26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516B1 (ko) * 2020-08-05 2022-05-26 씨제이대한통운 (주) Pc보,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266146B1 (ko) * 2020-08-05 2021-06-17 씨제이대한통운 (주)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763B1 (ko) * 1983-02-08 1990-09-21 스팬크리이트 세이죠우 가부시기기이샤 프리케스트판을 이용한 바닥시공 방법
JPH1193316A (ja) * 1997-09-24 1999-04-06 Arutesu:Kk 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のpc板及びpc板製造型枠
JP2003321871A (ja) * 2002-04-30 2003-11-14 Narimoto Miwa 鋼板面に対する生コンクリートの打設工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763B1 (ko) * 1983-02-08 1990-09-21 스팬크리이트 세이죠우 가부시기기이샤 프리케스트판을 이용한 바닥시공 방법
JPH1193316A (ja) * 1997-09-24 1999-04-06 Arutesu:Kk 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のpc板及びpc板製造型枠
JP2003321871A (ja) * 2002-04-30 2003-11-14 Narimoto Miwa 鋼板面に対する生コンクリートの打設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10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8378B (zh) 一种配筋式纤维编织网混凝土楼板及其制作方法和安装方法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KR101328045B1 (ko) 프리캐스트 고성능 섬유시멘트 복합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복합기둥공법
JP2017507259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部材のプレハブ構造要素、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
KR101415369B1 (ko)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KR101854653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N114753668B (zh) 一种无粘结预应力钢丝绳加固砖砌体墙的施工方法
KR101808482B1 (ko) 조립식 건축용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JP3615834B2 (ja) 擁壁の施工方法
CN211415593U (zh) 一种预制墙板的边模系统
CN21171418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结构
JP2010240905A (ja) リブ付きセメント系パネルの製造方法、リブ付きセメント系パネル、および構造物の製造方法
KR102120426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JP2023060617A (ja) 建物の立ち上がり基礎のu字形捨て型枠
CN110696160A (zh) 一种预制墙板的边模系统及其生产方法
CN105926820A (zh) 一种预制梁钢承板电阻网片组合楼面的施工工法
KR100650017B1 (ko) 에스아이비공법 건축물 시공방법
KR20190139369A (ko)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입체형 와이어 메쉬
JP7455931B1 (ja) プレキャスト板の製作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板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CN219132679U (zh) 一种预制混凝土板模具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KR100726115B1 (ko) 라운드 콘크리트 선타설공법
KR1011912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RU2184195C1 (ru) Слоистая плита низких сводов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