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146B1 -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146B1
KR102266146B1 KR1020200111806A KR20200111806A KR102266146B1 KR 102266146 B1 KR102266146 B1 KR 102266146B1 KR 1020200111806 A KR1020200111806 A KR 1020200111806A KR 20200111806 A KR20200111806 A KR 20200111806A KR 102266146 B1 KR102266146 B1 KR 10226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einforcing
landing
stair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학
황현식
정성대
오희재
하정국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주식회사 인하우스앤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주식회사 인하우스앤피씨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2Moulds for making units for prefabricated buildings, i.e. units each comprising an important section of at least two limiting planes of a room or space, e.g. cells; Moulds for making prefabricated stair units
    • B28B7/225Moulds for making units for prefabricated buildings, i.e. units each comprising an important section of at least two limiting planes of a room or space, e.g. cells; Moulds for making prefabricated stair units for making stairs or stair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ste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stairs or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0205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 E04F2011/021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 E04F2011/0212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mainly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계단 형상을 하고, 상하 방향으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계단 블록;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 보강홀부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및 보강홀부를 메꾸도록 형성되는 보강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계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PC STAIR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종래에는 현장에서 타설하는 전통적인 습식공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현장시공에 따른 발생할 수 있는 불량시공을 방지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기둥, 보, 슬래브 등 주요 구조체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이를 단순 조립하는 건식공법의 적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라멘 구조 등 각 구조체를 강결하는 구조에서 순수한 건식공법에 의한 시공은 연결 내지 이음부에서의 시공에 정밀성이 요구되므로 자칫 불량시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 슬래브, 계단 등의 구조체를 몸체의 일부분만 공장에서 제작한 PC보, PC슬래브, PC계단 등을 현장으로 이송한 후, 현장에서는 PC부재들을 조립하고 덧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체들 간의 결합을 라멘 구조화시킬 수 있는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75960호(2008.12.18. 등록, 발명의 명칭 : PC계단의 시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단 시공방법은 계단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계단 본체를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를 배근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하부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부철근부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부철근부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계단 본체의 하면을 숏크리트 시공하여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숏크리트 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계단 본체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단 본체는, 계단 형상을 하는 계단 블록;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 및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PC계단 시공방법은 PC계단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C계단을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를 배근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하부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부철근부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부철근부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PC계단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C계단은 계단 형상을 하는 계단 블록;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 및 상기 하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PC계단은 계단 형상을 하고, 상하 방향으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계단 블록;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 상기 보강홀부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및 상기 보강홀부를 메꾸도록 형성되는 보강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상부콘크리트부; 및 상기 하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측메쉬부와 상기 하측메쉬부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계단 블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PC계단 제조방법은 계단 형상을 하고, 상하 방향으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계단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상측메쉬부를 배치하고,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하측메쉬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홀부의 내부에 보강철근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홀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보강홀부를 메꾸는 보강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측메쉬부를 덮는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측메쉬부를 덮는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숏크리트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PC계단 시공방법은 PC계단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C계단을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를 배근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하부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부철근부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부철근부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C계단은 계단 형상을 하고, 상하 방향으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계단 블록;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 상기 보강홀부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보강홀부를 메꾸도록 형성되는 보강콘크리트부; 상기 상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상부콘크리트부; 및 상기 하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철근부와 상기 상부철근부 및 상기 하부철근부는 교차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PC계단이 공장에서 미리 제조되므로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C계단이 경량 자재이므로 현장에서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C계단이 보강철근부와 상하부철근부가 교차 배치된 상태에서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PC계단의 접합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를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 사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와 하부철근부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의 하면에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을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와 하부철근부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에 보강철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에 보강철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의 보강홀부에 보강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의 하면에 계단하부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의 하면에 계단하부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을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와 하부철근부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 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를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 사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와 하부철근부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의 하면에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1)는 계단 블록(10), 상측메쉬부(15), 하측메쉬부(16)를 포함한다.
계단 블록(10)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계단 블록(10)은 단열재로서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 EP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열재의 재질은 발포스티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열재도 가능하다.
계단 블록(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선지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홀부(11)가 형성된다. 보강홀부(11)에는 계단 블록(10)의 강성 향상을 위해 보강철근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보강철근부 등은 현장에서 보강홀부(11)에 설치되고, 콘크리트를 보강홀부(11)에 타설함으로써 경화된 콘크리트에 의해 보강철근부 등은 계단 블록(10)과의 결합 강도가 증대된다.
보강철근부 등은 상부계단참(21)에 배근되는 상부철근부(22)와, 하부계단참(26)에 배근되는 하부철근부(27)와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의 형성에 따라 계단 본체(1)는 보강철근부 등을 통해 상부계단참(21)과 하부계단참(26)과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상측메쉬부(15)는 계단 블록(10)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하측메쉬부(16)는 계단 블록(10)의 하면 측에 배치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콘크리트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계단 본체(1)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계단 블록(10)에는 복수개의 연결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핀은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연결핀이 계단 블록(10)을 관통하여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연결핀이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핀은 계단 블록(10)과 상측메쉬부(15)를 연결하고, 계단 블록(10)과 하부메쉬부(16)를 연결한다. 하나의 연결핀으로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를 계단 블록(10)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핀과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하나의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에 의해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이 덮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단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의 시공방법은 계단 본체(1)를 제작하는 단계(도 1 참조), 계단 본체(1)를 상부계단참(21)과 하부계단참(26)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도 2 참조), 상부계단참(21)에 상부철근부(22)를 배근하고, 하부계단참(26)에 하부철근부(26)를 배근하는 단계(도 3 참조), 상부계단참(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철근부(22)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를 형성하고, 하부계단참(26)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철근부(27)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단계(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보강홀부(11)에 보강철근부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보강홀부(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보강철근부 등과 계단 블록(10) 간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보강철근부 등은 상부철근부(22)와 하부철근부(27)와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계단 본체(1)는 보강철근부 등과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부계단참(21)과 하부계단참(26)과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는 계단 본체(1)의 하면을 숏크리트 시공하여 계단하부콘크리트부(미도시)를 형성하는 단계(도 5 참조)를 진행한다.
숏크리트 시공하여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한 단계 이후에는 계단 본체(1)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30)를 형성하는 단계(도 6 참조)를 진행한다.
계단상부콘크리트부(30)는 숏크리트 시공에 의하여 시공될 수 있고, 또한 형틀을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단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을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와 하부철근부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계단(2)은 계단 블록(10), 상측메쉬부(15), 하측메쉬부(16), 계단하부콘크리트부(12)를 포함한다.
계단 블록(10)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계단 블록(10)은 단열재로서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 EP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열재의 재질은 발포스티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열재도 가능하다.
계단 블록(10)에는 상하 방향으로 보강홀부(11)가 형성된다. 보강홀부(11)에는 계단 블록(10)의 강성 향상을 위해 보강철근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보강철근부 등은 현장에서 보강홀부(11)에 설치되고, 콘크리트를 보강홀부(11)에 타설함으로써 경화된 콘크리트에 의해 보강철근부 등은 계단 블록(10)과의 결합 강도가 증대된다.
보강철근부 등은 상부계단참(21)에 배근되는 상부철근부(22)와, 하부계단참(26)에 배근되는 하부철근부(27)와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의 형성에 따라 계단 블록(10)은 보강철근부 등을 통해 상부계단참(21)과 하부계단참(26)과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상측메쉬부(15)는 계단 블록(10)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하측메쉬부(16)는 계단 블록(10)의 하면 측에 배치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콘크리트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계단 블록(10)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계단 블록(10)에는 복수개의 연결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핀은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연결핀이 계단 블록(10)을 관통하여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연결핀이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핀은 계단 블록(10)과 상측메쉬부(15)를 연결하고, 계단 블록(10)과 하부메쉬부(16)를 연결한다. 하나의 연결핀으로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를 계단 블록(10)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핀과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하나의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에 의해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이 덮일 수 있다.
계단하부콘크리트부(12)는 하측메쉬부(16)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계단하부콘크리트부(12)는 숏크리트 시공에 의하여 시공될 수 있고, 또한 형틀을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의 시공방법은 PC계단(2)을 제작하는 단계(도 8 참조), PC계단(2)을 상부계단참(21)과 하부계단참(26)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도 9 참조), 상부계단참(21)에 상부철근부(22)를 배근하고, 하부계단참(26)에 하부철근부(26)를 배근하는 단계(도 10 참조), 상부계단참(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철근부(22)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를 형성하고, 하부계단참(26)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철근부(27)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단계(도 11 참조)를 포함한다.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보강홀부(11)에 보강철근부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보강홀부(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보강철근부 등과 계단 블록(10) 간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보강철근부 등은 상부철근부(22)와 하부철근부(27)와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PC계단(2)은 보강철근부 등과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부계단참(21)과 하부계단참(26)과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는 PC계단(2)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30)를 형성하는 단계(도 12 참조)를 진행한다.
계단상부콘크리트부(30)는 숏크리트 시공에 의하여 시공될 수 있고, 또한 형틀을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에 보강철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에 보강철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의 보강홀부에 보강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의 하면에 계단하부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단 블록의 하면에 계단하부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을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와 하부철근부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에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계단(2)은 계단 블록(10), 상측메쉬부(15), 하측메쉬부(16), 보강철근부(18), 보강콘크리트부(18A), 계단상부콘크리트부(19A),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를 포함한다.
계단 블록(10)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계단 블록(10)은 단열재로서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 EP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열재의 재질은 발포스티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열재도 가능하다.
계단 블록(10)에는 상하 방향으로 보강홀부(11)가 형성된다. 보강홀부(11)에는 계단 블록(10)의 강성 향상을 위해 보강철근부(18) 등이 설치된다. 보강철근부(18)의 양 단부는 절곡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계단참에 설치하는 경우, 계단참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측메쉬부(15)는 계단 블록(10)의 상면 측에 배치되고, 하측메쉬부(16)는 계단 블록(10)의 하면 측에 배치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콘크리트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계단 본체(1)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계단 블록(10)에는 복수개의 연결핀(17)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핀(17)은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연결핀(17)이 계단 블록(10)을 관통하여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연결핀(17)이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핀(17)은 계단 블록(10)과 상측메쉬부(15)를 연결하고, 계단 블록(10)과 하부메쉬부(16)를 연결한다. 하나의 연결핀(17)으로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를 계단 블록(10)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핀(17)과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하나의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에 의해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이 덮일 수 있다.
보강철근부(18)는 보강홀부(11)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보강홀부(11)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보강콘크리트부(18A)는 보강홀부(11)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보강콘크리트부(18A)에 의해 보강철근부(18)는 계단 블록(10)과의 결합 강도가 증대된다.
보강철근부(18)는 공사 현장에서 상부계단참(21)에 배근되는 상부철근부(22)와, 하부계단참(26)에 배근되는 하부철근부(27)와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와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의 형성에 따라 PC계단(2)은 보강철근부(18)를 통해 상부계단참(21)과 하부계단참(26)과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계단상부콘크리트부(19A)는 상측메쉬부(15)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계단상부콘크리트부(19A)는 숏크리트 시공에 의하여 시공될 수 있고, 또한 형틀(M)을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될 수 있다.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는 하측메쉬부(16)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는 숏크리트 시공에 의하여 시공될 수 있고, 또한 형틀(M)을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의 제조방법은 계단 형상을 하고, 상하 방향으로 보강홀부(11)를 구비하는 계단 블록(10)을 제작하는 단계, 계단 블록(10)의 상면 측에 상측메쉬부(15)를 배치하고, 계단 블록(10)의 하면 측에 하측메쉬부(16)를 배치하는 단계(도 13 참조), 보강홀부(11)의 내부에 보강철근부(18)를 배치하는 단계(도 14, 도 15 참조), 계단 본체(1)를 형틀(M)에 넣은 상태에서 계단 본체(1) 외면에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한편, 보강홀부(11)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한다(도17 참조) 여기서 계단 본체(1)는 상측메쉬부(15)와 하측메쉬부(16)가 설치된 계단 블록(10)을 지칭한다.
보강홀부(1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보강철근부(18)를 둘러싸면서 보강홀부(11)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굳게 된다. 이로써 보강콘크리트부(18A)는 내부에 보강철근부(18)가 배치되고, 보강홀부(11)의 각 면에 접하여 계단 블록(10)과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의 제조방법은 계단 블록(10)을 계단형상이 형성된 금형(M)에 넣고서(금형 내부에 계단 형상이 형성됨), 콘크리트를 부어서 계단 블록(10)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측메쉬부(15)를 덮는 계단상부콘크리트부(19A)를 형성하면서 계단 블록(10)의 하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측메쉬부(16)를 덮는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를 형성하는 단계(도 17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단 블록(10)을 금형(M)에 넣는 경우, 계단 블록(10)의 상부(계단부가 있는 영역)이 아래를 향하게 하고, 계단 블록(10)의 하부가 위를 향하게 한다. 보강 철근부(18)는 금형(M)의 외벽을 관통하여 지지되고, 보강 철근부(18)는 하측 메쉬부(16)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 철근부(18)가 금형(M)의 외벽에 지지되는 경우, 계단 블록(10)도 같이 지지되며, 계단 블록(10)의 상면/측면과, 금형의 내부 내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콘크리트가 부어지는 경우, 계단 블록(10)의 각 단에 형성된 구멍사이로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금형의 내부 내면과 계단 블록(10)의 상면/측에 채워져서 계단 상부 콘크리트부(19A) 및 측면 콘크리트를 형성한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계속 부으면, 콘크리트가 올라와서 보강홀부(11)를 채우고 더 위로 올라와서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금형(M)의 측면 상단부가 계단 블록(10)의 하면보다 높게 배치되어 그 높이 차이만큼 콘크리트가 채워져서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의 표면을 다듬어서 평평하게 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를 형성하는 단계는 계단 블록(10)의 하면에 콘크리트를 숏크리트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계단 블록(10)의 상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형틀(M)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면서 계단 블록(10)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19A)를 형성한다. 이때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는 하측메쉬부(16)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보강콘크리트부(18A)와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는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메쉬부(15)를 배치하고, 하측메쉬부(16)를 배치하는 단계는 연결핀(17)으로 계단 블록(10)과 상측메쉬부(15)를 연결하고, 계단 블록(10)과 하측메쉬부(16)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계단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의 시공방법은 PC계단(2)을 제작하는 단계(도 18 참조), PC계단(2)을 상부계단참(21)과 하부계단참(26)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도 19, 도 20 참조), 상부계단참(21)에 상부철근부(22)를 배근하고, 하부계단참(26)에 하부철근부(27)를 배근하는 단계(도 21 참조), 상부계단참(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철근부(22)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를 형성하고, 하부계단참(26)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철근부(27)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를 형성하는 단계(도 22, 도 23 참조)를 포함한다.
상부철근부(22)와 하부철근부(27)를 배근하는 단계에서, 상부철근부(22)와 하부철근부(27)는 보강철근부(18)와 교차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PC계단(2)과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23)간의 결합력과, PC계단(2)과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28)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C계단(2)에 이미 계단상부콘크리트부(19A)와 계단하부콘크리트부(19B)가 이미 형성되어 있으므로, PC계단(2)을 현장에 설치한 이후에 계단 블록(10)의 상면과 하면에 콘크리트 시공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2 : PC계단
10 : 계단 블록
11 : 보강홀부
15 : 상측메쉬부
16 : 하측메쉬부
17 : 연결핀
18 : 보강철근부
18A : 보강콘크리트부
19A : 계단상부콘크리트부
19B : 계단하부콘크리트부

Claims (15)

  1. 계단 형상을 가지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선지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단열재질의 계단 블록과,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와,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를 이용하여 계단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계단 본체를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를 배근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하부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부철근부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부철근부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계단 본체의 하면을 숏크리트 시공하여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계단 본체의 상면에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계단 형상을 가지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선지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단열재질의 계단 블록과,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와,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를 이용하여 PC계단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C계단을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를 배근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하부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부철근부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부철근부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PC계단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측 메쉬부를 덮도록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PC계단의 하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측 메쉬부를 덮도록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계단 시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계단 형상을 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선지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단열재질의 계단 블록;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
    상기 보강홀부의 내부에 계단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사선지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및
    상기 보강홀부를 메꾸도록 형성되는 보강콘크리트부와,
    상기 상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상부콘크리트부; 및
    상기 하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계단.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메쉬부와 상기 하측메쉬부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계단 블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계단.
  11. 계단 형상을 가지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선지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단열재질의 계단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상측메쉬부를 배치하고,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하측메쉬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홀부의 내부에 보강철근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홀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보강홀부를 메꾸는 보강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측메쉬부를 덮는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측메쉬부를 덮는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계단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상부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숏크리트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계단 제조방법.
  14. PC계단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C계단을 상부계단참과 하부계단참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계단참에 상부철근부를 배근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하부철근부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부철근부를 덮도록 상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하부철근부를 덮도록 하부계단참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C계단은;
    계단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선지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홀부를 구비하는 단열재질의 계단블록;
    상기 계단 블록의 상면 측에 배치되는 상측메쉬부;
    상기 계단 블록의 하면 측에 배치되는 하측메쉬부;
    상기 보강홀부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보강홀부를 메꾸도록 형성되는 보강콘크리트부;
    상기 상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상부콘크리트부; 및
    상기 하측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계단하부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계단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부와 상기 상부철근부 및 상기 하부철근부는 교차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계단 시공방법.
KR1020200111806A 2020-08-05 2020-09-02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266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8235 2020-08-05
KR1020200098235 2020-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146B1 true KR102266146B1 (ko) 2021-06-17

Family

ID=7660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806A KR102266146B1 (ko) 2020-08-05 2020-09-02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1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319A (ja) * 1991-10-16 1993-04-27 Kajima Corp ハーフpc板を使用する階段の構築法
KR100226168B1 (ko) * 1997-12-19 1999-10-15 이정국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단 시공방법
KR20120000245A (ko) * 2010-06-25 2012-01-02 (주)대우건설 조력 발전소 조립장용 프리캐스트 계단 시공 방법
KR20130120710A (ko) * 2012-04-26 2013-11-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319A (ja) * 1991-10-16 1993-04-27 Kajima Corp ハーフpc板を使用する階段の構築法
KR100226168B1 (ko) * 1997-12-19 1999-10-15 이정국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단 시공방법
KR20120000245A (ko) * 2010-06-25 2012-01-02 (주)대우건설 조력 발전소 조립장용 프리캐스트 계단 시공 방법
KR20130120710A (ko) * 2012-04-26 2013-11-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출압착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22B1 (ko)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KR101458434B1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711034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を用いた柱梁架構の施工方法
KR102266146B1 (ko) Pc계단,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0396583B1 (ko) 개량된 프리캐스트 벽체 부재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10583B1 (ko) Pc기둥과 철골보의 복합구조
KR102331556B1 (ko) Pc더블거더,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과 pc더블거더 구조물
JP2002349006A (ja) 段差スラブ成形用コンクリート版及びこれを用いた段差スラブ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58468B1 (ko)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59057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端部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柱架構
KR102282380B1 (ko) Pc기둥,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0203012B1 (ko) Pc 슬라브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456192B1 (ko) 외력을 받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
KR102402516B1 (ko) Pc보,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N112609867A (zh) 带三维向高效连接构造的预制剪力墙腔体和连接结点配置
JPH061042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方法
KR102346192B1 (ko)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090306B1 (ko) Pc 벽-슬래브 결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7231523B2 (ja) コンクリート造の建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585728B1 (ko) 거더와 기둥이 일체화된 프리스트레싱력이 작용하는 프리캐스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6428794U (zh) 一种装配式多腔复合混凝土框架柱
KR102482995B1 (ko) Pc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