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192B1 -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192B1
KR102346192B1 KR1020200111768A KR20200111768A KR102346192B1 KR 102346192 B1 KR102346192 B1 KR 102346192B1 KR 1020200111768 A KR1020200111768 A KR 1020200111768A KR 20200111768 A KR20200111768 A KR 20200111768A KR 102346192 B1 KR102346192 B1 KR 10234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wire mesh
block body
concret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학
황현식
정성대
오희재
하정국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주식회사 인하우스앤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주식회사 인하우스앤피씨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랑부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단열재 재질의 블록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와, 일측면의 반대 측인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를 설치하는 단계와, 고랑부에 보강철근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고랑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랑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1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슬래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PC SLAB,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종래에는 현장에서 타설하는 전통적인 습식공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현장시공에 따른 발생할 수 있는 불량시공을 방지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기둥, 보, 슬래브 등 주요 구조체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이를 단순 조립하는 건식공법의 적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라멘 구조 등 각 구조체를 강결하는 구조에서 순수한 건식공법에 의한 시공은 연결 내지 이음부에서의 시공에 정밀성이 요구되므로 자칫 불량시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 슬래브 등의 구조체를 몸체의 일부분만 공장에서 제작한 PC기둥, PC보, PC슬래브 또는 데크플레이트 등을 현장으로 이송한 후, 현장에서는 PC부재들을 조립하고 덧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체들 간의 결합을 라멘 구조화시킬 수 있는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PC슬래브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를 갖는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타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및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고랑부에 타설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상기 보강철근부를 일체화시키는 고랑콘크리트부;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PC슬래브 제조방법은 고랑부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블록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랑부에 보강철근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고랑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랑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1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콘크리트부가 바닥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핀과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는 상기 핀에 의해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와이어부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PC슬래브 시공방법은 거치부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를 배열하는 단계; 이웃한 상기 PC슬래브를 덮는 연결철근망부를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덮도록 상기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부에 의해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PC슬래브 상에 상기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는 스페이서받침대를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페이서받침대는, 상기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는 삽입보스부; 및 상기 삽입보스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보스부보다 더 큰 횡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PC슬래브와 맞닿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페이서부는 외측면에 볼록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보스부는 내측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돌기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쐐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C슬래브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를 갖는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타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및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C슬래브는,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고랑부에 타설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상기 보강철근부를 일체화시키는 고랑콘크리트부;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갈고리부가 구비되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 및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갈고리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2철근(또는 세로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PC슬래브 시공방법은 거치부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를 배열하는 단계; 이웃한 상기 PC슬래브를 덮는 연결철근망부를 상기 PC슬래브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덮도록 상기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PC슬래브에 놓이는 하부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망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망; 및 상기 하부망과 상기 상부망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망을 상기 하부망과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C슬래브는,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PC슬래브 시공방법은 거치부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를 배열하는 단계; 이웃한 상기 PC슬래브의 트러스부를 연결하는 배력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트러스부와 상기 배력근을 덮도록 상기 배력근이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PC슬래브의 하면을 숏크리트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러스부는, 상기 PC슬래브의 블록 본체에 놓이는 하부근; 상기 하부근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근; 및 상기 하부근과 상기 상부근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근을 상기 하부근과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대각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C슬래브는, 상기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용접 결합되는 상기 트러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력근이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트러스부 및 상기 배력근을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1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C슬래브의 바닥면을 숏크리트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숏크리트 시공하여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PC슬래브는 고랑부를 가지며 단열재 재질의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타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연결철근부: 상기 고랑부에 타설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상기 보강철근부 및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를 일체화시키는 고랑콘크리트부;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부; 및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2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에 매설되며,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철근 또는 철선 또는 트러스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단부가 상기 제2콘크리트부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연결철근; 및 일단부가 상기 수평연결철근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수직연결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연결철근은, 상기 수평연결철근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철근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중앙수직연결철근; 및 상기 수평연결철근의 양 단부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철근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단부수직연결철근을 포함하되, 상기 단부수직연결철근을 이루는 복수 개의 상기 철근은 상기 중앙수직연결철근을 이루는 복수 개의 상기 철근 보다 이격거리가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 본체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고랑부는 상기 개별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PC슬래브 제조방법은 고랑부가 구비되는 블록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랑부에 보강철근부와 전단연결철근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제1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랑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랑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상기 제2콘크리트부에 의해 덮이되, 단부가 상기 제2콘크리트부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핀과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는 상기 핀에 의해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와이어부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른 PC슬래브 시공방법은 거치부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를 배열하는 단계; 이웃한 상기 PC슬래브를 덮는 연결철근망부를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덮도록 상기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PC슬래브는, 고랑부를 가지며 단열재 재질의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타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연결철근부; 상기 고랑부에 타설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상기 보강철근부 및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를 일체화시키는 고랑콘크리트부;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부; 및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2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단부가 상기 제2콘크리트부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상기 전단연결철근부에 의해 상기 제2콘크리트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에 매설되며, 상기 보강철근부는 철근 또는 철선 또는 트러스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상기 PC슬래브의 상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전단연결철근부와 상기 연결철근망부(90)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탑핑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갈고리부가 구비되는 제1철근; 및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갈고리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2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PC슬래브는 고랑부를 가지며 단열재 재질의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타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연결철근부; 상기 고랑부에 타설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상기 보강철근부 및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를 일체화시키는 고랑콘크리트부;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2콘크리트부; 및 상기 제2콘크리트부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에 연결되는 연결철근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에 매설되며,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철근 또는 철선 또는 트러스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연결철근; 및 일단부가 상기 수평연결철근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수직연결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연결철근은, 상기 수평연결철근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철근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중앙수직연결철근; 및 상기 수평연결철근의 양 단부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철근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단부수직연결철근;을 포함하되, 상기 단부수직연결철근을 이루는 복수 개의 상기 철근은 상기 중앙수직연결철근을 이루는 복수 개의 상기 철근 보다 이격거리가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 본체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고랑부는 상기 개별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PC슬래브 제조방법은 고랑부가 구비되는 블록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랑부에 보강철근부와 전단연결철근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전단연결철근부의 상단부에 연결철근망부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제1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랑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랑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덮고, 상기 전단연결철근부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상기 제2콘크리트부에 의해 덮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핀과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는 상기 핀에 의해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와이어부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른 PC슬래브 시공방법은 거치부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를 배열하는 단계; 일측은 상기 PC슬래브 상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거치부 상에 배치되도록 보연결철근망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PC슬래브의 연결철근망부와 상기 보연결철근망부를 덮도록 상기 PC슬래브와 상기 거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PC슬래브는, 고랑부를 가지며 단열재 재질의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타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단연결철근부; 상기 고랑부에 타설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상기 보강철근부 및 상기 전단연결철근부를 일체화시키는 고랑콘크리트부;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부;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2콘크리트부; 및 상기 제2콘크리트부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단연결철근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상기 전단연결철근부에 의해 상기 제2콘크리트부의 표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에 매설되며, 상기 보강철근부는 철근 또는 철선 또는 트러스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와 상기 보연결철근망부를 덮도록 상기 PC슬래브와 상기 거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상기 PC슬래브와 상기 거치부의 상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연결철근망부와 상기 보연결철근망부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탑핑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갈고리부가 구비되는 제1철근; 및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갈고리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2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PC슬래브가 공장에서 미리 제조되므로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C슬래브가 경량 자재이므로 현장에서의 양중장비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적인 PC슬래브가 연결철근망부와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PC슬래브의 접합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PC슬래브 대비 콘크리트량 최소화/경량화로 동일 춤대비 장스팬 이 가능해지며, 상하부의 와이어메쉬를 접합하기 위해서 블록 본체를 관통한 핀(또는 용접 와이어)간의 간격(예, 15cm/30cm간격)으로 와이어 메쉬의 접합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하부 콘크리트내 블록본체가 단열재로 구성되므로, 단열성능 우수하고, PC슬라브 하면이 평탄하므로 별도 마감공정이 불필요하다.
한편, 상부 토핑이 되는 제2콘크리트부 내부에 연결 철근망이 사용되므로 슬라브내 일반 철근 대비 시공성 향상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공기 단축 및 품질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연결 철근망의 배근 간격이 배근간격 통일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 연결 철근망과 일체로 구성되는 스페이서 사용으로 연결 철근망 유효춤 관리가 확실해져서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연결 철근망 간격유지용)의 하부에 별도의 스페이서 받침대 설치로 블록 본체가 스페이서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뚫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페이서 받침내의 보스부 내부에 돌출 쐐기가 있어서, 스페이서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된 이후에, 돌출쐐기에 걸려서 스페이서 받침대의 보스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블록 본체 위에 상부 연결 철근망과 하부 연결 철근망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스페이서로 구성되는 철근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 해당 철근 구조물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탑핑콘크리트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블록 본체 위에 상부근, 하부근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대각근으로 구성되는 트러스 형태의 철근 구조물도 설치될 수 있는바, 이 경우에도 해당 철근 구조물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탑핑콘크리트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PC슬래브의 전단연결철근부와 탑핑콘크리트부가 현장에서 전단 연결되므로, PC슬래브와 탑핑콘크리트부 간의 경계부 계면의 파괴가 방지되고, 슬래브 전체의 전단보강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부가 형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운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스페이서받침대가 놓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스페이서받침대가 놓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서 연결철근망부가 스페이서받침대에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서 연결철근망부가 스페이서받침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서 연결철근망부와 스페이서받침대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에서 연결철근망부와 스페이서받침대 부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서 연결철근망부와 스페이서받침대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에서 연결철근망부와 스페이서받침대 부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연결철근망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블록부에 트러스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트러스부에 배력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가 타설된 PC슬래브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하면에 숏크리트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 제1철근(또는 가로근)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이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단연결철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의 고랑부에 전단연결철근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에 보강철근부와 전단연결철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3 및 도 4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록부가 형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의 고랑부에 전단연결철근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에 보강철근부와 전단연결철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단연결철근부에 연결철근망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4 및 도 5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 보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 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부가 형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운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스페이서받침대가 놓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스페이서받침대가 놓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서 연결철근망부가 스페이서받침대에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서 연결철근망부가 스페이서받침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에서 연결철근망부와 스페이서받침대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3에서 연결철근망부와 스페이서받침대 부위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에서 연결철근망부와 스페이서받침대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4에서 연결철근망부와 스페이서받침대 부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 제1철근(또는 가로근)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이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블록 본체(10), 핀(20), 제1와이어메쉬부(30), 제2와이어메쉬부(40), 연결와이어부(50)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10)는 일측면에는 표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는 고랑부(11)가 블록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구비된다.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1)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고랑부(11)가 형성됨에 따라 블록 본체(10)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블록 본체(1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보다 견고하게 블록 본체(10)에 부착된다. 블록 본체(10)는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과 같은 단열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록 본체(10)의 단열재 재질은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에 한하지 않는다.
블록 본체(10)에는 복수개의 핀(20)이 결합된다. 각각의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핀(20)이 블록 본체(10)를 관통하여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2개의 핀(20)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핀(20)은 블록 본체(10) 상에 복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콘크리트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PC슬래브(2)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연결와이어부(50)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즉, 연결와이어부(5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이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연결와이어부(50)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연결와이어부(50)는 블록 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각각 하나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덮일 수 있다.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각각 배치하고,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여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보강철근부(60),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를 더 포함한다.
보강철근부(60)는 고랑부(11) 내에 고랑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보강철근부(60)는 철근, 철선 또는 트러스철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철근부(60)가 도시된 구조는 도 36에서 나타난다.
고랑콘크리트부(71)는 고랑부(11)에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블록 본체(10)와 보강철근부(60)를 일체화시킨다. 보강철근부(60)는 고랑콘크리트부(71)에 매설되며, 보강철근부(60)는 철근 또는 철선 또는 트러스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콘크리트부(72)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제1콘크리트부(72)는 고랑콘크리트부(71)와 연결된다.
고랑콘크리트부(71)와 제1콘크리트부(72)는 형틀(M) 내에서 한 번의 콘크리트의 타설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고랑콘크리트부(71)와 제1콘크리트부(72)까지 형성된 PC슬래브(2)는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공사 현장으로 운반된다. 이때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PC슬래브(2)는 제1콘크리트부(72)가 하부에 오도록 적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기존 PC슬래브와 대비하여 콘크리트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동일 춤 대비 장스팬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고랑부(11)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블록 본체(10)를 제작하는 단계,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일측면의 반대 측인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설치하는 단계(도 1 참조),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하는 단계(도 2 참조), 고랑부(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랑콘크리트부(71)를 형성하는 단계,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하는 단계(도 3,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하는 단계는 블록부(1)를 형틀(M)에 넣은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부(1)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가 설치된 블록 본체(10)를 지칭한다.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한 후에 고랑부(11)의 개방된 부위를 가림판(A)으로 막는다. 이로써 고랑부(11)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고랑부(11)의 개방 부위로 콘크리트가 흘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랑부(1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보강철근부(60)를 둘러싸면서 고랑부(11)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굳게 된다. 이로써 고랑콘크리트부(71)는 내부에 보강철근부(60)가 배치되고, 고랑부(11)의 각 면에 접하여 블록 본체(10)와 일체화된다.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하는 단계는 고랑콘크리트부(71)를 형성하는 단계와 동시에, 또는 직후에 진행될 수 있다.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형틀(M)과 가림판(A)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한다.
이때 제1콘크리트부(72)는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제1콘크리트부(72)와 고랑콘크리트부(71)는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에 결합되는 복수의 핀(20)과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핀(20)과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전이나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핀(2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블록본체(10)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가 핀(20) 및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연결된 구조물을 형틀에 넣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고랑콘크리트부(71) 및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후, 건축물 시공과정에서 제1콘크리트부(72)가 바닥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8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콘크리트부(80)를 형성하는 단계는 PC슬래브(2)를 공사 현장에서 보와 같은 거치부(B)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은 거치부(B)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2)를 배열하는 단계(도 6, 도 7 참조), 이웃한 PC슬래브(2)를 덮는 연결철근망부(90)를 PC슬래브(2)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도 9 참조), 연결철근망부(90)를 덮도록 연결철근망부(90)가 배치된 PC슬래브(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도 10 참조)를 포함한다.
거치부(B)는 보와 같은 구조물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K) 상에 적치되고, PC슬래브(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B)에 양단이 거치되도록 배치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연결철근망부(90)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부(91)에 의해 PC슬래브(2)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스페이서부(91)는 짧은 철근으로 구성되고, 연결철근망부(90)의 세로근과 가로근의 교차지점에 용접등을 통해서 접합될수 있으며, 하향 연장되게 마련된다.
스페이서부(91)는 PC슬래브(2), 구체적으로 블록 본체(10)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본체(10)가 스페이서부(91)와 직접 맞닿음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페이서부(91)는 블록 본체(10)에 놓인 스페이서받침대(95)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받침대(95)에 의하여 스페이서부(91)가 블록 본체(10) 표면에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되어 블록 본체(10) 표면이 파여서 손상되거나 구멍 뚫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연결철근망부(90)는 스페이서부(91), 또는 스페이서부(91)와 스페이서받침대(95)에 의해 블록 본체(10)와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받침대(95)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철근망부(90)를 PC슬래브(2)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에 앞서, PC슬래브(2) 상에 스페이서부(91)가 삽입되는 스페이서받침대(95)를 놓는 단계(도 8 참조)를 진행한다.
연결철근망부(90)를 덮도록 연결철근망부(90)가 배치된 PC슬래브(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와이어메쉬부(40)와 연결철근망부(90)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80)를 형성하는 단계(도 9, 도 10 참조)를 포함한다.
제2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된다.
이웃한 PC슬래브(2) 상에 배치되는 연결철근망부(90)와, 제2와이어메쉬부(40)와 연결철근망부(90)를 동시에 덮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되므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PC슬래브(2)를 현장 시공에 의해 하나로 일체화된 슬래브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철근망부(90)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 공법과 대비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배근 간격이 일정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스페이서받침대(95)는 삽입보스부(96)와 지지대(97)를 포함한다.
삽입보스부(96)는 스페이서부(91)가 삽입되는 부위로, 삽입보스부(96)의 내경은 스페이서부(91)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보스부(96)의 내경은 스페이서부(91)의 외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된다.
지지대(97)는 삽입보스부(96)의 하부와 연결되고, 삽입보스부(96)보다 더 큰 횡단면적을 갖는다.
지지대(97)는 PC슬래브(2), 구체적으로 블록 본체(10)와 직접 맞닿는 부위로, 지지대(97)의 횡단면적이 삽입보스부(96)와 스페이서부(91)보다 크므로 연결철근망부(90)의 하중은 지지대(97)에 의해 보다 분산된다. 따라서 블록 본체(10)가 연결철근망부(90)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부(91)는 외측면에 볼록한 돌기부(92)를 구비하고, 삽입보스부(96)는 내측면에 돌출쐐기부(98)를 구비한다.
돌출쐐기부(98)는 삽입보스부(96)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스페이서부(91)가 삽입보스부(96)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돌출쐐기부(98)는 탄성 변형되면서 스페이서부(91)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스페이서부(91)의 이동이 완료된 때에는 탄성 복원된다. 탄성 복원되는 돌출쐐기부(98)는 스페이서부(91)의 돌기부(92)에 걸리게 되면서, 스페이서부(91)가 삽입보스부(96) 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부(91)가 삽입보스부(96)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에서 연결철근망부(90)를 PC슬래브(2)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살펴본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PC슬래브(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와이어메쉬부(30), 제2와이어메쉬부(40), 연결와이어부(50) 등을 생략하고 블록 본체(10)만을 도시하였다.
연결철근망부(90)를 PC슬래브(2) 상에 배치하기에 앞서 스페이서받침대(95)를 PC슬래브(2) 상에 배치한다(도 12 참조). 스페이서받침대(95)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받침대(95)를 PC슬래브(2) 상에 배치한 후에 연결철근망부(90)를 PC슬래브(2) 상에 배치한다(도 13, 도 14 참조).
스페이서부(91)는 연결철근망부(9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페이서부(91)가 연결철근망부(90)에 형성되는 위치는 스페이서받침대(95)가 PC슬래브(2) 상에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된다. 따라서 스페이서부(91)를 각각 대응되는 스페이서받침대(95)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연결철근망부(90)를 PC슬래브(2) 상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PC슬래브(2) 상에 연결철근망부(90)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포함한다.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연이어 배치시킴으로써 연결철근망부(90)의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철근망부(9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PC슬래브(2)의 시공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철근망부(90)는 연이어 배치되거나 더 나아가 일부 중첩이 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철근(또는 가로근)(93)에는 갈고리부(93A)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PC슬래브(2) 상에 일부 겹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93) 또는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갈고리부(93A)가 옆에 배치된 다른 연결철근망부(90)의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처럼 갈고리부(93A)가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걸리게 되면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는 이격 공간 없이 바로 연이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93)에 갈고리부(93A)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갈고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변형에로서 PC슬래브(2)의 블록 본체(10)의 양 측면에는 경사면(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PC슬래브(2)가 현장에 시공될 때 이웃한 PC슬래브(2) 사이에는 경사면(12)에 의해 골짜기부(12A)가 형성된다.
이로써 제2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될 때, 골짜기부(12A)에도 콘트리트가 충진되므로 이웃한 PC슬래브(2)가 제2콘크리트부(80)와 접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PC슬래브(2) 간의 접합부 강성이 향상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연결철근망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와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블록 본체(10), 제1와이어메쉬부(30), 제2와이어메쉬부(40)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10)는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 같은 단열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록 본체(10)의 단열재 재질은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에 한하지 않는다.
블록 본체(10)에는 복수개의 핀(20, 도 1 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핀(20)이 블록 본체(10)를 관통하여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2개의 핀(20)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콘크리트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PC슬래브(2)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연결와이어부(50,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와이어부(50)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즉, 연결와이어부(5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이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킨다.
연결와이어부(50)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각각 하나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덮일 수 있다.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각각 배치하고,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여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제1콘크리트부(70)를 더 포함한다.
제1콘크리트부(7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제1콘크리트부(70)까지 형성된 PC슬래브(2)는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공사 현장으로 운반된다. 이때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PC슬래브(2)는 제1콘크리트부(70)가 하부에 오도록 적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블록 본체(10)를 제작하는 단계,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일측면의 반대 측인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설치하는 단계(도 19 참조),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1콘크리트부(70)를 형성하는 단계(도 20 참조)를 포함한다.
제1콘크리트부(70)를 형성하는 단계는 블록부(1)를 형틀(M)에 넣은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부(1)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가 설치된 블록 본체(10)를 지칭한다.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형틀(M)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제1콘크리트부(70)를 형성한다. 이때 제1콘크리트부(70)는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에 결합되는 복수의 핀(20)과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핀(20)과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전이나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핀(2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콘크리트부(70)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제1콘크리트부(70)가 바닥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80)를 형성하는 단계(도 2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틀(M)에 의해 형성된 제1콘크리트부(70)가 현장 시공 시에 바닥에 배치되므로, 바닥면이 평탄함에 따라 별도의 마감 공정이 불필요하여 현장 시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콘크리트부(80)를 형성하는 단계는 PC슬래브(2)를 공사 현장에서 보와 같은 거치부(B)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은 거치부(B)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2)를 배열하는 단계(도 22 참조), 이웃한 PC슬래브(2)를 덮는 연결철근망부(90)를 PC슬래브(2)에 배치하는 단계(도 23 참조), 연결철근망부(90)를 덮도록 연결철근망부(90)가 배치된 PC슬래브(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도 24 참조)를 포함한다.
거치부(B)는 보와 같은 구조물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K) 상에 적치되고, PC슬래브(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B)에 양단이 거치되도록 배치된다.
연결철근망부(90)는 하부망(91), 상부망(92), 스페이서(93)를 포함한다.
하부망(91)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PC슬래브(2)에 놓인다. 상부망(92)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망(91)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스페이서(93)는 하부망(91)과 상부망(92)을 각각 연결하고, 상부망(92)을 하부망(91)과 이격되도록 배치시킨다.
스페이서(93)에 의해 상부망(92)은 PC슬래브(2)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스페이서(93)는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철근망부(90)를 덮도록 연결철근망부(90)가 배치된 PC슬래브(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와이어메쉬부(40)와 연결철근망부(90)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80)를 형성하는 단계(도 24 참조)를 포함한다.
제2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된다.
이웃한 PC슬래브(2) 상에 배치되는 연결철근망부(90)와, 제2와이어메쉬부(40)와 연결철근망부(90)를 동시에 덮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되므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PC슬래브(2)를 현장 시공에 의해 하나로 일체화된 슬래브로 구현할 수 있다.
연결철근망부(90)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 공법과 대비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배근 간격이 일정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블록부에 트러스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트러스부에 배력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가 타설된 PC슬래브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하면에 숏크리트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와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블록 본체(10), 제1와이어메쉬부(30), 제2와이어메쉬부(40)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10)는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 같은 단열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록 본체(10)의 단열재 재질은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에 한하지 않는다.
블록 본체(10)에는 복수개의 핀(20, 도 1 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핀(20)이 블록 본체(10)를 관통하여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2개의 핀(20)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콘크리트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PC슬래브(2)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연결와이어부(50,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와이어부(50)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즉, 연결와이어부(5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이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킨다.
연결와이어부(50)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각각 하나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덮일 수 있다.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각각 배치하고,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여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트러스부(90)를 더 포함한다. 트러스부(90)는 하부근(91), 상부근(92), 대각근(93)을 포함한다.
하부근(91)은 블록 본체(10)에 놓이고, 상부근(92)은 하부근(91)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대각근(93)은 하부근(91)과 상부근(92)과 각각 연결되되, 상부근(92)을 하부근(91)과 이격되도록 배치시킨다. 대각근(93)은 하부근(91)과 상부근(92)을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한다.
트러스부(9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트러스부(90), 구체적으로 하부근(91)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블록 본체(10)를 제작하는 단계,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일측면의 반대 측인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설치하는 단계(도 25 참조),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트러스부(90)를 설치하는 단계(도 26 참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에 결합되는 복수의 핀(20)과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핀(20)과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전이나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핀(2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은 거치부(B)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2)를 배열하는 단계(도 28 참조), 이웃한 PC슬래브(2)의 트러스부(90)를 연결하는 배력근(95)을 설치하는 단계(도 29 참조), 트러스부(90)와 배력근(95)을 덮도록 배력근(95)이 배치된 PC슬래브(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도 30 참조), PC슬래브(2)의 하면을 숏크리트 시공하는 단계(도 31, 도 32 참조)를 포함한다.
거치부(B)는 보와 같은 구조물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K) 상에 적치되고, PC슬래브(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B)에 양단이 거치되도록 배치된다.
배력근(95)이 배치된 PC슬래브(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와이어메쉬부(30)와 트러스부(90) 및 배력근(95)을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1콘크리트부(7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콘크리트부(70)에 의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트러스부(90) 및 배력근(95)이 일체화되면서, 제1콘크리트부(70)는 블록 본체(10)와도 일체화된다.
제2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된다.
이웃한 PC슬래브(2)의 트러스부(90)을 연결하는 배력근(95)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트러스부(90) 및 배력근(95)을 동시에 덮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제1콘크리트부(7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되므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PC슬래브(2)를 현장 시공에 의해 하나로 일체화된 슬래브로 구현할 수 있다.
PC슬래브(2)의 바닥면을 숏크리트 시공하는 단계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숏크리트 시공하여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9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콘크리트부(70)는 제1와이어메쉬부(30)에 의해 보다 강건하게 블록 본체(10)와 일체화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단연결철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의 고랑부에 전단연결철근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에 보강철근부와 전단연결철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3 및 도 4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블록 본체(10), 핀(20), 제1와이어메쉬부(30), 제2와이어메쉬부(40), 연결와이어부(50), 전단연결철근부(65)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10)는 복수 개의 개별블록(10a, 10b, 10c, 10d)으로 이루어진다. 이웃한 개별블록(10a, 10b, 10c, 10d)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웃한 개별블록(10a, 10b, 10c, 10d) 사이에는 고랑부(11)가 형성된다. 고랑부(11)는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고랑콘크리트부(71)를 이루게 된다.
고랑부(11)는 블록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고랑부(11)가 형성됨에 따라 블록 본체(10)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블록 본체(1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보다 견고하게 블록 본체(10)에 부착된다. 블록 본체(10)는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과 같은 단열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록 본체(10)의 단열재 재질은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에 한하지 않는다.
블록 본체(10)에는 복수개의 핀(20)이 결합된다. 각각의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핀(20)이 블록 본체(10)를 관통하여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2개의 핀(20)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7을 기준으로, 핀(20)은 블록 본체(10) 상에 복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콘크리트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PC슬래브(2)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연결와이어부(50)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즉, 연결와이어부(5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이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연결와이어부(50)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연결와이어부(50)는 블록 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각각 하나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덮일 수 있다.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각각 배치하고,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여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보강철근부(60),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를 더 포함한다.
보강철근부(60)는 고랑부(11) 내에 고랑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보강철근부(60)는 철근, 철선 또는 트러스철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고랑부(11) 내에 고랑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수평연결철근(66), 수직연결철근(67, 68, 69)을 포함한다.
수평연결철근(66)은 블록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수평연결철근(66)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수직연결철근(67, 68, 69)은 일단부가 수평연결철근(66)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을 향해 연장된다.
수직연결철근(67, 68, 69)은 중앙수직연결철근(67)과,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을 포함한다.
중앙수직연결철근(67)은 수평연결철근(66)을 길이 방향으로 놓을 때 수평연결철근(66)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수직연결철근(67)이다.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은 수평연결철근(66)을 길이 방향으로 놓을 때 수평연결철근(66)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수직연결철근(68, 69)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중앙수직연결철근(67)은 복수 개의 철근을 포함하고,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 역시 복수 개의 철근을 포함한다.
중앙수직연결철근(67)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과,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은 각각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은 중앙수직연결철근(67)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 보다 이격거리가 더 짧게 배치된다.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에서 이웃한 철근 간의 이격거리는 중앙수직연결철근(67)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에서 이웃한 철근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다.
바꿔 말해, 중앙수직연결철근(67)보다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이 더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직연결철근(67, 68, 69)은 양 단부에 철근이 집중적으로 배근되어 PC슬래브(2) 전체의 전단보강이 향상된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고랑부(11)의 상부에서 고랑부(11) 내로 삽입된다. 이때 전단연결철근부(65)는 제1와이어메쉬부(30) 또는 제2와이어메쉬부(40)와 용접, 결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랑콘크리트부(71)는 고랑부(11)에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블록 본체(10)와 보강철근부(60), 전단연결철근부(65)를 일체화시킨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고랑콘크리트부(71)에 매설되며, 전단연결철근부(65)는 철근 또는 철선 또는 트러스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콘크리트부(72)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제1콘크리트부(72)는 고랑콘크리트부(71)와 연결된다.
제2콘크리트부(73)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제2콘크리트부(73)에 의해 대부분이 덮이나, 상단부는 제2콘크리트부(73)에 의해 덮이지 않고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콘크리트부(73)는 고랑콘크리트부(71)와 연결된다.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는 형틀(M) 내에서 한 번의 콘크리트의 타설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까지 형성된 PC슬래브(2)는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공사 현장으로 운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기존 PC슬래브와 대비하여 콘크리트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동일 춤 대비 장스팬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7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고랑부(11)가 구비되는 블록 본체(10)를 제작하는 단계,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일측면의 반대 측인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설치하는 단계(도 37 참조),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와 전단연결철근부(65)를 배치하는 단계(도 39, 도 40 참조),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하는 단계, 고랑부(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랑콘크리트부(71)를 형성하는 단계,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덮고, 전단연결철근부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제2콘크리트부(73)를 형성하는 단계(도 41, 도 42 참조)를 포함한다.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하는 단계는 블록부(1)를 형틀(M)에 넣은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부(1)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가 설치된 블록 본체(10)를 지칭한다.
고랑부(11)에 전단연결철근부(65)를 배치하는 단계는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고랑부(11)에 배치된 후에 보강철근부(60), 제1와이어메쉬부(30), 제2와이어메쉬부(40) 중 어느 하나와 용접, 결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한 후에 고랑부(11)의 개방된 부위를 가림판(A)으로 막는다. 이로써 고랑부(11)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고랑부(11)의 개방 부위로 콘크리트가 흘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랑부(1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보강철근부(60)를 둘러싸면서 고랑부(11)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굳게 된다. 이로써 고랑콘크리트부(71)는 내부에 보강철근부(60)와 전단연결철근부(65)가 배치되고, 고랑부(11)의 각 면에 접하여 블록 본체(10)와 일체화된다.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하는 단계는 고랑콘크리트부(71)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블록 본체(10)의 일측면(도 42 기준 하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형틀(M)과 가림판(A)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한다. 제1콘크리트부(72)는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제2콘크리트부(73)를 형성하는 단계는 고랑콘크리트부(71)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블록 본체(10)의 타측면(도 42 기준 상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형틀(M)과 가림판(A)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면서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제2콘크리트부(73)를 형성한다.
제2콘크리트부(73)는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완전히 덮되,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는 노출되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즉,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콘크리트부(73)에 의해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나, 전단연결철근부(65)는 대부분이 덮이나 상단부는 덮이지 않게 되면서 외부에 노출된다.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는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따라서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는 연결철근망부(90)가 PC슬래브(2), 즉 제2콘크리트부(73)의 상면에 배치될 때, 연결철근망부(90)와 제2콘크리트부(73)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는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에 결합되는 복수의 핀(20)과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핀(20)과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전이나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핀(2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블록본체(10)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가 핀(20) 및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연결된 구조물을 형틀(M)에 넣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43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은 거치부(B)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2)를 배열하는 단계(도 43, 도 44 참조), 이웃한 PC슬래브(2)를 덮는 연결철근망부(90)를 PC슬래브(2)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도 45 참조), 연결철근망부(90)를 덮도록 연결철근망부(90)가 배치된 PC슬래브(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도 46 참조)를 포함한다.
거치부(B)는 보와 같은 구조물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K) 상에 적치되고, PC슬래브(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B)에 양단이 거치되도록 배치된다.
연결철근망부(90)는 PC슬래브(2)의 상부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전단연결철근부(65)에 의해 PC슬래브(2), 구체적으로 제2콘크리트부(73)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전단연결철근부(65)와 용접, 결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철근망부(90)를 덮도록 연결철근망부(90)가 배치된 PC슬래브(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PC슬래브(2)의 상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전단연결철근부(65)와 연결철근망부(90)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탑핑콘크리트부(80)를 형성하는 단계(도 46 참조)를 포함한다.
탑핑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된다.
이웃한 PC슬래브(2) 상에 배치되는 연결철근망부(90)와, 전단연결철근부(65)와 연결철근망부(90)를 동시에 덮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탑핑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되므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PC슬래브(2)를 현장 시공에 의해 하나로 일체화된 슬래브로 구현할 수 있다.
PC슬래브(2)의 전단연결철근부(65)와 탑핑콘크리트부(80)가 현장에서 전단 연결되므로, PC슬래브(2)와 탑핑콘크리트부(80) 간의 경계부 계면의 파괴가 방지되고, 슬래브 전체의 전단보강이 향상된다.
또한 연결철근망부(90)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 공법과 대비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배근 간격이 일정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포함한다(도 33 내지 도 35 참조).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연이어 배치시킴으로써 연결철근망부(90)의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철근망부(9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PC슬래브(2)의 시공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철근망부(90)는 연이어 배치되거나 더 나아가 일부 중첩이 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철근(또는 가로근)(93)에는 갈고리부(93A)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PC슬래브(2) 상에 일부 겹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93) 또는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갈고리부(93A)가 옆에 배치된 다른 연결철근망부(90)의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처럼 갈고리부(93A)가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걸리게 되면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는 이격 공간 없이 바로 연이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93)에 갈고리부(93A)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갈고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블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록부가 형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의 고랑부에 전단연결철근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에 보강철근부와 전단연결철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단연결철근부에 연결철근망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4 및 도 5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가 보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 상에 보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블록 본체(10), 핀(20), 제1와이어메쉬부(30), 제2와이어메쉬부(40), 연결와이어부(50), 전단연결철근부(65), 연결철근망부(90)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10)는 복수 개의 개별블록(10a, 10b, 10c, 10d)으로 이루어진다. 이웃한 개별블록(10a, 10b, 10c, 10d)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웃한 개별블록(10a, 10b, 10c, 10d) 사이에는 고랑부(11)가 형성된다. 고랑부(11)는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고랑콘크리트부(71)를 이루게 된다.
고랑부(11)는 블록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고랑부(11)가 형성됨에 따라 블록 본체(10)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블록 본체(1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보다 견고하게 블록 본체(10)에 부착된다. 블록 본체(10)는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과 같은 단열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록 본체(10)의 단열재 재질은 발포스티롤(expanded poly-styrol)에 한하지 않는다.
블록 본체(10)에는 복수개의 핀(20)이 결합된다. 각각의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핀(20)이 블록 본체(10)를 관통하여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2개의 핀(20)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7을 기준으로, 핀(20)은 블록 본체(10) 상에 복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핀(20)은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콘크리트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PC슬래브(2)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1와이어메쉬부(3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측에 배치된다. 제2와이어메쉬부(40)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20)에 결합되면서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연결와이어부(50)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즉, 연결와이어부(50)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블록 본체(10)의 타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이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연결와이어부(50)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한다. 연결와이어부(50)는 블록 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각각 하나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덮일 수 있다.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각각 배치하고,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여 핀(20)과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보강철근부(60),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를 더 포함한다.
보강철근부(60)는 고랑부(11) 내에 고랑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보강철근부(60)는 철근, 철선 또는 트러스철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고랑부(11) 내에 고랑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철근, 철선 또는 트러스철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수평연결철근(66), 수직연결철근(67, 68, 69)을 포함한다(도 38 참조).
수평연결철근(66)은 블록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수평연결철근(66)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수직연결철근(67, 68, 69)은 일단부가 수평연결철근(66)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방을 향해 연장된다.
수직연결철근(67, 68, 69)은 중앙수직연결철근(67)과,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을 포함한다.
중앙수직연결철근(67)은 수평연결철근(66)을 길이 방향으로 놓을 때 수평연결철근(66)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수직연결철근(67)이다.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은 수평연결철근(66)을 길이 방향으로 놓을 때 수평연결철근(66)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수직연결철근(68, 69)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중앙수직연결철근(67)은 복수 개의 철근을 포함하고,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 역시 복수 개의 철근을 포함한다.
중앙수직연결철근(67)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과,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은 각각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은 중앙수직연결철근(67)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 보다 이격거리가 더 짧게 배치된다.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에서 이웃한 철근 간의 이격거리는 중앙수직연결철근(67)을 이루는 복수 개의 철근에서 이웃한 철근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다.
바꿔 말해, 중앙수직연결철근(67)보다 단부수직연결철근(68, 69)이 더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직연결철근(67, 68, 69)은 양 단부에 철근이 집중적으로 배근되어 PC슬래브(2) 전체의 전단보강이 향상된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고랑부(11)의 상부에서 고랑부(11) 내로 삽입된다. 이때 전단연결철근부(65)는 제1와이어메쉬부(30) 또는 제2와이어메쉬부(40)와 용접, 결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랑콘크리트부(71)는 고랑부(11)에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블록 본체(10)와 보강철근부(60), 전단연결철근부(65)를 일체화시킨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고랑콘크리트부(71)에 매설되며, 전단연결철근부(65)는 철근 또는 철선 또는 트러스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콘크리트부(72)는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제1콘크리트부(72)는 고랑콘크리트부(71)와 연결된다.
제2콘크리트부(73)는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제2콘크리트부(73)에 의해 대부분이 덮이나, 상단부는 제2콘크리트부(73)에 의해 덮이지 않고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콘크리트부(73)는 고랑콘크리트부(71)와 연결된다.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는 형틀(M) 내에서 한 번의 콘크리트의 타설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는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에서 돌출된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전단연결철근부(65)와 용접, 결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철근망부(90)가 전단연결철근부(65)와 결합될 때,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는 연결철근망부(90)를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포함한다(도 33 내지 도 35 참조).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연이어 배치시킴으로써 연결철근망부(90)의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철근망부(9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PC슬래브(2)의 시공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철근망부(90)는 연이어 배치되거나 더 나아가 일부 중첩이 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철근(또는 가로근)(93)에는 갈고리부(93A)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PC슬래브(2) 상에 일부 겹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93) 또는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갈고리부(93A)가 옆에 배치된 다른 연결철근망부(90)의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처럼 갈고리부(93A)가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걸리게 되면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는 이격 공간 없이 바로 연이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93)에 갈고리부(93A)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갈고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까지 형성된 PC슬래브(2)는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공사 현장으로 운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2)는 기존 PC슬래브와 대비하여 콘크리트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동일 춤 대비 장스팬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7 내지 도 5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고랑부(11)가 구비되는 블록 본체(10)를 제작하는 단계,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일측면의 반대 측인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설치하는 단계(도 47 참조),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와 전단연결철근부(65)를 배치하는 단계(도 48 내지 도 50 참조),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에 연결철근망부(90)를 결합하는 단계(도 51 참조),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하는 단계, 고랑부(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랑콘크리트부(71)를 형성하는 단계,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덮고, 전단연결철근부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콘크리트부(73)를 형성하는 단계(도 52, 도 53 참조)를 포함한다.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하는 단계는 블록부(1)를 형틀(M)에 넣은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부(1)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가 설치된 블록 본체(10)를 지칭한다.
고랑부(11)에 전단연결철근부(65)를 배치하는 단계는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전단연결철근부(65)는 고랑부(11)에 배치된 후에 보강철근부(60), 제1와이어메쉬부(30), 제2와이어메쉬부(40) 중 어느 하나와 용접, 결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랑부(11)에 보강철근부(60)를 배치한 후에 고랑부(11)의 개방된 부위를 가림판(A)으로 막는다. 이로써 고랑부(11)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고랑부(11)의 개방 부위로 콘크리트가 흘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랑부(1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보강철근부(60)를 둘러싸면서 고랑부(11)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굳게 된다. 이로써 고랑콘크리트부(71)는 내부에 보강철근부(60)와 전단연결철근부(65)가 배치되고, 고랑부(11)의 각 면에 접하여 블록 본체(10)와 일체화된다.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하는 단계는 고랑콘크리트부(71)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블록 본체(10)의 일측면(도 53 기준 하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형틀(M)과 가림판(A)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면서 블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제1콘크리트부(72)를 형성한다. 제1콘크리트부(72)는 제1와이어메쉬부(30)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제2콘크리트부(73)를 형성하는 단계는 고랑콘크리트부(71)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블록 본체(10)의 타측면(도 53 기준 상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형틀(M)과 가림판(A)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면서 블록 본체(10)의 타측면에 제2콘크리트부(73)를 형성한다.
제2콘크리트부(73)는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완전히 덮되,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는 노출되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된다. 즉,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콘크리트부(73)에 의해 제2와이어메쉬부(4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나, 전단연결철근부(65)는 대부분이 덮이나 상단부는 덮이지 않게 되면서 외부에 노출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전단연결철근부(65)의 상단부와 결합되므로, 연결철근망부(90)도 제2콘크리트부(73)에 의해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다.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는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에 결합되는 복수의 핀(20)과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핀(20)과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전이나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는 핀(20)에 의해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는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를 블록 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설치하는 단계 중에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제조방법은 블록본체(10)와 제1와이어메쉬부(30)와 제2와이어메쉬부(40)가 핀(20) 및 연결와이어부(50)에 의해 연결된 구조물을 형틀(M)에 넣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고랑콘크리트부(71), 제1콘크리트부(72), 제2콘크리트부(73)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54 내지 도 5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C슬래브의 시공방법은 거치부(B)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2)를 배열하는 단계(도 54, 도 55 참조), 일측은 PC슬래브(2) 상에 배치되고 타측은 거치부(B) 상에 배치되도록 보연결철근망부(95)를 설치하는 단계(도 56 참조), 연결철근망부(90)와 보연결철근망부(95)를 덮도록 PC슬래브(2)와 거치부(B)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도 57 참조)를 포함한다.
거치부(B)는 보와 같은 구조물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K) 상에 적치되고, PC슬래브(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부(B)에 양단이 거치되도록 배치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전단연결철근부(65)에 의해 제2콘크리트부(73)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전단연결철근부(65)는 연결철근망부(90)를 제2콘크리트부(73)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전단연결철근부(65)와 용접, 결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연결철근망부(95)는 일측은 PC슬래브(2) 상에 배치되고, 타측은 거치부(B)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보연결철근망부(95)의 타측은 거치부(B) 상에 놓이게 된다. 보연결철근망부(95)는 연결철근망부(90)와 용접, 결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철근망부(90)와 보연결철근망부(95)를 덮도록 PC슬래브(2)와 거치부(B)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PC슬래브(2)와 거치부(B)의 상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철근망부(90)와 보연결철근망부(95)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탑핑콘크리트부(80)를 형성하는 단계(도 56 참조)를 포함한다.
탑핑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되고, PC슬래브(2)와 거치부(B)도 서로 일체화된다.
이웃한 PC슬래브(2) 상에 배치되는 보연결철근망부(95)와, 연결철근망부(90)와 보연결철근망부(95)를 동시에 덮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탑핑콘크리트부(80)에 의해 별물로 이루어진 각각의 PC슬래브(2)는 서로 일체화되므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PC슬래브(2)를 현장 시공에 의해 하나로 일체화된 슬래브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탑핑콘크리트부(80)에 의해 각각의 PC슬래브(2)는 거치부(B)와 일체화되므로, PC슬래브(2)와 거치부(B)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C슬래브(2)의 전단연결철근부(65)와 탑핑콘크리트부(80)가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전단 연결되므로, PC슬래브(2)와 탑핑콘크리트부(80) 간의 경계부 계면의 파괴가 방지되고, 슬래브 전체의 전단보강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PC슬래브(2)에 연결철근망부(90)가 구비되어 연결철근망부(90)가 현장이 아닌 PC공장에서 설치가 완료된다. 이로써 현장에서 전단연결철근부(65)에 연결철근망부(90)를 결합하는 공정이 삭제되므로, 고중량의 연결철근망부(90)를 현장에서 시공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기존 공법과 대비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배근 간격이 일정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철근망부(90)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포함한다.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33 내지 도 35 참조).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연이어 배치시킴으로써 연결철근망부(90)의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철근망부(9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PC슬래브(2)의 시공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철근망부(90)는 연이어 배치되거나 더 나아가 일부 중첩이 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철근(또는 가로근)(93)에는 갈고리부(93A)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PC슬래브(2) 상에 일부 겹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93) 또는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갈고리부(93A)가 옆에 배치된 다른 연결철근망부(90)의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처럼 갈고리부(93A)가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걸리게 되면 제1철근(또는 가로근)(93)과 제2철근(또는 세로근)(94)는 이격 공간 없이 바로 연이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철근(또는 가로근)(93)에 갈고리부(93A)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2철근(또는 세로근)(94)에 갈고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2 : PC슬래브
10 : 블록 본체
11 : 고랑부
20 : 핀
30 : 제1와이어메쉬부
40 : 제2와이어메쉬부
50 : 연결와이어부
60 : 보강철근부
71 : 고랑콘크리트부
72 : 제1콘크리트부
80 : 제2콘크리트부
90 : 연결철근망부

Claims (56)

  1.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를 가지며 단열재 재질의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타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고랑부에 타설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상기 보강철근부를 일체화시키는 고랑콘크리트부;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에 매설되며,
    상기 보강철근부는 트러스 철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이격 설치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부를 구비하는 연결 철근망부와,
    상기 연결 철근망부의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며 연결되며 상기 블록 본체 타측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받침대는, 상기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는 삽입보스부; 및
    상기 삽입보스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보스부보다 더 큰 횡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블록 본체와 맞닿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부는 외측면에 볼록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보스부는 내측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돌기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쐐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타설되어 제2와이어메쉬부 및 상기 연결 철근망부를 동시에 덮는 제2콘크리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갈고리부가 구비되는 제1철근; 및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갈고리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2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슬래브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거치부에 2개 이상의 PC슬래브를 배열하는 단계;
    이웃한 상기 PC슬래브를 덮는 연결철근망부를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덮도록 상기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C슬래브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를 가지며 단열재 재질의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일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1와이어메쉬부;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타측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제2와이어메쉬부; 및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부;
    상기 고랑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철근부;
    상기 고랑부에 타설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상기 보강철근부를 일체화시키는 고랑콘크리트부; 및
    상기 블록 본체의 일측면에 타설되어 상기 제1와이어메쉬부를 덮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철근부는 상기 고랑콘크리트부에 매설되며, 상기 보강철근부는 트러스 철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결철근망부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부에 의해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며,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상기 PC슬래브와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PC슬래브 상에 상기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는 스페이서받침대를 놓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받침대는, 상기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는 삽입보스부; 및
    상기 삽입보스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보스부보다 더 큰 횡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PC슬래브와 맞닿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부는 외측면에 볼록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보스부는 내측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돌기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쐐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철근망부가 배치된 상기 PC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본체의 타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2와이어메쉬부와 상기 연결철근망부를 동시에 덮도록 소정 두께로 제2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철근망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갈고리부가 구비되는 제1철근; 및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갈고리부에 걸림 결합되는 제2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200111768A 2020-08-05 2020-09-02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346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7792 2020-08-05
KR1020200097792 2020-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192B1 true KR102346192B1 (ko) 2022-01-03

Family

ID=7934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768A KR102346192B1 (ko) 2020-08-05 2020-09-02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1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837A (ja) * 1996-08-30 1998-03-17 Takeshi Isshi コンクリート壁を構築する型枠
KR100687133B1 (ko) * 2006-05-18 2007-0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림 피시 슬래브 데크를 이용한 i-슬래브
KR20090050261A (ko) * 2007-11-15 2009-05-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KR20120062407A (ko) * 2010-12-06 2012-06-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20140108353A (ko) * 2013-02-07 2014-09-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단보강용 철근을 이용한 덧침 콘크리트와의 일체성 향상 및 중공슬래브의 전단내력 향상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045628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에이피씨개발 Pc중공슬래브구조물
KR102101510B1 (ko) * 2019-07-23 2020-04-16 씨제이대한통운 (주)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837A (ja) * 1996-08-30 1998-03-17 Takeshi Isshi コンクリート壁を構築する型枠
KR100687133B1 (ko) * 2006-05-18 2007-02-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림 피시 슬래브 데크를 이용한 i-슬래브
KR20090050261A (ko) * 2007-11-15 2009-05-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KR20120062407A (ko) * 2010-12-06 2012-06-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20140108353A (ko) * 2013-02-07 2014-09-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단보강용 철근을 이용한 덧침 콘크리트와의 일체성 향상 및 중공슬래브의 전단내력 향상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045628A (ko)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에이피씨개발 Pc중공슬래브구조물
KR102101510B1 (ko) * 2019-07-23 2020-04-16 씨제이대한통운 (주)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360B1 (ko) 전단벽 시공용 피씨 더블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시공방법
KR101071273B1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및 이들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JP5703159B2 (ja)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梁
KR101460559B1 (ko) 텐던체어 기능의 연결 전단보강 철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과 현장타설 슬래브의 접합부 구조 및 접합부 시공방법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2332144B1 (ko) 물류 구조물 시공을 위한 pc 기둥과 pc 보의 결합 시공 구조
KR102346192B1 (ko) Pc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574336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KR102371555B1 (ko) 중공슬래브 접합 벽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8372B1 (ko) 트러스 합성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KR101150369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구조
KR102331556B1 (ko) Pc더블거더,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과 pc더블거더 구조물
JPH09279742A (ja) 床の施工方法
KR100456192B1 (ko) 외력을 받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
JPH048044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続ユニット
KR100373908B1 (ko) 외력을 받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디본딩 외벽 시스템
KR102182537B1 (ko) 용접 철망을 이용한 pc 벽체의 이음 구조 및 이음 방법
JPS63268834A (ja) 多階建築物の躯体構築方法とこれに使用する鉄筋連結筒
JP2019082005A (ja) 柱梁接合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354464B1 (ko) 용접철망을 구비하는 멀티리브 pc 슬래브 및 멀티리브 pc 슬래브의 제작 및 시공 방법
JP611460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H1150468A (ja) Pcコンクリート製布基礎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2409371B1 (ko) 상단 후크부를 가진 용접철망을 구비하는 리브형 pc 슬래브 및 리브형 pc 슬래브의 제작 및 시공 방법
CN216428794U (zh) 一种装配式多腔复合混凝土框架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