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468B1 -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468B1
KR102658468B1 KR1020210006447A KR20210006447A KR102658468B1 KR 102658468 B1 KR102658468 B1 KR 102658468B1 KR 1020210006447 A KR1020210006447 A KR 1020210006447A KR 20210006447 A KR20210006447 A KR 20210006447A KR 102658468 B1 KR102658468 B1 KR 102658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ructure
concrete
bent plate
precast wall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324A (ko
Inventor
송성민
Original Assignee
송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민 filed Critical 송성민
Priority to KR102021000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4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제작을 위하여 내측거푸집으로 절곡판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되, 절곡판재에는 작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중간 지지점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며,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은 지지점을 형성시키기 위한 고정단형성부로서 반원형 압착슬리브 및 소켓형 압착슬리브를 개시하게 된다.

Description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PRECAST WALL STRUCTURE USING FIXING SUPPORT PART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제작을 위하여 매입용 내측거푸집을 절곡판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되, 절곡판재에는 작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고정단 형성부가 다수 형성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을 보다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프리캐스트 옹벽구조물의 시공예시도이다.
즉, 기초판(56) 상면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패널 형태의 벽체(51,52)를 서로 상,하로 연결하도록 시공하고 있으며, 상,하의 패널 형태의 벽체(51,52)는 연결볼트(55)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패널 형태의 벽체(51,52)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어 운반하여 연결 시공하게 되므로 자중 감소가 매우 중요하게 되고, 이에 도 1a의 경우 패널 형태의 벽체(51,52)는 블록아웃된 내입홈(53,54)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최소화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패널 형태의 벽체(51,52)도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다단으로 시공높이가 높아지는 경우 연결볼트(55)에 의한 연결방식만으로는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패널 형태의 벽체(51,52)의 단면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는 자중 증가 요인이 되므로 프리캐스트 시공 방식의 장점을 훼손될 수밖에 없다.
도 1b는 종래 하프-프리캐스트 방식의 벽체 시공예시도이다.
즉,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외측패널(10) 및 내측패널(20);
상기 외측패널(10)과 내측패널(20)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트러스 연결부재(30);
상기 외측패널(10) 및 내측패널(20)에 각 매립 설치되며, 상기 트러스 연결부재(30)와 연결되는 레일부재(11,21);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 연결부재(30)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레일부재(11, 21)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부재(31) 및 하나의 수평부재(31)와 다른 하나의 수평부재(31) 사이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레일부재(11, 21)를 연결하는 경사부재(33)를 포함하되,
상기 트러스 연결부재(30)와 연결되는 레일부재(11, 21)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결합부재(40);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벽체가 소개되어 있다.
말하자면 도 1a와 같이 풀-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패널 형태의 벽체(12,13)을 제작하여 연결 시공하는 경우, 크기 및 시공상의 제약이 있으므로 현장에서 서로 이격된 형태로 외측패널(10) 및 내측패널(20)을 설치한 후, 외측패널(10) 및 내측패널(20) 사이의 내측공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서로 합성시키되, 트러스 연결부재(30)와 레일부재(11,21)와 같은 내부강재들을 이용하여 외측패널(10) 및 내측패널(20)을 서로 일체화시키면서 철근배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트러스 연결부재(30)와 연결되는 레일부재(11, 21)는 제작 및 가공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어 역시 적용에 한계가 있게 된다.
도 1c는 종래 전단철근헤드의 설치예시도이다.
즉, 전단철근(33)의 양 단부는 소켓부(36)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삽입 체결 되도록 하고, 소켓부(36)는 정착판(31)에 형성시킨 관통홀(32)에 삽입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소켓부(36)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정착너트(35)에 의하여, 정착판(31)에 소켓부(36)가 고정되어 정착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켓부(36)는 정착판(31)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 확보되어야 정착판 기능을 가지면서 소켓부(3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착판을 속채움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내부거푸집으로 이용할 경우 다소 비효율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종래 기초판 상면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벽체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하프 또는 풀-프리캐스트 방식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벽체구조물의 단면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현장에서 속채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하프-프리캐스트 방식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하프-프리캐스트 방식도 속채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패널부재 자체의 자중도 커질 수밖에 없고, 철근 배근을 대체할 수 있는 트러스부재, 레일부재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 제작 및 가공비용이 높이 적용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2052호(발명의 명칭: 타설압 저항성이 강화된 프리캐스트 벽체, 공개일자: 2020년10월05일) 대한민국 특허제10-1327388호(발명의 명칭: 휨 모멘트 및 정 모멘트 저항력 확대구조를 갖는 상하 2분할 조립식 피씨 구조물용 피씨 월, 공개일자: 2013년11월08일) 대한민국 특허제10-2157864호(발명의 명칭: 전단보강용 조립식 철근헤드, 공개일자: 2019년12월19일)
이에 본 발명은 매입용 내측거푸집으로 이용되는 절곡판재에 작용하는 PC콘크리트 타설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를 절곡판재에 전단연결철근과 압착슬리브, 절개슬릿과 같은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하여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단연결철근을 이용하여 벽체구조물 철근을 배근하고, 벽체 콘크리트와 속채움 콘크리트 타설로 벽체구조물을 시공하여 신속하면서도 품질관리에 효과적인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은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은 절곡판재를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내측중공부(S)가 사이에 형성되는 매입형 내측거푸집; 상기 내부중공부(S)를 가로질러 양 관통홀을 관통하여 단부가 절곡판재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을 포함하는 철근망; 및 상기 전단연결철근을 절곡판재에 압착 고정 되도록 형성된 고정단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 고정되는 고정단형성부에 의하여 전단연결철근이 PC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로 작용하도록 하되, 상기 고정단형성부는, 절곡판재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이 형성되도록 하되 관통홀을 형성시키면서 함께 형성시킨 것으로서, 절곡판재의 관통홀에 대응하여 다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망의 전단연결철근이 절곡판재에 압착 고정되어 PC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은, (a) 공장에서, 절곡판재를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매입형 내측거푸집을 제작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시키는 단계; (b) 공장에서, 양 매입형 내측거푸집 사이의 내측중공부(S)를 가로질러 절곡판재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단부가 절곡판재 외부로 연장되도록 전단연결철근을 절곡판재에 압착 고정되도록 고정단형성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c) 공장에서, 벽체구조물철근을 전단연결철근을 이용하여 매입형 내측거푸집에 철근망을 배근하는 단계; (d) 공장에서, 양 매입형 내측거푸집과 이격되도록 외측거푸집을 설치하고, PC콘크리트를 외측거푸집과 매입형 내측거푸집 사이에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e) PC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외측거푸집을 탈형하여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을 현장에 운반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시공하는 단계; 및 (f) 전단연결철근이 매립되도록 속채움콘크리트가 내측중공부(S)에 타설되면서, 내측중공부(S)에 노출된 철근망이 속채움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이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여 벽체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의 고정단형성부는, 절곡판재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이 형성되도록 하되 관통홀을 형성시키면서 함께 형성시킨 것으로서, 절곡판재의 관통홀에 대응하여 다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망의 전단연결철근이 절곡판재에 압착 고정되어 PC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은 절곡판재에 벽체구조물철근과 전단연결철근을 함께 배근할 수 있도록 하되, 복잡한 거푸집 설비 없이도 PC콘크리트와 속채움콘크리트에 의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은 절곡판재에 철근망의 전단연결철근과 고정단형성부를 형성시킴으로서 PC콘크리트 타설압 저항에 효과적인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어 벽체구조물용 철근망을 최적화시킬 수 있기때문에 중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은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 시공함에 있어 중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재경량화에 따른 시공성과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프리캐스트 옹벽구조물의 시공예시도,
도 1b는 종래 하프-프리캐스트 방식의 벽체 시공예시도,
도 1c는 종래 전단철근헤드의 설치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의 구성예시도 및 고정단형성부 예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구성예시도 및 고정단형성부(130) 예시도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절곡판재(111)를 상,하로 연결한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벽체구조물철근(122)과 전단연결철근(121)인 철근망(120)을 다수 배근한 것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며,
상기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은 서로 이격되어 내측중공부(S) 형성을 위한 벽체구조물용 내측거푸집으로 이용하도록 하되 절곡판재(111)를 상,하 연결한 것을 이용하여 별도의 내구거푸집 설비가 필요 없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내측중공부(S)를 가로질러 양 단부가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을 관통하여 내측중공부(S)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인출되도록 배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매입형 내측거푸집(110) 에 전단연결철근(121)을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단형성부(130)에 의하여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로 작용함으로서 박판인 중공판재(11)를 절곡하여 형성시킨 매입형 내측거푸집(110)를 이용하더라도 안전한 PC콘크리트(150) 타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은 도 2a와 같이, 내측중공부(S)가 형성되는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을 외측거푸집(140)과 이격시켜 설치한 후, 외측거푸집(140)과 매입형 내측거푸집(110) 사이에 PC콘크리트(150)를 타설하여 미리 제작하게 된다.
이에 상기 철근망(120)은 내측중공부(S)에 노출되면서 전단연결철근으로서 역할도 하여 현장에서 속채움콘크리트(160)가 내측중공부(S)에 타설되면서, 내측중공부(S)에 노출된 철근망(120)이 속채움콘크리트(160)와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이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매입형 내측거푸집(110), 철근망(120), 고정단형성부(130), 외측거푸집(140), PC콘크리트(150), 속채움 콘크리트(16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서로 이격된 내측거푸집으로 기능하게 되며, 절곡판재(111)에 다수의 관통홀(112)이 형성된 것이다.
예컨대, 절곡판재(111)는 ㄷ자 채널부재를 이용하여, 양 플랜지를 서로 상,하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다수를 적층시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연장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절곡판재(111)의 양 플랜지는 절곡판재(111) 연결기능과 PC콘크리트(150)가 타설함에 따른 합성성능을 증가시키는 전단연결재 역할도 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때, 절곡판재(111)에 형성된 관통홀(112) 전면, 배면에는 고정단형성부(130)가 형성된다.
절곡판재(111)는 박판인 강판을 이용하여 벤딩이 자유롭기 때문에, ㄷ자 채널부재와 같이 원하는 형태로 제작이 용이 하다는 장점이 있고, 고정단형성부(130)가 형성되는 관통홀(112)을 펀칭등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12)에 형성된 고정단형성부(130)는 관통홀(112) 주위의 절곡판재(111)에 형성된 압착슬리브 또는 절개슬릿으로 형성되어 자체로서도 타설되는 PC콘크리트(150)가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마감수단 역할도 하여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이 벽체구조물의 내측거푸집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게 된다.
즉, PC콘크리트(150)가 타설된 쪽으로부터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을 통과하여 반대쪽인 내측중공부(S)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형성부(130)에 의하여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의 절곡판재(111)에 압착 되도록 하여 PC콘크리트(150) 타설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에 대한 중간 지지점 역할을 하여, 이를 본 발명은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이라고 지칭하게 된다.
이에 전단연결철근(121)이 위와 같이 휨 모멘트에 대한 중간 지지점 역할을 함에 따라 박판인 절곡판재(111)를 절곡하여 형성시킨 매입형 내측거푸집(110)를 사용하더라도 안전한 PC콘크리트(150) 타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며, 벽체구조물철근(122)과 전단연결철근(121)인 철근망(120) 제작을 위한 철근량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철근망(12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내부철근들로서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미리 조립 설치하여,
벽체구조물철근(122)은 PC콘크리트(150)에 매립되도록 배근되며, 내측중공부(S)에 노출되는 전단연결철근(121)은 속채움콘크리트(160)에 의하여 매립됨으로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전단연결철근 역할과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내부철근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철근망(120)은 전단연결철근(121), 벽체구조물철근(122)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절곡판재(11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내측중공부(S)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철근이다. 이에 내측중공부(S)에 채워지는 속채움콘크리트(160)에 매립되며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전단철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전단연결철근(121)이 삽입되는 관통홀(112)에 형성된 압착슬리브와 절개슬릿인 고정단형성부(130)가 압착되면서 절곡판재(111)에 전단연결철근(121)이 고정 설치되어 휨 모멘트에 대한 중간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구조물철근(122)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전단연결철근(121)의 절곡된 단부에 연결되어 배근되는 다수의 수평철근과 절곡판재(111)를 따라 연장되며 수평철근과 연결되는 직철근을 포함하며, PC콘크리트(150)에 매립되도록 배근된다.
전단연결철근(121)의 단부에 벽체구조물철근(122)을 배근하도록 하여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철근망(120)을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배근 가능하여, 이에 전단연결철근(121)은 벽체구조물철근(122)의 연결철근 역할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단형성부(13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절곡판재(111)에 형형성시킨 관통홀(112)에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에 고정되도록 하여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즉,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킨 관통홀(112)을 전단연결철근(121)이 삽입 관통하도록 하되, 압착슬리브(132,133) 또는 절개슬릿(131)에 의하여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전단연결철근(121)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고정단형성부(130)인 압착슬리브(132,133)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개슬릿(131)을 살펴보면, 도 2b와 같이,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131)이 형성되도록 하되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함께 형성시킨 것으로서,
절곡판재(111)의 관통홀(112)에 대응하여 다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에 압착 고정되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압착은 절개슬릿을 그대로 압착하거나, 절개슬릿(131)을 감싸도록 세팅된 반원형 압착슬리브(132)를 이용해도 된다.
즉,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킨 관통홀(112)에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131)이 형성되도록 절곡판재(111)를 펀칭수단을 이용하여 펀칭시켜 관통홀(112)이 형성되면서 절개슬릿(131)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절개슬릿(131)은 박판인 절곡판재(111)를 이용하여 펀칭과 같은 방법으로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압착도 용이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다음으로 압착슬리브(132,133)은 2가지 실시예로서 구분된다.
먼저 상기 압착슬리브는 도 2b와 같이 반원형 압착슬리브(132) 2개를 관통홀(112)을 관통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121)을 감싸도록 세팅시켜, 압착기(미도시)로 압착시키게 되면 반원형 압착슬리브(132)는 전단연결철근(121)의 외주면에 직접 압착되면서 절곡판재(111)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반원형 압착슬리브(132)는 관통홀(112)을 기준으로 절곡판재(111)에 설치하여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압착된 반원형 압착슬리브(132)는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에 압착 고정되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착슬리브는 도 2b와 같이, 소켓형 압착슬리브(133) 2개를 관통홀(112)의 배면쪽으로 삽입시키고, 반원형 압착슬리브(132) 2개를 관통홀(112)을 관통하는 소켓형 압착슬리브(133)의 소켓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세팅시켜, 압착기로 압착시키게 되면 소켓형 압착슬리브(133)는 압착되면서 절곡판재(111)에 고정 설치된다.
역시 조합된 반원형 압착슬리브(132)와 소켓형 압착슬리브(133)는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에 압착 고정되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나사부 체결방식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압착슬리브 또는 절개슬릿을 이용함으로서 박판인 절곡판재(111)를 이용하더라도 전단연결철근(121)을 절곡판재(111)에 고정설치 됨으로서 PC콘크리트(150) 타설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에 대한 중간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거푸집(14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양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일체로 배근된 철근망(120)에 내측중공부(S) 반대쪽으로 설치되어 PC콘크리트(150)가 타설되도록 하는 거푸집으로서, 매입형 내측거푸집(110)과 외측거푸집(140) 사이에 위치한 철근망(120)의 벽체구조물철근(122)과 전단연결철근(121) 단부가 매립되도록 타설되며, 양생된 이후 탈형되어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PC콘크리트(15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매입형 내측거푸집(110)과 외측거푸집(140) 사이의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서 철근망(120)의 벽체구조물철근(122)과 전단연결철근(121) 단부와 일체화된다.
다음으로 상기 속채움콘크리트(16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내측중공부(S)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상기 내측중공부(S) 내부로 충진되어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로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현장에 반입하여 세팅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이다.
[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 시공방법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은 공장(현장 주변에서도 제작가능)에서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철근망(120)을 배근하고, 고정단형성부(130)로 철근망(120)을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압착 고정시켜 일체화시키고, 외측거푸집(140)을 이용하여 PC콘크리트(150)를 타설 및 양생시켜 내측중공부(S)에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노출되도록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제작한 후,
현장에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반입하여 기초판등에 시공한 후,
속채움콘크리트(160)를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내측중공부(S)에 타설하는 시공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 내측중공부(S)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내측거푸집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게 되고,
박판인 절곡판재(111)로서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을 제작하더라도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형성된 고정단형성부(130)를 이용하여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철근망(120) 설치량도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경제적이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3a와 같이, 앞서 살펴본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게 되는데 절곡판재(111)에 관통홀(112)을 형성시켜 제작하게 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ㄷ자형 채널부재 형태의 절곡판재(111)를 상,하로 연결하여 일정한 높이로 형성시키게 되며, 절곡판재(111)의 관통홀(112)을 형성시키고, 절곡판재(111)에 압착슬리브(132,133) 또는 절개슬릿(131)으로 형성되는 고정단형성부(130)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철근망(120)을 구성하는 전단연결철근(121)을 대향하는 2개의 관통홀(112)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내측중공부(S)를 가로질러 배근되도록 하게 된다.
도 3a의 경우에는 전단연결철근(121)이 상,하로 다수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고 있으나 배치형태는 달리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단부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벽체구조물철근(122)의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 배근이 용이하게 연결 배근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미리 철근망(120)중 벽체구조물철근(122)을 전단연결철근(121)을 이용하여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배근하게 된다.
상기 벽체구조물철근(122)은 전단연결철근(121)의 단부를 감싸도록 하는 수직철근과 일체화된 수평철근이 전단연결철근(121)의 갈고리 단부가 감싸지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전단연결철근(121)을 이용하여 배근합으로서 신속하게 배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3b와 같이, 공장에서 매입형 내측거푸집(110)과 철근망(120)과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외측거푸집(140)을 설치하고, PC콘크리트(150)를 외측거푸집(140)과 매입형 내측거푸집(110) 사이에 타설 및 양생시키게 된다.
상기 외측거푸집(140)은 통상은 강재거푸집을 이용하면 된다.
이에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은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있지만 고정단형성부(130)는 관통홀(112)을 폐색하는 역할도 하기때문에, 달리 타설된 PC콘크리트(150)가 내측중공부(S)로 누출되지 않으며, 누출되더라도 소량 흐르는 정도이므로 달리 문제는 없게 된다. 상기 PC콘크리트(150)는 무근콘크리트로 타설하면 된다.
이에 전단연결철근(12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양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은 PC콘크리트(150)가 타설되는 외측거푸집(140)에 의하여 일정한 두께의 수직콘크리트 벽체로 세팅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도 3c와 같이, PC콘크리트(150)가 양생되면 외측거푸집(140)을 탈형하여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제작하고, 현장에 운반하여 시공하게 된다.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은 내측중공부(S)에 전단연결철근(121)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현장에 기초판 상면에 수직으로 전단연결철근(121)이 내측중공부(S)에 노출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세워 세팅시키게 된다.
이로서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속채움콘크리트(160)가 내측중공부(S)에 타설되면서, 내측중공부(S)에 노출된 철근망(120)이 속채움콘크리트(160)와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이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여 벽체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현장에서는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기초판 상면에 연결 세팅하고, 속채움콘크리트(160)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110: 매입형 내측거푸집
111: 절곡판재 112: 관통홀
120: 철근망
121: 전단연결철근 122: 벽체구조물철근
130: 고정단형성부
131: 절개슬릿
132: 반원형 압착슬리브 133: 소켓형 압착슬리브
140: 외측거푸집 150: PC콘크리트
160: 속채움콘크리트

Claims (10)

  1.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관통홀(112)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내측중공부(S)가 사이에 형성되는 매입형 내측거푸집(110);
    상기 내측중공부(S)를 가로질러 양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단부가 절곡판재(111)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121)을 포함하는 철근망(120); 및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을 절곡판재(111)에 압착 고정 되도록 형성된 고정단형성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 고정되는 고정단형성부(130)에 의하여 전단연결철근(121)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로 작용하도록 하되, 상기 고정단형성부(130)는,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131)이 형성되도록 하되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함께 형성시킨 것으로서, 절곡판재(111)의 관통홀(112)에 대응하여 다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에 압착 고정되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형성부(130)는,
    압착슬리브로서 반원형 압착슬리브(132)를 관통홀(112)을 관통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121)을 감싸도록 세팅시켜, 압착기로 압착시키게 되면 반원형 압착슬리브(132)는 전단연결철근(121)의 외주면에 직접 압착되면서 절곡판재(111)에 고정 설치되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형성부(130)는,
    압착슬리브로서 소켓형 압착슬리브(133)를 관통홀(112)으로부터 전면쪽으로 삽입시키고, 반원형 압착슬리브를 관통홀(112)을 관통하는 소켓형 압착슬리브의 소켓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세팅시켜, 압착기로 압착시켜 소켓형 압착슬리브(133)는 압착되면서 절곡판재(111)에 고정 설치되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은,
    절곡판재(111) 다수를 적층시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연장높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연결시킴으로서 형성되며, 절곡판재(111)에 형성된 관통홀(112)에는 고정단형성부(130)이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120)은,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전단연결철근(121) 및 벽체구조물철근(122)을 포함하는 내부철근들로서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조립 설치되며, 상기 내측중공부(S)에 노출되는 전단연결철근(121)은 속채움콘크리트(160)에 의하여 매립되도록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절곡판재(11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내측중공부(S)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철근으로서 내측중공부(S)에 채워지는 속채움콘크리트(160)에 매립되어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전단철근 역할을 하며,
    상기 벽체구조물철근(122)은,
    전단연결철근(121)의 단부를 감싸도록 하는 다수의 이격된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포함하며, PC콘크리트(150)에 매립되도록 배근되도록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콘크리트(150)는,
    외측거푸집(140)을 이용하여 타설 및 양생되도록 하되,
    상기 외측거푸집(140)은, 매입형 내측거푸집(110)과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하여 PC콘크리트(150)가 타설되도록 하는 거푸집으로서, 양생 이후 탈형되어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내측중공부(S)에는 속채움콘크리트(160)가 더 타설되며,
    상기 속채움콘크리트(160)는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의 내측중공부(S) 내부로 충진되어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로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현장에 반입하여 세팅한 후, 타설되도록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9. (a) 공장에서,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관통홀(112)이 형성된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을 제작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시키는 단계;
    (b) 공장에서, 양 매입형 내측거푸집(110) 사이의 내측중공부(S)를 가로질러 절곡판재(111)의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단부가 절곡판재(111) 외부로 연장되도록 전단연결철근(121)을 절곡판재(111)에 압착 고정되도록 고정단형성부(130)를 형성시키는 단계;
    (c) 공장에서, 벽체구조물철근(122)을 전단연결철근(121)을 이용하여 매입형 내측거푸집(110)에 철근망(120)을 배근하는 단계;
    (d) 공장에서, 양 매입형 내측거푸집(110)과 이격되도록 외측거푸집(140)을 설치하고, PC콘크리트(150)를 외측거푸집(140)과 매입형 내측거푸집(110) 사이에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e) PC콘크리트(150)가 양생되면 외측거푸집(140)을 탈형하여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현장에 운반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시공하는 단계; 및
    (f)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속채움콘크리트(160)가 내측중공부(S)에 타설되면서, 내측중공부(S)에 노출된 철근망(120)이 속채움콘크리트(160)와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이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여 벽체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의 고정단형성부(130)는,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131)이 형성되도록 하되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함께 형성시킨 것으로서, 절곡판재(111)의 관통홀(112)에 대응하여 다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에 압착 고정되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의 벽체구조물은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을 다수 상,하로 연결 시공하여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속채움콘크리트(160)가 내측중공부(S)에 타설되면서, 내측중공부(S)에 노출된 철근망(120)이 속채움콘크리트(160)와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100)이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는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10006447A 2021-01-18 2021-01-18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58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447A KR102658468B1 (ko) 2021-01-18 2021-01-18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447A KR102658468B1 (ko) 2021-01-18 2021-01-18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24A KR20220104324A (ko) 2022-07-26
KR102658468B1 true KR102658468B1 (ko) 2024-04-16

Family

ID=8260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447A KR102658468B1 (ko) 2021-01-18 2021-01-18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37B1 (ko) 2023-03-20 2024-02-19 신우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117U (ko) * 1985-08-22 1987-03-03
KR20050021416A (ko) * 2005-02-03 2005-03-07 김길평 건축용 끼움식 강재 거푸집
KR101327388B1 (ko) 2013-07-17 2013-11-08 정택동 휨 모멘트 및 정 모멘트 저항력 확대구조를 갖는 상하 2분할 조립식 피씨 구조물용 피씨 월
KR102157864B1 (ko) * 2018-06-11 2020-09-18 (주)좋은골재 전단보강용 조립식 철근헤드
KR102621195B1 (ko) * 2019-03-19 2024-01-03 김태준 생산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이중벽 구조물
KR102240257B1 (ko) 2019-03-20 2021-04-14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타설압 저항성이 강화된 프리캐스트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24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62278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KR100862005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KR101064731B1 (ko)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1478131B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KR20100121866A (ko)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KR101458434B1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58468B1 (ko)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7313507B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空心柱节点构造施工方法
JP201711034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を用いた柱梁架構の施工方法
KR101665361B1 (ko) 다단계로 보강된 두부보강 일체식 복합 phc 말뚝 및 그 제작방법
KR100653283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 방법
KR102658461B1 (ko) 압착슬리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86712B1 (ko)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37263B1 (ko) 강합성 말뚝 제작방법
JP5750246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20140110491A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105778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합성파일 제조방법
JP2017014713A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102413091B1 (ko) 다층중공형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KR102235873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190143420A (ko) 보강조립체의 중공 설치에 의한 phc 말뚝의 보강구조 및 이를 구비한 phc 말뚝과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