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712B1 -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712B1
KR102586712B1 KR1020200179424A KR20200179424A KR102586712B1 KR 102586712 B1 KR102586712 B1 KR 102586712B1 KR 1020200179424 A KR1020200179424 A KR 1020200179424A KR 20200179424 A KR20200179424 A KR 20200179424A KR 102586712 B1 KR102586712 B1 KR 10258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ructure
bent plate
reinforcing bar
concrete
hollow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102A (ko
Inventor
송성민
Original Assignee
송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민 filed Critical 송성민
Priority to KR102020017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7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2Moulds built-up from several parts; Multiple moulds; Moulds with adjus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90Methods or apparatus for demoulding or discharging after shaping
    • B28B21/905Removing from a mand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22Means for inserting reinforcing members into the mould or f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28B23/024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제작을 위하여 내부거푸집으로 절곡판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되, 절곡판재에는 작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중간 지지점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PRECAST HOLLOW COLUMN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제작을 위하여 내부거푸집으로 절곡판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되, 절곡판재에는 작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중간 지지점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합성 PHC말뚝의 제작예시도이다.
도 1a에 의하면, 합성 PHC말뚝은 말뚝용 거푸집(81) 내부에 철근망(82,83)을 세팅하고, 말뚝용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84)를 타설한 후, 원심력으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중공말뚝으로 형성시켜 중공부(S)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철근망(83)은 중공부(S)에 노출 됨으로서 전단연결철근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 중공부(S)에는 전단연결철근인 철근망(83)이 매립되도록 속태운 콘크리트가 추가로 타설되도록 하여 결국, 전단연결철근이 중공부(S)에 노출되도록 제작된 중공말뚝에 속채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합성 PHC말뚝을 제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전단연결철근으로서 중공말뚝의 내부철근을 포함하는 철근망(83)을 그대로 이용하여 말뚝내부 콘크리트와의 합성성능을 증진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회전이 가능한 PHC 말뚝용 거푸집 제작 설비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도 1b는 종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이용한 하프프리캐스트 기둥의 제작예시도이다.
도 1b에 의하면, 하프프리캐스트 기둥은 역시 중공부(S)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S)로 노출되는 전단연결철근(40)이 역시 하프프리캐스트 기둥의 내부철근으로서 배근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하프프리캐스트 기둥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b와 같이, 다수 개의 주근(12) 및 양단이 주근에 결속되는 다수 개의 전단연결철근(40)을 설치하는 제1단계;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다수 개의 전단연결철근(40)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다수 개의 스터드볼트(60)가 장착된 다수 개의 경량형강(50)을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다수 개의 전단연결철근(40)과 다수개의 경량형강(50)으로 구성된 격자의 단면 외측에 접하도록 매입형 내부거푸집(20)을 설치하는 제3단계;
추가되는 주근(12) 및 대근(14)을 다수 개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대근(14)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외부거푸집(OF)을 설치하고, 상기 외부거푸집(OF)과 상기 매입형 내부거푸집(20) 사이에 PC 콘크리트(16)를 타설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중공부(S)에 속채움 콘크리트(70)를 타설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매입형 내부거푸집(20)은 리브-라스로서 관통홀이 형성된 철판 형태로서 달리 탈형 되지 않고 속채움 콘크리트(70)에 매립 설치되며, PC 콘크리트(16)를 타설시 내부거푸집으로 이용되고 있음은 알 수 있지만,
상기 리브-라스인 매입형 내부거푸집(20)이 주근(12) 및 대근(14)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고는 있지만, 이 경우 PC 콘크리트(16)와 심부 콘크리트(70) 타설 압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어 제작상 품질관리가 용이 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999020호(발명의 명칭: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및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0년12월09일) 대한민국 특허 제10-1570484호(발명의 명칭: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5년11월20일)
이에 본 발명은 공장에서 내부거푸집으로 이용되는 절곡판재에 작용하는 PC콘크리트 타설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를 철근망의 전단연결철근를 이용하여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단연결철근을 이용하여 기둥구조물철근을 배근하고, PC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중공부(S)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을 제작한 후, 현장에 반입하여 속채움 콘크리트 타설로 기둥구조물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시공하여 신속하면서도 품질관리에 효과적인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은
절곡판재를 관통하도록 관통홀을 형성시키면서 중공부(S)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절개슬릿이 절곡판재 배면에 형성되는 매입형 내부거푸집; 상기 중공부(S)를 가로질러 관통홀을 관통하여 단부가 절곡판재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을 포함하는 철근망; 및 상기 절개슬릿을 전단연결철근에 압착 고정시켜 형성되는 고정단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 고정되는 고정단형성부에 의하여 전단연결철근가 PC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로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단형성부는, 절곡판재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킨 관통홀 배면에 절곡판재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이 형성되도록 절곡판재를 펀칭수단을 이용하여 펀칭시켜 관통홀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절개슬릿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절개슬릿은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을 절곡판재 배면에 압착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전단연결철근이 매입형 내부거푸집의 절곡판재 배면에 고정설치 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시공방법은, (a) 공장에서, 절곡판재를 관통하도록 관통홀을 형성시키면서 중공부(S)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절개슬릿이 절곡판재 배면에 형성되는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제작하는 단계; (b) 공장에서, 상기 절곡판재 배면에 형성된 절개슬릿을 관통홀을 관통하는 전단연결철근에 압착 고정시켜 고정단형성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c) 공장에서, 중공부(S)를 가로질러 절곡판재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단부가 절곡판재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을 기둥구조물철근을 이용하여 매입형 내부거푸집에 철근망을 배근하는 단계;(d) 공장에서, 매입형 내부거푸집과 철근망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외측거푸집을 설치하고, PC콘크리트를 외측거푸집과 매입형 내부거푸집 사이에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및 (e) PC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외측거푸집을 탈형하여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을 현장에 운반하여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단계의 고정단형성부는, 전단연결철근이 PC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로 작용하며, 절곡판재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킨 관통홀 배면에 절곡판재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이 형성되도록 절곡판재를 펀칭수단을 이용하여 펀칭시켜 관통홀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절개슬릿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절개슬릿은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을 절곡판재 배면에 압착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전단연결철근이 매입형 내부거푸집의 절곡판재 배면에 고정설치 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은 절곡판재에 기둥구조물철근과 전단연결철근을 함께 배근할 수 있도록 하되, 복잡한 내부거푸집 설비 없이도 PC콘크리트와 속채움콘크리트에 의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은 절곡판재의 배면에 철근망의 전단연결철근을 이용하여 고정단형성부를 형성 시킴으로서 PC콘크리트 타설압 저항에 효과적인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어 기둥구조물용 철근망을 최적화시킬 수 있기때문에 중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은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 시공함에 있어 중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때문에 부재경량화에 따른 시공성과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합성 PHC말뚝의 제작예시도,
도 1b는 종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이용한 하프프리캐스트 기둥의 제작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의 구성예시도,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시공방법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구성예시도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은 도 2a와 같이, 절곡판재(111)를 벤딩하여 제작한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기둥구조물철근(122)과 전단연결철근(121)인 철근망(120)을 다수 이격시켜 배근한 것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며,
상기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은 중공부(S) 형성을 위한 내부거푸집으로 이용하도록 하되 절곡판재(111)를 이용하여 별도의 내구거푸집 설비가 필요 없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중공부(S)를 가로질러 양 단부가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을 관통하여 중공부(S)로부터 단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인출되도록 배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매입형 내부거푸집(110) 배면에 전단연결철근(121)을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단형성부(130)에 의하여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로 작용함으로서 박판인 중공판재(11)를 절곡하여 형성시킨 매입형 내부거푸집(110)를 이용하더라도 안전한 PC콘크리트(150) 타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은 도 2b와 같이, 중공부(S)가 형성되는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을 외측거푸집(140) 내측에 설치한 후, 외측거푸집(140)과 매입형 내부거푸집(110) 사이에 PC콘크리트(150)를 타설하여 공장 제작하게 된다.
이에 상기 철근망(120)은 중공부(S)에 노출되면서 전단연결철근으로서 역할도 하여 현장에서 속채움콘크리트(160)가 중공부(S)에 타설되면서, 중공부(S)에 노출된 철근망(120)이 속채움콘크리트(160)와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이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매입형 내부거푸집(110), 철근망(120), 고정단형성부(130), 외측거푸집(140), PC콘크리트(150), 속채움 콘크리트(16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내부거푸집으로 기능하게 되며, 내부에 중공부(S)를 형성시킨 절곡판재(111)에 다수의 관통홀(112)이 형성된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연장길이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절곡판재(111)의 배면에 형성된 관통홀(112) 배면에는 고정단형성부(130) 형성된다.
이때 중공부(S)를 형성시킨 절곡판재(111)는 박판인 강판을 이용하여 벤딩이 자유롭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고, 고정단형성부(130)가 형성되는 관통홀(112)을 형성시키기에도 용이 하게 된다.
이러한 관통홀(112) 배면에 형성된 고정단형성부(130)는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으로서, 절개슬릿(131) 자체로서 타설되는 PC콘크리트(150)가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마감수단 역할을 하여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이 내부거푸집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게 된다.
즉, PC콘크리트(150)가 타설된 쪽으로부터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을 통과하여 반대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형성부(130)에 의하여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의 절곡판재(111) 배면에 고정설치 됨으로서 PC콘크리트(150) 타설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에 대한 중간 지지점 역할을 하여,
이를 본 발명의 경우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이라고 지칭하게 된다.
이에 전단연결철근(121)이 위와 같이 휨 모멘트에 대한 중간 지지점 역할을 함에 따라 박판인 절곡판재(111)를 절곡하여 형성시킨 매입형 내부거푸집(110)를 사용하더라도 안전한 PC콘크리트(150) 타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며, 기둥구조물철근(122)과 전단연결철근(121)인 철근망(120) 제작을 위한 철근량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철근망(12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내부철근들로서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조립 설치하여,
일부는 PC콘크리트(150)에 매립되도록 배근되며, 중공부(S)에 노출되는 전단연결철근(121)은 속채움콘크리트(160)에 의하여 매립됨으로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전단연결철근 역할과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내부철근 역할을 하게된다.
이에,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철근망(120)은 전단연결철근(121), 기둥구조물철근(122)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절곡판재(11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중공부(S)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철근이다. 이에 중공부(S)에 채워지는 속채움콘크리트(160)에 매립되며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전단철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관통홀(112)은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다수의 절개슬릿(131)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도록 펀칭수단으로 펀칭시켜 형성시키게 되는데, 전단연결철근(121)은 다수의 절개슬릿(131)에 압착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절곡판재(111) 배면에 고정되어 휨 모멘트에 대한 중간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둥구조물철근(122)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전단연결철근(121)의 단부를 감싸도록 하는 다수의 이격된 스트럽철근과 절곡판재(111)를 따라 연장되며 스트럽철근를 서로 연결하는 종방향철근으로 형성되며, PC콘크리트(150)에 매립되도록 배근된다.
전단연결철근(121)의 단부에 기둥구조물철근(122)을 배근하도록 하여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철근망(120)을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배근 가능하여, 전단연결철근(121)은 기둥구조물철근(122)의 연결철근 역할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단형성부(13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131)이 형성되도록 하되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함께 형성시킨 것으로서, 절곡판재(111)의 관통홀(112)에 대응하여 다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절곡판재(111) 배면에 압착 고정되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킨 관통홀(112) 배면에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131)이 형성되도록 절곡판재(111)를 펀칭수단을 이용하여 펀칭시켜 관통홀(112)이 형성되면서 절개슬릿(131)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에 고정단형성부(130)의 절개슬릿(131)은 관통홀(112)을 관통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121)을 절곡판재(111) 배면에 압착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전단연결철근(121)이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의 절곡판재(111) 배면에 고정설치 됨으로서 PC콘크리트(150) 타설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에 대한 중간 지지점 부재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됨은 살펴본 바와 같다.
이러한 절개슬릿(131)은 박판인 절곡판재(111)를 이용하여 펀칭과 같은 방법으로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압착도 용이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거푸집(14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일체로 배근된 철근망(120)과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PC콘크리트(150)가 타설되도록 하는 거푸집으로서, 매입형 내부거푸집(110)과 외측거푸집(140) 사이에 위치한 철근망(120)의 기둥구조물철근(122)과 전단연결철근(121) 단북 매립되도록 타설되며, 양생된 이후 탈형되어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PC콘크리트(15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외측거푸집(140)과 매입형 내부거푸집(110) 사이의 공간에 공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로서 철근망(120)의 기둥구조물철근(122)과 전단연결철근(121) 단부와 일체화된다.
다음으로 상기 속채움콘크리트(16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중공부(S)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상기 중공부(S) 내부로 충진되어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로서,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을 현장에 반입하여 세팅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이다.
[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시공방법 ]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 시공방법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은 공장에서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철근망(120)을 배근한 후, 고정단형성부(130)로 철근망(120)을 매입형 내부거푸집(110)가 일체화시킨 후, 외측거푸집(140)을 이용하여 PC콘크리트(150)를 타설 및 양생시켜 중공부(S)에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노출되도록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을 제작한 후,
현장에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을 반입하여 기초판에 시공한 후,
속채움콘크리트(160)를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중공부(S)에 타설하는 시공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는 중공부(S)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내부거푸집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게 되고, 박판인 걸곡판재(111)로서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을 제작하더라도 매입형 내부거푸집(110) 배면에 형성된 고정단형성부(130)를 이용하여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철근망(120) 설치량도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경제적이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3a와 같이, 앞서 살펴본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게 되는데 절곡판재(111)에 관통홀(112)을 형성시켜 제작하게 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절곡판재(111)는 벤딩이 자유롭기 때문에 예컨대 사각단면 형태의 폐합된 사각박스체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시켜 형성시키게 되며 관통홀(112)을 형성시킨 절곡판재(111)롤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고정단형성부(130)가 절곡판재(111) 배면에 절개슬릿(131)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철근망(120)을 구성하는 전단연결철근(121)을 2개의 관통홀(112)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중공부(S)를 가로질러 배근되도록 하게 된다.
도 3a의 경우에는 2개의 전단연결철근(121)이 서로 십자형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있으나 배치형태는 달리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단부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기둥구조물철근(122)의 종방향철근 배근이 용이하게 연결 배근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도 3b와 같이, 공장에서 미리 철근망(120)중에 전단연결철근(121)을 기둥구조물철근(122)을 이용하여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배근하게 된다.
상기 기둥구조물철근(122)은 전단연결철근(121)의 단부를 감싸도록 하는 다수의 이격된 스트럽철근과 절곡판재(111)를 따라 연장되며 스트럽철근를 서로 연결하는 종방향철근에 전단연결철근(121)의 갈고리 단부가 감싸지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전단연결철근(121)을 이용하여 배근합으로서 신속하게 배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3c와 같이, 공장에서 미리 매입형 내부거푸집(110)과 철근망(12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외측거푸집(140)을 설치하고, PC콘크리트(150)를 외측거푸집(140)과 매입형 내부거푸집(110) 사이에 타설 및 양생시키게 된다.
상기 외측거푸집(140)은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되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 단면 형태에 따라 제작한 것을 이용하면 되고 통상은 강재거푸집을 이용하면 된다.
이에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은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있지만 고정단형성부(130)는 절개슬릿(131)으로 관통홀(112)을 폐색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달리 타설된 PC콘크리트(150)가 중공부(S)로 누출되지 않으며, 누출되더라도 소량 흐르는 정도이므로 달리 문제는 없게 된다.
상기 PC콘크리트(150)는 무근콘크리트로 타설하면 된다.
다음은 도 3d와 같이, PC콘크리트(150)가 양생되면 외측거푸집(140)을 탈형하여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을 제작하고, 현장에 운반하여 시공하게 된다.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은 중공부(S)에 전단연결철근(121)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현장에 기초판 상면에 수직으로 전단연결철근(121)이 중공부(S)에 노출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을 세워 세팅한 후,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속채움콘크리트(160)가 중공부(S)에 타설되면서,
중공부(S)에 노출된 철근망(120)이 속채움콘크리트(160)와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이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여 기둥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110:매입형 내부거푸집
111: 절곡판재 112: 관통홀
120: 철근망
121: 전단연결철근 122: 기둥구조물철근
130: 고정단형성부 131: 절개슬릿
140: 외측거푸집 150: PC콘크리트
160: 속채움콘크리트

Claims (10)

  1.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중공부(S)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절개슬릿(131)이 절곡판재(111) 배면에 형성되는 매입형 내부거푸집(110);
    상기 중공부(S)를 가로질러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단부가 절곡판재(111)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121)을 포함하는 철근망(120); 및
    상기 절개슬릿(131)을 전단연결철근(121)에 압착 고정시켜 형성되는 고정단형성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 고정되는 고정단형성부(130)에 의하여 전단연결철근(121)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로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단형성부(130)는,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킨 관통홀(112) 배면에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131)이 형성되도록 절곡판재(111)를 펀칭수단을 이용하여 펀칭시켜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절개슬릿(131)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절개슬릿(131)은 관통홀(112)을 관통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121)을 절곡판재(111) 배면에 압착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전단연결철근(121)이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의 절곡판재(111) 배면에 고정설치 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은,
    절곡판재(111)를 벤딩하여 중공부(S)가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절곡판재(111)의 배면에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함께 형성된 절개슬릿(131) 자체로서 타설되는 PC콘크리트(150)가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120)은,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전단연결철근(121) 및 기둥구조물철근(122)을 포함하는 내부철근들로서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조립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S)에 노출되는 전단연결철근(121)은 속채움콘크리트(160)에 의하여 매립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철근(121)은 절곡판재(11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중공부(S)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철근으로서 중공부(S)에 채워지는 속채움콘크리트(160)에 매립되어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전단철근 역할을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구조물철근(122)은 전단연결철근(121)의 단부를 감싸도록 하는 다수의 이격된 스트럽철근과 절곡판재(111)를 따라 연장되며 스트럽철근를 서로 연결하는 종방향철근을 포함하며, PC콘크리트(150)에 매립되도록 배근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콘크리트(150)는,
    외측거푸집(140)을 이용하여 타설 및 양생되도록 하되,
    상기 외측거푸집(140)은,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일체로 배근된 철근망(120)과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PC콘크리트(150)가 타설되도록 하는 거푸집으로서, 양생 이후 탈형되어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S)에는 속채움콘크리트(160)가 더 타설되며,
    상기 속채움콘크리트(160)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의 중공부(S) 내부로 충진되어 철근망(120)의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로서,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을 현장에 반입하여 세팅한 후, 타설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9. (a) 공장에서,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중공부(S)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절개슬릿(131)이 절곡판재(111) 배면에 형성되는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을 제작하는 단계;
    (b) 공장에서, 상기 절곡판재(111) 배면에 형성된 절개슬릿(131)을 관통홀(112)을 관통하는 전단연결철근(121)에 압착 고정시켜 고정단형성부(130)를 형성시키는 단계;
    (c) 공장에서, 중공부(S)를 가로질러 절곡판재(111)의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단부가 절곡판재(111)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121)을 기둥구조물철근(122)을 이용하여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에 철근망(120)을 배근하는 단계;
    (d) 공장에서, 매입형 내부거푸집(110)과 철근망(12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외측거푸집(140)을 설치하고, PC콘크리트(150)를 외측거푸집(140)과 매입형 내부거푸집(110) 사이에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및
    (e) PC콘크리트(150)가 양생되면 외측거푸집(140)을 탈형하여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을 현장에 운반하여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단계의 고정단형성부(130)는, 전단연결철근(121)이 PC콘크리트(150) 타설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 모멘트 지지점 부재로 작용하며,
    절곡판재(111)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킨 관통홀(112) 배면에 절곡판재(111) 내부로부터 외부로 절개슬릿(131)이 형성되도록 절곡판재(111)를 펀칭수단을 이용하여 펀칭시켜 관통홀(112)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절개슬릿(131)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절개슬릿(131)은 관통홀(112)을 관통하도록 배근된 전단연결철근(121)을 절곡판재(111) 배면에 압착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전단연결철근(121)이 매입형 내부거푸집(110)의 절곡판재(111) 배면에 고정설치 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현장에 기초판 상면에 수직으로 전단연결철근(121)이 중공부(S)에 노출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을 세워 세팅하고,
    전단연결철근(121)이 매립되도록 속채움콘크리트(160)가 중공부(S)에 타설되면서, 중공부(S)에 노출된 철근망(120)이 속채움콘크리트(160)와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100)이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여 기둥구조물로 시공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00179424A 2020-12-21 2020-12-21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8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424A KR102586712B1 (ko) 2020-12-21 2020-12-21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424A KR102586712B1 (ko) 2020-12-21 2020-12-21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102A KR20220089102A (ko) 2022-06-28
KR102586712B1 true KR102586712B1 (ko) 2023-10-11

Family

ID=8226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424A KR102586712B1 (ko) 2020-12-21 2020-12-21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6940A (zh) * 2022-06-29 2022-09-09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预制构件连接钢筋的定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3197A (ja) * 2003-03-27 2004-10-21 Jsp Corp 耐震用スリット材の固定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枠構造体
KR101570484B1 (ko) * 2014-06-27 2015-1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310B2 (ja) * 1996-09-27 2000-11-20 株式会社 応用企画 打ち込み型枠
KR100999020B1 (ko) 2009-06-19 2010-12-09 이승수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및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3197A (ja) * 2003-03-27 2004-10-21 Jsp Corp 耐震用スリット材の固定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枠構造体
KR101570484B1 (ko) * 2014-06-27 2015-1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102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854B1 (ko) 보강판이 일체화된 phc파일 및 그 제조방법
US9080303B2 (en) Reinforced soil structure
KR102586712B1 (ko)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52732B1 (ko) 전단연결재가 미리 형성된 연결판을 이용한 합성파일 및 그 제작방법
KR101665361B1 (ko) 다단계로 보강된 두부보강 일체식 복합 phc 말뚝 및 그 제작방법
KR102658461B1 (ko) 압착슬리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중공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18188851A (ja) 鋼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および鋼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の施工方法
JP6222791B1 (ja) 橋脚基礎の耐震補強方法及び橋脚の耐震補強方法
KR102658468B1 (ko)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70930B1 (ko) 구조물용 휨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127620A (ja) 接合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接合構造
KR102059435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WO2015146907A1 (ja) 梁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躯体
KR100837263B1 (ko) 강합성 말뚝 제작방법
JPH0827784A (ja) 配筋スペーサ及び基礎杭工法
JP6893144B2 (ja) コンクリート棒状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棒状部材の接合構造
JP5750246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JP2017125322A (ja) 基礎構造
KR102413091B1 (ko) 다층중공형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KR102235873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662036B1 (ko) 종방향 연결콘크리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시공방법
CN210767205U (zh) 装配式建筑
KR20190143420A (ko) 보강조립체의 중공 설치에 의한 phc 말뚝의 보강구조 및 이를 구비한 phc 말뚝과 그 시공방법
KR20230052741A (ko) 프리캐스트 내측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JP2009108501A (ja) PCa部材製造方法、PCa部材、PC梁材、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