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005B1 -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2005B1 KR100862005B1 KR1020070071378A KR20070071378A KR100862005B1 KR 100862005 B1 KR100862005 B1 KR 100862005B1 KR 1020070071378 A KR1020070071378 A KR 1020070071378A KR 20070071378 A KR20070071378 A KR 20070071378A KR 100862005 B1 KR100862005 B1 KR 1008620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concrete
- filled
- pipe
- outer st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10 fiber-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2 noncor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87 silica fu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내부 강관과 외부 강관 사이에 콘크리를 충전시킨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하여 조립시킨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외부 강관의 내주면에 강봉 삽입용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접촉시켜 고정시키는 제 1과정;하판상에 상기 강봉 삽입용 파이프가 고정된 외부 강관을 수직으로 세우고 그 외부 강관내에 내부 강관을 위치시키는 제 2과정;상기 외부 강관과 내부 강관의 상부 개구부를 콘크리트 주입 구멍이 형성된 상판으로 막는 제 3과정; 및상기 콘크리트 주입 구멍을 통해 상기 외부 강관과 내부 강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양생시키는 제 4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4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외부 강관과 내부 강관 사이에 충전된 콘크리트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외부 강관 및 내부 강관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콘크리트의 하부는 상기 외부 강관 및 내부 강관 사이에서 하향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내부 강관과 외부 강관 사이에 콘크리를 충전시킨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하여 조립시킨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외부 강관의 내주면에 보조 프레임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외부 강관의 내주면에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상호 다른 높이의 고정위치에 상기 보조 프레임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는 제 1과정;상기 상호 다른 높이의 고정위치에 고정된 보조 프레임에 강봉 삽입용 파이프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제 2과정;하판상에 상기 강봉 삽입용 파이프가 고정된 외부 강관을 수직으로 세우고 그 외부 강관내에 내부 강관을 위치시키는 제 3과정;상기 외부 강관과 내부 강관의 상부 개구부를 콘크리트 주입 구멍이 형성된 상판으로 막는 제 4과정; 및상기 콘크리트 주입 구멍을 통해 상기 외부 강관과 내부 강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양생시키는 제 5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보조 프레임을 다수의 보조재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5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외부 강관과 내부 강관 사이에 충전된 콘크리트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외부 강관 및 내부 강관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콘크리트의 하부는 상기 외부 강관 및 내부 강관 사이에서 하향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내부 강관과 외부 강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킨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하여 조립시킨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강도 보강재가 혼합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중공의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를 제조하되, 상기 상부 연결부에는 파이프 고정 구멍 및 콘크리트 주입 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 연결부에는 상기 상부 연결부의 파이프 고정 구멍에 대향되는 위치에 파이프 고정 구멍을 형성시키는 제 1과정;상기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를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외부 강관 및 내부 강관의 상부 및 하부에 개재시키는 제 2과정;상기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간의 파이프 고정 구멍에 강봉 삽입용 파이프를 설치하는 제 3과정; 및상기 콘크리트 주입 구멍을 통해 상기 외부 강관과 내부 강관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양생시키는 제 4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제 2과정에서, 상기 상부 연결부는 상기 외부 강관 및 내부 강관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끼워지고, 상기 하부 연결부의 하부는 상기 외부 강관 및 내부 강관 사이에서 하향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주입 구멍을 상기 외부 강관의 측면에 형성시키고, 상기 제 4과정에서의 콘크리트 충전시 조립된 강관을 옆으로 뉘어서 상기 측면의 콘크리트 주입 구멍을 통해 콘크리트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1378A KR100862005B1 (ko) | 2007-07-16 | 2007-07-16 |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1378A KR100862005B1 (ko) | 2007-07-16 | 2007-07-16 |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2005B1 true KR100862005B1 (ko) | 2008-10-07 |
Family
ID=4015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13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2005B1 (ko) | 2007-07-16 | 2007-07-16 |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2005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6490B1 (ko) | 2011-06-01 | 2013-05-03 | (주)광원아이앤디 | 분절형 콘크리트충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
CN103306368A (zh) * | 2012-03-16 | 2013-09-18 | 安徽鸿路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 索支韧混凝土钢结构件 |
WO2013180347A1 (ko) * | 2012-05-29 | 2013-12-05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중공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KR101377119B1 (ko) * | 2013-04-01 | 2014-04-15 | 엄순섭 | 이중강관이 구비된 콘크리트 충전 강재기둥 및 그 충전 강재기둥의 연장 연결방법 |
KR101460118B1 (ko) * | 2012-09-20 | 2014-11-10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모듈러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581892B1 (ko) | 2015-06-17 | 2015-12-31 | 주식회사 디에스구조엔지니어링 | 인장 보강된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 및 그 시공 방법 |
CN109457617A (zh) * | 2018-11-01 | 2019-03-12 | 南京工业大学 | 螺旋式混凝土预留孔装置及预留孔制作方法 |
CN111519520A (zh) * | 2020-04-30 | 2020-08-11 |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 一种可快速拼装的预制式双柱桥墩 |
CN113944485A (zh) * | 2021-10-15 | 2022-01-18 |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 Cfrp约束混凝土拱架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4410A (ja) * | 1992-10-08 | 1994-09-20 | Keihan Concrete Kogyo Kk | 橋脚のプレハブ工法及び橋脚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 |
JP2000352108A (ja) | 1999-06-10 | 2000-12-19 | Kajima Corp |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工法 |
KR20020011706A (ko) * | 2000-08-04 | 2002-02-09 | 김희, 이방주 | 조립식 교각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
KR20040098872A (ko) * | 2003-05-16 | 2004-11-26 | 진성토건 주식회사 | 조립식 교각 구조물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물 |
KR100776774B1 (ko) | 2006-07-10 | 2007-11-16 | (주)대우건설 |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
-
2007
- 2007-07-16 KR KR1020070071378A patent/KR10086200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4410A (ja) * | 1992-10-08 | 1994-09-20 | Keihan Concrete Kogyo Kk | 橋脚のプレハブ工法及び橋脚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 |
JP2000352108A (ja) | 1999-06-10 | 2000-12-19 | Kajima Corp |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工法 |
KR20020011706A (ko) * | 2000-08-04 | 2002-02-09 | 김희, 이방주 | 조립식 교각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
KR20040098872A (ko) * | 2003-05-16 | 2004-11-26 | 진성토건 주식회사 | 조립식 교각 구조물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물 |
KR100776774B1 (ko) | 2006-07-10 | 2007-11-16 | (주)대우건설 |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6490B1 (ko) | 2011-06-01 | 2013-05-03 | (주)광원아이앤디 | 분절형 콘크리트충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
CN103306368A (zh) * | 2012-03-16 | 2013-09-18 | 安徽鸿路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 索支韧混凝土钢结构件 |
US9267286B2 (en) | 2012-05-29 | 2016-02-23 |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 Hollow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WO2013180347A1 (ko) * | 2012-05-29 | 2013-12-05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중공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KR101460118B1 (ko) * | 2012-09-20 | 2014-11-10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모듈러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377119B1 (ko) * | 2013-04-01 | 2014-04-15 | 엄순섭 | 이중강관이 구비된 콘크리트 충전 강재기둥 및 그 충전 강재기둥의 연장 연결방법 |
KR101581892B1 (ko) | 2015-06-17 | 2015-12-31 | 주식회사 디에스구조엔지니어링 | 인장 보강된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 및 그 시공 방법 |
CN109457617A (zh) * | 2018-11-01 | 2019-03-12 | 南京工业大学 | 螺旋式混凝土预留孔装置及预留孔制作方法 |
CN109457617B (zh) * | 2018-11-01 | 2024-04-12 | 南京工业大学 | 螺旋式混凝土预留孔装置及预留孔制作方法 |
CN111519520A (zh) * | 2020-04-30 | 2020-08-11 |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 一种可快速拼装的预制式双柱桥墩 |
CN111519520B (zh) * | 2020-04-30 | 2021-04-20 |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 一种可快速拼装的预制式双柱桥墩 |
CN113944485A (zh) * | 2021-10-15 | 2022-01-18 |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 Cfrp约束混凝土拱架 |
CN113944485B (zh) * | 2021-10-15 | 2024-05-10 |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 Cfrp约束混凝土拱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2005B1 (ko) |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 |
KR100662811B1 (ko) | 양단이 결합된 철근콘크리트속채움 비합성복합강관기둥의시공방법. | |
CN209891048U (zh) | 一种预制混凝土墩柱与盖梁的连接结构 | |
KR101903628B1 (ko) |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556545B1 (ko) |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020865B1 (ko) | 증가된 시공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기둥과 보의 건식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090008072A (ko) |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 |
CN106661881A (zh) | 安全性得到强化的预制混凝土桁架墙体结构物及利用其的地下结构物施工方法 | |
KR102011412B1 (ko) |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 |
KR101034185B1 (ko) | 프리캐스트 코핑부와 교각 파일의 결합을 이용한 자전거 통행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20130143097A (ko) | 설치 기초 | |
JP6792329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を用いた柱梁架構の施工方法 | |
KR101663132B1 (ko) | 자립 기둥구조체 | |
CN106401069A (zh) | 一种具有自复位功能的损伤可修复装配式组合柱 | |
KR101339946B1 (ko) |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 |
JP2005097946A (ja) | 橋脚の構築方法 | |
CN113668369A (zh) | 一种预制节段钢筋混凝土桥墩承插式连接构造及制作方法 | |
CN212405468U (zh) | 一种劲性混凝土结构梁柱核心区结构 | |
KR102235873B1 (ko) |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 |
JP6660719B2 (ja) | 柱梁仕口部−柱の接合構造、ラーメン高架橋及び柱梁仕口部−柱の接合構造の構築方法 | |
JP2006291582A (ja) | 大型筒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2598985B1 (ko) | 충전강관 교각 기둥과 철근 콘크리트 피어 캡 간의 연결 공법 | |
JP2017014713A (ja) |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 |
KR100626326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 |
JP2012017575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