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209Y1 -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 Google Patents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209Y1
KR200369209Y1 KR20-2004-0025446U KR20040025446U KR200369209Y1 KR 200369209 Y1 KR200369209 Y1 KR 200369209Y1 KR 20040025446 U KR20040025446 U KR 20040025446U KR 200369209 Y1 KR200369209 Y1 KR 200369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fixing
lid
fix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20-2004-0025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 고정슬리브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시공시 슬라브에 매설되는 배수관 고정슬리브를 오수관과 우수관이 동시에 수용될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오뚜기 형상의 몸체로 구성하고, 그 하부측 개구부에는 기준홀이 형성된 뚜껑체를 착탈가능하게 끼우되, 그 뚜껑체는 거푸집에 고정하여 거푸집 해체시 함께 이탈되게 함으로서 작업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함께 얻을수 있게하고, 상부의 뚜껑체 양측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파이프 관통공이 연약부에 의해 일체로 된 차단판에 차단되었다가 파이프 시공시 이를 간단히 탈거하여 시공케 함으로서 몸체 내부에 단열재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하는 마감캡의 역할을 수행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성의 향상과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한 배수관 고정슬리브의 개선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Improvement structure of drain-pipe fixation sleeve}
본 고안은 배수관 고정슬리브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시공시 슬라브에 매설되는 배수관 고정슬리브를 오수관과 우수관이 동시에 수용될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오뚜기 형상의 몸체로 구성하고, 그 하부측 개구부에는 기준홀이 형성된 뚜껑체를 착탈가능하게 끼우되, 그 뚜껑체는 거푸집에 고정하여 거푸집 해체시 함께 이탈되게 함으로서 작업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함께 얻을수 있게하고, 상부의 뚜껑체 양측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파이프 관통공이 연약부에 의해 일체로 된 차단판에 차단되었다가 파이프 시공시 이를 간단히 탈거하여 시공케 함으로서 몸체 내부에 단열재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하는 마감캡의 역할을 수행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성의 향상과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한 배수관 고정슬리브의 개선구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등과 같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등에는 배수를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배수관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수관들은 건축물의 시공시 각 층별로 매설되는 고정 슬리브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상기와같은 종래의 고정슬리브는 오수관과 우수관을 고정하는 관체가 서로다른 직경을 가지고 내 삽입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되는데,
그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저면은 개구되고 그 외부측으로 바닥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부가 일체로 돌출형성 되어 있고,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슬리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리브 상부에 커버를 일체로 형성시켜 콘크리트 양생후 커버에 충격을 가해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종래기술은 바닥면을 이루는 거푸집 상면에 개략적으로 설치위치를 선정한 다음 외부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에 못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선정이 어렵고,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시간이 경과한후 파이프 설치작업을 진행 할 경우 작업자의 실수로 몸체자체를 손상시킬수 있는 문제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그것은 상부가 막혀져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가 클 경우 이를 연장하지 못하고 슬리브의 상면을 개방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시 주의를 요하며 그 주변에 요홈형성이 불가피하여 국부적인 연약부가 발생하고,
파이프 시공후 단열재등의 삽입작업이 난해해 지는등의 열 개선해야될 문제가 상존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배수관 고정슬리브의 구조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건물의 시공시 슬라브에 매설되는 배수관 고정슬리브를 오수관과 우수관이 동시에 수용될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오뚜기 형상의 몸체로 구성하고,
그 상, 하부측 개구부에는 복수개의 기준홀과 연약부에 의해 차단된 파이프 삽입공이 형성된 상하 뚜껑체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되,
하부측에 위치한 뚜껑체는 거푸집에 고정하여 거푸집 해체시 함께 이탈되게 함으로서 작업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함께 얻을수 있게하고,
상부측 뚜껑체에 형성된 파이프 삽입공은 시공시 약간의 충격을 가해 이를 차단하고 있는 차단판을 간단히 탈거한후 파이프를 간단, 용이하면서 미려하게 시공, 마감할수 있게 할 수 있는 배수관용 고정 슬리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부측 뚜껑체에 형성된 기준홀에 의해 거푸집에 형성된 먹선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슬리브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 시킴으로서 더욱 정확하고 견고한 건축물의 시공을 행 할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 상부의 개구부를 뚜껑체로 개폐할수 있게 함으로서 단열재의 시공을 보다 간단용이 하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려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녀주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하부측 뚜껑체,
3 ; 사우측 뚜껑체,
8 : 연장소켓,
11 : 상부측 개구부,
12 ; 하부측 개구부,
21 : 기준홀,
22 ; 고정공,
31 : 연약부,
32 ; 차단판,
33 : 파이프삽입공,
34 : 고정용돌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
즉 본 고안은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되어 오수관과 우수관을 고정하는 배수관 고정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오수관과 우수관이 동시에 수용될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상하로 관통된 오뚜기 형상의 몸체(1)로 구성되고, 그 상, 하부측 개구부(11),(12)에는 복수개의 기준홀(21)과 연약부(31)에 의해 차단판(32)이 일체로 된 파이프 삽입공(33)이 형성된 상,하 뚜껑체(2),(3)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측 뚜껑체(2)는 상기 기준홀(21)을 중심으로 다수의 고정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측 뚜껑체(3)의 상면에는 상기 파이프 삽입공(33)을 중심으로 고정용 돌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4는 거푸집, 5 는 몰탈층, 6 은 파이프, 7 은 단열재, 13은 몸체(10의 외면에 다수 형성된 돌조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4)이 설치되면 그 거푸집(4)의 상면에 본 고안의 슬리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먹줄로 기준선을 긋게된다.
기준선이 마련되면 하부측 뚜껑체(2)를 먼저 거푸집(4)의 상면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기준홀(21)을 통하여 교차된 기준선상에 하부측 뚜껑체(2)를 놓고 그 내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22)에 못 또는 피스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하부측 뚜껑체(2)를 단단히 고정하여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측 뚜껑체(2)의 외면에 당접되는 상태로 몸체(1)를 끼워주기만 하면 일차적인 슬리브의 고정작업은 완료되게 되고, 또한 상부측 개구부(11)에 상부측 뚜껑체(3)를 끼워 폐쇄함으로서 슬리브의 설치작업은 매우 간단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슬리브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고나면 슬리브의 몸체(1) 두께면(높이)에 맞추어 철골조 작업이 이루어지고, 철골조 작업시 상부측 뚜껑체(3)의 상면에 형성되어 이는 고정용돌부(34)를 와이어등으로 묶어 골조에 임시 고정하는데,
이는 콘크리트 몰탈작업시 상부측 뚜껑체(3)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몸체(1)가 하부측 뚜껑체(2)로부터 유동되거나 이탈되는것을 예방한다.
상기와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슬리브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슬리브 몸체(1) 외면에 기 설정된 두께로 콘크리트 몰탈을 치는 작업을 행하고 일정시간 양생기를 거쳐 건축물의 바닥면이 완성된다.
몰탈이 양생되면 거푸집(4)을 해체하게 되는데, 이때 슬리브 몸체(1)는 경화, 양생된 콘크리트 몰탈층(5)의 사이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몸체(1)의 하부측 뚜껑체(2)가 거푸집(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부에서 거푸집(4)을 해체할때 몸체(1)로부터 하부측 뚜껑체(2)가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몸체(1)의 하부측 개구부(12)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이때 상부측 뚜껑체(3) 상면에 형성된 고정용돌기부(34)를 묶어 고정하고 있는 와이어는 절단, 해제 하게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부측 뚜껑체(3)는 몸체(1)의 상부측 개구부(11)로부터 착탈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파이프(6, 오수 및 우수관)를 시공 할 경우, 상부측 뚜껑체(3)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삽입공(33)을 차단하고 있는 차단판(32)에 약간의 충격을 가해상기 차단판(32)을 탈거 한 후, 상기 파이프 삽입공(33)에 파이프(6)를 미리 통과시킨 상태로 상부측 뚜껑체(3)를 상부측 개구부(11)에 닫아주면 외부에 몸체(1)의 내면이 노출되지 않게된다.
이는 곧 몸체(1)의 내면에 충진되는 단열재(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의 미려함을 얻을수 있게되는 잇점이 있고, 그 시공작업이 매우 간단 용이해지며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및 그 단면도로서,
이는 몸체(1)의 상부측 개구부(11)에 끼워지는 연장소켓(8)을 착탈가능하게 개재하여 이룬 일례를 보여주는데,
상기 연장소켓(8)은 단차진 하부측 외면이 몸체(1)의 상부측 개구부(11) 내면에 끼워지고, 상기 연장소켓(8)의 상부측 내면에는 상부측 뚜껑체(3)가 끼워져 이루어진다.
이러한것은 몰탈층(5)의 뚜께에 따라 기 설계된 연장소켓(8)의 높이를 가감 조절하여 다수 구비하고 필요시 선택적으로 사용케 함으로서 슬리브의 몸체(1)를 규격화시키고 하나의 금형으로 여러 몰탈층의 두께를 모두 수용가능하게 한 일례를 보여준다.
그 이외에 다른 부분은 전술한 본 고안과 동일 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셜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의 시공시 슬라브에 매설되는 배수관 고정슬리브를 오수관과 우수관이 동시에 수용될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오뚜기 형상의 몸체로 구성하고, 그 상, 하부측 개구부에는 복수개의 기준홀과 연약부에 의해 일체로된 차단판으로 차단된 파이프 삽입공을 갖는 상, 하 뚜껑체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되,
하부측에 위치한 뚜껑체는 거푸집에 고정하여 거푸집 해체시 함께 이탈되게 함으로서 작업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함께 얻을수 있게 되었고,
상부측 뚜껑체에 형성된 파이프 삽입공은 시공시 약간의 충격을 가해 이를 탈거한후 파이프를 간단, 용이하면서 미려하게 시공, 마감할수 있게하는 배수관용 고정 슬리브를 제공하여 보다 정확하고 견고한 건축물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단열재의 시공을 보다 간단용이 하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였을뿐아니라 몰탈층의 두께를 모두 수용가능 하게하는 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되어 오수관과 우수관을 고정하는 배수관 고정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오수관과 우수관이 동시에 수용될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상하로 관통된 오뚜기 형상의 몸체(1)로 구성되고, 그 상, 하부측 개구부(11),(12)에는 복수개의 기준홀(21)과 연약부(31)에 의해 차단판(32)이 일체로 된 파이프 삽입공(33)이 형성된 상,하 뚜껑체(2),(3)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측 뚜껑체(2)는 상기 기준홀(21)을 중심으로 다수의 고정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측 뚜껑체(3)의 상면에는 상기 파이프 삽입공(33)을 중심으로 고정용 돌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상부측 개구부(11)에는 연장소켓(8)이 착탈가능하게 개재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소켓(8)은 단차진 하부측 외면이 몸체(1)의 상부측 개구부(11) 내면에 끼워지고, 상기 연장소켓(8)의 상부측 내면에는 상부측 뚜껑체(3)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2004-0025446U 2004-09-04 2004-09-04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69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46U KR200369209Y1 (ko) 2004-09-04 2004-09-04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46U KR200369209Y1 (ko) 2004-09-04 2004-09-04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209Y1 true KR200369209Y1 (ko) 2004-12-03

Family

ID=4935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446U KR200369209Y1 (ko) 2004-09-04 2004-09-04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2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55B1 (ko) 2009-06-08 2011-06-30 박상신 배관용 접속관 연결을 위한 관통 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55B1 (ko) 2009-06-08 2011-06-30 박상신 배관용 접속관 연결을 위한 관통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8569B2 (ja) 排水構造及び排水構造の施工方法
KR200451396Y1 (ko) 복합형 슬리브
KR200469370Y1 (ko) 벽체 관통 슬리브
KR200369209Y1 (ko)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200417634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100634759B1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KR101301626B1 (ko) 배수트렌치
KR100805967B1 (ko) 설치위치 조정형 집수정 결합구조
KR100614839B1 (ko)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101058940B1 (ko)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20080076279A (ko)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200408429Y1 (ko) 건축용 방수턱 거푸집
KR200300844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100536430B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방법 및 그 구조
KR200371585Y1 (ko) 욕실용 매립트랩의 개량구조
KR200348102Y1 (ko) 세면기용 매립형 배수관
KR200456309Y1 (ko) 관통 슬리브
KR200197237Y1 (ko)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KR100874309B1 (ko) 배수조 고정용 캡
KR100545143B1 (ko) 건축물의 지하 벽체 내설용 배수판구조
KR200281450Y1 (ko) 건축물의 바닥용 배수관겸 코어
KR200204328Y1 (ko) 배수트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