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708B1 -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 Google Patents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708B1
KR102442708B1 KR1020210086069A KR20210086069A KR102442708B1 KR 102442708 B1 KR102442708 B1 KR 102442708B1 KR 1020210086069 A KR1020210086069 A KR 1020210086069A KR 20210086069 A KR20210086069 A KR 20210086069A KR 102442708 B1 KR102442708 B1 KR 10244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cover
cover assembly
drain pipe
od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수
Original Assignee
정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수 filed Critical 정호수
Priority to KR102021008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악취 및 벌레 유입경로를 완전히 밀폐시켜서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우수관 커버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형상이 양분된 커버조립체의 상,하단에 각각 상,하부패킹이 장착되어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는 배수관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는 서로 대향된 체결구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측면의 이음새에도 H형상의 측면패킹을 장착하고, 측면패킹의 상,하단이 상,하부 패킹에 맞닿게 구성되어 체결구의 조임에 의하여 상,하부패킹 및 측면패킹이 서로 압박되어 틈이 발생하지 않고 긴밀히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또한, 측면패킹의 상단 내면이 상부패킹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하고, 체결구에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측면패킹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긴밀하게 조립되게 하며, 하부패킹을 활용하여 배수구 유로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Drain pipe cover to block the entry of odors and insects}
본 발명은 베란다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통하여 발생하는 악취 및 벌레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배수관에 덧씌워 장착하는 배수관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악취 및 벌레 유입경로를 완전히 밀폐시켜서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우수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구조에서는 배수를 위하여 층간 배수관이 설치되는 것으로, 각 층간 세대의 수직배수관은 주로 베란다에 형성된 배수구에 통수관이 연결되어 수직 배수관을 구성한다.
그리고 수직 배수관을 통하여 옥상에서 흘러내리는 빗물 등을 상층부로부터 하층부로 연속 배수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베란다에서 발생하는 물도 함께 배수할 수 있도록 각 층의 배수구가 통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배수구가 통기된 상태에서는 악취나 벌레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대부분 배수구 부근에 통수관을 감싸는 형태로 별도의 배수관 커버를 장착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악취나 벌레유입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배수관 커버는 통상 악취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패킹이 장착되어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악취가 스며나오는 문제가 있다.
배수관 커버는 배수관이 이미 시공된 상태에서 커버를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수관 커버는 양방향으로 분할되어 상호 조립에 의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커버의 구조는 원통형의 구조가 양분되도록 구성되어 배수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조립이 이루어지고, 커버와 통수관의 연결부위에는 패킹이 장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패킹이 제대로 밀착되지 않은 부분을 통하여서 또는 커버의 체결부위를 통하여 미세한 틈으로 여전히 악취가 스며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커버의 상단과 하단에 패킹을 장착하여 차단하는 구조들은 많이 나와 있지만, 커버가 플라스틱으로 성형제작되는 특성상 연결부위에서 미세한 틈새를 통하여 악취가 새나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커버를 볼트 조임방식으로 강하게 조여 고정하지만, 과도하게 조일 경우 연결부위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면서 오히려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수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베란다 바닥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구배가 형성되는데, 이 구배로 인하여 틈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해당 바닥이 타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타일과 줄눈 사이의 틈을 통하여 악취나 벌레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베란다에는 수전이 구비되어 있어서 물을 사용한 이후에 배수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밀폐되는 구조의 종래의 커버는 배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물청소를 할 경우 등 배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커버를 분리하는 등의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
특히, 최근에는 베란다는 화초를 키우는 방식으로 실내정원을 구성하거나 홈카페나 홈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물사용이 많은데, 그때마다 배수를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 커버의 구조가 베란다 바닥과 배수관 표면은 물론 배수관 커버의 조립부위까지도 완전히 밀착되어 밀폐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배수관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악취 및 벌레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완전히 밀폐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커버를 분리할 필요없이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개폐구조 또한 밀폐가 이루어지면서 구조를 간소화하여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원통형의 형상이 양분된 커버조립체의 상,하단에 각각 상,하부패킹이 장착되어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는 배수관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는 서로 대향된 체결구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측면의 이음새에도 H형상의 측면패킹을 장착하고, 측면패킹의 상,하단이 상,하부 패킹에 맞닿게 구성되어 체결구의 조임에 의하여 상,하부패킹 및 측면패킹이 서로 압박되어 틈이 발생하지 않고 긴밀히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측면패킹의 상단 내면이 상부패킹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하고, 체결구에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측면패킹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긴밀하게 조립되게 한 것이다.
또한, 하부패킹이 커버조립체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게 하면서도 하부패킹 중의 일부를 커버조립체의 내벽에 걸림되는 부분이 제거된 개방단부를 형성하여 커버가 시공완료된 상태에서도 하부패킹을 열어서 배수유로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버조립체에 형성된 호스관에 하부패킹을 걸어서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구 개폐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커버조립체의 하단을 설치장소의 굴곡에 대응하여 후가공할 수 있도록 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커버 설치를 정교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관 커버에 의하면, 양분구조로 이루어져 조립되는 커버의 상,하부는 물론 커버가 조립될 때 이음되는 측면에서도 패킹에 의한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완전히 밀폐가 이루어지고, 리크포인트를 최소화하여 밀폐성능을 향상시키고 악취 벌레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위에서 조임 고정에 의한 완충기능을 제공하여 체결부위에서의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를 분리할 필요없이 하부패킹만을 활용하여 배수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필요시에만 간편하게 개방하여 사용한 후 닫아서 원상태로 복귀가 가능하며,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커버 구조 자체를 활용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개방되는 하부패킹의 단부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더 자유롭게 함으로써 개방폭을 더 확보하고 개방된 상태에서 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유로를 충분히 확보하여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개폐구조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기능이 향상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조립체의 하단을 설치 장소에 대응하게 후가공한 후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바닥면과의 접촉면이 긴밀히 밀폐가 이루어지게 커버가 기울어지게 설치되거나 커버 하부의 들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관 커버의 외관 사시도
도 2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관 커버의 설치상태도
도 6은 도 5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관 커버의 하부패킹을 이용한 유로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
도 9는 도 7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패킹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패킹의 거치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커버조립체와 하부패킹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커버조립체 하단의 가공부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가공부의 실시 예
도 15는 본 발명의 체결구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구조
도 16은 도 15의 조립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수관 커버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란다의 배수관에 장착되어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로서, 양분되는 구조의 커버조립체(100)와, 상부패킹(200)과, 하부패킹(300)과, 측면패킹(400)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배수관 커버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조립체(100)는 배수관 커버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원통형의 형상이 반원형의 원통 형상으로 양분되게 이루어지고, 그 양분된 커버조립체(100)로 배수관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커버조립체(100)는 상단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면서 하단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커버조립체(100)의 상단은 통수관을 수용하고, 커버조립체(100)의 하단은 통수관이 장착된 덕트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체(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부패킹(200)과, 하부패킹(300)이 장착되어 통수관과 바닥면에 인접하게 장착된다.
상부패킹(200)은 커버조립체(100)의 상단에 장착되어 통수관과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커버조립체(100)와 같이 양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버조립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101)에 상부패킹(200)을 끼워 커버조립체(100)를 조립함으로써 통수관과 커버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조립체(100)의 하단에 장착되는 하부패킹(300)은 배수관 커버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조립체(100) 하부에 끼워 조립되며, 이 하부패킹(300) 또한 양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커버조립체(100)의 하단에 먼저 끼운 후 커버조립체를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커버조립체(100)는 양분된 구조가 체결구(120)에 의하여 서로 대향되게 조립되어 원통형 구조를 이루도록 되는 것으로서, 측면(102)의 이음새에는 측면패킹(400)이 장착되어 체결구(120)를 이용하여 결합에 따라 측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120)에는 체결공(124)이 형성되어 피스 조립방식으로 조여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체결공 자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피스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너트를 이용한 피스 조립방식으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2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끼움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일측에는 돌출된 구조의 후크조립부(126a)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소켓(126b)을 형성하여 후크조립부(126a)가 소켓(126b)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원터치 방식으로 끼워 조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분할 구성된 커버조립체(100)의 일측변과 타측변을 서로 대응되는 암수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양분된 상태의 두 개의 커버조립체(100)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함에도 두 개의 커버조립체를 암수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금형으로 양분된 커버조립체를 성형 제작할 수 있다.
측면패킹(400)은 'H'의 단면형상으로 대향홈(420)이 형성되어 커버조립체(100)가 서로 대향되게 조립되는 선단부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킹이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패킹(40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패킹(200)과 하부패킹(300)에 맞닿게 구성되게 함으로써 체결구(120)의 결합 또는 조임에 의하여 측면패킹(400)을 압박하면서 상,하부 패킹 및 측면패킹이 서로 압박되어 커버의 상,하측과 연결부위에서 모두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측면패킹(400)의 상단이 상부패킹(200)의 이음새 외주연에 배치하면 커버조립체(100)를 조립함에 따라 측면패킹(400)이 눌려지면서 외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는데, 상부패킹의 이음새 외주연에 측면패킹(400)이 가압되어 연결부위에서 리크포인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밀폐되어 악취가 새나오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경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조립체(100)의 측면(102) 선단부에 측면패킹(4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측면패킹(400)의 상단 내면이 상부패킹(200)의 외주연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의 이음새에 돌부(104)를 형성하여 측면패킹이 돌부에 안착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구(120)에는 측면패킹(4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구(120)가 측면패킹(400)을 감싸는 형태로 수용홈(122)이 형성되어 커버조립체(100)를 조립함에 따라 측면패킹(400)이 정위치에 수용 및 가압고정되어 긴밀하게 조립이 이루어짐은 물론, 양분구조로 이루어져 조립되는 커버의 상,하부는 물론 커버가 조립될 때 이음되는 측면에서도 패킹에 의한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완전히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면서도 조임 고정에 의한 완충기능을 제공하여 체결부위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120)는 커버조립체(100)의 이음새 부분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복수의 체결구(120)가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다단으로 구성되는 체결구(120) 들에 의하여 측면패킹(400)의 외면이 수용홈(122)에 의하여 정위치 조립되어 밀폐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패킹들, 상,하부와 측면에 사용되는 패킹의 형상을 모두 동일한 단면으로 단일화하면 부품 제조의 간소화와 장착의 간소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패킹(300)도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패킹(400)과의 연결부에서 긴밀히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버 전체의 패킹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배수관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패킹에 의하여 틈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크포인트를 최소화함은 물론, 밀폐성능을 향상시키고 악취 및 벌레유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패킹(300)은 커버조립체(100)의 하단을 감싸도록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패킹(300) 중 일부의 단면형상을 달리 형성하면 배수관 커버가 시공된 상태에서 하부패킹(300)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당겨 빼내서 배수유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하부패킹(300) 중의 일부 단면에 커버조립체(100)의 내벽에 걸림되는 부분이 제거된 개방단부(320)를 형성하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를 분리할 필요없이 하부패킹만을 활용하여 배수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단부(320)는 내벽에 걸림되는 부분이 제거될 때 미세하게 걸림되는 정도로만 남아있도록 하여 패킹이 임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강제로 당길 경우에만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란다에서 배수가 필요한 경우 개방단부(320)를 활용하여 하부패킹(300) 중의 일부를 개방하여 배수구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하부패킹(300)의 개방된 부분을 다시 끼워서 닫음으로써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패킹을 활용하여 개폐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개폐부속이 필요치 않고 개폐구조가 전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기능이 향상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단부(320)가 형성된 부분을
Figure 112021075825374-pat00001
와 같이 걸림부가 전혀 없는 단면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Figure 112021075825374-pat00002
와 같이 커버조립체의 내벽에 미세하게 걸림되는 구조의 단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패킹(300)의 하단은 다중 격벽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면에 안착될 때 지면의 형상에 대응하게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다단으로 밀폐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패킹(300)에서 개방단부(320)가 형성된 외측으로는 하부패킹(300)의 끝부분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관 커버를 설치한 상태에서 세탁기 등의 호스를 연결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상기 커버조립체(100)에는 배수호스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호스관(106)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패킹(300)의 양분된 양측단부의 이음부위가 호스관(106)의 직하방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하부패킹(300)의 개방단부(320)를 열어서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하부패킹의 단부를 호스관에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커버 구조 자체를 활용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조립체(100)의 하단은 하부패킹(300)이 인출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향내입부(140)를 형성하여 유로확장이 이루어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상향내입부(140)를 형성하는 경우
Figure 112021075825374-pat00003
와 같이 커버조립체의 내벽측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유로가 개방되는 폭을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내부측이 밀폐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향 내입부는 배수유로가 개방되는 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상향내입부(140)의 상,하 폭을 넓게 함으로써 하부패킹(300)의 단부를 인출하여 유로를 개방할 때 하부패킹의 인출이 용이함은 물론, 하부패킹을 개방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호스관(106)에 걸어서 고정할 때 비틀림의 가변폭이 커져서 쉽게 휘어져 안정적으로 걸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로확장이 이루어져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지면서도 패킹을 쉽게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조립체(100)는 커버가 설치되는 현장의 바닥이 편평하지 않은 경우 그 굴곡진 형상에 맞도록 가공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조립체(100)의 하단에 공구나 니퍼 등을 이용하여 절단에 의하여 하부측 형상을 가공할 수 있도록 가공부(1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부분을 재단하여 커버를 수평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부(16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조립체(1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제작하여 공구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형상의 홈부(162)를 형성하거나 엠보싱 구조의 요철구조로 일정한 패턴을 갖는 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 커버의 설치장소의 바닥이 편평하지 않고, 예를 들어 타일이 불규칙하게 시공되거나 물매를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라도 그 바닥면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가공부(160)를 재단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커버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커버조립체(100) 하단의 들뜸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바닥부분의 밀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악취나 벌레유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100: 커버조립체 101: 안착부 102: 측면
104: 돌부 106: 호스관
120: 체결구 122: 수용홈
140: 상향 내입부
160: 가공부 162: 홈부
200: 상부패킹
300: 하부패킹
320: 개방단부
400: 측면패킹
420: 대향홈

Claims (6)

  1. 원통형의 형상이 양분되어 배수관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조립체(100), 커버조립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통수관과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패킹(200), 커버조립체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바닥면과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패킹(300)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패킹이 커버조립체에 끼워진 상태에서 커버조립체가 원통형으로 조립되어 배수관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100)는 양분된 구조가 체결구(120)에 의하여 서로 대향되게 조립되고,
    측면(102)의 이음새에는 서로 대향된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H'형상의 측면패킹(400)이 장착되며,
    상기 측면패킹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측면패킹(40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부패킹(200)과 하부패킹(300)에 맞닿게 구성되어 체결구(120)의 조임에 의하여 측면패킹(400)을 압박하면서 상,하부 패킹 및 측면패킹이 서로 압박되어 커버의 상,하측과 연결부위에서 모두 밀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킹(400)의 상단은 상부패킹(200)의 이음새 외주연에 배치되어 커버조립체(100)를 조임에 따라 측면패킹(400)이 상부패킹의 이음새 외주연에 가압되어 리크포인트가 없이 밀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100)의 측면(102) 선단부에 측면패킹(4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측면패킹(400)의 상단 내면이 상부패킹(200)의 외주연에 밀착될 수 있도록 측면의 이음새에 돌부(104)가 형성되어 측면패킹이 장착되고,
    상기 체결구(120)는 측면패킹(4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 및 가압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수용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킹(300)은 커버조립체(100)의 하단을 감싸도록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커버가 시공된 상태에서 하부패킹(300)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당겨 빼내서 배수유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부패킹(300) 중의 일부 단면에 커버조립체(100)의 내벽에 걸림되는 부분이 제거된 개방단부(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100)에는 배수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호스관(10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패킹(300)은 양분된 하부패킹의 양측단부의 이음부위가 호스관(106)의 직하방에 형성되어 하부패킹(300)의 개방단부(320)를 열어서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하부패킹의 단부를 호스관에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100)는 하부패킹(300)이 인출되는 하단에 상향내입부(140)가 형성되어 유로확장이 이루어지면서도 하부패킹(300)의 인출이 용이하고 하부패킹을 개방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비틀림의 가변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KR1020210086069A 2021-06-30 2021-06-30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KR10244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69A KR102442708B1 (ko) 2021-06-30 2021-06-30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69A KR102442708B1 (ko) 2021-06-30 2021-06-30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708B1 true KR102442708B1 (ko) 2022-09-13

Family

ID=8328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069A KR102442708B1 (ko) 2021-06-30 2021-06-30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70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94Y1 (ko) * 2003-04-22 2003-07-25 심득섭 베란다의 배수용 여과망 덮개
CN201099897Y (zh) * 2007-09-28 2008-08-13 闫现民 一种深水封防臭防虫地漏
KR20100055461A (ko) * 2007-08-15 2010-05-26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밀봉 개스킷 및 방법
KR20130095865A (ko) * 2012-02-21 2013-08-29 하철상 층간의 소음 및 악취 방지용 슬리브
KR101610844B1 (ko) * 2016-02-11 2016-04-20 주식회사 에스엠지 루프드레인용 여과망 덮개
KR101733095B1 (ko) * 2016-09-27 2017-05-24 (주)피앤에프테크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200488578Y1 (ko) * 2017-08-14 2019-02-21 신성현 하수관 커버
KR20190089667A (ko) * 2018-01-23 2019-07-31 이주영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200109015A (ko) * 2019-03-12 2020-09-22 박종환 배관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연결부 보강 장치
JP2020530542A (ja) * 2017-08-09 2020-10-22 メインスプリング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間隙カバー要素を有するピストンシールリング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94Y1 (ko) * 2003-04-22 2003-07-25 심득섭 베란다의 배수용 여과망 덮개
KR20100055461A (ko) * 2007-08-15 2010-05-26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밀봉 개스킷 및 방법
CN201099897Y (zh) * 2007-09-28 2008-08-13 闫现民 一种深水封防臭防虫地漏
KR20130095865A (ko) * 2012-02-21 2013-08-29 하철상 층간의 소음 및 악취 방지용 슬리브
KR101610844B1 (ko) * 2016-02-11 2016-04-20 주식회사 에스엠지 루프드레인용 여과망 덮개
KR101733095B1 (ko) * 2016-09-27 2017-05-24 (주)피앤에프테크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JP2020530542A (ja) * 2017-08-09 2020-10-22 メインスプリング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間隙カバー要素を有するピストンシールリングアセンブリ
KR200488578Y1 (ko) * 2017-08-14 2019-02-21 신성현 하수관 커버
KR20190089667A (ko) * 2018-01-23 2019-07-31 이주영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200109015A (ko) * 2019-03-12 2020-09-22 박종환 배관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연결부 보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936B1 (en) Hose retainer
KR102442708B1 (ko)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KR20100042619A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US20070094952A1 (en) Basement wall water protection system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0320994Y1 (ko) 베란다의 배수용 여과망 덮개
KR102134970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JP2930558B2 (ja) ドレンホース継手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0187054Y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86962B1 (ko) 트랩 및 상기 트랩이 구비되는 트렌치
JP4408689B2 (ja) 分割式洗い場付き浴槽における排水用部材の接続方法
JP2006118224A (ja) 槽体の排水器
KR100520717B1 (ko) 건축용 우,오수 배수관 설치구조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KR102663627B1 (ko)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KR960009225Y1 (ko) 세탁기의 배수호스용 안내배출구
CN212294883U (zh) 预留检修孔型下水道防堵沉水管
CN209941849U (zh) 一种新型防鼠地漏
KR200415866Y1 (ko)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배수트랩용 상부 가이드판
KR20140001861U (ko) 하수관분기용 연결구
KR102453350B1 (ko) 세면대용 배수관 어셈블리
US20030037371A1 (en) Drain assembly for above ground flexible swimming pool cover (s)
JPH0420902Y2 (ko)
KR200406050Y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