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050Y1 -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050Y1
KR200406050Y1 KR2020050028616U KR20050028616U KR200406050Y1 KR 200406050 Y1 KR200406050 Y1 KR 200406050Y1 KR 2020050028616 U KR2020050028616 U KR 2020050028616U KR 20050028616 U KR20050028616 U KR 20050028616U KR 200406050 Y1 KR200406050 Y1 KR 200406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washer
branch pip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오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호 filed Critical 오정호
Priority to KR2020050028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종래의 신설 하수관이나 이미 설치된 하수관 중 하수관 종류에 따라 표면 형상이 요철 또는 평활할 수 있고, 배관 내경이 동일하나 배관 두께가 다를 수 있으며 더욱 배관 내경도 달라 이들 배관재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수밀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나팔관 형태의 패킹 상단부를 분기지관 하부와 일체로 하므로써, 배관 내면 1개소에만 수밀시키더라도 배관 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와 배관 내면과 분기지관 내면 유출수까지 차단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되, 분기지관 내면과 내측와샤를 나사조임 없이도 배관 내면에 걸려 있는 내측와샤와 일체인 돌출관 상면 양측에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를 걸리게 분기지관을 확관되는 수명면 걸림턱을 형성한 분기지관으로 하여 분기지관에서 내측와샤를 뽑아지지 못하게 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분기지관 내면에 삽입되는 내측와샤의 돌출관 내면에 나사조임 부위가 없으므로 돌출관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동시에 배관 유입공도 비교적 작게 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지관 내면에서 내측와샤를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나사조임을 하지 않아 설치의 간편함과 수밀에 확실함을 갖는 장점이 있고 배관 표면 형상이 다르거나 배관경이 동일하면서 배관 두께가 다른 경우와 배관 내경이 다른 경우에도 단 1개의 보조링 와샤를 교체하므로써 이들에 공통 사용할 수 있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되어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 정면도와 일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상부 평면도
도 5A는 새들 정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측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나팔관 형태의 패킹과 일체인 분기지관 정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측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상부 평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내측와샤 정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상부 평면도
도 8A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54114호의 분해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일부 단면도
도 9A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57012호의 분해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볼트(나사) 6 : 인장선
70 : 나팔관 형태의 패킹 71 : 패킹의 외면부
72 : 패킹의 중앙부 73 : 패킹의 내면부
74 : 패킹 중앙부의 요홈 77 : 패킹 중앙부의 주름
90 : 쐐기 100 : 새들
120 : 새들 돌출관 내면 130 : 돌출관 내면 길이방향 돌출레일
150 : 새들 돌출관 200 : 분기지관
201 : 상부 분기지관 202 : 하부 분기지관
203 : 수평면 걸림턱 204 : 수평면 걸림턱 암나사 구멍
260 : 분기지관 외면 길이방향 요홈 284 : 분기지관 하부 내면
285 : 분기지관 하면 286 : 분기지관 하부 외면
290 : 분기지관 외면 숫나사 300 : 내측와샤
360 : 내측와샤 돌출관 363 : 돌출관 측면
365 : 돌출관 단면 366 : 돌출관 V자 공간부
370 : 절취면 380 :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
385 : 볼트(나사)구멍 400 : 너트
500 : 경첩(hinge) 600 : 배관
610 : 배관 외면 620 : 배관 내면
650 : 유입공 700 : 연결관
900 : 보조링 와샤
본 원인이 선 고안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54114호(분기소켓 부착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57012호(유인선이 부착된 소켓 부착장치)와 일본 특허 공개 평4-203584호(분기관 계수 : 공개 평성4년 1992년 7월 24일)가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54114호는 배관이 유입공(유출공)에 인장선이 연결된 내측와샤(분할와샤)를 꼽아 유입공 배관 내면에 걸리게 하고 배관 외면 곡면을 갖는 분기소켓 하면이 배관 외면을 향한 상태에서 패킹을 대고 분기소켓 내면 돌출부에 형성한 볼트구멍에 볼트를 꼽고 내측와샤의 조임부위와 조여 분기소켓을 배관 외면에 부착하는 분기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 외면이 평활한 경우에는 수밀에 문제가 없으나 이중벽 하수관 또는 PVC DC관과 같이 배관 외면이 요철 형상인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하수관과 같이 오물이 통과할 경우에는 분기소켓 내면의 나사조임을 위한 조임부위가 돌출되어 있어 이에 오물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 다수의 나사조임을 해야 하므로 시공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57012호는 내측와샤(절단와샤)가 장방형으로 되어 있어 완전한 원형 형상의 내측와샤가 배관 내면에 걸쳐지게 할 수 없는 문제점과 배관 외면에 패킹이 있으므로 이중벽 하수관, PVC DC관처럼 배관 외면이 요철 형상이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4-203584호의 경우 닛블 형상의 수구 단관을 새들 위에 놓인 경사부를 회전시켜 수구 단관을 조여 패킹을 압박 수밀되게 하는 기술로써, 배관 종류가 다르거나(배관 두께가 다를 경우)와 유입공 크기가 규격보다 크거나 경사지게 뚫어지면 체결과 수밀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 분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패킹을 배관 외면이 아닌 배관 내면에 있어 배관 표면이 평활한 배관재 뿐만 아니라 이중벽 하수관이나 PVC DC관과 같이 배관 외면이 요철 형상이더라도 수밀이 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기술 개발과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기지관 내면의 조임 부위와 배관 내면에 걸려 있는 내측와샤의 돌출관과 분기지관 내면과 수직된 나사조임을 없게 하므로써, 원통형 내면이 되면서 동시에 배관의 유입공을 작게 뚫은 상태에서 분기지관 내면에 삽입된 내측와샤 돌출관이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구조의 기술 개발이 과제이며 또다른 과제는 배관 내경이 동일하면서 배관 종류에 따라 두께가 다른 경우와 배관 내경이 다른 경우에도 단 1개의 부품을 교체하므로 수밀이 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제공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배관(600) 측면에 뚫은 유입공(650) 일측에서 내측와샤(300)를 유입공 속에 집어넣고 내측와샤(300)를 유입공(650) 내면(620) 주연부에 걸리게 하고 배관 유입공 외면(610) 주연부에 하면이 곡면인 분기소켓을 대고 분기소켓 내면 조임부와 유입공 내면에 걸려 있는 내측와샤의 조임부와 나사조임으로 배관 유입공 주연부 외면에 분기소켓을 배관 내면의 내측와샤와 조여지게 부착하고 이어 연결관(700)을 분기소켓에 꼽게할 때, 상기 분기소켓을 하면이 곡면인 새들(100)과 이와 일체인 돌출관(150)으로 하고 돌출관 속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분기지관(200)으로 구성하며, 수밀을 위한 패킹은 배관 유입공 내면(620) 주연부 전체에 밀착되는 곡면을 갖는 패킹 내면부(73)와 배관 유입공 측면 형태의 관체형 패킹 중앙부(72)를 관체형 패킹 또는 관체형 패킹 내외면에 요홈(74)이나 주름(77)을 형성하고 동일 방향의 패킹 상단인 패킹 외면부(71)로 된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으로 하고, 새들 중앙을 관통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분기지관의 하부의 내외면 또는 하면과 상기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상단부인 패킹 외면부(71)를 일체로 한 분기지관으로 하므로써, 배관 유입공 내면(620) 주연부와 내측와샤(300) 사이에 개재된 나팔관 형태의 패킹 내면부(73)가 분기지관 내면과 나사조임 하거나 내측와샤와 일체인 돌출관(360)이 걸리게 하고 배관 두께가 달라 분기지관으로 높낮이를 배관 두께와 맞게 배관 외면에서 새들 돌출관(150) 상면을 분기지관 외면의 숫나사(290)에 조임된 너트(400)로 조여 가압하여 배관 유입공(650) 내면(620) 주연부와 내측와샤(300) 사이의 나팔관 형태의 패킹 내면부(73)만 압박하면 수밀이 되는 수밀방법을 이용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로 함에 있어, 상기 분기지관(200)은 내측와샤(300)와 일체인 돌출관(360)이 삽입되고 동시에 유입공(650)에 꼽히는 하부 분기지관(202)을 확관하므로써 수평면 걸림턱(203)을 형성케하고 하부 분기지관(202)과 동일 방향으로 연결관(700)이 삽입되는 상부 분기지관(201)을 일체로 형성한 분기지관으로 하며, 상부 분기지관(201) 외면에 형성한 숫나사(290)에 새들(100)과 일체인 돌출관(150)을 꼽고 너트(400)를 숫나사(290)에 조임하며, 상기 양분된 내측와샤(300)와 일체인 돌출관에 는 돌출관 상면 양측에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를 형성하며 양분된 돌출관(360) 단면(365)을 V자로 공간부(366)를 형성하되 양분된 내측와샤의 경첩(500) 중심으로 V자 공간부(366)를 맞닿게 할 때 돌출관 상면에 형성된 차양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 속으로 삽입되게 하며 이를 배관 유입공 내면에서 유입공에 꼽히는 하부 분기지관 내면에 삽입된 내측와샤의 돌출관이 원상으로 돌출관 단면(365)이 V자 공간부(366)를 형성하면 돌출관 측면(363)이 배관 내면에 밀착되고 돌출관 상면 차양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면 걸림턱(203)에 걸리게 하여 하부 분기지관 내면에 삽입된 내측와샤 돌출관이 하부 분기지관 하측으로 뽑아지지 못하게 하고 상부 분기지관(201) 외면 숫나사(290)에 조임된 너트(400)를 회전시켜 새들 돌출관(150) 상면을 가압하면 배관 내면(620)가 내측와샤(300) 사이의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내면부(73)를 압박 수밀되게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이때, 내측와샤(300)와 일체인 돌출관(360) 상면에 형성한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에 수직방향으로 볼트(나사)구멍(385)을 형성하고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 사이에 형성된 수평면 걸림턱(203)의 암나사구멍(204)에 볼트(나사 : 5)로 조임하면 분기지관과 내측와샤를 일체로 하는 효과가 있어 V자 공간부(366)에 별도로 쐐기를 삽입할 수 있으나 쐐기가 없더라도 내측와샤의 돌출관(360)이 오므라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는 내경이 동일하면서 배관 종류에 따라 표면이 평활하거나 이중벽 하수관과 같이 배관 외면이 요철 형상인 경우와 배관 두께가 다를 경우 배관 외면에 밀착되는 새들 (100)이 상부 분기지관(201) 외면을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며 이를 너트(400)로 조임하면 공통으로 사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물론, 나팔관 형태의 패킹(70)과 일체인 분기지관(200)을 이용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수밀방법에 따라 상기 양분된 내측와샤의 단면에 경첩(500)을 가지며 이와 일체인 돌출관(360)을 갖는 내측와샤(300)에서 경첩(500)을 갖는 내측와샤 폭보다 이와 90˚ 방향으로 된 내측와샤 폭이 좁게 형성한 절취면(370)을 갖는 장방형 내측와샤(300)로 하고, 배관 내면(620) 곡률과 동일 곡률을 갖는 양분된 내측와샤만으로 된 양분된 단면에 꺾임부 또는 경첩(500)과 곡률을 갖는 별개의 보조링 와샤(900)를 구비하여 보조링 와샤(900)의 곡률을 배관 내면 곡률에 따라 동일 곡률로 형성한 보조링 와샤(900)만 교체하고 인장선(6)이 연결된 내측와샤 폭이 다르게 형성된 내측와샤의 돌출관(360)에 보조링 와샤(900)를 꼽고 상기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을 갖는 하부 분기지관(202)과 상부 분기지관(201) 사이에 형성된 수평면 걸림턱(203)에 내측와샤의 돌출관 상면에 형성한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를 걸리게 한 경우와 내측와샤만 배관 내면 곡률과 동일 곡률로 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로 하면 내경이 다른 경우에도 보조링 와샤(900)만 배관 내면 곡률과 동일 곡률로 하여 공통으로 사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이때,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중앙부(72)는 관체 형상의 패킹 외에 관체 형상의 패킹 내외면을 분기지관 하면과 나란하게 360˚ 회전되는 요홈(74) 또는 주름(77)을 1회전 또는 2회전 이상 형성하여 360˚ 어느 부위라도 요홈(74) 또는 주름(77)에서 꺾임으로 높낮이 높이 조절되어 배관 내면 곡률이 상이한 곡률이고 이와 밀착될 내측와샤 상의 곡률이 역시 배관 내 면부의 상이한 곡률과 동일한 곡률인 경우와 보조링 와샤의 곡률을 배관 내면 곡률과 동일 곡률로 하는 경우 내측와샤 상의 나팔관 형태의 패킹 내면부(73)가 배관 내면부와 내측와샤 사이에서 압박 수밀되어 나팔관 형태의 패킹 중앙부(72)의 요홈(74) 또는 주름(77)에서 꺾여 높낮이가 가변되어 수밀이 되는 것이다. 또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배관 외면(610)에 경사지게(60˚, 75˚ 등) 할 경우에는 전술한 수밀방법에 따라 새들(100)과 일체인 돌출관(150)이 본배관과 경사각을 갖고 상면이 돌출관을 수직으로 절단한 형태이며, 상기 새들 돌출관(150)에 꼽히는 분기지관 하면이 경사면 또는 배관 내면 곡률에 대해 동일 곡률이나 불특정 곡률인 하면(285)으로 하고 나팔관 형태로 된 패킹(70)의 외면부(71) 및 중앙부(72)가 패킹(70)의 내면부(73)를 배관 내면(620)에 밀착될 때 배관 외면(610)에 놓이는 새들과 일체인 돌출관(150)의 경사각이 되게 분기지관 하부 내외면(284, 286) 또는 하면(285)과 패킹 외면부(71)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와샤(300)의 돌출관(360) 상면이 분기지관 내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배관 외면(610)에 놓인 새들 돌출관(150)에 꼽힌 분기지관의 나팔관 형태의 패킹(70)과 내측와샤(300)를 배관 유입공에 집어넣고 분기지관 내면에서 인장선(6)을 당겨 내측와샤의 돌출관을 V자 공간부(366)가 되게 원상으로 하면 돌출관 상면의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상하 분기지관(201, 202) 사이에 형성된 수평면 걸림턱(203)에 걸리게 되고, 분기지관 외면 숫나사(290)에 조여진 너트(400)를 회전시켜 새들과 일체인 돌출관 상면을 너트로 조임 가압하면 배관 내면(620)과 내측와샤(300) 사이에 있는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내면부(73)를 압박 수밀되게 하는 경사각(60˚, 75˚ 등)을 갖는 분기지관 소켓 부 착장치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 정면도와 일부 사시도로써, 돌출관(150)을 상부에 일체로 형성한 새들(100)로 하고 분기지관(200)은 내측와샤(300)와 일체인 돌출관(360)에 삽입되고 동시에 유입공(650)에 꼽히며 하부 분기지관 하면에는 나팔관 형태의 패킹(70) 외면부(71)를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 분기지관(202)을 확관하므로써 수평면 걸림턱(203)을 형성케 하고 하부 분기지관(202)과 동일 방향으로 연결관(700)이 삽입되는 상부 분기지관(201)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부 분기지관(201) 외면에 숫나사(290)를 형성하고 이에 새들 돌출관(150)이 꼽히며 너트(400)를 상부 분기지관(201)의 숫나사(290)에 조임되게 하며, 내측와샤(300)는 상부에 돌출관(360)을 형성하고 이를 양분되게 하고 양분된 내측와샤에는 꺾임부 또는 경첩(500)으로 연결하며 돌출관(360)의 단면(365)을 V자 공간부(366)를 형성하고 돌출관 상면 양측에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를 형성하되 돌출관 단면을 맞닿게 하여 V자 공간부를 없게 할 때 돌출관 상면 양측에 형성된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의 양측 거리가 좁혀져 하부 분기지관 내면 속으로 수직으로 들어갈 수 있게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인장선(6)을 돌출관에 형성할 수 있게 구성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이다. 배관(600)에는 하부 분기지관(202)이 꼽힐 유입공(650)을 배관 측면에 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정단면도로써, 체결과정은 배관(600)측면에 뚫은 유입공(650) 속에 분기지관 내면에서 인장선(6)을 잡은 상태(인장선이 있을시)로 양분된 내측와샤(300)의 경첩(500)을 접어 유입공에 집어넣고 분기지관(200)과 일체인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을 유입공에 들어갈 수 있게 패킹 내면부(73)를 좁혀 배관 유입공 내면에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내면부(73)가 배관 내면 곡률과 동일 방향으로 유입공 배관 내면 주연부에 걸리게 삽입하고 동시에 하부분기지관(202) 일부가 유입공에 꼽힌 상태로 인장선(6)을 당겨 유입공 속에 삽입된 내측와샤와 일체인 돌출관 단면(365)을 맞닿게 하고 배관 내면 곡률과 동일한 내측와샤(300) 곡률이 되게 하면서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 속으로 돌출관 단면이 맞닿은 상태로 삽입되게 하여 내측와샤 돌출관 양측 상면에 형성된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하부 분기지관(202)과 상부 분기지관(201)의 경계 부위에 형성된 수평면 걸림턱(203)에 내측와샤 돌출관(360) 단면(365)을 V자 공간부(366)를 형성하며 돌출관 상면 양측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걸리게 하고 상부 분기지관(201)에 꼽힌 돌출관(150)과 일체인 새들(100) 하면 곡률이 배관 외면 곡률과 동일 곡률로 놓고 상부 분기지관 외면 숫나사(290)에 너트(400)를 회전하여 새들 돌출관(150) 상면을 가압하여 배관 내면(620)과 내측와샤(300) 사이에 개재된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내면부(73)만 압박 수밀케 하여 배관 외측 유입수와 배관 내면 및 분기지관 내면 유출 하수까지 차단하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나팔관 형태의 패킹 중앙부(72)에는 요홈(74) 또는 주름(77)을 형성하면 배관 내면 곡률이 다를 때 동일한 곡률을 갖는 내측와샤(300) 또는 별개의 보조링 와샤의 곡률이 배관 내면 곡률과 동일 곡률인 보조링 와샤 교체로 공통 사용 가능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되는 것이다. 물론, 배관(600)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는 상부 분기지관에 꼽힌 새들(100)이 높낮이가 조절되어 공통으로 사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도 3은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측단면도로써, 하부 분기지관이 유입공에 꼽혀 있고 하면과 일체인 패킹 중앙부가 유입공 속에 하부 분기지관과 나란하게 돌출관 형태로 꼽혀 있고 이에 요홈(74) 또는 주름(77)이 형성될 경우 나팔관 형태의 패킹 내면부(73)가 배관 내면(620)과 내측와샤(300) 사이에서 압박 수밀될 때 360˚ 어느 부위에서나 높낮이가 조절되어 확실하게 수밀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상부 평면도로써,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 사이에 형성된 수평면 걸림턱(203)에 내측와샤 돌출관(360) 상면에 형성된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걸려 있어 분기지관에서 내측와샤 돌출관이 하측으로 뽑아지지 못하게 됨을 알 수 있고, 이때 양측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에 형성한 볼트구멍에 볼트(나사 : 5)로 조임하면 돌출관 단면에 형성된 공간부(366)를 좁아지지 못하게 하며 동시에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에 삽입된 내측와샤(300)가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A는 새들 정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측단면도로써, 배관 외면(610)에 밀착되게 곡부면을 형성하며 이와 일체인 돌출관(150) 상면은 평면으로 되어 너트(400)가 가압할 수 있게 되고 새들 돌출관 내면(120)에는 상부 분기지관 외면의 길이방향 요홈(260)과 상하로 맞물릴 길이방향의 돌출레일(1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고안의 나팔관 형태의 패킹과 일체인 분기지관 정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측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4의 상부 평면도로써, 분기지관(200)은 상 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으로 경계면에 수평면 걸림턱(20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분기지관 외면에는 숫나사(290)와 새들 돌출관 내면에 형성한 길이방향의 돌출레일(130)이 꼽힐 길이방향 요홈(26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분기지관에는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중앙부(72)와 일체인 상단에는 패킹 외면부(71)가 하부 분기지관(20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패킹(70)의 내면부(73)는 곡부면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패킹(70)의 중앙부(72)에는 요홈(74) 또는 주름(7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면 걸림턱(203)에는 볼트(나사 ; 5)를 조일 구멍 또는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A는 본 고안의 내측와샤 정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7A의 상부 평면도로써, 내측와샤(300)는 배관 내면 곡률을 가지며 상부에 돌출관(360)이 일체로 되고 양분된 단면을 경첩(500)으로 연결하며 돌출관(360) 단면(365)은 V자 공간부(366)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관 양측 상면에는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관의 V자 공간을 없게 돌출관 단면을 맞닿게 할시는 양측 상면의 차양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좁혀져 하부 분기지관 내면 속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 분기지관에 내측와샤 돌출관이 완전히 삽입될 때 내측와샤 돌출관 단면에 V자 공간부가 원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차양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 사이에 형성된 수평면 걸림턱(203)에 걸리게 되고 필요에 따라 차양 형상의 걸림 돌부에 볼트(나사 ; 5)가 들어갈 구멍을 형성할 수 있고 인장선(6)을 내측와샤 돌출관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A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54114호의 분해사시도로써, 분기소켓과 분할와샤(내측와샤)로 이루어지며, 분기소켓은 배관 외면과 밀착되게 곡면으로 되어 있고 분기소켓 내면에는 돌부(조임부위)가 돌설되어 있고 이에 조임구멍과 인장선이 지나갈 인출공이 천공되어 인장선을 관통시킨다. 분할와샤(내측와샤)는 한쌍으로 되어 배관의 유출공(유입공) 주연부 내측면 전체에 밀착되며 걸리게 하고, 일체로 된 원통관 형태의 걸림턱이 있어 유출공(유입공)에서 분할와샤를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걸림턱에 돌부가 돌설되고 이에 조임부위와 인장선이 연결되어 분기소켓의 인출공을 관통한다. 분할와샤(내측와샤)는 배관 내면과 동일 곡면을 갖게 되어 있다.
도 8B는 도 8A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일부 단면도로써, 분할와샤의 조임부위에 암나사부를 형성, 너트로 활용하고 이에 분기소켓의 조임구멍에 볼트를 꼽고 조임하므로 분기소켓을 패킹과 함께 배관 외면에 부착한 체결 상태를 나타내며 조임부위가 분기소켓 내면 또는 분할와샤 내면에 돌출되어 있어 하수관의 오물 등이 걸리는 문제점과 수밀을 위한 패킹이 배관 외면에 있어 이중벽 하수관이나 PVC DC관과 같이 표면에 요철부가 있는 경우에는 수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9A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57012호의 분해 사시도로써,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의 구멍 내측에 삽입된 내부 고정용 와샤가 장방형으로 되어 있어 배관 내면 구멍 주연부 전체를 감쌀 수 없게 됨을 알 수 있고 이는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에 뚫은 구멍 속으로 양측이 절취된 와샤라야만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B는 도 9A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써, 장방형 와샤가 파이프 구멍 내면에 파이프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려 있음을 나타낸다.
종래의 신설 하수관이나 이미 설치된 하수관 중 하수관 종류에 따라 표면 형상이 요철 또는 평활할 수 있고, 배관 내경이 동일하나 배관 두께가 다를 수 있으며 더욱 배관 내경도 달라 이들 배관재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수밀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나팔관 형태의 패킹 상단부를 분기지관 하부와 일체로 하므로써, 배관 내면 1개소에만 수밀시키더라도 배관 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와 배관 내면과 분기지관 내면 유출수까지 차단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개발하되, 분기지관 내면과 내측와샤를 나사조임 없이도 배관 내면에 걸려 있는 내측와샤와 일체인 돌출관 상면 양측에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를 걸리게 분기지관을 확관되는 수명면 걸림턱을 형성한 분기지관으로 하여 분기지관에서 내측와샤를 뽑아지지 못하게 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분기지관 내면에 삽입되는 내측와샤의 돌출관 내면에 나사조임 부위가 없으므로 돌출관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동시에 배관 유입공도 비교적 작게 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지관 내면에서 내측와샤를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나사조임을 하지 않아 설치의 간편함과 수밀에 확실함을 갖는 장점이 있고 배관 표면 형상이 다르거나 배관경이 동일하면서 배관 두께가 다른 경우와 배관 내경이 다른 경우에도 단 1개의 보조링 와샤를 교체하므로써 이들에 공통 사용할 수 있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되어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배관(600) 측면에 뚫은 유입공(650) 일측에서 내측와샤(300)를 유입공 속에 집어넣고 내측와샤(300)를 유입공(650) 내면(620) 주연부에 걸리게 하고 배관 유입공 외면(610) 주연부에 하면이 곡면인 분기소켓을 대고 분기소켓 내면 조임부와 유입공 내면에 걸려 있는 내측와샤의 조임부와 나사조임으로 배관 유입공 주연부 외면에 분기소켓을 배관 내면의 내측와샤와 조여지게 부착하고 이어 연결관(700)을 분기소켓에 꼽게할 때, 상기 분기소켓을 하면이 곡면인 새들(100)과 이와 일체인 돌출관(150)으로 하고 돌출관 속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분기지관(200)으로 구성하며, 수밀을 위한 패킹은 배관 유입공 내면(620) 주연부 전체에 밀착되는 곡면을 갖는 패킹 내면부(73)와 배관 유입공 측면 형태의 관체형 패킹 중앙부(72)를 관체형 패킹 또는 관체형 패킹 내외면에 요홈(74)이나 주름(77)을 형성하고 동일 방향의 패킹 상단인 패킹 외면부(71)로 된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으로 하고, 새들 중앙을 관통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분기지관의 하부의 내외면 또는 하면과 상기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상단부인 패킹 외면부(71)를 일체로 한 분기지관으로 하므로써, 배관 유입공 내면(620) 주연부와 내측와샤(300) 사이에 개재된 나팔관 형태의 패킹 내면부(73)가 분기지관 내면과 나사조임 하거나 내측와샤와 일체인 돌출관(360)이 걸리게 하고 배관 두께가 달라 분기지관으로 높낮이를 배관 두께와 맞게 배관 외면에서 새들 돌출관(150) 상면을 분기지관 외면의 숫나사(290)에 조임된 너트(400)로 조여 가압하여 배관 유입공(650) 내면(620) 주연부와 내측와샤(300) 사이의 나팔관 형태의 패킹 내면부(73)만 압박하면 수밀이 되는 수밀방법을 이용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로 함에 있어, 상기 분기지관(200)은 내측와샤(300)와 일체인 돌출관(360)이 삽입되고 동시에 유입공(650)에 꼽히는 하부 분기지관(202)을 확관하므로써 수평면 걸림턱(203)을 형성케하고 하부 분기지관(202)과 동일 방향으로 연결관(700)이 삽입되는 상부 분기지관(201)을 일체로 형성한 분기지관으로 하며, 상부 분기지관(201) 외면에 형성한 숫나사(290)에 새들(100)과 일체인 돌출관(150)을 꼽고 너트(400)를 숫나사(290)에 조임하며, 상기 양분된 내측와샤(300)와 일체인 돌출관에는 돌출관 상면 양측에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를 형성하며 양분된 돌출관(360) 단면(365)을 V자로 공간부(366)를 형성하되 양분된 내측와샤의 경첩(500) 중심으로 V자 공간부(366)를 맞닿게 할 때 돌출관 상면에 형성된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 속으로 삽입되게 하며 배관 유입공 내면에서 유입공에 꼽히는 하부 분기지관 내면에 삽입된 내측와샤의 돌출관이 원상으로 돌출관 단면(365)이 V자 공간부(366)를 형성하면 돌출관 측면(363)이 배관 내면에 밀착되고 돌출관 상면 차양 형상의 걸림 돌부(380)가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면 걸림턱(203)에 걸리게 하여 하부 분기지관 내면에 삽입된 내측와샤 돌출관이 하부 분기지관 하측으로 뽑아지지 못하게 하고 상부 분기지관(201) 외면 숫나사(290)에 조임된 너트(400)를 회전시켜 새들 돌출관(150) 상면을 가압하면 배관 내면(620)가 내측와샤(300) 사이의 나팔관 형태의 패킹(70)의 내면부(73)를 압박 수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와샤(300)와 일체인 돌출관(360) 상면에 형성한 차양(eaves) 형상의 걸림 돌부(380)에 수직방향으로 볼트(나사)구멍(385)을 형성하고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 사이에 형성된 수평면 걸림턱(203)의 암나사구멍(204)에 볼트(나사 ; 5)로 조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20050028616U 2005-10-07 2005-10-07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406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16U KR200406050Y1 (ko) 2005-10-07 2005-10-07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16U KR200406050Y1 (ko) 2005-10-07 2005-10-07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133A Division KR101051267B1 (ko) 2005-07-25 2005-08-30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050Y1 true KR200406050Y1 (ko) 2006-01-20

Family

ID=4175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616U KR200406050Y1 (ko) 2005-10-07 2005-10-07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78B1 (ko) 2007-02-13 2008-02-22 (주) 삼정디씨피 지관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78B1 (ko) 2007-02-13 2008-02-22 (주) 삼정디씨피 지관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267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JP5119246B2 (ja) パイプ固定装置
KR200381579Y1 (ko) 분기관 이음 소켓
KR200406050Y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0983186B1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0803762B1 (ko) 분기관
KR200386472Y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 소켓
KR20080075434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80043423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0770397B1 (ko)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KR200410028Y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307725Y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0707816B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080045396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120031859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117943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20080040817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60103410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305785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025391B1 (ko) 분기지관의 수밀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기지관 소켓부착장치
KR100772578B1 (ko) 절단된 주관에 체결되는 분기구
KR100742396B1 (ko) 고층건물의 하수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