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725Y1 -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725Y1
KR200307725Y1 KR20-2002-0036667U KR20020036667U KR200307725Y1 KR 200307725 Y1 KR200307725 Y1 KR 200307725Y1 KR 20020036667 U KR20020036667 U KR 20020036667U KR 200307725 Y1 KR200307725 Y1 KR 200307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washer
packing
washer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오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호 filed Critical 오정호
Priority to KR20-2002-0036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종래 하수도관에 지관(연결관)을 연결할 때, 이중벽 합성 수지관의 경우에는 표면이 파상형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유입공 측면에 중공부가 노출되어 하수의 수밀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신설되는 하수관이나 이미 설치된 하수관 중, 특히 이중벽 합성 수지관과 같이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유입공 측면에 중공부가 노출되어 있더라도 분기 지관 소켓(새들 ; saddle)과 내측와샤를 패킹(packing) 등으로 수밀되게 하고, 양분된 내측와샤의 단면과 날개편 상면에 패킹을 부착하되 양분된 내측와샤 날개편 양단을 꺾임부를 갖는 경첩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유입공보다 큰 내측와샤를 유입공 속으로 넣을 때 꺾여 V자형으로 하여 집어넣고 유입공 속에서 원상으로 되었을시 양단면 간격이 패킹재보다 좁게 형성하여 양단면 사이에 있는 패킹이 압박될 수 있게 하고, 또한 내측와샤 돌출부 상면도 유입공 속에서 서로 연결되게 고정하므로써 하나의 원형 상태의 내측와샤로 하여 내측와샤를 하수관 내면에서 하수관 외측에 있는 분기 지관 소켓과 조이더라도 양분된 내측와샤가 별려지지 않아 절단면에서의 누수까지도 염려가 없고 단면 사이에 패킹이 항시 압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써 수밀이 지속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조업체마다 파형 형상, 피치(pitch), 재질 등이 서로 다르더라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본 고안은 본원인이 고안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159689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즉, 이중벽 합성 수지관의 측면에 지관 연결용 유입공을 뚫고 배관 외측면에 분기 지관 소켓(새들 ; saddle)을 부착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 고안에서 인장선을 당길 때 이중벽 합성 수지관에 뚫은 유입공 속으로 두 개로 양분된 내측와샤를 집어넣을 때와 인장선을 당길 때 두 개로 된 내측와샤가 따로 움직이지 못하게 꺾임부를 갖고 서로 연결하여서 된 내측와샤로 하여 꺾여서 들어가고 끈을 당기면 꺾임부가 원상 형상으로 펼쳐지며 또한, 패킹(packing)을 압박할 수 있을 공간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므로써 분기 지관 소켓(새들 ; saddle)을 이중벽관 외면에 대고 내측와샤에 다수의 나사구멍과 볼트로 조이더라도 양분된 내측와샤의 날개편 단면과 수직 돌출부 단면이 벌려지지 못하게 하므로써 누수를 방지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분할된 내측와샤 돌출부 상면에 핀 또는 볼트로 서로 고정하므로써 날개편 단면과 돌출부 단면 사이에 패킹재를 상면에서도 지속적으로 압박하므로써 누수 방지를 확실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다른 목적은 인장선을 당겨 분기 지관 소켓(새들) 내면의 패킹 사이에 내측와샤의 수직관 돌출부 외면이 패킹 속으로 정확하고 쉽게 꼽히게 하므로써 패킹의 손상을 없게 하여 누수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래 본 원인의 선 실용신안등록 제0159689호는 이중벽 합성 수지관의 측면에 지관 연결용 유입공을 뚫고 배관 외측면에 분기 지관 소켓(새들 ; saddle)을 부착함에 있어 양분된 내측와샤의 날개편 상면, 양분된 내측와샤 단면에 패킹(packing)을 부착하며 분기 지관 소켓 돌출부 내면에 패킹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양분된 내측와샤의 인장선을 잡고 합성 수지관의 측면 유입공에 양분된 내측와샤를 집어넣고 인장선을 당겨 합성 수지관 외면의 분기 지관 소켓(새들)을 대고 인장선을 당긴 상태에서 내측와샤의 암나사부에 볼트로 조여 합성 수지관 내면에 내측와샤 날개편 상면의 패킹이 압박되고 양분된 단면의 패킹이 있는 상태에서 분기 지관 소켓 돌출부 내면에 부착된 패킹 사이로 양분된 내측와샤의 수직관 돌출부 외면이 들어가 수밀되게 하고 분기 지관 소켓을 본배관 외측면에 수밀성을 가지며 강력하게 조립하여 부착하고 연결관을 하수 본배관 측면에 연결할 수 있게 한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이다. 그러나, 양분된 내측와샤를 합성 수지관 유입공에 집어넣을 때와 인장선을 당길 때 양분된 내측와샤가 따로 움직일 수 있어 분기 지관 소켓 내면에서 볼트구멍을 찾아 볼트로 조일 때 양분된 내측와샤의 수밀을 위한 패킹을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이 부분에 수팽창고무를 써야 하며, 또한 양분된 내측와샤를 조일 때 단면부가 벌려질 수도 있어 양분된 단면에서 누수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 외에 인장선을 계속 당겨 볼트로 내측와샤와 분기 지관을 강력하게 조이더라도 내측와샤 날개편 단면과 수직 돌출부 단면 사이에 있는 패킹재를 압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누수에 우려가 있고, 분기 지관 소켓에 부착된 패킹이 내측와샤 돌출부가 인장선을 당길 때 패킹을 상하게 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실용신안등록 제0159689호의 양분된 내측와샤 단면 사이에 패킹재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게 하므로써 양분된 내측와샤가 서로 사이가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분기 지관 소켓 돌출부 내면에 부착된 패킹을 상하지 않고 쉽게 꼽힐 수 있게 하므로써 작업성과 누수의 방지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이다. 따라서, 양분된 내측와샤의 날개편에 꺾임부를 형성, 양분된 내측와샤를서로 연결시키므로써 유입공에 집어 넣을 때 흐트러짐이 없게 할 수 있고 내측와샤 단면 사이에 쿠숀재 패킹을 삽입하여 양분된 내측와샤를 원상태의 내측와샤 형성을 하였을 때 패킹재가 압박될 수 있는 꺾임부를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 상면 일측에는 양분된 다른 내측와샤 상면 위로 연장부를 고정시켜 이 부위에서 상하로 구멍이 연결되고 이에 핀 또는 볼트를 조이게 하여 합성 수지관 유입공 내면에서 완전히 원상으로 된 내측와샤로 하여 한 개로 된 내측와샤 형상을 하므로써, 인장선을 당길 때 쉽게 분기 지관 소켓 돌출부 내면 패킹 사이로 패킹재 상함이 없이 조립할 수 있고 양분된 내측와샤의 단면에서의 누수 방지와 함께 내측와샤를 분기 지관과 조일 때 내측와샤의 수직관 돌출테 외면과 분기 지관 소켓 돌출테 내면 패킹 사이의 누수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원인이 선 고안한 소켓 부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양분된 내측와샤를 유입공 속으로 집어넣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확대도
도 2c는 도 2a에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만 유입공 외측으로 나온 상태도
도 2d는 도 2c의 확대도
도 2e는 도 2c에서 분기 지관 소켓을 체결한 상태도
도 3은 도 1 중 분기 지관 소켓 A-A 선의 단면도
도 4a는 도 2e의 종단면도와 일부 사시도
도 4b는 도 2e의 횡단면도와 일부 사시도
도 5는 도 2c의 다른 형태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관 11 : 외면
12 : 내면 13 : 중공부
14 : 요철부 2 : 분기 지관 소켓(새들 ; saddle)
21 : 하면 22 : 돌출테
23 : 하면 돌출부 24 : 돌출테 내면
25 : 내면 돌출부 26 : 볼트구멍
27 : 내면 28 : 인장선 구멍
29 : 돌출테 내면 3 : 양분된 내측와샤
30 : 연장부 30A : 걸림턱
31 : 날개편 32 : 날개편 하면
33 : 양분된 내측와샤 단면 34 : 수직관 돌출부 외면
35 : 수직관 돌출부 내면 36 : 수직관 돌출부
37 : 암나사부 37A : 단턱부
38 : 요철부 39 : 돌출부 상면
4: 볼트 41 : 경첩핀
42 : 고정볼트 5 : 너트 또는 암나사부
6 : 인장선 7, 8, 9 : 패킹(packing)
91 : 패킹 돌출부 10 : 유입공
100 : 연결관 400 : 꺾임부(경첩 ; hinge)
도 1은 본원인이 선 고안한 실용신안등록 제0159689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와 일부 단면도이다. 본배관(1)의 유입공(10) 속으로 집어넣을 수 있는 양분된 내측와샤(3)와 유입공(10) 외측면에 부착되는 분기 지관 소켓(saddle ; 2)과 볼트(4), 너트 또는 암나사부(5)로 구성되며 부호(100)은 연결관을 나타낸다.
도 2a는 본 고안의 양분된 내측와샤(3)를 유입공(10) 속으로 집어넣는 상태도로써, 도 1의 양분된 내측와샤(3) 하면에 꺾임부(400)를 갖는 경첩(hinge)을 양단에 부착하므로써 인장선(6)을 잡은 상태에서 유입공(10)에 V자로 꺾어서 집어넣더라도 두 개의 내측와샤가 경첩(400)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또한내측와샤 상면(39) 단면(33) 일단에 연장부(30)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내측와샤 상면에 암나사부(37)가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일측 내측와샤 단면에는 패킹(8)이 부착되어 있고 패킹 두께(T)는 내측와샤를 원상으로 하였을때 내측와샤 단면(33) 사이의 간격(t)보다 크게 되어 있어 단면과 단면 사이의 패킹(8)이 압박될 수 있게 패킹재가 부착되어 있다.
도 2b는 도 2a의 확대도이다.
도 2c는 도 2a에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36)만 유입공 외측으로 나온 상태도로써, 인장선(6)을 당기고 양분된 내측와샤를 원상으로 되게 내측와샤 상면 연장부(30)에 볼트(42)로 암나사부(37)와 조인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패킹(8)이 내측와샤 양 단면(33)사이에 압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2d는 도 2c의 확대도이다.
도 2e는 도 2c에서 분기 지관 소켓을 체결한 상태도로써, 분기 지관 소켓(2)은 배관 외면(11)에, 양분된 내측와샤(3)는 배관 내면(12)에서 꺾임부(400)인 경첩과 서로 연결되어 있어 다수의 볼트로 분기 지관 소켓(2)과 내측와샤(3)를 조이더라도 날개편(31)이 벌려질 수가 없고 따라서 패킹(8)은 압박된 상태 그대로이며 단지 날개편 상면의 패킹(7)만이 날개편(31) 상면에 있어 분기 지관 소켓(2)과 양분된 내측와샤(3)를 조일 때 압박되어 수밀됨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 중 분기 지관 소켓(2) A-A선의 단면도로써, 돌출테(22)와 내면(27) 사이에 내면 돌출부(35)가 있고, 다수의 볼트구멍(2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 돌출부(23)의 내면(24)에 패킹(9)이 부착되어 있다. 이 패킹(9)은 수밀을 위한 패킹 돌출부(91)를 패킹(9)에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기 지관 소켓(2) 하면 돌출부(23)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내측와샤(3) 수직관 돌출부(36)에 밀착되게 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e의 종단면도와 일부 사시도로써, 이중벽 합성 수지관(1)의 요철부(14)와 중공부(13)가 노출됨을 나타낸다. 배관 내면(12)에는 내측와샤(3)의 날개편(31)이 걸려 있고 사이에 패킹(7)이 있어 배관 내면(12)과 날개편(31) 사이는 수밀되게 됨을 나타낸다. 패킹(7)이 수팽창성 고무재인 경우에는 이중벽 합성 수지관(1) 내면(12)이 평활치 못하고 약간의 요철편 등이 있더라도, 물과 닿으면 수팽창성 고무가 확장되어 완벽하게 밀폐시켜 수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와샤(3)의 단면(33)에 패킹(8)이 노출되어 있으며 내측와샤(3) 수직관 돌출부(36) 외면(34)과 분기 지관 소켓(2) 하면 돌출부(23) 내면(24) 사이에 패킹(9)이 있어 분기 지관 소켓(2) 내면(27) 하수가 배관(1) 외측으로 유출되거나 불명수가 배관(1) 내면(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을 알 수 있다.
도 4b는 도 2e의 횡단면도와 일부 사시도로써, 분기 지관 소켓(2)의 내면 돌출부(25) 볼트구멍(26)에 볼트(4)를 꼽고 내측와샤(3) 수직관 돌출부(36)의 암나사부(5)와 조여져 배관(1)의 외면(11)에 분기 지관 소켓 하면(21)이 밀착되고 배관 내면(12)에 내측와샤(3)의 날개편(31)과 그 사이에 패킹(7)이 압박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분기 지관 소켓(2) 하면 돌출부(23)가 유입공(10)에 꼽혀 있어 분기 지관 소켓(2)이 유입공(10)에서 이탈됨을 방지한다. 패킹(9)은 내측와샤(3) 수직관 돌출부(36) 외면(34)과 분기 지관 소켓(2) 하면 돌출부 내면(24) 사이에 있어 분기 지관 소켓(2) 내면의 하수가 배관(1) 외측 또는 중공부(13)로 유출되지 못하게 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36)의 상면에 부착된 연장부(30) 일단에 걸림턱(30A)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30A)이 꺾임부(400)와 연결된 인접한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 상면에 형성한 단턱부(37A)와 단면(33) 사이의 패킹(8)을 압박하게 꼽아 수밀이 되고 양분된 내측와샤(3) 단면(33) 상부를 고정시킴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양분된 내측와샤(3)는 양분된 단면(33) 사이를 완전히 수밀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하며 또한, 배관(1) 외면(11)에 분기 지관 소켓(2)을 대고 볼트(4)로 강력하게 조이더라도 양분된 내측와샤(3)는 본배관 내면(12)에 날개편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패킹(7)과 함께 수밀이 되며 또한 양분된 내측와샤가 벌려질 수가 없어 수밀이 지속되는 작용을 한다. 그 외에 인장선(6)을 당겨 분기 지관 소켓(2)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패킹(9) 속으로 내측와샤 돌출부 상면을 꼽더라도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 상면(39)이 탄두형으로 곡면을 형성하면 상면이 서로 고정볼트(42)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패킹(9)의 손상 없이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꺾임부를 별개의 경첩부를 부착하여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경첩부는 양분된 내측와샤(3)가 합성 수지로 되어 있을시는 꺾임부(400)와 날개편 하면(32)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일체로 경첩부(400)를 형성하여 경첩핀(pin ; 41)을 꼽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꺾임부(400)를 경첩대신 스프링으로 하여 스프링판이 평면으로 있을 시는 양분된내측와샤(3)가 하나의 원형 내측와샤 형태를 나타내며, 유입공(10)에 집어넣을 때 스프링판이 휘어지면서 V자형태로 양분된 내측와샤(3)를 좁혀서 집어넣게 하면 유입공(10) 속에서 스프링판이 평면으로 되어 원형 내측와샤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36)가 합성 수지이면 연장부(30)까지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볼트(42)를 돌출부로 하고 연장부(30)와 일체로 하여 암나사부(37)에 꼽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 상면에 형성한 연장부(30) 일단에 걸림턱(30A)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30A)이 꺾임부(400)로 연결된 인접한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 상면에 형성한 단턱부(37A)와 단면(33) 사이에 있는 패킹(8)을 압박하며 걸리게 하면, 고정볼트(42) 사용 없이 간단히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 상면을 벌려지지 않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양분된 내측와샤를 날개편 하면에 꺾임부로 서로 연결하였으므로 유입공에 집어넣을 때 접어서 집어넣고 유입공 속에서는 인장선올 당겨 내측와샤 돌출부 상면을 고정볼트로 서로 연결하여 마치 한 개의 내측와샤로 할 수 있고, 양분된 단면 사이의 패킹은 압박되어 있으므로 수밀은 물론 분기 지관 소켓과 다수의 볼트로 내측와샤와 강력하게 조이더라도 양분된 내측와샤가 벌려지지 않아 수밀이 지속될 수 있고, 조립시 인장선을 당겨 분기 지관 소켓 내면의 패킹 사이로 내측와샤 수직 돌출관을 쉽고 간단하게 패킹 손상 없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수밀의 확실성이 지속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본배관(1) 측면 유입공(10)에 유입공보다 큰 내측와샤를 유입공에 들어가게 등분하여 양분된 내측와샤(3)로 하고 양분된 내측와샤 날개편(31) 상면과 양분된 내측와샤(3) 단면(33)에 패킹(7, 8)을 각각 부착하고, 분기 지관 소켓(2) 돌출부 내면(24)에 패킹(9)을 부착하여, 배관 유입공(10) 내면에 날개편(31)이 걸쳐 있는 양분된 내측와샤(3)와 배관 외면(11)에 밀착한 분기 지관 소켓(2)을 다수의 볼트(4)로 내측와샤의 너트 또는 암나사부(5)와 조임하면, 내측와샤 날개편(31) 상면의 패킹(7)이 배관 유입공 주연부 내면(12)에 압박되고 양분된 내측와샤 단면(33) 사이에는 패킹(8)이 있고, 내측와샤의 수직관 돌출부(36) 외면(34) 또는 내면(35)이 분기 지관 소켓(2) 하면에 형성한 돌출부 내면(24) 또는 돌출테(22) 내면에 부착된 패킹(9)과 밀착되어 패킹(7, 8, 9)에 의해 수밀되게 한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양분된 내측와샤 날개편(31)에 꺾임부(400)를 형성, 양분된 내측와샤(3)를 서로 연결하고 이에서 V자형으로 꺾이면서 유입공(10) 속으로 집어넣고 유입공(10) 속에서 양분된 내측와샤(3)를 원형상으로 벌렸을 때 양분된 내측와샤 단면(33) 사이에 있는 패킹(8)을 압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꺾임부를 경첩(hinge)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꺾임부와 내측와샤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소켓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꺾임부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양분된 내측와샤 돌출부 상면(39) 일단에 연장부(30)를 형성하여 꺾임부(400)와 연결된 인접한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36) 상면에 형성한 암나사부(37)와 유입공(10) 속에서 연장부(30)를 관통한 볼트(42)로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36) 단면(33) 사이의 패킹(8)을 압박하며 조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연장부(30) 일단에 걸림턱(30A)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30A)이 꺾임부(400)와 연결된 인접한 양분된 내측와샤 수직관 돌출부 상면에 형성한 단턱부(37A)와 단면(33) 사이의 패킹(8)을 압박하며 걸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2002-0036667U 2002-12-07 2002-12-07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307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667U KR200307725Y1 (ko) 2002-12-07 2002-12-07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667U KR200307725Y1 (ko) 2002-12-07 2002-12-07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634A Division KR100531157B1 (ko) 2003-09-25 2003-09-25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725Y1 true KR200307725Y1 (ko) 2003-03-20

Family

ID=4940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667U KR200307725Y1 (ko) 2002-12-07 2002-12-07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72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391B1 (ko) 2004-09-20 2011-03-28 오정호 분기지관의 수밀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기지관 소켓부착장치
KR101063029B1 (ko) 2004-10-01 2011-09-07 최용원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305785B1 (ko) 2006-08-07 2013-09-06 오정호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888168B1 (ko) 2018-04-19 2018-08-13 주식회사 코엔 분기관 연결장치
CN115789379A (zh) * 2022-12-05 2023-03-14 广东福斯特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外螺纹插管型转换接头及该种接头的安装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391B1 (ko) 2004-09-20 2011-03-28 오정호 분기지관의 수밀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기지관 소켓부착장치
KR101063029B1 (ko) 2004-10-01 2011-09-07 최용원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305785B1 (ko) 2006-08-07 2013-09-06 오정호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888168B1 (ko) 2018-04-19 2018-08-13 주식회사 코엔 분기관 연결장치
CN115789379A (zh) * 2022-12-05 2023-03-14 广东福斯特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外螺纹插管型转换接头及该种接头的安装方法
CN115789379B (zh) * 2022-12-05 2023-06-30 广东福斯特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外螺纹插管型转换接头及该种接头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0844A (ja) 密封可能な排水器具
KR20070013178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307725Y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0531157B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70106101A (ko) 분기관
KR100876309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0707816B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200395103Y1 (ko) 편수관용 수밀 연결구조
KR200159690Y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960007954Y1 (ko) 벽 패널의 개구부 여닫음 장치
KR200159689Y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213731Y1 (ko) 양변기 고정틀조립체
KR200412794Y1 (ko) 회전 체결방식의 분기구
KR100772578B1 (ko) 절단된 주관에 체결되는 분기구
KR200399496Y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100941651B1 (ko) 수도금구 고정장치
KR200152606Y1 (ko) 분기 지관 이음 소켓 부착장치
KR102351804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20080045396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157974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410028Y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305785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226323Y1 (ko) 양변기 고정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