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397B1 -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 Google Patents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397B1
KR100770397B1 KR1020060067118A KR20060067118A KR100770397B1 KR 100770397 B1 KR100770397 B1 KR 100770397B1 KR 1020060067118 A KR1020060067118 A KR 1020060067118A KR 20060067118 A KR20060067118 A KR 20060067118A KR 100770397 B1 KR100770397 B1 KR 10077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fixing bracket
clamp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선자
Original Assignee
백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선자 filed Critical 백선자
Priority to KR102006006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를 장착한 배관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관과 이음관을 연결하고 배관이 이음관을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연결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는 반원형상이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반원형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주면 하단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개방된 고정홈을 갖고 돌출 형성된 고정편,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하단에 돌출 형성된 받침부, 상기 체결부의 내면에는 체결부가 서로 거리를 갖도록 고정브라켓의 반원형 형상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체결부 외면에는 볼트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에 의하면, 이음관에 끼워진 볼트로 배관 연결부와 고정브라켓이 체결되므로 불필요한 볼트 체결을 줄이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도 이탈하지 않는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제공한다.
연결클램프, 고정브라켓, 고정편, 배관, 이음관

Description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 배관이음구조 {A CONNECTION CLAMP TO PREVENT SEPARATION AND PIPE CONNECTION FITTED WHIT THE CONNECTION CLAMP}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탈방지 클램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배관이음구조에 설치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설치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분해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배관이음구조에 설치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110 : 고정브라켓
111 : 플랜지 120 : 고정편
140 : 돌기 200 : 배관 연결부
300 : 배관 400 : 이음관
본 발명은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 배관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가 고압인 1개 이상의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를 장착한 배관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관인 상수도뿐만 아니라 오수, 폐수 및 우수의 집수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는 하수도, 기름이나 유체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배관에 사용하는 연결클램프는, 다수의 관을 연결하고 배관의 내부가 고압인 상태에서 이음 부분에 가해진 고압으로 인해 배관이 연결관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관을 이용하여 배관을 연결할 때, 연결부위는 수밀되도록 하여 오폐수관 등의 누수로 인해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일이 없어야 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거나 분기될 수 있어야 하며, 각각의 절곡부 및 다양한 분기부 사이의 거리는 물론 직경이 다른 관을 연결해야 할 필요도 있다.
이와 같은 이탈 방지 클램프에 대한 일례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381940(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의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중공의 관체인 이음관(4)의, 테이퍼진 중공 양단부에 각각 테이퍼진 고무재질의 패킹링(5)을 수용한다.
상기 패킹링(5)을 합성수지관(3)의 외주면에 끼운 상태에서 합성수지관(3)을 이음관(4)에 삽입하고, 이음관(4) 일단부에 볼트로 결합되는 링 형상의 압박플랜지(1)로 패킹링(5)을 압박하므로써 패킹링(5)이 합성수지관(3)와 이음관(4) 양측에 모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박플랜지(1)는 일면에 걸림쇠(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림쇠(10)는 압박플랜지(1)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한다.
한편, 한 쌍의 이탈방지고리편(2)은 각각 그 내주면이 합성수지관(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이탈방지고리편(2)에 대해 합성수지관(3)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상호간의 결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탈방지고리편(2)의 내주면에 톱니(22)를 형성한다.
이탈방지고리편(2)의 이음관(4)측 단부에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걸림턱(21)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1)은 각각 압박플랜지(1)의 걸림쇠(10)의 절곡부 사이에 삽입되며, 걸림쇠(10)에 의해 구속되어 이탈방지고리편(2)이 압박플랜지(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고리편(2)은 합성수지관(3)에 결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합성수지관(3)이 이음관(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서는 이탈방지 고리편이 압박 플랜지에 고정되도록 양 부재에 걸림턱과 걸림쇠를 각각 마련해야 하고, 걸림턱이 걸림쇠에 고정되도록 하는 공차를 유지하기 위해 그 제작이 정밀해야 하므로 제 작과 조립이 용이하지 못했다.
또한, 걸림턱과 걸림쇠를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 변화에 의해 끼움 고정이 헐거워져 배관이 이음관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탈방지 클램프 또는 압박 플랜지 어느 한 부분에만 고정쇠가 부착되어 고정 가능한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는, 배관과 이음관을 연결하고 배관이 이음관을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연결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는 반원형상이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반원형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주면 하단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개방된 고정홈을 갖고 돌출 형성된 고정편,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하단에 돌출 형성된 받침부, 상기 체결부의 내면에는 체결부가 서로 거리를 갖도록 고정브라켓의 반원형 형상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체결부 외면에는 볼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일정 각도 각을 형성하여 절곡되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에 삽입되어 고정된 배관이 이음관의 양측에 삽입되며, 상기 이탈방지 연결클램프가 이음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배관이 이음관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양쪽에 이음관이 체결된 후 체결부 사이에 각각 와이어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는 보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관의 입구에는 배관과 이음관의 밀착력을 돕는 고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관의 양단에는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을 갖는 체결편이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에 형성된 고정편에 대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는데, 도면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 연결클램프를 나타내는데 이에 따르면 이탈방지 연결클램프(100)는 그 외주면에 체결부(112)를 구비하는 반원형상 한 쌍의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110)을 서로 이어주는 볼트(130)와 너트(131)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10)은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도 무방하고 특히, 수지코팅 또는 강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10)은 외주면 하단에 플랜지(111)를 갖고 플랜지(111) 측면에는 고정홈(121)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고정편(120)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반원 형상인 한 쌍의 고정브라켓(110)을 서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120)은 일정한 각을 이루며 3에서 6개 정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120)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121)은 양쪽이 돌출되고 가운데 부분은 안으로 움푹 파인 "U"형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이음관(400)에서부터 끼워진 고정볼트(42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의 외주면 하단에 플 랜지(111')를 형성하지 않고, 고정브라켓(110')의 외주면에서 직접 고정편(120')을 돌출 형성시키고, 고정브라켓(110')의 외주면과 고정편(120')의 측면이 만나는 곳에는 오목한 곡면을 갖도록 보강재를 덧붙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에 형성된 고정편(120")은 상측으로 일정 각을 갖고 절곡되어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더 받을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체결부(112)는 반원 형상의 양끝 각각의 부분에 접선 방향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체결부(112)에는 볼트(130)가 삽입되는 체결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12)가 맞대어져 한 쌍의 고정브라켓(110)을 이룬다.
상기 체결부(112) 외면에는 사각 형상 또는 나사머리부 형상으로 볼트홈(170)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며 체결되는 방향의 체결부(112) 단면에는 고정브라켓(110, 110', 110")의 반원형 형상이 연장되는 돌출부(16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브라켓(110, 110', 110")을 체결할 때 체결이 보다 견고하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브라켓(110, 110', 110")의 체결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브라켓(110, 110', 110")을 체결할 때 상기 돌출부(160)에 의해 서로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여 그 사이 볼트의 몸통부분에 보조부재(500)를 설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브라켓(110, 110', 110")의 내부에는 산형 또는 각형의 돌기(140)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여 고정브라켓(110, 110', 110")이 배관(300)에 더 잘 고정되도 록 하며, 고정브라켓(110, 110', 110")의 하단에는 플랜지(111)의 폭보다 좁은 받침부(150)를 반원 형태를 따라 형성하여 이음관(400)과의 조립시 체결력을 높인다.
도 4 및 도 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의 설치 형상 및 분해도와 설치형상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서로 다른 배관(300)을 연결하는 이음관(400)에 배관(300)이 삽입되고 배관(300)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브라켓(110, 110', 110")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브라켓(110, 110', 110")에 형성된 고정편(120)이 이음관(400)에 고정된다.
상기 이음관(400)은 일자형은 물론 "T"자형 "+"형 등이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일자형 이음관(400)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음관(400)은 양쪽에 배관(300)을 삽입하여 두개의 배관(300)이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양 끝단부는 일정 구간만큼 반경이 커지도록 하여 배관(300)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반경이 커지기 시작하는 지점의 내측에는 단차를 형성하여 배관(300)이 이음관(400)의 일정 구간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음관(400) 양쪽의 입구에는 고무링(200)이 삽입되어 배관(300)과의 밀착성을 높인다.
이음관(40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체결공(411)이 형성된 체결편(410)이 일정 각도를 갖고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공(411)은 고정브라켓(110)에 형성된 고정편(120)에 형성된 고정홈(121)의 위치와 일치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체결부(112) 중 어느 하나는 경첩으로 고정 되어도 무방하며, 경첩 고정시 따로 떨어진 두개의 반원의 고정브라켓(110)의 일측면은 볼트 체결 없이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정브라켓(110)을 체결하는데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음관(400)에 고무링(200)을 개재하여 배관(300)을 삽입한 후 고정브라켓(110)을 배관(300)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하고, 이음관(400)의 체결편(410)에 형성된 체결공(411)의 위치에 맞도록 조정한 후 체결편(410)의 체결공(411) 하단에서 고정볼트(420)를 끼우고 고정홈(121) 통과하여 나온 고정볼트(420)에 고정너트(421)를 끼워 고정시킨다. 또한, 고정브라켓(110) 부재 한쌍이 서로 체결되도록 체결부(112)에 형성된 체결홀(113)에 볼트(130)를 끼워 너트(131)로 조여준다.
고정편(120)에 끝단에 형성된 'U'형태의 고정홈(121)은 체결공(411)과 고정홈(121)이 다소 어긋난다 하여도 조립이 가능하여 체결이 용이하다.
배관(300)의 양쪽에 이음관(400)이 체결되면 돌출부(160)에 의해 서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체결부(112) 사이에 노출된 볼트의 몸통부분에 와이어(600)를 연결하고 연결된 와이어(600)의 반대편 끝에는 보조부재(500)를 연결하여 보조부재(500)에 삽입된 조절볼트의 조절로 양쪽 와이어(600)를 당겨 조여지도록 설치하여 배관(300)과 이음관(400)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한편, 고정브라켓(110)의 내주면에는 각형의 돌기(140)가 형성되어 있어 배 관(300)과 고정브라켓(110)간에 마찰력을 높여 저항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 배관이음구조에 의하면, 일체형의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시간이 줄고 제작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 배관이음구조에 의하면, 이음관에 끼워진 볼트로 배관 연결부와 고정브라켓이 체결되므로 불필요한 볼트 체결을 줄이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도 이탈하지 않는다.

Claims (11)

  1. 배관과 이음관을 연결하고 배관이 이음관을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연결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는 반원형상이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반원형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주면 하단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개방된 고정홈을 갖고 돌출 형성된 고정편,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하단에 돌출 형성된 받침부,
    상기 체결부의 내면에는 체결부가 서로 거리를 갖도록 고정브라켓의 반원형 형상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체결부 외면에는 볼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일정 각도 각을 형성하여 절곡되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와;
    상기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에 삽입되어 고정된 배관이 이음관의 양측에 삽입되며, 상기 이탈방지 연결클램프가 이음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배관이 이음관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양쪽에 이음관이 체결된 후 체결부 사이에 각각 와이어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는 보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입구에는 배관과 이음관의 밀착력을 돕는 고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양단에는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을 갖는 체결편이 이탈방지 연결클램프에 형성된 고정편에 대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음구조.
KR1020060067118A 2006-07-18 2006-07-18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KR10077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18A KR100770397B1 (ko) 2006-07-18 2006-07-18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18A KR100770397B1 (ko) 2006-07-18 2006-07-18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397B1 true KR100770397B1 (ko) 2007-10-26

Family

ID=3881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118A KR100770397B1 (ko) 2006-07-18 2006-07-18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3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131B1 (ko) * 2013-08-20 2014-06-12 주식회사 삼진코리아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101796237B1 (ko) * 2015-12-02 2017-12-01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설 제거 장치
KR101960492B1 (ko) * 2018-08-08 2019-03-20 주식회사 우리스틸 무용접 파이프 이음구
KR102162670B1 (ko) * 2019-12-24 2020-10-07 최승호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09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클램프
KR100543019B1 (ko) 2005-01-14 2006-01-20 이충열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09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클램프
KR100543019B1 (ko) 2005-01-14 2006-01-20 이충열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131B1 (ko) * 2013-08-20 2014-06-12 주식회사 삼진코리아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101796237B1 (ko) * 2015-12-02 2017-12-01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설 제거 장치
KR101960492B1 (ko) * 2018-08-08 2019-03-20 주식회사 우리스틸 무용접 파이프 이음구
KR102162670B1 (ko) * 2019-12-24 2020-10-07 최승호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8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84489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77709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KR100770397B1 (ko)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KR101431591B1 (ko)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KR200381579Y1 (ko) 분기관 이음 소켓
KR101051267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396397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80026751A (ko) 풀림방지 및 연결소켓이 체결된 관연결장치
KR200386397Y1 (ko)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KR200389196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연결용 합성수지관
KR200386472Y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 소켓
KR100532193B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90056636A (ko)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EP2156083A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101406131B1 (ko)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10117943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20080091554A (ko)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100984227B1 (ko) 조임식 편수관 연결장치
KR200393539Y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295287Y1 (ko) 홀주입 연결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도 분기 연결관설치구조
CN219639687U (zh) 一种管夹
KR200343996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