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878B1 - 지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지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878B1
KR100806878B1 KR1020070014861A KR20070014861A KR100806878B1 KR 100806878 B1 KR100806878 B1 KR 100806878B1 KR 1020070014861 A KR1020070014861 A KR 1020070014861A KR 20070014861 A KR20070014861 A KR 20070014861A KR 100806878 B1 KR100806878 B1 KR 100806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connecting pipe
socket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수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07001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관에 지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미 시설되어 있는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고자 할 때 본관의 지관 연결 예정부위를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제거한 후 절단길이에 상당하는 지관을 치환설치하는 방법을 취함에 따라 설치방법이 간단하고 결합력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지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본관과 지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본관의 지관 연결 예정부위에, 상기 본관을 적정길이만큼 절단한 설치부가 마련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 내에 설치되어 절단된 양쪽의 본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지관부로 이루어진 바디; 상기 연결관부에 지지된 채 상기 연결관부와 본관 사이로 설치되어, 연결관부와 본관의 직접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과 연결관부와 본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연질부재; 일단은 상기 연결관부의 양쪽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절단된 양쪽 본관이 내부로 끼워지는 개구형의 개구형의 끼움부를 갖는 한 쌍의 편수소켓; 상기 절단된 양쪽 본관의 표면과 상기 편수소켓 사이에 압입되는 수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이다.
지관 연결, 본관과 지관 연결

Description

지관 설치구조{devergence pipe establishmen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제 1 실시예)
도 2a는 본관의 절단전 상태도
도 2b는 본관의 절단후 상태도
도 2c는 본관에 수밀부재를 끼워넣은 상태도
도 2d는 본관에 편수소켓을 끼워넣은 상태도
도 2e는 본관의 설치부에 바디를 끼워넣은 상태도
도 2f는 편수소켓을 체결한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결합 전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결합 후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 결합 전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 결합 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관 2 : 설치부
10 : 지관 연결장치 20 : 바디
30 : 연결관부 40 : 지관부
50 : 나사링 60 : 연질부재
70 : 편수소켓 80 : 수밀부재
본 발명은 본관에 지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미 시설되어 있는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고자 할 때 본관의 지관 연결 예정부위를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제거한 후 절단길이에 상당하는 지관을 치환설치하는 방법을 취함에 따라 설치방법이 간단하고 결합력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지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관(本管)에 지관(支管)을 추가로 연결할 때는 국내특허등록 제10-586156호,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301978호, 국내실용신안등록 제10-368081호 등에서 제안되어 있듯이 본관의 지관 연결 예정부위를 천공한 뒤, 천공된 부위에 지관을 연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본관과 지관의 연결방법은 천공부위가 정확해야만 본관과 지관을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천공작업시 천공위치의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정밀한 천공작업을 위해서는 숙련된 노동력 및 노동시간을 투입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천공부는 본관의 곡표면에 형성되는 관계로 천공부 자체도 본관의 표면곡률에 상당하는 형태로 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휘어진 천공부의 테두 리에 수밀패킹을 틈새없이 끼워넣는 작업이 난해하고, 이러한 형태상의 불리한 점으로 인해 수밀패킹과 천공부 사이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여지가 항상 잔존하고 있어서 작업의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200(본관)×150(지관) 또는 150(본관)×150(지관)을 천공해야 할 경우는 본관 높이의 3/4 ~ 4/4가 천공되어 본관이 손상을 입는다. 이 경우 정티 소켓이나 이경티 소켓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소켓 연결 방법이므로 끝 부분연결 시 길이에 취약하다.(소켓 삽입깊이 만큼 길이가 더 필요하고 삽입 시 힘이 들고 곤란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설치되어 있는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고자 할 때 본관의 지관 연결예정부위를 적정길이로 절단한 후 절단부위에 지관을 치환설치하는 방법을 취함에 따라 설치방법 및 해체가 간단하고, 이러한 간단한 설치작업으로 인해 연결의 견고성과 수밀유지의 측면들을 보다 치중하여 작업에 임할 수 있는 지관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① 본관과 지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본관의 지관 연결 예정부위에, 상기 본관을 적정길이만큼 절단한 설치부가 마련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 내에 설치되어 절단된 양쪽의 본관 사이 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지관부로 이루어진 바디; 상기 연결관부에 지지된 채 상기 연결관부와 본관 사이로 설치되어, 연결관부와 본관의 직접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과 연결관부와 본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연질부재; 일단은 상기 연결관부의 양쪽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절단된 양쪽 본관이 내부로 끼워지는 개구형의 개구형의 끼움부를 갖는 한 쌍의 편수소켓; 상기 절단된 양쪽 본관의 표면과 상기 편수소켓 사이에 압입되는 수밀부재;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이다.
②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관부의 양쪽에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특정 골에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는 나사링과; 상기 나사링의 숫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편수소켓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이다.
③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관부의 양쪽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편수소켓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이다.
④ 상기 양쪽 본관의 골 부분에 끼움 결합되는 스톱링을 포함하며; 상기 편수소켓의 끼움부측 단부의 내주에는, 편수소켓을 상기 연결관부와 체결할 때 상기 스톱링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이다.
⑤ 상기 연질부재와 수밀부재의 각 내외면에 수밀강화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제 1 실시예)이고, 도 2a는 본관의 절단전 상태도이며, 도 2b는 본관의 절단후 상태도이고, 도 2c는 본관에 수밀부재를 끼워넣은 상태도이며, 도 2d는 본관에 편수소켓을 끼워넣은 상태도이고, 도 2e는 본관의 설치부에 바디를 끼워넣은 상태도이며, 도 2f는 편수소켓을 체결한 상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결합 전 상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결합 후 상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 결합 전 상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 결합 후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지관 연결장치(10)는 이미 설치된 본관(1)의 지관 연결 예정부위를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제거한 설치부(2)를 마련하여, 상기 설치부(2)에 지관 연결장치(10)를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관(1)은 단층관, 이층관, 삼층관 등을 포괄하는 플라스틱 관을 통칭한다. 다만, 본 발명의 첨부도면에서는 코러게이트 이층관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지관 연결장치(10)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본관(1)의 설치부(2) 내에 설치되어 절단된 양쪽 본관(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관부(30)와, 상기 연결관부(30)와 연통되면서 연결관부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지관부(40)로 이루어진 바디(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부(30)에 지지된 채 상기 연결관부와 본관(1) 사이로 설치되어, 연결관부와 본관의 직접 충돌을 방지한 역할과 연결관부(30)와 본관(1)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연질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일단은 상기 연결관부(30)의 양쪽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절단된 양쪽 본관(1)이 내부로 각각 끼워지는 개구형의 끼움부(74)를 갖는 한 쌍의 편수소켓(7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단된 양쪽 본관(1)의 표면과 상기 편수소켓(70) 사이에 압입되는 수밀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관부(30)의 양쪽에 형성되는 요철부(32)의 특정 골에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숫나사부(52)가 형성되는 나사링(50)과, 상기 나사링(50)의 숫나사부(52)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편수소켓(70)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7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링(50)은 상기 요철부(32)의 골에 원활하게 끼움 결합하기 위해 반원형으로 분할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연질부재(60)와 수밀부재(80)도 연결관부(30)와 본관(1)의 외주에 원활하게 끼움 결합하기 위해 반원형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질부재(60)와 수밀부재(80)는 수밀력 강화를 위해서 각 부재의 내외면에 수밀강화돌기(62,82)를 형성하므로써 상기 연결관부(30) 외주면과 편수소켓(70) 내주면 사이의 수밀이 강화되게 하였으며 또한, 상기 본관(1) 외주면과 편수소켓(70) 내주면 사이의 수밀이 강화되 게 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설치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a, 2b에서와 같이 본관(1)의 지관 설치예정부위를 소정 길이만큼 절단제거하여 설치부(2)를 마련하므로써 지관 연결장치(10)의 설치공간을 확보한다. 상기에서 본관(1)의 절단은 본관의 직경방향으로 행해지므로 본관의 곡표면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기존의 천공작업에 비해 매우 간단하여 비 숙련자라 하더라도 작업이 가능하고, 설사 절단길이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편수소켓(70)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하는 작업과정이 있기 때문에 절단시 고 정밀도를 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수월하다.
다음, 도 2e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20)의 양쪽 연결관부(30)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32)중 선택된 골(32a)에 나사링(50)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54)를 끼워넣는다. 이때, 상기 나사링(50)은 반원형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결관부(30)로의 끼움이 손쉽다. 이와 함께, 상기 양쪽 연결관부(30)의 최단부에 형성된 산에는 연질부재(60)가 덮어 씌운다. 이때, 상기 연질부재(60)의 상기 본관(1)을 향하는 쪽에는 상기 연결관부(30)와 본관(1)의 경계부 사이로 인입되는 충돌방지부(64)가 구비되어 있어서 편수소켓(70)의 끼움부(74)로 본관(1)을 끼워넣을 때 연결관부(30)와 본관(1)이 직접충돌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c에서와 같이 절단된 각 본관(1)의 특정 산 부위에 수밀부재(80)를 끼워넣는다. 상기 수밀부재(80)는 전체적으로는 원형이지만 반원형으로 분할 구 성되어 있어서 본관(1)으로의 끼움이 손쉽다.
다음, 도 2d에서와 같이 각 본관(1)의 외부로 편수소켓(70)을 끼워넣는다. 이때, 상기 편수소켓(70)과 본관(1) 사이에는 상기한 수밀부재(80)가 압입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편수소켓(70)과 본관(1) 사이의 수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수밀부재(80)의 내외면에는 형성된 수밀강화돌기(82)는 편수소켓(70)과 본관(1) 사이에서 압박 변형되면서 편수소켓과 본관 사이의 수밀을 보다 강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편수소켓(70)은 이후 단계에서 본관(1)의 설치부(2)로 바디(20)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부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 있어야 한다.
다음, 도 2f에서와 같이 상기 본관(1)의 설치부(2) 내에 바디(20)를 끼워넣고, 바디(20)의 끼워 넣기 위해 본관(1) 쪽으로 밀려나 있던 편수소켓(70)을 바디(20)쪽으로 잡아당겨 편수소켓의 암나사부(72)가 나사링(50)의 숫나사부(52)에 위치되게 한 후 편수소켓을 회전시켜서 암나사부(72)와 숫나사부(52)가 상호 나사 결합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연결관부(30)와 본관(1)의 마주하는 단부가 근접되면서 충돌의 우려가 있으나 연질부재(60)의 충돌방지부(64)가 이들 사이에 개입되어 있어서 충돌시 완충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충돌로 인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질부재(60)의 내외면에 형성된 수밀강화돌기(62)는 편수소켓(70)과 연결관부(30) 사이에 압박 변형되면서 편수소켓과 연결관부 사이의 수밀을 보다 강화하게 된다.
한편,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대부분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지관 연결장치와 동일하고, 다만 연결관부(30)와 편수소켓(7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다른 부분의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결합수단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의 결합수단은, 도 3a 및 3b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관부(30)의 양쪽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숫나사부(33)와,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편수소켓(70)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76)로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관부(30)와 편수소켓(70)의 결합시에는 도 3a의 상태로 부터 편수소켓(70)을 연결관부(30) 쪽으로 접근시킨 후 회전시켜서 편수소켓(70)의 암나사부(76)와 연결관부(30)의 숫나사부(33)를 결속하면 된다.
또 한편,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 대부분의 구성은 제 1, 2 실시예의 지관 연결장치와 동일하되, 다만 편수소켓(70)의 구조가 일부 바뀌고, 양쪽 본관(1) 상에 스톱링(90)을 두어서 편수소켓(70)의 스톱핑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양쪽 본관(1)의 골 부분에 단면모양이 "T"자인 스톱링(90)을 끼움 결합하고, 편수소켓(70)의 끼움부(74)측 단부의 내주에 걸림환부(78)를 두어서 편수소켓(70)을 상기 연결관부(30)의 나사링(50)에 체결할 때 상기 스톱링(90)에 걸림환부(78)가 걸릴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걸림환부(78)는 주 역할이 스토퍼 역할이긴 하지만 편수소켓(70)과 본관(1) 사이의 수밀을 보강해 주는 역할도 병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도 4a 및 4b에서는 편수소켓(70)이 나사링(50)과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앞선 제 2 실시예의 결합수단에서와 같이 연결관부(30)에 숫나사부(33)를 직접형성하여 결합하는 구조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제 4 실시예로서, 대부분의 구성은 제 1, 2, 3 실시예의 지관 연결장치와 동일하되, 다만 편수소켓(70)의 구조가 체결구조가 아닌 밀어 넣는 구조로 바뀌고, 밀어넣는 구조에서 취약할 수 있는 체결력을 고무링이 대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편수소켓(70)의 내외면은 특별한 구조가 없는 평활면으로 하여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이러한 편수소켓(70)의 경우에는 앞선 제 1 ~ 3 실시예의 편수소켓에 비해 지관(40)과의 체결력이 약화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연질부재(60)와 수밀부재(80)외에도 지관(40)과 편수소켓(70) 사이에 또 다른 연질부재(100)를 부설하여 수밀은 물론 편수소켓(70)의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관과 지관을 연결할 때 본관에 구멍을 천공하였던 기존 방법을 대신하여 본관의 지관 연결예정부위를 적정길이로 절단한 후 절단부위에 지관 연결장치를 끼워넣어 절단된 본관과 연결하는 방법을 취함에 따라 지관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다.

Claims (5)

  1. 본관과 지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본관의 지관 연결 예정부위에, 상기 본관을 적정길이만큼 절단한 설치부가 마련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 내에 설치되어 절단된 양쪽의 본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지관부로 이루어진 바디;
    상기 연결관부에 지지된 채 상기 연결관부와 본관 사이로 설치되어, 연결관부와 본관의 직접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과 연결관부와 본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연질부재;
    일단은 상기 연결관부의 양쪽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절단된 양쪽 본관이 내부로 끼워지는 개구형의 개구형의 끼움부를 갖는 한 쌍의 편수소켓;
    상기 절단된 양쪽 본관의 표면과 상기 편수소켓 사이에 압입되는 수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관부의 양쪽에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특정 골에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는 나사링과; 상기 나사링의 숫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편수소켓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관부의 양쪽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편수소켓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본관의 골 부분에 끼움 결합되는 스톱링을 포함하며;
    상기 편수소켓의 끼움부측 단부의 내주에는, 편수소켓을 상기 연결관부와 체결할 때 상기 스톱링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재와 수밀부재의 각 내외면에 수밀강화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설치구조.
KR1020070014861A 2007-02-13 2007-02-13 지관 설치구조 KR100806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861A KR100806878B1 (ko) 2007-02-13 2007-02-13 지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861A KR100806878B1 (ko) 2007-02-13 2007-02-13 지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878B1 true KR100806878B1 (ko) 2008-02-22

Family

ID=3938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861A KR100806878B1 (ko) 2007-02-13 2007-02-13 지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8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8957U (ko) * 1989-04-25 1990-11-08 주식회사 동원 프라스틱 편수관
KR200359251Y1 (ko) 2004-05-21 2004-08-16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분기구
KR20050040316A (ko) * 2003-10-28 2005-05-03 최인상 벽난로연통의 연결관
KR200406050Y1 (ko) 2005-10-07 2006-01-20 오정호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60013314A (ko) * 2004-08-04 2006-02-09 주식회사 디씨피 지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8957U (ko) * 1989-04-25 1990-11-08 주식회사 동원 프라스틱 편수관
KR20050040316A (ko) * 2003-10-28 2005-05-03 최인상 벽난로연통의 연결관
KR200359251Y1 (ko) 2004-05-21 2004-08-16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분기구
KR20060013314A (ko) * 2004-08-04 2006-02-09 주식회사 디씨피 지관 연결장치
KR200406050Y1 (ko) 2005-10-07 2006-01-20 오정호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200700952A1 (ru) Расширяемое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TWI736983B (zh) 管元件與管塞之組合及在其間產生密封之方法
CN211525753U (zh) 带有将螺母插入端口内侧的加强件的pb管道连接端口装置
KR100806878B1 (ko) 지관 설치구조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CN206191071U (zh) 一种塑料管转弯用的管卡
CN201354898Y (zh) 一种管接头的固定装置
CN210439422U (zh) 一种污水排水管安装结构
KR200387795Y1 (ko) 수도꼭지 연결관
JP2019007306A (ja) 継手
JP2009236317A (ja) 接続継ぎ手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の施工方法
KR20150070924A (ko) 연결이 용이한 배관 커플러
CN208024957U (zh) 一种用于废水热能回收装置的管道固定结构
CN214534941U (zh) 波纹管固定管卡
JP6518124B2 (ja) リブ付管用補修材、及びリブ付管の補修方法
CN203549220U (zh) 排水三通接头和排水装置
CN217736599U (zh) 一种下水管连接结构
CN216041785U (zh) 一种预埋固定件
CN211646741U (zh) 一种便于操作的建筑工程混凝土预制构件
CN216813267U (zh) 一种管道连接套
CN211344373U (zh) 一种快插式分水器
KR20160121786A (ko) 맨홀용 관로구 및 맨홀용 관로구의 맨홀 시공 방법
CN210153342U (zh) 预埋套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