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434A -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434A
KR20080075434A KR1020070084254A KR20070084254A KR20080075434A KR 20080075434 A KR20080075434 A KR 20080075434A KR 1020070084254 A KR1020070084254 A KR 1020070084254A KR 20070084254 A KR20070084254 A KR 20070084254A KR 20080075434 A KR20080075434 A KR 20080075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pipe
saddle
washer
low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오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호 filed Critical 오정호
Priority to KR102007012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5438A/ko
Priority to KR1020080012129A priority patent/KR20080075446A/ko
Publication of KR2008007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는 연결관이 꼽히는 상부 분기지관은 원통형이고 배관 유입공에 꼽히는 하부 분기지관은 각진 박스(Box)형 분기지관으로 되며 배관의 유입공도 정원 외에 사각, 직사각, 타원과 직사각형 양측을 원 또는 타원 등의 곡선을 갖는 형상 등 기하학적 단면으로 뚫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하수, 오수, 상수, 가스 배관 등의 유입공은 고가의 천공기 없이 직쏘(Jig-Saw), 톱, 커터(Cutter) 등으로 뚫을 수 있고 특히 하부 분기지관을 상부 분기지관에 꼽히는 연결관 직경보다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는 길게 하여 연결관 내면 면적과 동일 면적으로 하며 연결관을 최대 정T처럼 본배관과 동일 크기로도 할 수 있어 비교적 큰 연결관까지 사용 가능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되어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의 체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체결 단면도
도 5A는 도 2의 상태 설명 평면도
도 5B는 도 4의 상태 설명 평면도
도 5C, 도 5D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상태 설명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암나사 5 : 볼트
6 : 인장선 44 :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
55 : 내측와샤 돌출관 걸림부 70 : 박스(Box) 형태의 패킹
71 : 패킹 외면부 72 : 패킹 중앙부
73 : 패킹 내면부 74 : 요홈
77 : 주름 100 : 새들
140 : 새들 돌출관 상면 150 : 새들 돌출관
170 : 돌출관 상부 200 : 분기지관
201 : 상부 분기지관 202 : 하부 분기지관
203 : 하부 분기지관 하측 220 : 돌출테
230 : 볼트 구멍 245 : 돌출부
250 : 인장선 구멍 265 : 상부 분기지관 내면
270 : 하부 분기지관 내면 284 : 분기지관 하부 내면
285 : 분기지관 하면 286 : 분기지관 하부 외면
290 : 분기지관 외면 숫나사 300 : 내측와샤
310 : 내측와샤 날개편 360 : 돌출관
400 : 너트 410 : 너트 돌기
500 : 경첩 600 : 본배관
610 : 본배관 외면 620 : 본배관 내면
650 : 유입공 700 : 연결관
종래 하수 본배관 측면에 연결관을 설치할 때 일반적으로 원형 구멍을 뚫고 이에 분기소켓 또는 새들을 부착하였다.
원형 구멍은 천공기나 직쏘(Jig-Saw)를 사용하는데 전기 시설이 필수이며 직쏘(Jig-Saw)는 정원 작업이 힘들며 뚫고 나서도 경사지거나 찌그러진 형상이어서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고 쇠톱으로는 더더욱 정원 뚫기가 힘들었다. 또한, 배관에 유입공을 뚫을 때 배관 구조 안전상 구멍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큰 연결관은 물론 본배관과 동일관을 연결한다는 것은 불가능 하였다.
특히, 유입공 내면에 곡면을 갖는 원형 와샤로 걸쳐지게 하여 분기지관 소켓을 부착할 때는 배관 곡률을 갖는 원형 와샤는 유입공보다 크므로, 관경이 다르면 동일 곡률 와샤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본배관 측면에 형성한 유입공 크기(직경)를 본배관 원주상에 절삭 폭이 연결관 직경보다 짧게 하며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므로써, 연결관 하수량을 본배관 하수량과 동일하게 하기 위해 분기지관 소켓을 부착하였을 때 내면 단면적이 본배관 단면적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T관은 물론, 정T관 구조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개발이 기술적 과제이며, 다른 과제는 본배관에 뚫은 유입공의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하므로써 유입공 천공으로 인한 배관의 구조적 안정을 기하며 동시에 유입공을 뚫을 때 고가의 천공기나 장비없이 직쏘(Jig-Saw) 또는 쇠톱, 커터(Cutter) 등으로 쉽게 작업할 수 있게 기하학적 유입공을 설계하는 것과 유입공 주연부 내면에 걸쳐지는 내측와샤를 상·하로 절단하여서 된 양분된 내측와샤 외에 절단하지 않은 내측와샤와 곡률을 갖는 날개편 폭을 좁게 하므로써 배관이 토압 등으로 변형되거나 내경이 다르더라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측와샤 개발이 과제이며, 단 한번의 당김(원-터치)에 의해 배관 내면에 걸쳐 있는 손이 미치지 않는 내측와샤를 분기지관과 조임 또는 꼽히거나 걸려 하측으로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기술 개발과 이같은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수밀을 위한 패킹 개발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또다른 과제는 하수, 오수 배관 외에 상수, 가스 배관에 활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개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분기지관(200)을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으로 구분하고 이를 일체로 하여, 상부 분기지관(201)은 원통관 형상이며 연결관(700)이 내면(265)에 꼽히고 외면에는 숫나사(290)가 형성되고 이에 너트(400)를 조이고 하부 분기지관(202)은 내면 단면이
Figure 112007507490017-PAT00006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07
등의 박스 형상으로 되고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걸 림부(4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분기지관 내면 단면 형상과 동일 단면 형상이며 상기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와 동일 위치, 동일 수의 걸림부(55)를 형성한 박스형 돌출관(360) 하측에 곡면을 갖는 유입공보다 큰 날개편(310)이 일체로 된 내측와샤(300) 또는 필요에 따라 상·하로 절단한 내측와샤로 하고, 배관 유입공 주연부 외면(620)에 놓이는 곡면을 갖는 새들(100) 상측에 하부 분기지관(202) 외면을 감싸는 박스형 돌출관(150)이 일체이며 돌출관 상부에 상부 분기지관(201)이 꼽히게 된 새들로 구성되어, 배관 유입공(650)을 하부 분기지관(202)이 꼽히게 기하학적 구멍으로 형성하고, 내측와샤(300)를 유입공(650) 속에 세우거나 눕혀 꼽고 유입공 외측으로 나온 내측와샤 돌출관(360)을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 속으로 당기거나 끌어 올려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와 내측와샤 돌출관(360)의 걸림부(55)가 조임 또는 꼽히거나 걸리게 한 후, 배관 외면에 놓인 새들 돌출관(150) 상면을 숫나사(290)와 조임된 너트(400)로 조여 가압하면 배관 유입공(650) 주연부 내·외면을 새들(100)과 내측와샤 날개편(310)으로 압박하며 조여 부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그리고, 하부 분기지관(202)을 원통관형 분기지관과 사각 또는 각진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으로 하고 원통관형 내면 주연부에 걸림부(44)를 형성하며, 내측와샤(300)의 돌출관(360)은 날개편(310) 상측에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 속에 들어갈 사각 또는 각진 돌부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하부 분기지관 원통관 내면에 꼽힐 원통형 돌출관이 있고 이에 걸림부(55)가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하로 절단한 내측와샤(300)로 하고, 새들 돌출관(150)이 하부 분기지관을 감싸고 돌출관 상부(170)에 상부 분기지관(201)을 꼽게 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를 볼트구멍을 다수 형성한 돌출테(220)이며 내측와샤 돌출관(360) 상·하로 하부 분기지관 내면 돌출테(220)의 볼트구멍(230)과 동일 위치, 동일 수로 암나사(4)를 형성한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또다른 실시예로,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을 절단하여 새들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하며 내측와샤 상의 사각 또는 각진 돌부 상측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관(360) 내면 주연부의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부 분기지관(201)의 숫나사(290)와 너트(400)를 일체로 분기지관 외측에 형성하며 하부 분기지관(202)을 상부 분기지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외측에 내측와샤 돌출관 내면 주연부의 암나사와 조임 될 숫나사를 형성하여 양분된 내측와샤(300)를 사각 또는 각진 유입공 속에 집어넣고 배 관 외면에 놓인 새들(100)의 하면과 일체인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과 함께 유입공에 꼽고 새들 상면에 패킹을 놓고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의 경계면이 새들 상면 패킹을 가압하면서 내측와샤 양분된 돌출관 암나사와 조임하여 체결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로 할 수도 있다. 이같은 구조는 3piece가 된다.
그 외, 하부 분기지관(202) 또는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을 새들(100)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하며 새들 돌출관(150)과 상부 분기지관(201)이 일체이며, 너트(400)를 없게 하고, 새들과 일체인 상부 분기지관 또는 하부 분기지관(202)의 걸림부(44)와 양분된 내측와샤(300)의 돌출관(360)에 형성된 걸림부(55)와 상·하로 조이거나 새들 돌출관과 일체인 상부 분기지관 또는 하부 분기지관에 형성된 걸림부(44)와 내측와샤 돌출관의 걸림부(55)를 조여, 새들(100)을 배관 유입공 내면에 걸쳐 있는 날개편(310)에 의해 압박 조임하는 2piece로 할 수도 있다.
이상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는 도 5A, 도 5B처럼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 또는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의 중심이 동일 중심이며 하부 분기지관이 사각 박스(Box)형임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조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인 도 5C, 도 5D 구조는 하부 분기지관(202)은 내면이 원통형 외의 직사각, 타원과 직사각형 양측을 원 또는 타원의 곡선을 갖는 형상 등 기하학적 단면을 갖는
Figure 112007507490017-PAT00008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09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0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1
등 외 다양한 형상을 포함하고(이때, 필요에 따라 상·하부 분기지관 사이에 병목 부위를 없애는 중앙 분기지관(204)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걸림부(4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분기지관 내면 단면 형상과 동일 형상의 돌출관 (360) 주연부에 상기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와 동일 위치, 동일 수의 걸림부(55)를 형성하고 돌출관(360) 하측에 곡면을 갖는 날개편(310)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상·하로 절단한 양분된 내측와샤로 하고 내측와샤(300)와 배관 외면(620)에 놓이는 곡면을 갖는 새들(100) 상측에 하부 분기지관(202) 외면을 감싸는 돌출관(150)과 일체이며 돌출관 상부에 상부 분기지관(201)이 꼽히게 된 새들로 구성되어, 배관 유입공(650)을 하부 분기지관(202)이 꼽히게 기하학적 구멍으로 형성하고, 내측와샤(300)를 유입공(650) 속에 세우거나 눕혀 꼽고 유입공 외측으로 나온 내측와샤 돌출관(360)을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 속으로 당기거나 끌어올려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와 내측와샤 돌출관(360)의 걸림부(55)가 걸리거나 조인 후, 배관 외면에 놓인 새들 돌출관(150) 상부(170)를 상부 분기지관 숫나사(290)와 조임된 너트(400)를 조여 가압하면 배관 유입공(650) 주연부 내·외면을 새들(100)과 내측와샤 날개편(310)으로 압박하며 부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이때, 하부 분기지관(202)의 단면이 상부 분기지관 단면 직경보다 짧고 본배관 길이방향의 하부 분기지관 단면 길이가 상부 분기지관 단면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 분기지관 중심과 동일 중심으로 형성되거나 하부 분기지관 단면 중심이 상부 분기지관 중심 전·후 일측 또는 좌·우 일측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어 종래의 원형 유입공으로 인한 본배관에 구조적 안정 때문에 원형 유입공 크기가 제한적이었으나 상기 본 발명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서는 본배관에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할 수 있어 장방형 단면적이 본배관 단면적과 동일하게 하면 이형T관 뿐만 아니라 정T관에 구조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그 외, 유입공을 뚫을 때 고가의 천공기나 장비 없이 직쏘(Jig-Saw) 또는 쇠톱 만으로 쉽게 작업할 수 있게 기하학적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내측와샤는 내측와샤 날개편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본배관 원주 단면상의 유입공 절삭에서 절삭된 호(弧)와 현(弦) 거리를 근접시키게 되므로 배관 내경이 다르거나 토압 등으로 배관 곡률이 달라 지더라도 공통 사용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는 하수, 오수용 외에 비교적 큰 압력 구조인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로 할 수 있고 이때 다수의 쐐기로 새들과 일체인 하부 분기지관에 형성된 다수의 경사 요홈에 박아 넣으므로써 큰 압력에 사용 가능하게(내측와샤와 쐐기를 스테인리스 재질로 할 수 있다) 할 수 있고 수밀을 위한 방법으로 새들 하면과 맞닿는 배관 외면이 열을 가하여 융착 접합되어 일체로 되어 수밀되고 상기 내측와샤의 강력한 조임으로 가스 배관 등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그 외 수밀방법으로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2
형 패킹을 원형에서 각진 기하학적 형상으로 하고 중앙에는 주름 또는 요홈을 전 둘레에 1회전 또는 2회전 이상 형성하므로써 배관 두께가 다르거나 배관 내경이 다를 때 높낮이가 조절되는 패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와 내측와샤 돌출관 측면의 걸림부(55)는 하부 분기지관이 장방형이고 이에 꼽히는 내측와샤 돌출관이 동일 형상이면 상부 분기지관 안쪽에서 내측와샤 돌출관에 연결된 인장선을 단 한번 당기거나 끌어 올리면 걸림부(44)와 걸림부(55)는 자동으로 꼽히며 걸리는 구조로써 본 원인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6-0108620호, 특허출원 제 10-2006-0111967호, 특허출원 제10-2006-0114477호의 체결방법을 활용하므로써, 손이 미치지 못하는 곳까지 자동으로 꼽히며 걸리는 기술을 이용하고 특허출원 제10-2006-0081386호를 이용할 때에는 핀을 꼽기만 하면 결합되므로 본 발명 구조에 활용되며 그 외, 특허 등록 제0531157호를 이용할 때에는 분기지관 내면 돌출테의 다수의 볼트구멍과 양분된 내측와샤의 돌출관에 형성된 암나사에 볼트로 돌출테 볼트구멍에 꼽아 암나사에 나사 조임하여 결합하며 특허 출원 제10-2005-0086228호를 이용할 때에는 박스 형태의 하부 분기지관의 상호 대칭되는 양 내면을 상부를 향해 폭이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하고 양분된 내측와샤 돌출관을 V자로 벌려지게 하므로써 내측와샤 돌출관이 하측으로 뽑아지지 못하게 하고 특허 출원 제10-2005-0094247호를 이용할 때에는 박스 형태의 하부 분기지관의 상호 대칭되는 양 내면에 형성한 다수의 돌기에 역시 내측와샤 돌출관을 V자로 벌려 돌출관 측면 요홈에 돌기가 걸리게 하고 특허 출원 제10-2006-0074029호를 이용할 때에는 분기지관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경사 요홈과 내측와샤 돌출관 측면 쐐기구멍에 쐐기를 꼽아 새들을 배관에 조여 부착하므로써 분기지관 내면에서 내측와샤 돌출관을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다른 구조의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되어 이상의 걸림부(44, 55)를 이용한 각각 다른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도 본 발명에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본 발명에 포함한다. 수밀을 위한 패킹은 특허 출원 제10-2004-0075290호, 특허 출원 제10-2006-0068953호의 수밀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3
형 패킹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배관 유입공 내면(620) 주연부 전체에 밀착되는 4각 양측에 곡면을 갖는 패킹 내면부(73)와 배관 4각 유입공(650) 측면 형태의 박스형 패킹 중앙부(72)를 박스형 패킹 또는 박스형 패킹 내·외면에 요홈(74)이나 주름(77)을 형성하고 이와 동일 방향의 패킹 상단인 패킹 외면부(71)로 된 박스 형태의 패킹(70)이 하부 분기지관 하부의 내·외면 또는 하면과 상기 박스 형태의 패킹 외면부(71)를 일체로 하고 패킹 내면부(73)가 내측와샤 날개편(310) 상면과 배관 유입공 내면(620) 사이에 있어 압박 수밀된다. 그리고, 박스 형태의 패킹(70)의 상단부인 패킹 외면부(71) 또는 패킹 중앙부(72)와 패킹 외면부(71)가 하부 분기지관 하부 내면과 내측와샤 4각형 돌출관 사이에서 압박 수밀되게 패킹 외면부(71)가 분기지관과 분리해도 수밀이 되며, 패킹 외면부(71) 또는 패킹 중앙부(72)와 패킹 외면부(71)가 분기지관 하면(285)에 압박하여 수밀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4각형 또는 직사각형 내측와샤는 필요에 따라 유입공에 집어넣을 때 상·하로 절단한 양분된 내측와샤로 하고 날개편 단면에 꺾임부 또는 경첩(5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인장선(6)을 연결하여 상부 분기지관 돌출부(245) 인장선 구멍(250)을 관통시켜 사용하면 쉽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써, 내측와샤(300)는 사각 박스형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에 꼽힐 사각형 돌출관(360)에 하부 분기지관 내면(270) 걸림부(44)와 동일 위치, 동일 수의 걸림부(55)가 형성되고 하측에 곡면을 갖는 사각형 유입공(650) 보다 큰 사각형 날개편(310)이 일체로 되어 있다. 돌출관(360) 상부에 인장선(6)을 형성, 이를 상부 분기지관(201) 내면 인장선 구멍(250) 을 관통하고 내측와샤 상·하를 절단하여 양분된 내측와샤로 하고 날개편(310)를 꺾임부 또는 경첩(500)으로 연결하여 삽입하기 쉽게 한다. 걸림부(55)에 관한 설명은 구성 및 작용의 설명과 같다. 분기지관(200)은 원통관형의 상부 분기지관(201)과 사각형의 박스형 하부 분기지관(202)과 박스 형태의 패킹(70)의 상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패킹 중앙부(72)는 요홈(74) 또는 주름(77)이 형성되어 있으며 패킹 내면부(73)는 사각형 유입공(650) 내면 주연부에 밀착되며 수밀되게 내측와샤 날개편(310) 크기로 되어 있다. 상부 분기지관 외면에는 숫나사(290)가 형성되고 이에 너트(400)가 조임되며 내면(265)의 돌출부(245)에 인장선 구멍(250)이 내측와샤 돌출관 인장선(6)과 동일 위치, 동일 수로 형성되며 내면(265)에 연결관(700)이 꼽힌다. 하부 분기지관(202)에는 내측와샤 사각형 돌출관이 꼽히며 내측와샤 걸림부(55)와 동일 위치, 동일 수로 걸림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분기지관(201) 내면 단면적과 사각형 하부 분기지관 내면 단면적이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들(100)은 상부 분기지관과 하부 분기지관이 원통형과 사각형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새들 사각형 돌출관 상부(170)는 원통관 형상으로 되어 상부 분기지관으로부터 새들 돌출관을 꼽아 사각형 하부 분기지관을 감싸는 형태며 배관(600)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다르더라도 감싸며, 새들(100)은 배관 외면에 밀착되게 곡면으로 한다. 너트(400)는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 돌기(410)가 형성되어 있다. 배관(600)에 사각형 유입공(650)이 뚫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을 배관에 체결한 상태의 사시도로써, 양분된 내측와샤(300)를 경첩(500) 중심으로 접고 인장선(6)을 잡은 상태로 배관의 사각형 유입공(650) 속 에 세우거나 경사지게 꼽고 분기지관과 일체인 박스 형태의 패킹(70)의 내면부(73)를 유입공에 들어가게 좁혀 하부 분기지관 하측까지 꼽고 새들 돌출관의 상부(170)가 상부 분기지관에 꼽힌 상태에서 너트(400)를 숫나사(290)에 가조임하고 새들을 배관 유입공에 놓고 인장선(6)을 당겨 유입공 속에 들어간 양분된 내측와샤가 원상으로 되고 사각형 돌출관(360)이 사각형 유입공(650)을 외측으로 나오며 하부 분기지관 내면 속으로 들어가면서 걸림부(44)에 내측와샤 돌출관의 걸림부(55)가 자동으로 걸려(구성 및 작용 참고) 사각형 하부 분기지관 내면에서 내측와샤의 사각형 돌출관이 하측으로 뽑아지지 못하게 한 후, 너트(400)를 회전 새들 돌출관 상부 상면(140)을 가압 조임하면 박스 형태의 패킹(70)의 내면부(73)가 배관 외면에 놓인 새들(100)과 내측와샤 사각형 날개편(310) 사이에서 가압되어 수밀되며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A-A선의 체결 단면도로써, 내측와샤 날개편(310)이 배관 곡면으로 되고 패킹(70)의 내면부(73)가 배관 내면과 날개편(310) 사이에 압박 수밀되고 배관 외면에 곡면을 갖는 새들(100)이 놓여 있고 새들 돌출관(150) 상부(170)에 상부 분기지관(201)이 꼽혀 있고 너트(400) 하면이 압박 조임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걸림부(44, 55)에 관해서는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체결 단면도로써, 하부 분기지관의 상당 부분은 상부 분기지관처럼 원통관 형이며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에 사각 박스 형태가 사각형 유입공에 꼽힐 정도만 형성되고 내측와샤 돌출관 역시 돌출관(360) 상당 부분은 원통관 형이며 사각형 날개편 상측 일부만 사각 박스형으로 돌출관(360)이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5A는 도 2의 상태 설명 평면도로써, 상부 분기지관(201)은 원통관 형상이며 하부 분기지관(202)은 사각 박스형임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 4의 상태 설명 평면도이고, 도 5C, 도 5D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상태 설명 평면도로써, 도 5C는 상부 분기지관(201)과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4
형(장방형) 하부 분기지관(202) 중심이 동일하며, 도 5D는 중심이 일측 또는 양측이 다른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배관에 분기지관이 수평 또는 경사지게 부착될 때 하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장점이 된다. 이때, 측면도와 정면도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 사이에 병목 부위를 없애는 중앙 분기지관(204)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중·하부 분기지관 어느 단면 면적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배관에 유입공을 원형 구멍이 아닌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5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6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7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8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19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0
형 등으로 하여 구멍을 직쏘(Jig-Saw), 커터(Cutter), 톱 등의 공구로도 구멍을 뚫을 수 있게 하는 것과 특히 폭이 좁고 긴 형태의 장방형 유입공으로 뚫음으로써 종래 원형 유입공을 뚫을 때보다 연결관 크기를 크게 하는 효과가 있고, 배관 원주상에 비교적 폭이 좁고 긴 장방형 구멍을 뚫음으로써 배관 구조의 안전을 기하고 더욱 천공기 등의 장비 없이 직쏘(Jig-Saw)나 쇠톱, 커터(Cutter) 등으로 절삭을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현장에서 쉽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내측와샤를 상·하로 절단하는 구조 외에 절단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로도 할 수 있는 것과 배관 내면에 걸쳐지는 내측와샤 날개편 폭이 좁아 배관경이 다른 경우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배관에 장방형 유입공 형성으로 본배관과 동일경의 연결관을 부착할 수 있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가 되어 하수, 오수, 상수, 가스 배관 등에 활용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0)

  1. 배관(600) 측면에 뚫은 유입공(650)에 분기지관을 부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지관(200)을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으로 구분하고 이를 일체로 하여, 상부 분기지관(201)은 원통관 형상이며 연결관(700)이 내면(265)에 꼽히고 외면에는 숫나사(290)가 형성되고 이에 너트(400)를 조이고 하부 분기지관(202)은 내면 단면이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1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2
    등의 박스(Box) 형상으로 되고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걸림부(4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분기지관 내면 단면 형상과 동일 단면 형상이며 상기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와 동일 위치, 동일 수의 걸림부(55)를 형성한 박스형 돌출관(360) 하측에 곡면을 갖는 유입공보다 큰 날개편(310)이 일체로 된 내측와샤(300) 또는 필요에 따라 상·하로 절단한 내측와샤로 하고, 배관 유입공 주연부 외면(620)에 놓이는 곡면을 갖는 새들(100) 상측에 하부 분기지관(202) 외면을 감싸는 박스형 돌출관(150)이 일체이며 돌출관 상부에 상부 분기지관(201)이 꼽히게 된 새들로 구성되어, 배관 유입공(650)을 하부 분기지관(202)이 꼽히게 기하학적 구멍으로 형성하고, 내측와샤(300)를 유입공(650) 속에 세우거나 눕혀 꼽고 유입공 외측으로 나온 내측와샤 돌출관(360)을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 속으로 당기거나 끌어 올려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와 내측와샤 돌출관(360)의 걸림부(55)가 조임 또는 꼽히거나 걸리게 한 후, 배관 외면에 놓인 새들 돌출관(150)의 상면(140)을 숫나사(290)와 조임된 너트(400)를 조여 가압, 배관 유입공(650) 주연부 내·외면을 새들(100)과 내측와샤 날개편(310)으로 압박 하며 조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202)을 원통관형 분기지관과 사각 또는 각진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으로 하고 원통관형 내면 주연부에 걸림부(44)를 형성하며, 내측와샤(300)의 돌출관(360)은 날개편(310) 상측에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 속에 들어갈 사각 또는 각진 돌부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하부 분기지관 원통관 내면에 꼽힐 원통형 돌출관이 있고 이에 걸림부(55)가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하로 절단한 내측와샤(300)로 하고, 새들 돌출관(150)이 하부 분기지관을 감싸고 돌출관 상부(170)에 상부 분기지관(201)을 꼽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를 볼트구멍을 다수 형성한 돌출테(220)이며 내측와샤 돌출관(360) 상·하로 하부 분기지관 내면 돌출테(220)의 볼트구멍(230)과 동일 위치, 동일 수로 암나사(너트 ; 4)를 형성, 볼트(5)로 돌출테(220)의 볼트구멍(230)을 관통, 내측와샤 돌출관 너트(4)와 조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을 절단하여 새들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하며 내측와샤 상의 사각 또는 각진 돌부 상측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관(360) 내면 주연부의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부 분기지관(201)의 숫나사(290)와 너트(400) 를 일체로 분기지관 외측에 형성하며 하부 분기지관(202)을 상부 분기지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외측에 내측와샤 돌출관 내면 주연부의 암나사와 조임 될 숫나사를 형성하여 양분된 내측와샤(300)를 사각 또는 각진 유입공 속에 집어넣고 배관 외면에 놓인 새들(100)의 하면과 일체인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과 함께 유입공에 꼽고 새들 상면에 필요에 따라 패킹을 놓고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의 경계면이 새들 상면 패킹을 가압하면서 내측와샤 양분된 돌출관 암나사와 조임하여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202) 또는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을 새들(100)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하며 새들 돌출관(150)과 상부 분기지관(201)이 일체이며, 너트(400)를 없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6. 배관(600) 측면에 뚫은 유입공(650)에 분기지관을 부착하는 분기지관 소켓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지관(200)을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으로 구분하고 이를 일체로 하며, 필요에 따라 상·하부 분기지관 사이에 병목 부위를 없애는 중앙 분기지관(20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 분기지관(201)은 원통관 형상이며 외면에는 숫나사(290)가 형성되고 이에 너트(400)를 조이고 하부 분기지관(202)은 내면이 원통형 외의 기하학적 단면을 갖는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3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4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5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6
    등의 형상으로 되고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걸림부(44)가 형성되고, 하부 분기지관 내면 단면 형상의 내측와샤 돌출관(360) 걸림부(55)에 상기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 (44)와 동일 위치, 동일 수의 걸림부(55)를 형성하고 돌출관(360) 하측에 곡면을 갖는 날개편(310)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상·하로 절단한 내측와샤(300)로 하고, 배관 외면(620)에 놓이는 곡면을 갖는 새들(100) 상측에 하부 분기지관(202) 외면을 감싸는 돌출관(150)이 일체이며 돌출관 상부에 상부 분기지관(201)이 꼽히게 된 새들로 구성되어, 배관 유입공(650)을 하부 분기지관(202)이 꼽히게 기하학적 구멍으로 형성하고, 내측와샤(300)를 유입공(650) 속에 세우거나 눕혀 꼽고 유입공 외측으로 나온 내측와샤 돌출관(360)을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 속으로 당기거나 끌어 올려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와 내측와샤 돌출관(360)의 걸림부(55)가 조임 또는 꼽히거나 걸리게 한 후, 배관 외면에 놓인 새들 돌출관(150) 상부(170)를 상부 분기지관 숫나사(290)와 조임된 너트(400)를 조여 가압, 배관 유입공(650) 주연부 내·외면을 새들(100)과 내측와샤 날개편(310)으로 압박하며 조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202) 단면이 상부 분기지관 단면 직경보다 짧고 본배관 길이 방향의 하부 분기지관 단면 길이가 상부 분기지관 단면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 분기지관 중심과 동일 중심으로 형성되거나 하부 분기지관 단면 중심이 상부 분기지관 중심 전·후 일측 또는 좌·우 일측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 내면 걸림부(44)를 볼트구멍을 다수 형성한 돌출테(220)이며 내측와샤 돌출관(360) 상·하로 상기 하부 분기지관 내면 돌출테(220)의 볼트구멍(230)과 동일 위치, 동일 수로 암나사(너트 ; 4)를 형성, 볼트(5)로 돌출테(220)의 볼트구멍(230)을 관통, 내측와샤 돌출관 너트(4)와 조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걸림부(44)를 돌기로 하고 내측와샤 돌출관 측면에 상기 돌기와 동일 위치, 동일 수로 돌기에 걸릴 요홈을 형성하며 내측와샤 돌출관 단면이 V자 공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걸림부(44)를 상부 분기지관과 하부 분기지관 경계면에 걸림면을 형성하고 내측와샤 돌출 관의 측면 걸림부(55)를 내측와샤 돌출관 상면 외측으로 상기 걸림면에 노이며 걸릴 차양(Eaves)을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고 내측와샤 돌출관 단면이 V자 공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 내면 주연부에 다수의 걸림부(44)를 하측으로 가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 계단면, 곡면이며 내측와샤 돌출관 측면의 걸림부(55)를 상기 하부 분기지관 내면의 경사면, 계단면, 곡면과 동일 형상으로 되고 내측와샤 단면이 V자 공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 켓 부착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202) 또는 하부 분기지관 하측(203)을 새들(100)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하며 새들 돌출관(150)과 상부 분기지관(201)이 일체이며, 너트(400)를 없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지기관 소켓 부착장치.
  13. 배관(600) 측면에 뚫은 유입공(650)에 분기지관을 부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지관(200)을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으로 구분하고 이를 일체로 하며, 필요에 따라 상·하부 분기지관 사이에 병목 부위를 없애는 중앙 분기지관(20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 분기지관(201)은 원통관 형상이며 하부 분기지관(202)은 내면이 원통형 외의 기하학적 단면을 갖는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7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8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29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0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1
    등의 형상으로 되고 하부 분기지관 하측에 배관 외면에 놓이는 새들(100)을 일체로 하되 새들 또는 하부 분기지관 상면에 다수의 볼트구멍을 형성한 분기지관 소켓으로 하고 하부 분기지관 단면 형상의 기하학적 유입공(650), 내·외면(620, 610)과 측면을 감싸는 패킹 외면부(71), 내면부(73), 중앙부(72)를 갖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평면 또는 곡면의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2
    형 패킹(70)의 중앙부(72)에 필요에 따라 주름 또는 요홈을 형성한 패킹으로 하고 패킹 내면부(73)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내측와샤(300)와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3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4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5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6
    등의 볼트(5)와 너트(4)로 구성되어, 배관 유입공을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7
    형 패킹으로 감싸고 패킹 외면부(71) 상에 새들(100)을 놓고 배관 내면에서 내측와샤(300)로 패킹 내면부(73)를 가압하며 내측와샤의 볼트구멍을 관 통 또는 일체로 된 다수의 볼트(5)를 유입공(650) 내면 또는 외면에 별개로 뚫은 볼트구멍과 필요에 따라 패킹 내·외면에 뚫은 볼트구멍과 새들의 볼트구멍 또는 하부 분기지관 상면의 볼트구멍을 관통한 볼트에 수밀 패킹과 함께 너트(4)로 조임하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202) 단면이 상부 분기지관 단면 직경보다 짧고 본배관 길이방향의 하부 분기지관 단면 길이가 상부 분기지관 단면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 분기지관 중심과 동일 중심으로 형성되거나 하부 분기지관 단면 중심이 상부 분기지관 중심 전·후 일측 또는 좌·우 일측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8
    형 패킹에서 중앙부(72)를 분리하여 없게 하고 배관 외면에 외면부(71) 또는 배관 내면에 내면부(73)만 선택적으로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16. 배관(600) 측면에 뚫은 유입공(650)에 분기지관을 부착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분기지관(200)을 상부 분기지관(201)과 하부 분기지관(202)으로 구분하고 이를 일체로 하며 필요에 따라 상·하부 분기지관 사이에 병목 부위를 없애는 중앙 분기지관(20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 분기지관(201)은 원통관 형상이며, 하부 분기지관(202)은 내면이 정원 외의 기하학적 단면을 갖는
    Figure 112007507490017-PAT00039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40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41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42
    ,
    Figure 112007507490017-PAT00043
    등의 형상으로 되고 내면 주연부에는 내면 외측방 속으로 들어가면 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쐐기가 삽입될 경사 요홈을 다수 형성하고 배관 외면 곡률을 갖는 새들(100)이 하부 분기지관 하측방에 일체로 형성된 분기지관 소켓으로 하고 하부 분기지관 내면 단면 형상의 돌출관(360)에 상기 하부 분기지관 내면 경사 요홈과 동일 위치, 동일 수의 쐐기가 꼽힐 구멍을 형성하며 돌출관 하측에 배관 내면 곡률을 갖는 날개편(310)을 일체로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상·하로 절단한 내측와샤(300)로 하고, 하면이 경사면이며 분기지관 소켓 내면 경사 요홈에 꼽히는 쐐기를 구비하여 배관 유입공(650)을 하부 분기지관 또는 내측와샤 돌출관이 꼽히게 기하학적 구멍으로 형성하고, 내측와샤(300)을 유입공(650) 속에 세우거나 눕혀 꼽고 유입공 외측으로 나온 내측와샤 돌출관(360)을 배관 외면에 새들(100)이 놓인 상태에서 하부 분기지관(202) 내면 속으로 당기거나 끌어 올려 내측와샤 돌출관 쐐기 구멍과 하부 분기지관의 경사 요홈 위치에서 다수의 쐐기를 돌출관 측면 쐐기구멍을 관통, 하부 분기지관 경사 요홈에 꼽아 넣어 배관 유입공(650) 주연부 외면에 놓인 새들(100)과 배관 내면의 내측와샤 날개편(310)에 의해 분기지관 소켓을 배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하부 분기지관(202) 단면이 상부 분기지관 단면 직경보다 짧고 본배관 길이 방향의 하부 분기지관 단면 길이가 상부 분기지관 단면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 분기지관 중심과 동일 중심으로 형성되거나 하부 분기지관 단면 중심이 상부 분기지관 중심 전·후 일측 또는 좌·우 일측과 동시 또는 선택적 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새들(100) 하면과 배관 유입공 주연부 외면(610)에 열을 가하여 융착 접합하거나 접착제로 부착하여 일체로 형성 수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수밀을 위한 패킹을 새들과 배관 외면 사이 또는 배관 내면(620)과 내측와샤 날개편 사이에 패킹을 개재, 수밀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수밀을 위한 패킹을
    Figure 112007507490017-PAT00044
    형의 원형 외 각진 정사각, 직사각, 육각, 장방형, 타원형 등 기하학적 형상의 평면 또는 배관 곡면이며 필요에 따라 중앙부(72)에 주름 또는 요홈을 형성한 패킹의 외면부(71), 중앙부(72), 내면부(73)를 배관 유입공 주연부 외면(610)과 배관 내면(620)에 삽입하여 새들 하면과 내측와샤 날개편(310)의 가압으로 수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070084254A 2007-02-12 2007-08-22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80075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05A KR20080075438A (ko) 2007-02-12 2007-12-03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080012129A KR20080075446A (ko) 2007-02-12 2008-02-11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4168 2007-02-12
KR1020070014168 2007-02-12
KR20070065972 2007-07-02
KR1020070065972 2007-07-02
KR1020070076846 2007-07-31
KR1020070076846A KR20080075433A (ko) 2007-02-12 2007-07-31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434A true KR20080075434A (ko) 2008-08-18

Family

ID=3987907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846A KR20080075433A (ko) 2007-02-12 2007-07-31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070084254A KR20080075434A (ko) 2007-02-12 2007-08-22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070124205A KR20080075438A (ko) 2007-02-12 2007-12-03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080012129A KR20080075446A (ko) 2007-02-12 2008-02-11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846A KR20080075433A (ko) 2007-02-12 2007-07-31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205A KR20080075438A (ko) 2007-02-12 2007-12-03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080012129A KR20080075446A (ko) 2007-02-12 2008-02-11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800754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874B1 (ko) * 2009-04-03 2010-01-07 주식회사 대영통신 하수도 분기관 연결소켓
DE102010007483B4 (de) * 2010-02-09 2013-04-18 Winfried Felber Anschlussvorrichtung
KR101952075B1 (ko) * 2018-08-01 2019-02-25 탁영용 반도체 및 엘씨디 제조장비의 배기시스템용 연결구
DE202019100076U1 (de) * 2019-01-09 2019-03-20 Funke Kunststoffe Gmbh Anschlussvorrichtung mit Kippgelenk
CN113592369B (zh) * 2021-09-29 2022-01-04 中通服建设有限公司 基于数据分析的综合管廊运营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433A (ko) 2008-08-18
KR20080075446A (ko) 2008-08-18
KR20080075438A (ko) 200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5434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051267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0983186B1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0803762B1 (ko) 분기관
CN106152081B (zh) 一种灯具进线密封装置及灯具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20080043423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120031859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090043645A (ko)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KR200406050Y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307725Y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410028Y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JP2003287183A (ja) 分水サドル継手
CN203868564U (zh) 带有止回装置的内外螺快插接头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1331816B1 (ko) 주름관의 연결구 체결구조
KR20060103410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293104Y1 (ko) 파이프의연결기구
KR101025391B1 (ko) 분기지관의 수밀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기지관 소켓부착장치
KR20080045396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110113552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060094504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