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627B1 -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 Google Patents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627B1
KR102663627B1 KR1020210086389A KR20210086389A KR102663627B1 KR 102663627 B1 KR102663627 B1 KR 102663627B1 KR 1020210086389 A KR1020210086389 A KR 1020210086389A KR 20210086389 A KR20210086389 A KR 20210086389A KR 102663627 B1 KR102663627 B1 KR 10266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crew
frame
coupled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5544A (ko
Inventor
조용윤
Original Assignee
(주)이레에스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레에스크 filed Critical (주)이레에스크
Priority to KR102021008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6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틀 위에 받침틀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배수틀 내부의 오물이 보이지 않고, 악취가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배수로 내부에 오물이 누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누적된 오물의 청소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SHOWER ROOM TRENCH FOR TILE}
본 발명은 샤워실, 욕실 바닥에 설치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욕실이나 베란다의 바닥에 설치되는 샤워실 트렌치는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배수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수구의 냄새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최근 주거환경이 고급화됨에 따라 욕실이나 베란다에 설치되는 샤워실 트렌치도 이러한 기능적인 부분과 함께 미적인 부분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는 외부로 드러나는 트렌치 커버의 배수구멍의 형상을 바닥타일 디자인과 어울리도록 구성하는 방식으로 미적요소를 가미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8237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트렌치 커버를 지지하는 보강돌기 및 배수관과 결합되는 배수관 덮개를 포함하는 욕실용 배수장치에 관한 발명이 게재되어있다. 선행기술 1은 트렌치 본체 상부에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트렌치 커버를 지지함으로써 커버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벽에 매설된 배수관의 규격과 상관없이 트렌치 본체와 배수관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 덮개를 포함함으로써, 배수장치의 크기를 충분히 좁고 가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993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에는 트렌치 커버의 하부에 완충부재를 형성하여 트렌치 구조 상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더불어 트렌치 커버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용 트렌치 구조에 대한 발명이 게재되어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배수구멍이 트렌치 커버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배수로 내부에 누적된 오물이 외부에서 보이므로 미관을 해치고, 배수관에서 역류하는 악취가 커버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상부면 전역에 걸쳐 방출되어 올라 온다.
둘째, 선행기술 1에는 욕실용 배수장치의 커버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부재에 상응하는 구성이 없지만, 선행기술 2는 트렌치 커버를 고정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 1에 선행기술 2의 완충부재를 결합하면, 완충부재의 구조상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의 단차부에 오물이 쉽게 누적되는 문제점이 발생 한다.
셋째, 선생기술 1은 트렌치 본체에 상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돌기들에 의해 본체 내부에 오물 및 물때가 끼기 쉽고, 이를 청소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고, 특히 배수틀 내부의 오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악취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 구조물로 인해 오물이 누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내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배수공간과 상기 배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하방으로 배수될 수 있는 배수구멍을 가지는 배수틀; 상기 배수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상기 배수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덮개타일을 받치는 받침틀;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상기 배수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멍으로 배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배수트랩; 상기 배수트랩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트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거름망;및 상기 배수틀에 대하여 상기 받침틀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수틀은 상기 배수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수틀의 받침면(이하 '제 1바닥면'이라 함)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도출된 가장자리벽면을 가진다. 상기 받침틀은 덮개타일을 받치기 위해 상기 받침틀의 바닥면(이하 '제 2바닥면'이라 함)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벽면을 가진다. 상기 가장자리벽면의 상단 높이보다 상기 받침벽면의 상단 높이가 더 높고, 상기 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가장자리벽면과 상기 받침벽면 간은 서로 이격되며, 이격된 틈새를 통해 상기 배수틀 내부의 상기 배수공간으로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상기 배수틀의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구멍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틀의 상기 제 1바닥면에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는 제 1바닥면과 제 2바닥면 사이를 이격시켜서 상기 배수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배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구멍으로 배수될 수 있게 하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 2바닥면과 고정되게 결합된 돌출나사들; 및 상기 돌출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틀이 상기 배수틀과 결합되면 상기 제 1바닥면과 상접하여 상기 받침틀을 지지하는 보강돌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바닥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암나사들;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끝단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된 숫나사; 및 상기 숫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단차가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틀이 상기 배수틀과 결합되면 상기 제 1바닥면과 상접하여 상기 받침틀을 지지하는 보강돌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의 상기 숫나사는 상기 나사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암나사와 결합되며, 상기 숫나사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나사구멍의 단차부와 결합되어 상기 보강돌기의 탈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지부재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1바닥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방지핀들;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 2바닥면과 고정되게 결합된 돌출나사들; 상기 돌출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지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가지는 홈돌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지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1바닥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방지핀들; 상기 제 2바닥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암나사들;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끝단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되는 숫나사; 및 상기 숫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단차가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나사는 상기 나사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나사와 결합하며, 상기 방지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한 홈돌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숫나사가 상기 암나사와 결합하면, 상기 숫나사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나사구멍의 단차부와 결합하여 상기 홈돌기의 탈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틀 위에 받침틀이 결합함으로써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받침틀을 제거하지 않는 이상 배수틀 내부에 누적된 오물을 외부에서 볼 수 없다.
둘째, 본 발명은 배수틀에 대하여 받침틀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방지부재로 인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오물이 쉽게 누적되는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셋째, 본 발명은 오물이나 물때가 쉽게 생길 수 있는 구성들을 받침틀에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시킴으로써, 배수틀 내부에 오물이나 물때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소시 받침틀을 분리하여 누적된 오물이나 물때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의 배수틀과 받침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에 다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의 배수틀과 받침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의 배수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격부재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지부재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의 실제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하 '실시예 1'이라 한다)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의 배수틀(110)과 받침틀(12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하 '실시예 2'라 한다)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의 배수틀(110)과 받침틀(120)을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다.
실시예 1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는 배수틀(110), 받침틀(120), 배수트랩(130), 방지부재(150) 및 덮개타일(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에 이격부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의 기본적인 구성들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배수틀(110)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제 1바닥면(116)과 그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가장자리벽면(118)으로 구성된다. 배수틀(110)은 내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배수공간(112)과 배수공간(112)으로 유입된 물이 하방으로 배수될 수 있는 배수구멍(114)을 가진다.
배수공간(112)은 배수틀(110)의 제 1바닥면(116)과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가장자리벽면(118)으로 형성된다.
배수구멍(114)은 배수틀(110)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배수관(10)과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배수구멍(114)의 상방으로 배수트랩(130)과 배수거름망(132)이 탈착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배수틀(110)과 받침틀(120)은 특정 형상으로 특정되지 않고 바닥면과 벽면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하되, 샤워실 바닥타일의 디자인에 따라 바닥면의 형상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는 배수틀(110)에 형성된 배수홈(119)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배수공간(112)으로 유입된 물이 배수구멍(114)을 통해 배수관(10)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제 1바닥면(116)에 배수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홈(119)은 배수구멍(114)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홈(119)의 폭은 이격부재(140) 또는 방지부재(150)와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받침틀(120)은 배수공간(112)이 확보될 수 있게 배수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받침틀(120)은 덮개타일(160)을 받치기 위해 제 2바닥면(126)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벽면(128)을 가진다.
도 6은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의 측면도이다.
배수틀(110)과 받침틀(120)이 결합한 상태에서, 배수틀(110)의 가장자리벽면(118)의 상단 높이보다 받침틀(120)의 받침벽면(128)의 상단 높이가 더 높아야 한다. 받침틀(120) 상부에 놓여진 덮개타일(160)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를 위에서 내려다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배수틀(110)의 평면적은 받침틀(120)보다 넓어야 한다. 배수틀(110)과 받침틀(120)의 평면적의 차이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틈새가 생기고, 그 틈새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진다.
배수트랩(130)은 배수틀(110)의 배수구멍(114)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수트랩(130) 외주면에는 실리콘 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부재로 인해 배수트랩(130)은 배수구멍(114)에 끼움결합되고, 배수트랩(130)이 배수구멍(114)과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트랩(130)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해석해서는 안 되고, 배수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돼야 할 것이다.
배수거름망(132)은 배수트랩(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으며, 배수트랩(13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수관(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거름망(132)에는 물이 배수될 수 있는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격부재(140)는 배수틀(110)의 제 1바닥면(116)과 받침틀(120)의 제 2바닥면(126)사이를 이격시켜 배수공간(112)을 확보한다. 배수공간(112)이 확보됨으로써 물이 배수공간(112)으로 유입된 후 배수구멍(114)을 통해 배수관(10)으로 배수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이격부재(140)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에 따른 이격부재(140)는 보강돌기(142)와 돌출나사(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강돌기(142)는 돌출나사(144)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구멍(142-1)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틀(120)이 배수틀(110)에 결합되면 보강돌기(142)는 제 1바닥면(116)과 상접하여 받침틀(120)을 지지한다. 보강돌기(142)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나사(144)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고 받침틀(120)의 제 2바닥면(126)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도 8(b)에 따른 이격부재(140)는 보강돌기(142), 암나사(146) 및 숫나사(1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강돌기(142)는 숫나사(148)가 삽입될 수 있는 단차가 있는 나사구멍(142-1)이 형성되어 있다. 숫나사(148)는 나사구멍(142-1)에 삽입된 상태로 암나사(146)와 결합한다. 받침틀(120)이 배수틀(110)과 결합하게 되면 보강돌기(142)는 제 1바닥면(116)과 상접하여 받침틀(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암나사(146)는 받침틀(120)의 제 2바닥면(12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숫나사(148)는 암나사(146)와 결합되는 나사부(148-1)와 상기 나사부의 끝단에 형성된 헤드부(148-2)로 구성된다. 숫나사(148)는 나사구멍(14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암나사(146)와 결합하며, 숫나사(148)의 헤드부(148-2)는 나사구멍(142-1)의 단차부와 결합하여 보강돌기(142)의 탈리를 방지한다.
방지부재(150)는 배수틀(110)에 대하여 받침틀(120)의 상대적인 수평이동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지부재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방지부재(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지핀(152)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돌기(154)를 포함한다.
도 9(a) 및 도 9(b)에 따른 방지부재(150)는 홈돌기(154)가 받침틀(120)의 제 2바닥면(126)에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에 따른 방지부재(150)는 방지핀(152), 돌출나사(153), 홈돌기(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지핀(152)은 상방을 향해 돌출되고 제 1바닥면(116)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홈돌기(154)의 끝단과 접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나사(153)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 2바닥면(126)과 고정되게 결합된다.
홈돌기(154)는 돌출나사(153)가 결합 될 수 있는 나사구멍(154-1)과 방지핀(152)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54-2)을 포함한다.
도 9(b)에 따른 방지부재(150)는 방지핀(152), 홈돌기(154), 암나사(156) 및 숫나사(1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지핀(152)에 대한 설명은 전술했으므로 생략한다.
홈돌기(154)는 숫나사(158)가 삽입될 수 있는 단차가 있는 나사구멍(158-1)과 방지핀(152)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58-2)을 포함한다.
암나사(156)는 받침틀(120)의 제 2바닥면(12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숫나사(158)는 암나사(156)와 결합되는 나사부(158-1)와 나사부의 끝단에 형성된 헤드부(158-2)로 구성된다. 숫나사(158)는 나사구멍(15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암나사(156)와 결합하며, 숫나사(158)의 헤드부(158-1)는 나사구멍(154-1)의 단차부와 결합하여 홈돌기(154)의 탈리를 방지한다.
홈돌기(154)가 받침틀(120)의 제 2바닥면(126)에 하방을 향해 구비됨으로써, 홈돌기(154)의 삽입홈(154-1)에 오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홈돌기(154)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의 실제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덮개타일(160)은 받침틀(120)과 평면적이 같아야 한다. 그래야만 받침틀(120)의 받침벽면(128)에 의해 덮개타일(160)이 받쳐질 수 있으며, 덮개타일(160)이 배수틀(110)과 받침틀(120)사이의 이격된 틈새를 막아 배수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를 설치한 후, 받침틀(120) 위에 덮개타일(160)을 덮는다. 따라서 덮개타일(160)을 제거하지 않는 이상, 사용자는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의 형상을 볼 수 없다.
샤워실 등에 설치된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100)는 받침틀(120)이 배수틀(110)의 상방을 덮고 있는 구조인바, 배수관(10)에서부터 역류하는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돼야 할 것이다.
배수관: 10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100
배수틀: 110
배수공간: 112
배수구멍: 114
제 1바닥면: 116
가장자리벽면: 118
배수홈: 119
받침틀: 120
제 2바닥면: 126
받침벽면: 128
배수트랩: 130
배수거름망: 132
이격부재: 140
보강돌기: 142
나사구멍: 142-1
돌출나사: 144
암나사: 146
숫나사: 148
나사부: 148-1
헤드부: 148-2
방지부재: 150
방지핀: 152
돌출나사: 153
홈돌기: 154
나사구멍: 154-1
삽입홈: 154-2
암나사: 156
숫나사: 158
나사부: 158-1
헤드부: 158-2
덮개타일: 160

Claims (7)

  1.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내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배수공간과 상기 배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하방으로 배수될 수 있는 배수구멍을 가지는 배수틀;
    상기 배수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상기 배수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덮개타일을 받치는 받침틀;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상기 배수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구멍으로 배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배수트랩;
    상기 배수트랩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트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거름망; 및
    상기 배수틀에 대하여 상기 받침틀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 및
    상기 배수틀의 바닥면(이하 '제 1바닥면'이라 함)과 상기 받침틀의 바닥면(이하 '제 2바닥면'이라 함) 사이를 이격시켜서 상기 배수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배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구멍으로 배수될 수 있게 하는 이격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틀은 상기 배수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도출된 가장자리벽면을 가지고,
    상기 받침틀은 덮개타일을 받치기 위해 상기 제 2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벽면을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벽면의 상단 높이보다 상기 받침벽면의 상단 높이가 더 높고,
    상기 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가장자리벽면과 상기 받침벽면 간은 서로 이격되며, 이격된 틈새를 통해 상기 배수틀 내부의 상기 배수공간으로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상기 배수틀의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며,
    상기 이격부재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바닥면과 고정되게 결합된 돌출나사들; 및
    상기 돌출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틀이 상기 배수틀과 결합되면 상기 제 1바닥면과 상접하여 상기 받침틀을 지지하는 보강돌기들;로 이루어지는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틀은,
    상기 배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구멍으로 원활하게 배 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틀의 상기 제 1바닥면에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는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받침틀의 상기 제 2바닥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암나사들;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끝단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된 숫나사들; 및
    상기 숫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단차가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틀이 상기 배수틀과 결합되면, 상기 제 1바닥면과 상접하여 상기 받침틀을 지지하는 보강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숫나사는 상기 나사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암나사와 결합되며, 상기 숫나사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나사구멍의 단차부와 결합되어 상기 보강돌기의 탈리를 방지하는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1바닥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방지핀들;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바닥면과 고정되게 결합된 돌출나사들; 및
    상기 돌출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지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가지는 홈돌기들;을 포함하는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1바닥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방지핀들;
    상기 받침틀의 상기 제 2바닥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암나사들;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끝단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되는 숫나사; 및
    상기 숫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단차가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지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한 홈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숫나사는 상기 나사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나사와 결합하며, 상기 숫나사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나사구멍의 단차부와 결합하여 상기 홈돌기의 탈리를 방지하는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KR1020210086389A 2021-07-01 2021-07-01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KR102663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89A KR102663627B1 (ko) 2021-07-01 2021-07-01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89A KR102663627B1 (ko) 2021-07-01 2021-07-01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44A KR20230005544A (ko) 2023-01-10
KR102663627B1 true KR102663627B1 (ko) 2024-05-08

Family

ID=8489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389A KR102663627B1 (ko) 2021-07-01 2021-07-01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6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73Y1 (ko) * 2009-05-11 2011-12-08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배수트랩
KR200488384Y1 (ko) * 2018-12-14 2019-01-22 고태희 배수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44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0023188A3 (cs) Podlahový odvodňovací kanálek a stavební konstrukce
KR200189530Y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102663627B1 (ko)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KR100887004B1 (ko) 배수트랩
KR200457073Y1 (ko) 배수트랩
JP2006328772A (ja) 浴室ユニット
KR20120055176A (ko) 배수트랩을 일체로 성형한 욕실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JP5769400B2 (ja) 浴室出入口用建具のスロープ部材の固定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浴室
KR200181388Y1 (ko) 배수트랩
KR101607430B1 (ko) 트랜치가 구비된 배수트랩
KR20090093200A (ko) 은폐형 배수트랩
KR20210047737A (ko)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
NL1025765C2 (nl) Goot met stankafsluiter.
JP2009287175A (ja) 洗い場パン
KR101148237B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101896456B1 (ko) 리모델링용 배수커버
KR102332765B1 (ko) 배수장치
JPH0638940Y2 (ja) トイレ用床パン
KR200352198Y1 (ko) 트랜치형 배수구조
KR100433949B1 (ko) 청결 세면대
JPH0716781Y2 (ja) 浴室用排水器
NO20210044A1 (en) Grating for a floor drain
JPH0220299Y2 (ko)
JPH0743223Y2 (ja) 浴室用排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