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004B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004B1
KR100887004B1 KR1020070071553A KR20070071553A KR100887004B1 KR 100887004 B1 KR100887004 B1 KR 100887004B1 KR 1020070071553 A KR1020070071553 A KR 1020070071553A KR 20070071553 A KR20070071553 A KR 20070071553A KR 100887004 B1 KR100887004 B1 KR 100887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pipe
discharge
sewage
drai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537A (ko
Inventor
이준기
Original Assignee
이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기 filed Critical 이준기
Priority to KR102007007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0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관내에 장착되며, 관상으로 형성된 트랩관부; 트랩관부의 단부로부터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에 경사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적어도 한 쌍의 절개선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오수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절개선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트랩관부와 배출관부가 일체로 사출성형됨에 따라, 기존의 배수트랩에서 다수의 요소들을 조립함에 따라 발생하는 시간적 인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녹이 슬 염려가 없다. 또한, 장착부재를 집수관의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트랩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배수트랩, 트랩관부, 배출관부, 내관, 외관, 걸림턱, 연장부, 배출부, 절개선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S}
본 발명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은 세면기, 변기 등의 하수관에 설치되며, 모양과 기능에 따라 P트랩, S트랩, U트랩, 벨트랩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배수트랩은, 각종 생활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할 때, 일정량의 오수를 수용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욕실, 베란다, 세탁실 등의 바닥은, 이러한 배수트랩을 설치할 만한 여유공간을 갖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욕실, 베란다, 세탁실 등의 바닥에는 하수관의 입구에 악취방지를 위한 집수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집수부재에는, 하수관의 입구 둘레를 따라 오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수는 수용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다음 하수관을 따라 배수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집수부재의 경우, 오수가 수용부를 거침에 따라, 오수가 배수 되는 속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용부에 저장된 오수가 하수관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전히 악취가 역류 되며, 일정 시간 이상 경과 하면 수용부에 저장된 오수가 부패하여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용도 및 위치에 따라 하수관의 직경이 상이하므로, 집수부재의 크기도 하수관의 직경에 맞추어 제작되어야 한다. 즉, 다양한 사이즈의 집수부재를 제작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욕실, 베란다, 세탁실 등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 배수트랩을 개발함으로써,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의 범용성을 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범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수관내에 장착되며, 관상으로 형성된 트랩관부; 상기 트랩관부의 단부로부터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에 경사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적어도 한 쌍의 절개선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오수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절개선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에 의해 달성된다.
트랩관부는, 하수관의 내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외관과, 외관의 내측에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내관과, 내관과 외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외관 및 내관의 상부면보다 소정 함몰되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외관의 외주면에는 외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부는, 트랩관부의 내관과 외관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배출관부를 트랩관부에 고정하는 결합부와, 트랩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 연장된 연장부와,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절개선이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에는 절개선이 배출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 절개선의 단부는 한점에서 만날 수 있다.
연장부는 절개선에 대응되는 영역이 결합부의 인접영역으로부터 배출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는 연장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절개선의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랩관부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부는 탄성을 갖는 고무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트랩관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트랩관부와 배출관부를 하수관에 장착시키기 위한 원판상의 장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의 중앙영역에는 트랩관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는 탄성을 갖는 고무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는 재단을 할 수 있는 재단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배수트랩은, 트랩관부와 배출관부가 일체로 사출성형됨에 따라, 기존의 배수트랩에서 다수의 요소들을 조립함에 따라 발생하는 시간적 인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녹이 슬 염려가 없다. 또한, 장착부재를 집수관의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트랩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도 1의 배수트랩의 상면도, 및 도 4는 도 1의 배수트랩의 단면도 이다.
본 배수트랩(1)은, 하수관내에 장착되며, 관상으로 형성된 트랩관부(10)와, 오수의 배출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20)를 포함한다.
트랩관부(10)는 하수관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배출관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외관(11), 내관(13), 연결부(15)를 포함한다.
트랩관부(10)의 외관(11)은 하수관의 내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관(11)의 상부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8)이 외관(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내관(13)은 외관(11)과 소정 간격을 두고 외관(11)의 내측에 배치되며, 내관(13)과 외관(11)은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외관(11)과 내관(13)의 사이에는 외관(11)과 내관(13)을 연결하는 연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5)는 외관(11)과 내관(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 연결부(15) 사이에는 공간(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15)는 외관(11)과 내관(13)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외관(11)과 내관(13) 사이의 상부영역에는 원형 테두리 형상의 홈(17)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15)의 개수나 위치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5)의 개수가 후술할 트랩관부(10)의 절개선(35)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15)는 절개선(35)과 절개선(35) 사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트랩관부(10)는 배출관부(20)를 지지할 만한 지지력을 보유하기 위해,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된다.
배출관부(20)는, 오수를 집수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배출관부(20)는 결합부(25), 연장부(30), 배출부(31)를 포함한다.
결합부(25)는, 트랩관부(10)와 일체로 결합되며, 내관(13)과 외관(11) 사이의 공간(19)과 홈(17)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배출관부(20)는 트랩관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성형이 완료된 트랩관부(10)를 배출관부(20)의 사출성형기에 삽입하고, 배출관부(20)의 원료를 사출성형기에 투입함으로써, 트랩관부(10)와 배출관부(2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결합부(25)는 트랩관부(10)내에 형성되고, 배출관부(20)는 트랩관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25)는 내관(13)과 외관(11) 사이의 공간(19)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22)과, 내관(13)과 외관(11) 상부의 홈(17)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테두리 형상의 링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관(13)과 외관(11) 사이의 공간(19)이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됨에 따라, 결합편(22)은 절개선(35)과 절개선(35) 사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연장부(30)는 결합부(25)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 연장되며, 배출부(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부(30)의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은, 결합부(25) 영역으로부터 배출부(31) 영역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며, 두께가 두꺼워지는 폭도 결합부(25)로부터 배출부(31)로 갈수록 넓어진다. 즉, 연장부(30)의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은 삼각형상으로 두께와 폭이 확장되어 연장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30)는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이 돌출되므로, 둘레방향을 따라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 절개선(35)에 대응되는 부분의 두께와 폭이 증가되므로, 절개선(35)이 4개로 형성되어 있다면, 연장부(30)는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고, 절개선(35)이 3개로 형성되어 있다면 연장부(30)는 단면이 삼각형상이 된다.
이러한 연장부(30)의 하부에 결합된 배출부(31)는, 연장부(30)와 동일하거나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출부(31)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선(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절개선(35)은 배출부(31)의 상부영역으로부터 하부영역까지 길게 형성되며, 각 절개선(35)은 배출부(31)의 하단부의 한점에서 만나게 된다. 이러한 각 절개선(35)은 오수의 유입시 상호 이격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한다.
배출부(31)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각 절개선(35)이 형성된 영역은 배출부(31)의 타 영역보다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절개선(35)이 형성된 영역도 배출부(31)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부(31)는 각 절개선(35)이 형성된 영역이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각 절개선(35)이 형성된 영역이 외부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다각 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절개 선(35)을 형성함에 따라 배출부(31)의 형태가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나, 절개선(35)의 개수는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절개선(35)의 개수에 따라 배출부(31)의 형태가 결정된다.
한편, 절개선(35)의 길이는 오수의 양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배출부(31)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오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한번에 많은 양의 오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개선(35)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오수의 양이 작을 경우에는 절개선(35)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31)의 탄성력이 클 경우에는 오수의 압력에 견디는 힘이 커지므로, 절개선(35)의 길이를 길게 하여 오수의 유입시 절개선(35)이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출부(31)는 하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기 때문에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의 무게에 따라 절개선(35)이 벌어지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오수가 소량 유입되면, 도 6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오수에 의해 배출부(31)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절개선(35)이 벌어지는 폭이 작고, 오수가 다량 유입되면,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오수에 의해 배출부(31)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절개선(35)이 벌어지는 폭이 넓다. 이와 같이, 절개선(35)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는 오수의 양에 따라 그 개방되는 폭이 결정된다.
한편, 연장부(30)와 배출부(31)에서 절개선(35)에 대응되는 영역은 타 영역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오수가 배출된 다음 배출부(31)의 탄성력에 의 해 배출구가 폐쇄될 때, 배출부(31)에 부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여 배출구의 폐쇄가 원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배수트랩(1)은, 트랩관부(10)와 배출관부(20)가 일체로 사출성형됨에 따라, 기존의 배수트랩(1)에서 다수의 요소들을 조립함에 따라 발생하는 시간적 인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배수트랩(1)은 플라스틱 수지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제작됨에 따라, 기존에 배수트랩(1)을 폐쇄하기 위해 금속성의 와이어나 편 등을 사용할 경우, 녹이 슬어 탄성력을 잃게 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하수관에 장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수트랩을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장착부재(40)는, 하수관에 배수트랩(1)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며,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재(40)의 중앙영역에는 트랩관부(10)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45)이 형성되며, 관통공(45)의 연부는 트랩관부(10)의 걸림턱(18)의 하부에 결합되어 장착부재(40)가 배수트랩(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하수관의 입구에는 욕실이나 베란다의 오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재(50)가 결합된다. 집수부재(50)의 연부에는 집수부재 덮개와의 결합을 위한 사각 형상의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고, 집수부재(50)의 중앙영역에는 하수관과 결합되는 집수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집수부재(50)에는 테두리로부터 집수관(60)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51)과, 경사면(51)과 집수관(60)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된 안착턱(5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착턱(55)에는 장착부재(40)가 안착되며, 안착턱(55)과 장착부재(40)는 접착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장착부재(40)의 폭은 안착턱(55)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집수관(60)의 안착턱(55)은, 설치장소나 목적에 따라 그 폭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부재(40)의 직경을 너무 좁게 형성하면, 집수관(60)의 안착턱(55)보다 너무 작아서 설치가 불안정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장착부재(40)의 직경을 너무 넓게 형성하면, 집수관(60)의 안착턱(55)보다 너무 커서 장착부재(40)가 경사면까지 연장되므로, 배수트랩(1)을 고정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착부재(4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제작되며, 안착턱(55)의 폭에 따라 장착부재(40)를 잘라낼 수 있도록 한다. 즉, 배수트랩(1)의 설치자는 안착턱(55)의 폭에 맞도록 가위 등을 이용하여, 도 5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장착부재(40)를 재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턱(55)의 폭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장착부재(40)를 이용하여 배수트랩(1)을 하수관에 장착할 수 있다. 안착턱(55)의 모양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일 수 있는데, 본원 발명에 따른 장착부재(40)는 안착턱(55)의 모양의 종류나 직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장착부재(4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착부재(40)는 안착턱(55)의 폭에 따라서 가위 등을 이용하여 재단할 수 있는 재단선(47)을 포함한다. 재단선(47)을 따라서 배수트랩(1)의 설치자는 가위 등을 이용 하여 용이하게 재단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재(40)를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집수관(60)의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수관(60)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장착부재(40)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수트랩(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이즈의 장착부재(40)를 제작하기 위한 사출성형기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수트랩의 상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하수관에 장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수트랩을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장착부재(4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Claims (14)

  1. 하수관내에 장착되며, 관상으로 형성된 트랩관부; 및
    상기 트랩관부의 단부로부터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에 경사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적어도 한 쌍의 절개선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오수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절개선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랩관부는, 상기 하수관의 내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측에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과 외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관 및 내관의 상부면보다 소정 함몰되어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는,
    상기 트랩관부의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부를 상기 트랩관부에 고정하는 결합부와,
    상기 트랩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절개선이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절개선이 상기 배출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절개선의 단부는 한점에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장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절개선의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부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부는 탄성을 갖는 고무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트랩관부와 상기 배출관부를 하수관에 장착시키기 위한 원판상의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트랩관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탄성을 갖는 고무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재단을 할 수 있는 재단선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1020070071553A 2007-07-18 2007-07-18 배수트랩 KR100887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553A KR100887004B1 (ko) 2007-07-18 2007-07-18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553A KR100887004B1 (ko) 2007-07-18 2007-07-18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537A KR20090008537A (ko) 2009-01-22
KR100887004B1 true KR100887004B1 (ko) 2009-03-04

Family

ID=4048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553A KR100887004B1 (ko) 2007-07-18 2007-07-18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16B1 (ko) 2011-08-01 2012-05-08 이영춘 트랩
KR102628225B1 (ko) * 2023-06-26 2024-01-23 (주)세이프코리아 내화용 팽창테이프가 구비된 팽창 배수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50Y1 (ko) *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KR200446680Y1 (ko) * 2009-05-08 2009-11-20 이진기 냄새역류방지를 위한 배수관 연결장치
CN104791923B (zh) * 2015-04-21 2017-11-21 国家电网公司 一种机房精密空调辅助散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063U (ko) * 1979-07-24 1981-02-24
KR19990041355U (ko) * 1998-05-18 1999-12-15 황차진 세면기 및 씽크대용 배수트랙구조
KR200289231Y1 (ko) * 2002-06-24 2002-09-16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배수트랩
KR20030031056A (ko) * 2003-03-20 2003-04-18 전호정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고정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063U (ko) * 1979-07-24 1981-02-24
KR19990041355U (ko) * 1998-05-18 1999-12-15 황차진 세면기 및 씽크대용 배수트랙구조
KR200289231Y1 (ko) * 2002-06-24 2002-09-16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배수트랩
KR20030031056A (ko) * 2003-03-20 2003-04-18 전호정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고정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16B1 (ko) 2011-08-01 2012-05-08 이영춘 트랩
KR102628225B1 (ko) * 2023-06-26 2024-01-23 (주)세이프코리아 내화용 팽창테이프가 구비된 팽창 배수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537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1387A1 (en) Shower drain cover
KR100887004B1 (ko) 배수트랩
KR100938733B1 (ko) 배수트랩
GB2475413A (en) Clogging resistant drain
KR200189530Y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487178Y1 (ko) 하수구 악취차단기구
KR200451193Y1 (ko) 배수트랩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1690457B1 (ko) 배수 트랩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20160004362U (ko) 악취차단 배수트랩
KR102070905B1 (ko) 배수트랩
KR101176896B1 (ko) 타원형상의 힌지구조를 갖는 배수구 악취 차단용 마개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KR100886962B1 (ko) 트랩 및 상기 트랩이 구비되는 트렌치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101263603B1 (ko) 사출 배수 트랜치의 하수관 연결장치
KR200305366Y1 (ko) 배수 트랩
KR101607430B1 (ko) 트랜치가 구비된 배수트랩
KR200311398Y1 (ko) 일체형 배수트랩
KR102133230B1 (ko) 초절수 양변기
KR200468349Y1 (ko) 냄새가 풍기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유닛
KR100878507B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JP4795786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