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403B1 -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403B1
KR101569403B1 KR1020150055601A KR20150055601A KR101569403B1 KR 101569403 B1 KR101569403 B1 KR 101569403B1 KR 1020150055601 A KR1020150055601 A KR 1020150055601A KR 20150055601 A KR20150055601 A KR 20150055601A KR 101569403 B1 KR101569403 B1 KR 10156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anulating
piping
hole
slee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춘
황혜자
Original Assignee
황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자 filed Critical 황혜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403B1/ko
Priority to PCT/KR2016/0007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221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관통홀로 관통되는 상부 입상배관 또는 하부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발포내화충진제와 접촉하는 상부 입상배관 또는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관통홀의 내측으로 관통홀로 끼워지는 하부 입상배관 또는 상부 입상배관의 하단부를 상방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 플랜지부; 및 세대분기용 부품과 결합되고, 상부 입상배관 또는 하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 입상배관 또는 하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되고,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포켓몸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틈새 없이 슬리브몸체와 배관이 일체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흔들림 또는 슬립을 방지하여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재 시 확실한 방화구획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몸체와 배관 연결장치를 통하여 당해층 배관작업이 가능하고,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 클램프 설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성 향상은 물론 부품수를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Vertical pipe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use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배관 연결 시 발생되는 설치 오차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재작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타입별 세대배관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규격화 및 모듈화가 가능한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목적 빌딩 및 공동주택의 오,배수 입상배관은 파이프 샤프트(Pipe shaft, P/S) 또는 파이프 덕트(Pipe duct, P/D)라고 하는 욕실 벽면 , 씽크대 벽면, 세탁실벽면 뒤의 공간에 배치되어 각 세대의 슬랩 콘크리트를 수직관통하면서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오,배수를 통합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있으며, 이때, 상기한 다층 건물에 입상배관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층간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된 장착홀에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입상배관 연결장치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한 입상배관 연결장치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369호에는 관통 슬리브의 하단에 인접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내화 충진제가 충진되는 비닐팩이 삽입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된 리브에 의하여 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이루고, 관통 슬리브의 하단에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는, 현장 배관 설치 시 시공 오차(배관 편차)가 발생할 경우 배관 절단 등 일련의 작업을 다시 실시해야하는 재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닐, 배관의 각 타입별 적용되는 배관 연결장치도 다양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369호
본 발명은, 현장에서 배관 연결 시 발생되는 시공 오차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재작업으로 인한 작업의 불편함 및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타입의 세대배관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규격화 및 모듈화가 가능하여 작업성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로 관통되는 상부 입상배관 또는 하부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발포내화충진제와 접촉하는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상기 관통홀로 끼워지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하단부를 상방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관통 연결되고 개방된 상기 슬리브몸체의 일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 및 세대분기용 부품과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상기 상부 입상배관과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삽입되는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포켓몸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입상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현장에서 배관 연결 시 발생되는 시공 오차(배관 편차)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재작업으로 인한 작업의 불편함 및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다양한 타입의 세대배관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규격화 및 모듈화가 가능하여 작업성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셋째, 슬리브몸체에 입상배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서, 틈새 없이 슬리브몸체와 배관이 일체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흔들림 또는 슬립을 방지하여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재 시 슬리브 몸체와 오배수 입상배관이 밀착 삽입 배관되는 구조로서 슬리브몸체와 입상배관 사이의 틈새 없이 밀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확실한 방화구획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배관과 슬리브몸체 사이에 틈새가 없는 구조로서 층간 소음이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발포내화충진제가 용이하게 수용 및 충진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플랜지부를 통하여 발포내화충진제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발포내화충진제가 화염에 의하여 발포되었을 경우 배관 내부로 집중적으로 발포될 수 있도록 하여 층간 방화구획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화염,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플랜지부가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특히 하측으로 플랜지부가 설치된 경우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플랜지부를 통하여 발포내화충진제로 그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PVC소재의 입상배관 전소 전 발포내화충진제를 가열 발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덟째, 슬리브몸체 외부측 주변으로 흡음부재가 결합되어 단열효과는 물론 입상배관에서 발생된 소음이 바닥 슬래브 콘크리트를 통해 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홉째, 층고 및 세대 오, 배수 배관간 사이의 결합 편차(시공오차)를 수용하는 배관 연결장치를 통하여, 세대별 층고 및 세대 오, 배수 배관 위치를 측정한 뒤 현장에서 입상배관 및 세대 오,배수 PVC파이프를 절단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배관길이에 맞추어 대량제작 발주 생산 후 납품받아 이를 현장에서 층고 및 화장실 기구 간 배관 결합부 사이의 PVC파이프 배관 칫수에 맞추어 세대별 입상 및 세대화장실의 배관 결합부간 사이의 오차 길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공사비용 절감은 물론 보수필요 시 절단 분리 없이 세대별로 입상배관의 부분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열번째, 배관 연결장치를 통하여 당해층 및 세대 회장실 오, 배수 PVC결합 배관에서 현장 도면의 시공 칫수 보다 여유 허용오차의 맞추어 납품받아 현장에서 단순 조립배관작업이 가능하다.
열한번째, 상기 슬리브몸체와 상기 배관 연결장치를 통하여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 클램프 설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성 향상은 물론 배관 간 배관편차를 수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두번째, 슬라이드 포켓부가 형성된 배관 연결장치를 통하여, 세대 오배수관 배관 연결 시 별도의 PVC파이프 절단 없이 도면에 의하여 제작 납품된 PVC파이프를 기구 간 배관 오차 길이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조절하여 배관을 결합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입상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아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상배관 연결장치에서 슬리브몸체와 플랜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랜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슬리브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입상배관 연결장치에서 배관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관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입상배관 연결장치에서 배관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관 연결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배관 연결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입상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는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구에 관통 설치되는 배관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리브몸체(100)와, 플랜지부(200)와, 배관 연결장치(3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바닥 슬래브(Slab;1)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로 각각 입상배관(1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101)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부 단부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며 하부 내주측면으로 하부 입상배관(12)이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110)는 하부 입상배관(12)이 삽입되도록 끼움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부 내주측면으로 상부 입상배관(11)이 상부에서 내측으로 상기 관통홀(101)로 끼워지고 이때 상기 상부 입상배관(11)의 하단부를 상방 지지하는 걸림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10)와 상기 걸림부(120)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10)의 저면이 상기 걸림부(12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기 하층의 입상배관, 당해층으로 봤을때 상부 입상배관(11)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되어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하측으로 발포내화충진제(400)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은 삽입되는 하부 입상배관(12)과 바로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를 넣을 경우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와 상기 하부 입상배관(12)이 틈새가 없이 밀착되게 되어 있다. 때문에, 발화 시 발포내화충진제(400)가 하부 입상배관(12) 내부로 쉽게 발포 침투되어 확실하게 방화구획을 형성하여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는, 제조 공장에서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발포제 수용공간(130)에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삽입 설치 후 관통구(201)가 형성된 플랜지몸체(210)가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미리 완성품으로 조립 체결하여 제작 점검된 후 이를 설치하는 건설현장에 납품되도록 하여, 현장에서는 발포내화충진제(400)를 별도로 설치 할 필요 없이 슬리브 시공으로 방화구획을 위한 발포내화충진제(400) 설치가 완료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한 발포내화충진제(400) 삽입과 같은 내화충전공사를 현장에서 소방설비 비전문가가 무단으로 설치 시공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는 배관 시공을 중점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은 물론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움부(110)와 걸림부(120)를 통하여 상부와 하부 각각으로 상부 입상배관(11)과 하부 끼움배관을 결합하기 때문에, 입상배관결합과 함께 층간배관이 고정되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으며, 상부 입상배관(11)과 하부 입상배관(12)과의 슬립 등이 방지되도록 구조적인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부 입상배관(11)과 하부 입상배관(12)의 삽입고정 후 입상배관(10)과 슬리브몸체(100) 사이에 틈새가 없는 결합 구조로서 확실한 방화구획 확보는 물론 악취와 소음이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을 통하여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제조 공장에서 완성품으로 조립 납품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별도로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설치 시공 할 필요가 없어 공정의 단순화와 일률적인 시공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기 끼움부(110)가 하부 끼움배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입상배관(11)이 걸림부(120)에 지지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배관과의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상기 끼움부(110)와 상기 걸림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부(200)는, 링 형상으로 상부 입상배관(11)이 관통 연결되고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의 일측에서 상기 슬리브몸체(100)와 결합하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을 패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플랜지부(200)는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가 화염에 의하여 발포되었을 때 배관 내로만 효과적으로 발포될 수 있도록 하여 층간 구획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하측으로 플랜지부(200)를 설치한 경우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플랜지부(200)를 통하여 발포내화충진제(400)로 그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 가열하여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의 발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랜지몸체(210)는, 상기 체결수단(220)이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홀(211)과,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가 주입될 수 있는 발포제 주입구(212)가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 주입구(2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주입할 수도 있지만, 충진 된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는, 화재가 발생하면 발포하여 상기 배관 내부를 패쇄하여 화염이 배관을 타고 굴뚝효과 현상으로 상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팩 내부에 발포성 내화충진제가 충진 된 발포스트립를 적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플랜지부(200)에 형성된 발포제 주입구(212)를 통하여 주입되는 발포성 내화충진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외측면에 흡음부재(5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흡음부재(5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장착구로 장착되는 상부 입상배관(11)과 하부 끼움배관의 외주면을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와 상기 흡음부재(500)가 모두 틈새 없이 바닥 슬래브(1)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립되고 에워싸도록 되어 악취의 역류 확산 및 소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5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 외주변으로 결합되어 단열효과는 물론 입상배관(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바닥슬래브(1) 콘크리트 구조체를 통해 세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공지의 건축 시공에 이용되는 난연성흡음재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흡음부재(500)는 장착구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의 직경(폭)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는 틈새 없는 슬리브 시공방식으로 슬리브몸체(100)와 상부 끼움배관 및 하부 끼움배관이 일체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악취와 소음의 역류 및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와 인접하게 상기 입상배관(10)의 외주면에 처짐방지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 클램프는 사용 중 상기 입상배관(10)의 처짐으로 인한 누수발생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처짐방지 클램프는 공지의 일측이 개방된 클램프(플랜지)와 조임나사 및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나아가, 상기 처짐방지 클램프는 상기 플랜지부(2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플랜지부(200)와 처짐방지 클램프를 각각 따로 작업할 필요 없이 동시에 작업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처짐방지 클램프와 상기 플랜지부(200)는, 각각 일측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입상배관(10)을 관통 삽입하여 끼우는 대신,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절개부를 개방한 후 상기 입상배관(10)의 측면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의 입상배관 연결장치(700)와는 달리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가 상기 슬리브몸체(100b)의 상측 내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흡음부재(500)가 상기 슬리브몸체(100b)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결합된 경우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는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와 상기 흡음부재(500)의 위치 등을 제외한 상기 슬리브몸체(100b)와, 상기 플랜지부(200)의 구성이 도 1의 입상배관 연결장치(700)의 구성들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미설명부호 110b, 120b는 각각 끼움부와 걸림부를 나타낸다.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개방된 관통홀(101)로 덮개(6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덮개(6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상부 관통홀(101)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상부를 패쇄하여 보호하며, 입상배관(10) 시공 시 배관작업을 실시하기 전 상기 관통홀(101)을 패쇄하여 작업 중 안전사고나 건축 부산물 등의 빠짐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6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플랜지와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관통홀(101)의 내주측면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110)가 형성된 상기 덮개(600)의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른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는, 오배수 접속기(20)가 연결되는 오배수 입상배관을 연결하는 시공 중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한 오배수 입상배관을 비롯한 상수도 배관 및 전기 PVC소재의 파이프 등 다양한 입상배관의 연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는, 입상배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견고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입상배관 관통슬리브 사이에 틈새가 없이 배관 설치되는 구조로서, 특히 오,배수 입상배관을 설치할 시 세대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관을 별도의 고정기구로 고정하지 않고 배관 설치와 함께 배관이 고정되는 슬리브 구조이며, 층에서 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이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는, 입상 세대분기용 부품(20,40,50)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입상배관(10)이 삽입되되, 상기 입상배관(1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입상배관(10)의 길이가 조절되게 하고, 상기 입상배관(1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입상배관(10)과 체결되어 상기 입상배관(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입상 세대분기용 부품(20,40,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오배수 입상배관과 연결되는 섹스티아 오배수 접속기(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T관, YT관을 포함하는 다양한 연결관 등 다양한 세대분기용 부품(20,40,50)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상 세대분기용 부품(20,40,50)을 기준으로 하부 입상배관(12)과 연결되는 하측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부 입상배관(11)과 연결되도록 상측에만 위치하거나,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입상배관(11)과 하부 입상배관(12) 모두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는 경우에 따라 상기 슬리브몸체(10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배관 연결장치(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는, 포켓몸체(310)와, 체결소켓(320)과, 압착오링(330)을 포함한다. 상기 포켓몸체(310)는, 상기 입상 세대분기용 부품(20,40,50)과 일체로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상기 입상배관(10)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31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상배관(10)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켓몸체(310)는 상기 입상배관(10)과 연결되는 일측 및 타측 외주면에 제1체결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312)는 상기 입상배관(10)이 설정된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이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체결소켓(320)은, 상기 입상배관(10)이 관통되게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체결부(313)와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313)와 상기 제2체결부(321)는 각각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성이 좋도록 체결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체결되는 구조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압착오링(330)은, 상기 포켓몸체(310)와 상기 체결소켓(320)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압착오링(330)은, 상기 포켓몸체(310)의 내주 상단부에 형성된 안착홈(314)에 안착되고, 이에 상기 체결소켓(320)은, 상기 포켓몸체(310)와 체결 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오링(33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압착돌기(3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착오링(330)은 공지의 고무재질의 오링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c,300d,300e)는 상기한 입상배관(10)의 배관작업 뿐만 아니라 세대 오, 배수 화장실 배관(30,31)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c,300d,300e)는 L관(50) 및 YT관(40)과 일체로 결합되어 세대배관(30,31)과 연결되는 시공편차(t)를 수용하는 포켓몸체(310c,310d)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켓몸체(310c,310d) 복수개를 서로 직렬로 연결하여 각 세대배관(30,31)과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세대화장실 오,배수 배관 및 씽크, 세탁실 배수배관(30,31)에 사용되는 PVC파이프를 도면화 하고 도면에 각 결합부 PVC파이프 길이를 명기하여, 일괄적으로 제조공장에서 수용편차를 수용하는 칫수로 제작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 및 체결하면서 배관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포켓부(312c,312d)를 통하여 각 배관 연결부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기구 간 배관의 간격의 편차를 수용하여 센터조정과 같은 작업 시 배관을 절단하는 작업 등을 거치지 않고 바로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20c, 320d는 체결소켓을 나타낸다.
즉, 상기한 배관 연결장치(300c,300d,300e) 각 기구 간 배관의 수용편차를 수용하도록 제조공장에서 일괄적으로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타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 및 모듈화가 가능하여 제조비용 및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단순화로 인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를 이용한 입상배관(10)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의 각 구성에 대한 내용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슬리브몸체(100)의 발포제 수용공간(130)에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삽입 설치 후 관통구(201)가 형성된 플랜지몸체(210)와, 상기 플랜지몸체(210)와 상기 슬리브몸체(100)를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제조 공장에서 완성품으로 조립 체결된 슬리브를 건설현장에 납품 받는다.
현장에서는, 상기 입상배관(10)을 설치함에 앞서,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바닥 슬래브(1)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각 층의 상기 바닥 슬래브(1)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슬리브몸체(1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외주측면으로는 상기 흡음부재(500)를 미리 결합한다.
상기한 슬리브몸체(100)를 설치한 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바닥 슬래브(1)를 형성하면서, 제조 공장에서 발포내화충진제(400)가 삽입되어 조립 된 상기 슬리브몸체(100)를 상기 바닥슬래브(1)에 고정시키는 콘크리트양생단계를 거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슬래브(1)에 슬리브몸체(100)를 고정설치 한 후에는 입상배관(10)을 설치하는 배관작업을 실시한다.
상기한 배관작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상기 배관 작업은 당해층에서 작업자 한명으로도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먼저 상층 바닥슬래브(1)에 상부 입상배관(11)과 섹스티아 또는 YT관을 결합 삽입하고,
상기한 상부 입상배관(11)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상부 입상배관(11)의 노출단부에 배관 연결장치(300)와 이를 체결하기 위하여 압착오링과 체결소켓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연결하고, 세대화장실 오,배수배관과 씽크, 세탁실 배수 분기용 부품(20,40,50)과 결합된 배관 연결장치(300)와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와 결합된 하부 입상배관(12)을 준비하여, 배관 나머지 작업을 실시한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바닥 슬래브(1)의 덮개(600)를 개방한 다음,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와,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 입상배관(12)을 상기 상부 입상배관(11)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얼라인(Align) 시키고,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의 상측으로 상기 상부 입상배관(11)을 끼워 연결한다. 이때, 상기 하부 입상배관(12)은 배관 작업 전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312)에 최대한 삽입하여 상기 하부 입상배관(12)의 노출 길이가 짧도록 하여 배관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상부 입상배관(11)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의 상측의 체결소켓(320)을 이용하여 상부 입상배관(11)을 체결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후 하부 입상배관(12)의 연결 작업이 완료 된 후 체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다음, 하부 입상배관(12)을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하부 입상배관(12)의 하부를 상기 바닥슬래브(1)에 설치된 슬리브몸체(100)에 힘을 가하여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렇게 하부 입상배관(12)의 연결이 완료되면, 압착오링(330)이 삽입된 체결소켓(320)을 체결하여 하부 입상배관(12)을 체결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소켓(320)은 상부 입상배관(11)과 하부 입상배관(12)이 연결되면 상측과 하측 각각의 체결소켓(320)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체결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에 상부 입상배관(11)을 먼저 연결한 후 하부 입상배관(12)을 연결하는 시공방법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에 연결된 하부 입상배관(12)을 바닥 슬래브(1)의 슬리브몸체(100)에 먼저 삽입하여 결합한 후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의 상측 삽입구(311)로 상부 입상배관(11)을 삽입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입상배관910)의 슬라이드 유격을 보다 줄일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를 통하여 상기 상부 입상배관(11)과 하부 입상배관(12)이 연결되면 처짐방지 클램프를 상기 입상배관(10)에 연결하여 상기 입상배관(1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만약 상기 처짐방지 클램프가 상기 플랜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부(200)의 체결과 함께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입상배관 연결장치(700)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은, 입상배관(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입상배관(10)의 설치 여유길이를 가질 수 있는 상기 배관 연결장치(300)를 통하여, 기존의 배관작업 시 상층과 아래층에서 동시에 작업자가 배관을 잡으면서 배관작업을 하는 것과는 달리, 한 명의 작업자가 당해층에서 배관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을 단순화함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 시 배관의 절단 작업 등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소재의 낭비 및 작업시간 단축 등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입상배관 11... 상부 입상배관
12... 하부 입상배관 20,40,50... 세대분기용 부품
100,100b... 슬리브몸체 101... 관통홀
110,110b... 끼움부 120,120b... 걸림부
130... 발포제 수용공간 200.... 플랜지부
201... 관통구 210... 플랜지몸체
211... 체결홀 212... 발포제 주입구
220... 체결수단 300,300b,300c,300d,300e... 배관 연결장치
310,310b,310c,310d... 포켓몸체 311... 삽입구
312,312b.... 슬라이딩 포켓부 313... 제1체결부
314... 안착홈 320,320c,320d... 체결소켓
321... 제2체결부 322... 압착돌기
330... 압착오링 400... 발포내화충진제
500... 흡음부재 600... 덮개
700... 입상배관 연결장치

Claims (11)

  1.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로 관통되는 상부 입상배관 또는 하부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발포내화충진제와 접촉하는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상기 관통홀로 끼워지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하단부를 상방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관통 연결되고 개방된 상기 슬리브몸체의 일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 및
    세대분기용 부품과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상기 상부 입상배관과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삽입되는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포켓몸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입상배관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몸체는,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삽입되는 일측 및 타측 외주면에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관통되게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소켓을 더 포함하는 입상배관 연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켓몸체는, 상기 세대분기용 부품과 일체로 결합하는 입상배관 연결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은, 오배수 입상배관 또는 세대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세대분기용 부품은, 섹스티아 오배수 접속기 또는 T관 또는 Y관 또는 YT관 또는 U관 또는 L관을 포함하는 입상배관 연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포켓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이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체결소켓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인 입상배관 연결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켓몸체와 상기 체결소켓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압착오링를 더 포함하는 입상배관 연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켓몸체는,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내주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압착오링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포켓몸체와 체결 시 상기 압착오링를 가압하는 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된 입상배관 연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플랜지몸체와, 상기 플랜지몸체와 상기 슬리브몸체를 관통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입상배관 연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내화충진제는,
    팩 내부에 발포성 내화충진제가 충진 된 발포스트립인 입상배관 연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내화충진제는,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발포제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발포성 내화충진제인 입상배관 연결장치.
  11.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바닥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로 관통되는 상부 입상배관 또는 하부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된 발포제 수용공간에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고, 플랜지부가 결합되어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이 패쇄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포내화충진제와 접촉하는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상기 관통홀로 끼워지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하단부를 상방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바닥 슬래브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몸체를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콘크리트양생단계;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을 상기 끼움부 또는 상기 걸림부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세대분기용 부품과 결합된 포켓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기 상부 입상배관 또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입상배관과 하부 입상배관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걸림부 또는 끼움부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포켓몸체의 체결소켓을 통하여 상기 상부 입상배관과 상기 하부 입상배관을 고정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상배관 시공방법.
KR1020150055601A 2015-01-28 2015-04-21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KR10156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0723 WO2016122168A1 (ko) 2015-01-28 2016-01-22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458 2015-04-17
KR20150054458 2015-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403B1 true KR101569403B1 (ko) 2015-11-17

Family

ID=5478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01A KR101569403B1 (ko) 2015-01-28 2015-04-21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40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095B1 (ko) * 2016-09-27 2017-05-24 (주)피앤에프테크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101807987B1 (ko) 2017-01-20 2018-01-18 유현상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70215B1 (ko) 2020-12-14 2021-06-25 황혜자 층고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설치되는 입상 배관 조립체
KR20210001980U (ko) * 2020-02-25 2021-09-02 김정욱 입상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구
KR20210158576A (ko) * 2020-06-24 2021-12-31 전상집 입상배수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수관 시공방법
KR102388627B1 (ko) * 2020-11-30 2022-04-21 오병준 입상배수관과 바닥슬리브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2398398B1 (ko) * 2022-02-09 2022-05-18 (주) 대전통일 내화충전제 부착형 입상관 시공장치
KR102419266B1 (ko) * 2021-07-02 2022-07-12 오병준 입상배수관과 천장슬리브의 연결구 및 연결방법
KR102634933B1 (ko) * 2023-02-13 2024-02-08 주식회사 프로화이어 입상배관 연결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97B1 (ko) * 2013-11-13 2015-01-28 황혜자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97B1 (ko) * 2013-11-13 2015-01-28 황혜자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095B1 (ko) * 2016-09-27 2017-05-24 (주)피앤에프테크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101807987B1 (ko) 2017-01-20 2018-01-18 유현상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01980U (ko) * 2020-02-25 2021-09-02 김정욱 입상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구
KR200494819Y1 (ko) * 2020-02-25 2022-01-03 김정욱 입상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구
KR20210158576A (ko) * 2020-06-24 2021-12-31 전상집 입상배수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수관 시공방법
KR102393783B1 (ko) * 2020-06-24 2022-05-11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입상배수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수관 시공방법
KR102388627B1 (ko) * 2020-11-30 2022-04-21 오병준 입상배수관과 바닥슬리브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2270215B1 (ko) 2020-12-14 2021-06-25 황혜자 층고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설치되는 입상 배관 조립체
KR102419266B1 (ko) * 2021-07-02 2022-07-12 오병준 입상배수관과 천장슬리브의 연결구 및 연결방법
KR102398398B1 (ko) * 2022-02-09 2022-05-18 (주) 대전통일 내화충전제 부착형 입상관 시공장치
KR102634933B1 (ko) * 2023-02-13 2024-02-08 주식회사 프로화이어 입상배관 연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03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KR101809911B1 (ko) 공동주택 오배수 모듈화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1654682B1 (ko) 벽체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배관 시공방법
KR101951868B1 (ko) 배관 연결장치
KR101733095B1 (ko)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US20150225931A1 (en) Plumbing supply boxes
KR101637197B1 (ko)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US8689504B2 (en) Fire protection module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JP2015525837A (ja) 建築システム
KR20180000556U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20150032434A (ko)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KR101485797B1 (ko)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KR200483681Y1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FI12380U1 (fi) Läpivientikappale viemäriputken viemiseksi talon välipohjan läpi
KR101631626B1 (ko)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KR20080076267A (ko) 벽체 매립 상자
EP0483289B1 (en) Pipe duct structure
JP2012087866A (ja) 配管の支持固定構造
JP2006328664A (ja) 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0675B2 (ja) 排水システムの配管構造およびこの配管構造の施工方法
KR101521172B1 (ko) 공동주택의 배기덕트 고정구조
JP3181846U (ja) 埋込式火災延焼防止系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