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626B1 -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626B1
KR101631626B1 KR1020150086577A KR20150086577A KR101631626B1 KR 101631626 B1 KR101631626 B1 KR 101631626B1 KR 1020150086577 A KR1020150086577 A KR 1020150086577A KR 20150086577 A KR20150086577 A KR 20150086577A KR 101631626 B1 KR101631626 B1 KR 10163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eneration
piping
layer generation
slee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춘
황혜자
Original Assignee
황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자 filed Critical 황혜자
Priority to KR102015008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626B1/ko
Priority to PCT/KR2016/000723 priority patent/WO201612216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연통하도록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어, 장착구를 통하여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연통하는 세대배관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상부에 세대기구와 연결된 세대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하고, 하부에 세대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하며, 세대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어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된 슬리브몸체,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 및 세대배관이 삽입되되, 세대배관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세대배관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고, 세대배관과 체결되어 세대배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포켓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슬리브몸체에 세대배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서, 틈새 없이 슬리브몸체와 세대배관이 일체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흔들림 또는 슬립을 방지하여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재 시 슬리브 몸체와 세대배관이 밀착 삽입되는 구조로서 슬리브몸체와 세대배관 사이의 틈새 없이 밀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확실한 방화구획 역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Pipe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pipe use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연통하는 세대배관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연통하는 세대배관은,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구를 통하여 상기 상층 세대와 상기 하층 세대를 연통하는 세대배관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를 통하여 시공된다.
한편, 상기한 세대 배관 시공과 더불어, 다목적 빌딩 및 공동주택의 오,배수 입상배관의 시공방법은 오,배수 입상배관은 파이프 샤프트(Pipe shaft, P/S) 또는 파이프 덕트(Pipe duct, P/D)라고 하는 욕실 벽면 , 씽크대 벽면, 세탁실벽면 뒤의 공간에 배치되어 각 세대의 슬랩 콘크리트를 수직관통하면서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오,배수를 통합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있으며, 이때, 상기한 다층 건물에 입상배관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층간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된 장착홀에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입상배관 연결장치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한 입상배관 연결장치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369호에는 관통 슬리브의 하단에 인접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내화 충진제가 충진되는 비닐팩이 삽입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된 리브에 의하여 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이루고, 관통 슬리브의 하단에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이 단순히 관통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관통 삽입되는 배관이 흔들리거나 슬립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배관 사이에 틈새가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틈새로 층간 소음이나 악취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369호
본 발명은, 배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견고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관 관통슬리브 사이에 틈새가 없이 배관 설치되는 구조로서, 배관을 설치할 시 세대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관을 별도의 고정기구로 고정하지 않고 배관 설치와 함께 배관이 고정되는 슬리브 구조이며, 층에서 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이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연통하도록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구를 통하여 상기 상층 세대와 상기 하층 세대를 연통하는 세대배관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상부에 세대기구와 연결된 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하고, 하부에 상기 세대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하며, 상기 세대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어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된 슬리브몸체;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세대배관이 삽입되되, 상기 세대배관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세대배관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세대배관과 체결되어 상기 세대배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포켓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경계하는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상부에 세대기구와 연결된 세대배관이 끼움결합하기 위한 끼움부 또는 상기 세대배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부를 통하여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하고, 하부에 상기 상층 세대와 상기 하층 세대를 연통하는 세대배관이 끼움부 또는 걸림부를 통하여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하며, 상기 세대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된 발포제 수용공간에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고, 플랜지부가 결합되어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이 패쇄 된 슬리브몸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몸체를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콘크리트양생단계; 상기 세대배관이 삽입되며 상기 세대배관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세대배관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세대배관과 체결되어 상기 세대배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포켓연결부에 상기 세대배관을 삽입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대배관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걸림부 또는 상기 끼움부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세대배관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포켓연결부와 결합하는 체결소켓을 통하여 상기 세대배관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슬리브몸체에 세대배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서, 틈새 없이 슬리브몸체와 세대배관이 일체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흔들림 또는 슬립을 방지하여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화재 시 슬리브 몸체와 세대배관이 밀착 삽입되는 구조로서 슬리브몸체와 세대배관 사이의 틈새 없이 밀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확실한 방화구획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세대배관과 슬리브몸체 사이에 틈새가 없는 구조로서 층간 소음이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세대별 층고 측정 뒤 현장에서 세대배관을 절단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층고 편차(시공오차)를 수용하는 포켓연결부를 통하여 공장에서 세대배관길이에 맞추어 대량제작 발주 생산 후 납품받아 현장에서 층고에 맞추어 세대별 세대배관의 길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공사비용 절감은 물론 보수필요 시 절단 분리 없이 세대별로 세대배관의 부분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며, 포켓연결부를 통하여 당해층에서 배관작업이 가능하다.
넷째, 배관 연결장치를 통하여 당해층 및 세대 회장실 오, 배수 PVC결합 배관에서 현장 도면의 시공 칫수 보다 여유 허용오차의 맞추어 납품받아 현장에서 단순 조립배관작업이 가능하며, 규격화 및 모듈화가 가능하여 작업성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다섯째, 슬라이드 포켓부가 형성된 배관 연결장치를 통하여, 세대배관 연결 시 별도의 PVC파이프 절단 없이 도면에 의하여 제작 납품된 PVC파이프를 기구 간 배관 오차 길이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조절하여 세대배관을 결합 할 수 있다.
여섯째, 슬리브몸체 외부측 주변으로 흡음부재가 결합되어 단열효과는 물론 세대배관에서 발생된 소음이 바닥 슬래브 콘크리트를 통해 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슬리브몸체와 상기 포켓연결부를 통하여 세대배관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 클램프 설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성 향상은 물론 부품수를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덟째, 플랜지부가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특히 하측으로 플랜지부가 설치된 경우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플랜지부를 통하여 발포내화충진제로 그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PVC소재의 배관 전소 전 발포내화충진제를 가열 발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세대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연결장치에서 슬리브몸체와 플랜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랜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슬리브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포켓연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부분에 대한포켓연결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포켓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5의 포켓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 도 1의 배관 연결장치를 이용한 배관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700)는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연통하도록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Slab; 1)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구를 통하여 상기 상층 세대와 상기 하층 세대를 연통하는 상층 세대배관(12)과 하층 세대배관(11)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로서, 슬리브몸체(100)와, 플랜지부(200)와, 포켓연결부(300a,300b,300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층 세대배관(12)과 하층 세대배관(11)은 오배수 세대배관이고, 상기 세대기구는, 양변기(2), 세면기(3), 욕조(5), 씽크대(미도시) 및 욕실과 세탁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배수육가(4) 등이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13은 세대배관을 나타내며, 상기 상층 세대배관(12)과 하층 세대배관(11)은 상기한 오배수 세대배관뿐만 아니라 상수도 배관, 입상배관, 전기 PVC소재의 파이프 등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로 각각 상기 상층 세대배관(12)과 상기 하층 세대배관(11)이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101)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부에 세대기구와 연결되는 상층 세대배관(12)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하고, 하부에 하층 세대배관(11)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한다. 상세하게,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관통홀(101)의 중심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 형성된 부분의 상면 및 하면 중 일 면으로 상기 상층 세대배관(12)과 상기 하층 세대배관(11) 중 일 세대배관(12,11)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110)와, 상기 돌출 형성된 부분의 상면 및 하면 중 다른 면으로 상기 관통홀(101)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기 상층 세대배관(12)과 상기 하측 세대배관(11)중 다른 세대배관(11,12)의 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여기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후술되는 발포내화충진제(400)인 발포스트립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도면에서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하부 내주측면으로 하층 세대배관(11)이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내주측면으로 삽입되는 상층 세대배관(12)의 하단부를 상방 지지하는 걸림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끼움홈과 상기 걸림부의 상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10)와 상기 걸림부(120)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10)의 저면이 상기 걸림부(120)가 형성되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부 단부에 반경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며 당해층으로 봤을 때 상기 끼움부(110)에 끼워지는 상기 하층 세대배관(11)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하측으로 발포내화충진제(400)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1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은 후술되는 팩 내부에 발포성 내화충진제가 충진된 발포스트립이 수용되어, 상기 발포스트립이 상기 하층 세대배관(1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은 삽입되는 하층 세대배관(11)과 바로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를 넣을 경우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와 상기 하층 세대배관(11)이 틈새가 없이 밀착되게 되어 있다. 때문에, 발화 시 발포내화충진제(400)가 하층 세대배관(11) 내부로 쉽게 발포 침투되어 확실하게 방화구획을 형성하여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기 끼움부(110)와 걸림부(120)를 통하여 상부와 하부 각각으로 상층 및 하층 세대배관(12,11)을 결합하기 때문에, 배관결합과 함께 층간배관이 고정되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으며, 하층 및 상층 세대배관(11,12)과의 슬립 등이 방지되도록 구조적인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하층 및 상층 세대배관(11,12)의 삽입고정 후 상기 하층 및 상층 세대배관(11,12)과 슬리브몸체(100) 사이에 틈새가 없는 결합 구조이기 때문에 확실한 방화구획 확보는 물론 악취와 소음이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을 통하여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기 끼움부(110)를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120)를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배관과의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상기 끼움부(110)와 상기 걸림부(120)의 상하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부(200)는, 링 형상으로 상층 세대배관(12)이 관통 연결되고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의 일측에서 상기 슬리브몸체(100)와 결합하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을 패쇄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가 화염에 의하여 발포되었을 때 배관 내로만 효과적으로 발포될 수 있도록 하여 층간 구획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하측으로 플랜지부(200)를 설치한 경우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플랜지부(200)를 통하여 발포내화충진제(400)로 그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 가열하여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의 발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상층 세대배관(12)이 관통되는 관통구(201)가 형성된 플랜지몸체(210)와, 상기 플랜지몸체(210)와 상기 슬리브몸체(100)를 관통 체결하는 체결수단(220)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몸체(210)는, 상기 체결수단(220)이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홀(211)과,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가 주입될 수 있는 발포제 주입구(212)가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 주입구(2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주입할 수도 있지만, 충진 된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는, 화재가 발생하면 발포하여 상기 세대배관 내부를 패쇄하여 화염이 세대배관을 타고 굴뚝효과 현상으로 상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팩 내부에 발포성 내화충진제가 충진 된 발포스트립를 적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플랜지부(200)에 형성된 발포제 주입구(212)를 통하여 주입되는 발포성 내화충진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외측면에 흡음부재(5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흡음부재(5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장착구로 장착되는 하층 세대배관(11)의 외주면을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와 상기 흡음부재(500)가 모두 틈새 없이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에 매립되고 에워싸도록 되어 악취의 역류 확산 및 소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500)는, 상기 슬리브몸체(100) 외주 측면으로 결합되어 단열효과는 물론 세대배관(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를 통해 세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공지의 건축 시공에 이용되는 난연성흡음재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흡음부재(500)는 장착구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의 직경(폭)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는 틈새 없는 슬리브 시공방식으로 슬리브몸체(100)와 상기 하층 및 상층 세대배관(11,12)이 일체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악취와 소음의 역류 및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포켓연결부(300a,300b,300c)와 인접하게 상기 세대배관(10)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상기 세대배관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 클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처짐방지 클램프는 사용 중 상기 세대배관(10)의 처짐으로 인한 누수발생 등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절개부를 개방한 후 상기 세대배관의 측면으로 끼워 결합되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공지의 일측이 개방된 클램프(플랜지)와 조임나사 및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구성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처짐방지 클램프는 상기 플랜지부(2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플랜지부(200)와 처짐방지 클램프를 각각 따로 작업할 필요 없이 동시에 작업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의 배관 연결장치(700)와는 달리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가 상기 슬리브몸체(100b)의 상측 내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흡음부재(500)가 상기 슬리브몸체(100b)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는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와 상기 흡음부재(500)의 위치 등을 제외한 상기 슬리브몸체(100b)와, 상기 플랜지부(200)의 구성이 도 1의 배관 연결장치(700)의 구성들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미설명부호 110b, 120b는 각각 끼움부와 걸림부를 나타낸다.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개방된 관통홀(101)에 결합되어, 배관작업을 실시하기 전 상기 관통홀(101)을 패쇄하여 작업 중 안전사고나 건축부산물 등의 빠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포켓연결부(300a,300b)는, 상기 하층 또는 상층의 세대배관(11,12,13)이 삽입 연결되되, 삽입된 상기 세대배관(11,12,13)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삽입된 상기 세대배관(11,12,13)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어 당해층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세대배관(11,12,13)과 체결되어 상기 세대배관(11,12,1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포켓연결부(300a,300b)는 U관 및 T관과 일체로 결합되고 복수개가 서로 직렬로 연결하여 각 세대배관(11,12,13)과 연결되는 포켓몸체(310a,310b)와, 체결소켓(320)과, 압착오링(330; 도 6참조)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포켓연결부(300a,300b)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포켓몸체(310a)는, 일측 및 타측으로 상기 하층 세대배관(11)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311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대배관(11)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31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켓몸체(310a)는 상기 세대분기용 부품과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세대분기용 부품은 T관, YT, U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연결관을 비롯하여, 오배수 입상배관과 연결되는 섹스티아 오배수 접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켓몸체(310a)는 상기 하층 세대배관(11)과 연결되는 일측 및 타측 외주면에 제1체결부(3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312a)는 상기 포켓몸체(310a)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층 세대배관(1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층 세대배관(11)이 설정된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있다.
상기 체결소켓(320)은, 상기 배관(10)이 관통되게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체결부(313a)와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313a)와 상기 제2체결부(321)는 각각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성이 좋도록 체결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체결되는 구조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압착오링(330)은, 상기 포켓몸체(310a)와 상기 체결소켓(320)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압착오링(330)은, 상기 포켓몸체(310a)의 내주 상단부에 형성된 안착홈(314a)에 안착되고, 이에 상기 체결소켓(320)은, 상기 포켓몸체(310a)와 체결 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오링(33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압착돌기(3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착오링(330)은 공지의 고무재질의 오링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배관 연결장치는, 상기 포켓연결부(300a,300b,300c)를 통하여 세대배관(11,13)을 일괄 제작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 및 체결하면서 배관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포켓부(312a,312b)를 통하여 각 배관 연결부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센터조정과 같은 작업 시 세대배관(11,13)을 절단하는 작업 등을 거치지 않고 바로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상기 포켓연결부(300c)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입상 세대분기용 부품(20)과 연결되고 입상배관(14,15)이 삽입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포켓연결부(300c)는, 섹스티아 오배수 접속기와 같은 입상 세대분기용 부품(20)이 일체로 결합되는 포켓몸체(310c)와, 상기 포켓몸체(310c)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되는 입상배관(15)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 포켓부(312c)와, 상기 입상배관(15)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입상배관(15)과 체결되어 상기 입상배관(15)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소켓(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켓연결부(300c)는 도 8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312c)가 하부에만 결합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포켓연결부(300d)는 상기 포켓몸체(310d)와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312d)가 상측과 하측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를 이용한 배관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의 각 구성에 대한 내용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를 설치함에 앞서,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경계하는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각 층의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상기 슬리브몸체(1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제조공장에서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에 발포내화충진제(400)가 수용되고, 플랜지부(200)가 결합되어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30)이 패쇄 된 상태로 미리 제작된 것으로서, 현장에서는 상기 발포내화충진제(400)의 충전작업과 상기 플랜지부(200)의 결합작업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몸체(100)는 상기한 발포내화충진재(400) 뿐만 아니라, 흡음부재(500) 또한 제조공장에서 미리 결합되어, 현장에서는 상기 흡음부재(500)가 결합된 상기 슬리브몸체(100)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상기 흡음부재(500)는 현장에서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설치 후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외주측면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몸체(100)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를 형성하면서, 상기 슬리브몸체를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에 고정시키는 콘크리트양생단계를 거친다.
상기한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에 상기 슬리브몸체(100)를 고정설치한 후에는 상기 하층 및 상층 세대배관(11,12)을 설치하는 배관작업를 실시하는데, 상기한 배관작업은 당해층에서 작업자 한명으로도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포켓연결부(300a,300b)에 상기 세대배관(11,13)을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세대배관(11,13)이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위치에 수직선상으로 얼라인(Align)되도록 배치한다. 도면에서 양변기(2)와 연결되는 세대배관(11)은 하나의 슬라이딩 포켓부(310a)가 형성된 포켓연결부(300a)에 배치하고, 세면대(3)와 바닥배수육가(4)와 욕조(5)와 각각 연결되는 3개의 세대배관(11)은 3개의 슬라이딩 포켓부(310a,310b)가 형성된 포켓연결부(300a,300b)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여기서 각 세대배관(11,13) 각각에는 상기 포켓연결부(300a,300b)와 체결하기 위한 압착오링(330)과 체결소켓(320)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세대배관(11,13)을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한 후에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세대배관(11,13)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해당하는 각 슬리브몸체(100)의 상기 걸림부(120) 또는 끼움부(110)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00)의 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때, 상기 세대배관(11,13)은 배관연결 작업 전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312a,312b)에 최대한 삽입하여 상기 세대배관(11,13)의 노출 길이가 짧도록 하여 배관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한 배관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압착오링(330)이 삽입된 상기 체결소켓(320)을 통하여 상기 세대배관(11,13)을 고정 결합한다.
이렇게, 상기 포켓연결부(300a,300b)를 통하여 상기 세대배관(11,13)이 연결되면 처짐방지 클램프를 상기 세대배관(11,13)과 연결하여 상기 세대배관(11,13)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만약 상기 처짐방지 클램프가 상기 플랜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부(200)의 체결과 함께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연결장치(700)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은, 세대배관(11,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세대배관(11,13)의 설치 여유길이를 가질 수 있는 상기 포켓연결부(300a,300b)를 통하여, 기존의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을 해야했던 것과는 달리 한 명의 작업자가 당해층에서 배관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 시 현장에서 배관의 절단 작업 등을 하지 않고 설치여유에 맞추어 공장에서 일괄적으로 제작한 뒤 현장에서는 간단히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의 낭비 및 작업시간 단축 등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b... 슬리브몸체 101... 관통홀
110,110b... 끼움부 120,120b... 걸림부
130... 발포제 수용공간 200.... 플랜지부
201... 관통구 210... 플랜지몸체
211... 체결홀 212... 발포제 주입구
220... 체결수단 300a,300b,300c... 포켓연결부
310a,310b... 포켓몸체 311a... 삽입구
312a,312b... 슬라이딩 포켓부 313a... 제1체결부
314a... 안착홈 320... 체결소켓
321... 제2체결부 322... 압착돌기
330... 압착오링 400... 발포내화충진제
500... 흡음부재 700... 배관 연결장치

Claims (12)

  1.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연통하도록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구를 통하여 상기 상층 세대와 상기 하층 세대를 연통하는 상층 세대배관과 하층 세대배관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지며,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 형성된 부분의 상면 및 하면 중 일 면으로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상기 하층 세대배관 중에서 일 세대배관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돌출 형성된 부분의 상면 및 하면 중 다른 면으로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상기 하층 세대배관 중에서 다른 세대배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는 상기 세대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어 팩 내부에 발포성 내화충진제가 충진되고 상기 세대배관의 측면을 둘러싸는 발포스트립이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이 상기 발포스트립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리브몸체;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상층 세대배관 또는 상기 하층 세대배관이 삽입되되, 상기 삽입된 세대배관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삽입된 세대배관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삽입된 세대배관과 체결되어 상기 삽입된 세대배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포켓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세대배관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플랜지몸체와, 상기 플랜지몸체와 상기 슬리브몸체를 관통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연결부는,
    세대분기용 부품과 일체로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상기 세대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세대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 외주면에 제1체결부가 형성된 포켓몸체와,
    상기 포켓몸체에 결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압착오링과,
    상기 세대배관이 관통되게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된 체결소켓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켓몸체는, 상기 압착오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포켓몸체와 체결 시 상기 안착홈의 상기 압착오링을 가압하는 압착돌기가 형성된 배관 연결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연결장치.
  9.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하층 세대배관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하층 세대배관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된 처짐방지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처짐방지 클램프는,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절개부를 개방한 후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하층 세대배관의 측면으로 끼워 결합하는 배관 연결장치.
  10.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체는, 상기 포켓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배관 연결장치.
  11.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상기 하층 세대배관은 오배수 세대배관이고,
    상기 상층 세대배관은 상층 세대기구에 연통되고,
    상기 하층 세대배관은 하층 세대기구에 연통되고,
    상기 상층 세대기구 및 상기 하층 세대기구는 각각, 욕조, 양변기, 세면기, 씽크대 및 욕실과 세탁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배수육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배관 연결장치.
  12. 상층 세대와 하층 세대를 경계하는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제조공장에서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지며,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 형성된 부분의 상면 및 하면 중 일 면으로 상층 세대배관과 하층 세대배관 중에서 일 세대배관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돌출 형성된 부분의 상면 및 하면 중 다른 면으로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상기 하층 세대배관 중에서 다른 세대배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는 상기 세대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어 팩 내부에 발포성 내화충진제가 충진되고 상기 세대배관의 측면을 둘러싸는 발포스트립이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이 상기 발포스트립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리브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에 상기 발포스트립이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플랜지부가 결합되도록 미리 제작된 상기 슬리브몸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몸체를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콘크리트양생단계;
    상기 상층 세대배관 또는 하층 세대배관이 삽입되며 상기 상층 세대배관 또는 하층 세대배관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층 세대배관 또는 하층 세대배관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상층 세대배관 또는 하층 세대배관과 체결되어 상기 상층 세대배관 또는 하층 세대배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포켓연결부에 상기 상층 세대배관 또는 하층 세대배관을 삽입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하층 세대배관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걸림부 또는 상기 끼움부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상층 세대배관 또는 하층 세대배관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포켓연결부와 결합하는 체결소켓을 통하여 상기 상층 세대배관과 하층 세대배관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 시공방법.
KR1020150086577A 2015-01-28 2015-06-18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KR10163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77A KR101631626B1 (ko) 2015-06-18 2015-06-18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PCT/KR2016/000723 WO2016122168A1 (ko) 2015-01-28 2016-01-22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77A KR101631626B1 (ko) 2015-06-18 2015-06-18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626B1 true KR101631626B1 (ko) 2016-06-17

Family

ID=5634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577A KR101631626B1 (ko) 2015-01-28 2015-06-18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6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4642A (ja) * 2009-10-27 2011-05-12 Sekisui Chem Co Ltd 配管構造
KR101179962B1 (ko) * 2011-05-24 2012-09-07 (주)유넷트코리아 층간 화염 및 유독성가스 차단장치
KR200469369Y1 (ko) 2012-04-27 2013-10-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485797B1 (ko) * 2013-11-13 2015-01-28 황혜자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4642A (ja) * 2009-10-27 2011-05-12 Sekisui Chem Co Ltd 配管構造
KR101179962B1 (ko) * 2011-05-24 2012-09-07 (주)유넷트코리아 층간 화염 및 유독성가스 차단장치
KR200469369Y1 (ko) 2012-04-27 2013-10-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485797B1 (ko) * 2013-11-13 2015-01-28 황혜자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03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KR101733095B1 (ko)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101951868B1 (ko) 배관 연결장치
KR101809911B1 (ko) 공동주택 오배수 모듈화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1654682B1 (ko) 벽체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배관 시공방법
US10060102B2 (en) Plumbing supply boxes
AU2013284328B2 (en) Building system
MX2007006117A (es) Caja de llave de servicio de agua empotrada en la pared.
KR101404871B1 (ko) 당해층 벽체 배수 시스템
US6035886A (en) Prefabricated sink rough-in plumbing apparatus
KR101485797B1 (ko) 개선된 오,배수 입상배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JP4994886B2 (ja) 排水配管構造
KR101631626B1 (ko)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FI12380U1 (fi) Läpivientikappale viemäriputken viemiseksi talon välipohjan läpi
KR101537035B1 (ko) 이중관 구조의 방음공기층과 슬라이딩 지수결합부를 갖는 배관파이프와 배관결합부속과 부분오픈형 배관연결소켓을 포함하는 세대슬랩 부분매립형 오,배수관 배관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2036122B1 (ko) 방화충전재가 구비되는 건식 에어덕트 고정슬리브 및 시공방법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KR102520981B1 (ko)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KR20080076267A (ko) 벽체 매립 상자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AU2018333832A1 (en) Building units and wastewater drainage
KR101396564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KR101371693B1 (ko) 공동구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유닛 상호간 연결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