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564B1 -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 Google Patents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564B1
KR101396564B1 KR1020130131823A KR20130131823A KR101396564B1 KR 101396564 B1 KR101396564 B1 KR 101396564B1 KR 1020130131823 A KR1020130131823 A KR 1020130131823A KR 20130131823 A KR20130131823 A KR 20130131823A KR 101396564 B1 KR101396564 B1 KR 10139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panel
drain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564B9 (ko
Inventor
김인자
Original Assignee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564B1/ko
Publication of KR10139656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564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패널과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이 연결주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패널에 설치되고, 배출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공동구를 이루는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이 연결되고,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배출수를 모아 배출시키고, 제1제어밸브가 설치되는 배출관과, 배출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진공압을 제공하며, 제2제어밸브가 설치되는 분기관과,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바닥패널에 담수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송신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위신호를 판단하여 배출수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1제어밸브에 개방신호를 송신하고, 제2제어밸브에 폐쇄신호를 송신하여 분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공동구 내부에 잔존하는 배출수가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게 하고, 배수가 시작되면 제1제어밸브에 폐쇄신호를 송신하고, 제2제어밸브에 개방신호를 송신하여 배출수를 배출관을 따라 배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DRAINAGE FACILITY FOR EASY MAINTENANCE CONTROL OF COMMON DUCT}
본 발명은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공동구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단지, 도로, 산업단지 등에는 전력선, 통신선, 등 다양한 전선 또는 배선을 집합시켜 공동으로 설치하기 위한 공동구가 설치되거나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공동구는 콘크리트로 성형되거나 형성된 박스형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통 연결하여 긴 터널식으로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구들은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종래의 공동구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의 연결에 있어 이웃하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외부에서 금속편을 이용하여 타격하거나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여 연결하는데, 각각의 공동구 유닛의 하부 및 측부를 연결하는 경우 그 연결작업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동구를 곡선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설치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9826호(2011년 10월 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공동구는 별도의 배수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공동구 주변에 흐르는 지하수나 배관에서 유실되는 수분이 공동구 내부에 담수되면 공동구에 설치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에 수분이 접촉되어 오작동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공동구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공동구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면패널과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이 연결주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패널에 설치되고, 배출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 공동구를 이루는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배출수를 모아 배출시키고, 제1제어밸브가 설치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진공압을 제공하며, 제2제어밸브가 설치되는 분기관; 상기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패널에 담수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송신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위신호를 판단하여 배출수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제1제어밸브에 개방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제어밸브에 폐쇄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공동구 내부에 잔존하는 배출수가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게 하고, 배수가 시작되면 상기 제1제어밸브에 폐쇄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제어밸브에 개방신호를 송신하여 배출수를 상기 배출관을 따라 배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기관은 유체가 흐르는 진공유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유도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의한 벤추리 효과에 의해 진공압이 제공되고, 상기 진공유도관은 공동구 내부에 설치되는 상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은, 모터 또는 펌프와 같은 구동장치 없이 공동구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내압을 낮출 수 있으므로 공동구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이 배수관을 따라 공동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배수시설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배수설비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의 내화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의 내화장치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의 배수설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공구의 배수설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의 내화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의 내화장치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동구의 배수설비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 및 누수방지설비가 구비되는 공공구의 배수설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는, 바닥패널(10)의 양측면에 각각 측면패널(20)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고, 측면패널(20)의 상단부에 상면패널(3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되어 공동구를 이루는 유닛(100)이 이루어진다.
공동구를 이루는 유닛(100)은, 다른 유닛(100) 또는 방화구획 내화장치와 연결되는 접속구(50)와, 공동구 내부에 유입되는 배출수를 공동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시설과, 공동구 내부를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공동구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화재가 공동구를 따라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구획 내화장치(200)와, 공동구 내부로 배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수방지시설(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에의 공동구를 이루는 유닛(100)은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난연성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화재가 공동구를 따라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동구를 이루는 합성수지재질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난연성 합성수지재질의 조성물 및 조성비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의 접속구(50)는, 중앙부에 배수홀부(12)가 형성되고, 배수홀부(12) 측으로 낮아지는 경사가 형성되는 바닥패널(1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바닥돌기부(51)와, 바닥패널(10)의 양측단부에 연결주름부(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슬라이딩돌기(24)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복수 개의 안착패널(22)이 형성되는 측면패널(2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측면돌기부(52)와, 슬라이딩돌기(24)에 끼움결합되는 슬라이딩홈부(32)가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상면패널(3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상면돌기부(53)와, 다른 바닥패널(10)의 바닥돌기부(51)를 감싸도록 바닥패널(1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바닥홈부(54)와, 다른 측면패널(20)의 측면돌기부(52)를 감싸도록 측면패널(2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측면홈부(56)와, 다른 상면패널(30)의 상면돌기부(53)를 감싸도록 상면패널(3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상면홈부(57)를 포함한다.
바닥패널(10)과 한 쌍의 측면패널(20)은 연결주름부(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패널(10)의 중앙부에는 배수홀부(12)가 형성되며, 측면패널(20)의 내벽에는 복수 개의 안착패널(22)이 형성된다.
측면패널(20)의 상단부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딩돌기(24)가 형성되며, 상면패널(30)의 양측단부에는 슬라이딩돌기(24)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패널(20)을 상측으로 굴곡시켜 한 쌍의 측면패널(20) 상단에 상면패널(30)을 끼움결합시키면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관 모양의 공동구 유닛(100)이 조립된다.
하나의 유닛(100)이 완성되면 유닛(100)의 전단부에는 바닥돌기부(51)와 한 쌍의 측면돌기부(52)가 '∪'모양으로 연결되고, 유닛(100)의 후단부에는 바닥홈부(54)와 한 쌍의 측면홈부(56)가 '∪'모양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유닛(100)의 후단부에 다른 유닛(100)의 전단부를 연결할 때에 바닥돌기 및 측면돌기가 다른 유닛(100)의 바닥홈부(54) 및 측면홈부(56)에 삽입되도록 바닥패널(10)과 측면패널(20)을 조립하면 다수 개의 유닛(100)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구성되는 공동구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동구 유닛(100) 사이에 방화구획 내화장치를 삽입하여 유닛(100)과 유닛(100) 사이에 방화구획 내화장치가 구비되는 공동구는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공동구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공동구를 따라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면홈부(57)는, 상면패널(30)의 후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굴곡되어 후방으로 굴곡되는 상면돌기부(53)의 외벽을 감싸는 굴곡부(58)와, 굴곡부(58)의 단부에 힌지주름부(58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돌기부(53)의 내부로 압입되는 회전삽입부(59)와, 회전삽입부(59)에 설치되는 분리레버(59a)를 포함한다.
굴곡부(58)는 상면패널(3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에 후방으로 굴곡되어 홈부 모양으로 형성되고, 회전삽입부(59)는 힌지주름부(58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굴곡부(58)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회전삽입부(59)를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다른 상면패널(30)의 상면돌기부(53) 내측으로 회전삽입부(59)를 압입시키면서 상면패널(30)들 사이의 연결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에의 누수방지시설(70)은, 전단부에 바닥돌기부(5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바닥홈부(54)가 형성되는 바닥패널(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고, 측면패널(20)을 바닥패널(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주름부(71)와, 연결주름부(71)에 도포되고, 측면패널(2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측면돌기부(52) 및 측면패널(2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측면내화홈부가 접착되는 접착층(71a)과, 바닥돌기부(51)의 후방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다른 바닥패널(10)의 바닥홈부(54)에 밀착되는 바닥차단패널(72)과, 측면돌기부(52)의 후방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다른 측면패널(20)의 측면홈부(56)에 밀착되는 측면차단패널(73)과, 바닥패널(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측면차단패널(73) 및 측면홈부(56)로부터 연장되고, 후크부(75) 및 누름부(76)가 구비되는 걸림편(7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통과홀부(74a)가 형성되는 제1지지대(74)와, 바닥패널(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측면차단패널(73) 및 측면홈부(56)로부터 연장되어 통과홀부(74a)로 삽입되고, 후크부(75)가 걸리는 랙부(77a)가 구비되는 제2지지대(77)를 포함한다.
바닥돌기부(51) 및 측면돌기부(52)의 후방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바닥차단패널(72) 및 측면차단패널(73)이 형성되므로 다른 유닛(100)의 바닥홈부(54) 및 측면홈부(56)에 바닥돌기부(51) 및 측면돌기부(52)가 삽입되는 경우에 바닥차단패널(72) 및 측면차단패널(73)이 바닥홈부(54) 및 측면홈부(56)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이음부 사이로 배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지지대(74)는 바닥패널(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측면차단패널(73) 및 측면홈부(56)로부터 바닥패널(10)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되고, 제1지지대(74)의 단부에는 통과홀부(74a)가 형성되고, 통과홀부(74a)에는 걸림편(7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이 설치된다.
회전축에는 토션스프링(75a)이 설치되어 걸림편(74b)에 형성되는 후크부(75)를 통과홀부(74a)로 삽입되는 제2지지대(77)의 랙부(77a) 측으로 회전시키므로 후크부(75)가 랙부(77a)에 걸려 통과홀부(74a) 내부로 삽입된 제2지지대(77)는 통과홀부(74a)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후크부(75)가 형성되는 걸림편(74b)의 반대측 단부에는 누름부(76)가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제2지지대(77)를 통과홀부(74a) 외측으로 분리시킬 때에는 누름부(76)를 눌러 랙부(77a) 외측으로 후크부(75)를 회전시킨 후에 통과홀부(74a)로부터 제2지지대(77)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면패널(20)을 굴곡시켜 바닥패널(10)의 양측 단부에 직립시키고, 다른 유닛(100)의 바닥홈부(54) 및 측면홈부(56)에 바닥돌기부(51) 및 측면돌기부(52)를 삽입한 후에는 작업자가 제2지지대(77)를 통과홀부(74a)에 삽입하여 제2지지대(77)를 당기면 후크부(75)가 경사면을 슬라이딩되면서 랙부(77a)를 통과하고, 후크부(75)가 랙부(77a)에 걸림결합되면 제2지지대(77)가 구속되어 제2지지대(77)가 통과홀부(74a)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제2지지대(77)를 통과홀부(74a) 외측으로 당기는 작업을 반복하여 측면돌기부(52) 및 측면홈부(56)가 바닥돌기부(51) 및 바닥홈부(54)의 양단부에 밀착되면서 측면패널(20)과 바닥패널(10) 사이의 간격이 폐쇄되어 측면패널(20)과 바닥패널(10) 사이의 간격으로 배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지지대(74) 및 제2지지대(77)에는 제1벨크로(74c)가 설치되고, 바닥차단패널(72) 및 바닥홈부(54)에는 제1벨크로(74c)가 접착되는 제2벨크로(77b)가 설치되므로 제1지지대(74) 및 제2지지대(77)는 바닥차단패널(72)의 배면 및 바닥홈부(54)의 전면에 밀착되어 측면패널(20)과 바닥패널(10) 사이의 간격으로 배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설은, 상면패널(30)과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20)이 연결주름부(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패널(10)에 설치되고, 배출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크밸브(81a)가 설치되는 배수관(81)과, 공동구를 이루는 각각의 유닛(100)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81)이 연결되고, 배수관(81)을 따라 배출되는 배출수를 모아 배출시키고, 제1제어밸브(82a)가 설치되는 배출관(82)과, 배출관(82)으로부터 분기되고, 진공압을 제공하며, 제2제어밸브(84a)가 설치되는 분기관(84)과, 측면패널(20)에 설치되고, 바닥패널(10)에 담수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송신하는 수위감지센서(86)와, 수위감지센서(86)로부터 수신되는 수위신호를 판단하여 배출수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1제어밸브(82a)에 개방신호를 송신하고, 제2제어밸브(84a)에 폐쇄신호를 송신하여 분기관(84)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공동구 내부에 잔존하는 배출수가 배수관(81)을 따라 배출되게 하고, 배수가 시작되면 제1제어밸브(82a)에 폐쇄신호를 송신하고, 제2제어밸브(84a)에 개방신호를 송신하여 배출수를 배출관(82)을 따라 배수시키는 제어부(88)를 포함한다.
각가의 바닥패널(10) 및 바닥내화패널에는 배수관(81)이 설치되고, 다수 개의 배수관(81)은 하나의 배출관(82)에 연결되어 하수관 또는 하천으로 배출수를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배출관(82)에는 분기관(84)이 연결되고, 분기관(84)은 공동구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유도관(84b)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진공유도관(84b)에 연결되므로 진공유도관(84b)을 따라 유체가 이동될 때에 분기관(84) 내부의 공기가 진공유도관(84b)을 따라 흐르는 유체와 함께 이동되면서 분기관(84)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분기관(84)을 따라 배수관(81) 및 공동구 내부에 진공압이 제공되므로 공동구 내부에 담수되는 배출수는 배수관(81)을 따라 배출관(82)을 따라 흐르게 된다.
공동구 내부로부터 배출수가 배수되기 시작하면 분기관(84)과 진공유도관(84b)을 차단하여도 배수관(81)과 공동구 내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배출수의 배수가 연속하여 진행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본 실시예는 모터 또는 펌프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배출수를 공동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분기관(84)은 유체가 흐르는 진공유도관에 연결되어 진공유도관(84b)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의한 벤추리 효과에 의해 진공압이 제공되고, 진공유도관은 공동구 내부에 설치되는 상수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공유도관(84b)은 공동구 내부에 설치되는 상수도관, 공동구 외부에 매립되는 상수도관, 또는 지상에 시공되는 별도의 유체 이송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공동구 내부에 배출수가 유입되어 담수되고, 배출수의 수위는 수위감지센서(86)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88)에 수위신호가 송신된다.
제어부(88)에 수신되는 수위신호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어부(88)로부터 제1제어밸브(82a) 또는 제2제어밸브(84a)에 구동신호가 송신되어 진공압을 제공하게 된다.
공동구 내부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어부(88)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1제어밸브(82a)가 개방되고, 제2제어밸브(84a)가 폐쇄된다.
따라서 분기관(84) 내부의 공기가 진공유도관(84b)을 따라 흐르는 유체와 함께 배출되면서 벤추리 효과에 의해 진공관을 따라 배출관(82) 및 배수관(81)에 진공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배수관(8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공동구 내부에 담수되는 배출수가 배수관(81)을 따라 배출관(82) 측으로 배수되기 시작하고, 이때, 감지되는 배출수의 수위가 감소되기 시작하면 제어부(88)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1제어밸브(82a)는 폐쇄되고, 제2제어밸브(84a)는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수의 배수가 개시되면 분기관(84)이 폐쇄되어도 배출수는 배출관(82)을 따라 하천 또는 하수관으로 배출되므로 공동구 내부의 배출수를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200)는, 공동구의 유닛을 이루는 바닥패널의 바닥홈부에 삽입되도록 전단부에 바닥내화돌기부(211)가 형성되고, 바닥패널의 바닥돌기부가 삽입되는 바닥내화홈부(214)가 후단부에 형성되며, 중앙부에 바닥삽입홈부(202a)가 형성되는 바닥내화패널(202)과, 바닥내화패널(202)의 양측단부에 연결주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면패널의 측면홈부에 삽입되도록 전단부에 측면내화돌기부(212)가 형성되고, 측면패널의 측면돌기부가 삽입되는 측면내화홈부(215)가 후단부에 형성되며, 중앙부에 측면삽입홈부(204a)가 형성되는 측면내화패널(204)과, 측면내화패널(204)의 상단부에 끼움결합되고, 상면패널의 상면홈부에 삽입되도록 전단부에 상면내화돌기부(213)가 형성되고, 상면패널의 상면홈부에 의해 구속되도록 전단부에 상면내화돌기부(213)가 형성되며, 상면패널의 상면돌기부를 구속하도록 후단부에 상면내화홈부(216)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면삽입홈부(206a)가 형성되는 상면내화패널(206)과, 바닥삽입홈부(202a), 측면삽입홈부(204a) 및 상면삽입홈부(206a)에 삽입되어 공동구의 내부를 구획하고, 도어(208a) 및 설치홈부(208b)가 구비되는 차단내화패널(208)을 포함한다.
바닥내화패널(202)과 측면내화패널(204)에 형성되는 바닥삽입홈부(202a) 및 측면삽입홈부(204a)에는 난연성 재질을 포함하는 차단내화패널(208)이 설치되므로 공동부의 내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공동구 내부에 화재가 발생될 때에 공동구를 따라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면내화홈부(216)는, 상면내화패널(206)의 후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내화굴곡부(217)와, 내화굴곡부(217)의 단부에 회전내화주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내화삽입부(218)와, 회전내화삽입부(218)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내화분리레버(219a)를 포함한다.
또한, 바닥내화패널(202)과 측면내화패널(204) 사이의 간격을 따라 배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화방수시설(230)을 더 포함하고, 내화방수시설(230)은, 바닥내화패널(202)과 측면내화패널(204)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내화주름부(231)와, 연결내화주름부(231)에 도포되고, 측면내화돌기부(212) 및 측면내화홈부(215)가 접착되는 내화접착층(231a)과, 바닥내화돌기부(211)의 후방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다른 바닥내화패널(202)의 바닥내화홈부(214)에 밀착되는 바닥내화차단패널(232)과, 측면내화돌기부(212)의 후방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다른 측면내화패널(204)의 측면내화홈부(215)에 밀착되는 측면내화차단패널(233)과, 바닥내화패널(202)의 일측에 배치되는 측면내화차단패널(233) 및 측면내화홈부(215)로부터 연장되고, 내화후크부(235) 및 내화누름부(236)가 구비되는 내화걸림편(23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내화통과홀부(234a)가 형성되는 제1내화지지대(234)와, 바닥내화패널(202)의 타측에 배치되는 측면내화차단패널(233) 및 측면내화홈부(215)로부터 연장되어 내화통과홀부(234a)로 삽입되고, 내화후크부(235)가 걸리는 내화랙부(237)가 구비되는 제2내화지지대(235)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내화돌기부(211), 측면내화돌기부(212), 상면내화돌기부(213), 바닥내화홈부(214), 측면내화홈부(215) 및 상면내화홈부(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화접속부는 공동구 유닛의 접속구와 장착구조 및 연결구조가 동일하다.
또한, 연결내화주름부(231), 바닥내화차단패널(232), 측면내화차단패널(233), 제1내화지지대(234) 및 제2내화지지대(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화방수시설(230)은 공동구 유닛에 구비되는 방수시설과 장착구조 및 연결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내화접속구(210) 및 내화방수시설(230)에 대한 설명은 접속구 및 방수시설의 설명으로 대신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공동구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공동구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배수시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바닥패널 12 : 배수홀부
20 : 측면패널 22 : 안착패널
24 : 슬라이딩돌기 30 : 상면패널
32 : 슬라이딩홈부 50 : 접속구
51 : 바닥돌기부 52 : 측면돌기부
53 : 상면돌기부 54 : 바닥홈부
56 : 측면홈부 57 : 상면홈부
58 : 굴곡부 58a : 힌지주름부
59 : 회전삽입부 59a : 분리레버
70 : 누수방지시설 71 : 연결주름부
71a : 접착층 72 : 바닥차단패널
73 : 측면차단패널 74 : 제1지지대
74a : 통과홀부 74b : 걸림편
74c : 제1벨크로 75 : 후크부
76 : 누름부 77 : 제2지지대
77a : 랙부 77b : 제2벨크로
80 : 배수설비 81 : 배수관
81a : 제1체크밸브 82 : 배출관
82a : 제1제어밸브 84 : 분기관
84a : 제2제어밸브 84b : 진공유도관
84c : 제2체크밸브 86 : 수위감지센서
88 : 제어부 200 : 내화장치
202 : 바닥내화패널 202a : 바닥삽입홈부
204 : 측면내화패널 204a : 측면삽입홈부
206 : 상면내화패널 206a : 상면삽입홈부
208 : 차단내화패널 208a : 도어
208b : 설치홀부 210 : 내화접속구
211 : 바닥내화돌기부 212 : 측면내화돌기부
213 : 상면내화돌기부 214 : 바닥내화홈부
215 : 측면내화홈부 216 : 상면내화홈부
217 : 내화굴곡부 218 : 회전내화삽입부
219 : 힌지내화주름부 219a : 내화분리레버
230 : 내화방수시설 231 : 연결내화주름부
231a : 내화접착층 232 : 바닥내화차단패널
233 : 측면내화차단패널 234 : 제1내화지지대
234a : 내화통과홀부 234b : 내화걸림편
234c : 내화제1벨크로 235 : 내화후크부
236 : 내화누름부 237 : 내화랙부
238 : 내화제2벨크로

Claims (2)

  1. 상면패널과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이 연결주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패널에 설치되고, 배출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
    공동구를 이루는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배출수를 모아 배출시키고, 제1제어밸브가 설치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진공압을 제공하며, 제2제어밸브가 설치되는 분기관;
    상기 측면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패널에 담수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송신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위신호를 판단하여 배출수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제1제어밸브에 개방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제어밸브에 폐쇄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공동구 내부에 잔존하는 배출수가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게 하고, 배수가 시작되면 상기 제1제어밸브에 폐쇄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제어밸브에 개방신호를 송신하여 배출수를 상기 배출관을 따라 배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유체가 흐르는 진공유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유도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의한 벤추리 효과에 의해 진공압이 제공되고, 상기 진공유도관은 공동구 내부에 설치되는 상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KR1020130131823A 2013-10-31 2013-10-31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Active KR10139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23A KR101396564B1 (ko) 2013-10-31 2013-10-31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23A KR101396564B1 (ko) 2013-10-31 2013-10-31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564B1 true KR101396564B1 (ko) 2014-06-27
KR101396564B9 KR101396564B9 (ko) 2024-04-16

Family

ID=5113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823A Active KR101396564B1 (ko) 2013-10-31 2013-10-31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5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0547A (zh) * 2016-07-29 2016-11-23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一种铁路隧道底部预制装配式排水系统
CN109296400A (zh) * 2018-10-11 2019-02-01 沈靖林 一种市政隧道高效排水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515A (ja) 2000-01-21 2001-08-03 Eiichi Tashiro 地下共同スペース
KR200427117Y1 (ko) 2006-07-11 2006-09-20 김태정 배수 기능을 갖는 전기철도용 전기공동구조물
JP2008121253A (ja) 2006-11-10 2008-05-29 Sekisui Chem Co Ltd 真空式排水システム
KR101027380B1 (ko) 2010-06-28 2011-04-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터널 배수 시스템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515A (ja) 2000-01-21 2001-08-03 Eiichi Tashiro 地下共同スペース
KR200427117Y1 (ko) 2006-07-11 2006-09-20 김태정 배수 기능을 갖는 전기철도용 전기공동구조물
JP2008121253A (ja) 2006-11-10 2008-05-29 Sekisui Chem Co Ltd 真空式排水システム
KR101027380B1 (ko) 2010-06-28 2011-04-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터널 배수 시스템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0547A (zh) * 2016-07-29 2016-11-23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一种铁路隧道底部预制装配式排水系统
CN109296400A (zh) * 2018-10-11 2019-02-01 沈靖林 一种市政隧道高效排水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564B9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5931A1 (en) Plumbing supply boxes
KR101396564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공동구 배수시설
JP2000074260A (ja) 住居内の排水用配管構造
KR101371693B1 (ko) 공동구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유닛 상호간 연결 접속구
US20090229672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old and hot water piping system
KR101396565B1 (ko) 유지관리용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KR101396563B1 (ko) 공동구 이음부의 누수방지시설
KR101694722B1 (ko)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US10948330B2 (en) Flood sensor
KR100692316B1 (ko)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선함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1854790B1 (ko) 하수이동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배관구조물
KR100780797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JPH11210031A (ja) 給排水管の敷設方法及び配管装置
JP4334043B2 (ja) 洗濯機用水栓
KR101695480B1 (ko)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SE235043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stalling a wall-mounted toilet seat
US20060150551A1 (en) Filtered dual channel water drainage conduit
GB2485429A (en) Floor drain T piece comprising an internal deflector
AU2012101742A4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ndish devices
JP2560145B2 (ja) 屋内配管工法及び配管装置
JP2018131785A (ja) 洗濯機用防水パン
KR101631626B1 (ko)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
JP4664083B2 (ja) 軸組工法におけるファイヤーストップ構造
GB2616045A (en) Liquid collection apparatus
KR200469367Y1 (ko) 누수 확인용 검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4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404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