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159U -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159U
KR20170004159U KR2020160003032U KR20160003032U KR20170004159U KR 20170004159 U KR20170004159 U KR 20170004159U KR 2020160003032 U KR2020160003032 U KR 2020160003032U KR 20160003032 U KR20160003032 U KR 20160003032U KR 20170004159 U KR20170004159 U KR 201700041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ipe
granular
fixing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동
Original Assignee
김오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동 filed Critical 김오동
Priority to KR2020160003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159U/ko
Publication of KR20170004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6Protection against smoke or toxic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층간 바닥의 장착홀에 관통 설치되는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한 장착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입상배관이 관통될 수 있는 원통형의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 중간 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 하부 측과의 사이에 포켓을 형성시키는 연장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에는, 발포내화제가 삽입되어 체결수단으로 상기 연장리브 상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화염과 연기가 입상배관이 설치된 곳을 통하여 층간 이동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상배관과 장착홀의 사이에 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기밀하게 설치할 수 있어 배관 편차가 있는 입상배관의 시공시 발생되는 시공 오차를 배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A clamp for fixing a pipe}
본 고안은 층간 바닥과 입상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곳에서의 화재는 단층을 포함하여 낮은 곳에서보다 화재시 인명과 재산의 소실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이에 대비한 많은 예방 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은 계단과 통로를 통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문과 인명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비상구와 완강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눈에 보이는 것 이외에도 층간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의무화되고 있으며, 건물 외벽을 타고 불이 번지지 않도록 표면 마감재에 관련된 규정까지 소방법에서 규정하여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층간에 연결되는 입상배관의 경우, 화재시 아래층의 화염과 연기가 전파되는 주요 통로가 될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이의 해결방안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451427호(등록일자: 2010년12월08일)에는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위의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입상배관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입상배관 고정장치는,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슬리브(1)에 수직 관통되어 있는 장착홀(11)에 입상배관(2)을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관통 슬리브(3)와, 상기 관통 슬리브(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입상배관(2)의 외측을 잡아주는 클램프(4)와, 상기 클램프(4)의 외측을 조여주는 탄성부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입상배관 고정장치는, 관통슬리브(3)와 클램프(4)가 입상배관(2)과 장착홀(11)의 사이를 막도록 하여 화염과 연기가 통하지 않도록 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완전한 차단이 아니기에 연기가 작은 틈을 통하여 빠져나갈 우려가 있으며, 입상배관(2)이 합성수지일 경우에는 열에 취약하여 화재시 입상배관(2)이 녹아 효과를 보지 못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재시 화염의 온도가 최대 1200℃에 이르므로 이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는 알루미늄, 황동,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상배관의 경우도 화재시 녹아서 입상배관(2)의 설치 구역이 화재의 층간 확대를 가져오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염과 연기가 입상배관이 설치된 곳을 통하여 층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입상배관과 장착홀의 사이에 기밀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는,
층간 바닥의 장착홀에 관통 설치되는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한 장착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입상배관이 관통될 수 있는 원통형의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 중간 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 하부 측과의 사이에 포켓을 형성시키는 연장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에는, 발포내화제가 삽입되어 체결수단으로 상기 연장리브 상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하부 측은,
상기 연장리브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상부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 상부 측에는,
그 외주면을 조여줄 수 있는 밴드를 설치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켓의 바닥에는,
상기 연장리브의 상부 측이 탄력적으로 압착 가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리브의 상부 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탄성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링은,
상향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리브의 외주면은,
하부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내화제는,
그 하부 측이 상기 포켓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타카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리브의 상부 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층간 바닥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고정날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의하면, 화염과 연기가 입상배관이 설치된 곳을 통하여 층간 이동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상배관과 장착홀의 사이에 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기밀하게 설치할 수 있어 배관 편차가 있는 입상배관의 시공시 발생되는 시공 오차를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및
도 4는 도 3의 작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작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는, 건물의 층간을 나누는 층간 바닥(S, 도 4 참조)의 장착홀(H, 도 4 참조)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입상배관(도시 생략)이 관통될 수 있는 원통형의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 중간 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 하부 측과의 사이에 포켓(21)을 형성시키는 연장리브(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켓(21)에는, 발포내화제(A)가 삽입되어 체결수단(B)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상기 체결수단(B)으로는 타카핀이 사용될 수 있는바, 공지된 타카핀이 충전된 타카총으로 상기 연장리브(20)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다수 곳에서 발사하여 상기 연장리브(20) 상에 상기 발포내화제(A)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내화제(A)는, 그 상부 측이 상기 포켓(21)에 수납되고, 그 하부 측은 상기 포켓(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발포내화제(A)의 재질적 특징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속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슬리브(10)의 하부 측은, 상기 연장리브(20)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포켓(21)에 상기 발포내화제(A)를 삽입할 때에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상기 발포내화제(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시 상기 발포내화제(A)에 열을 신속히 전달할 수 있어 상기 발포내화제(A)의 신속한 발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0)의 내주면 상부 측에는, 돌출된 링 형상의 걸림돌기부(11)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입상배관은, 표면이 매끄럽고 자체 중량에 의해 처짐 하중이 발생되는데, 상기한 복수의 걸림돌기부(11)가 구비됨으로써 입상배관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켜 입상배관의 설치시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 상부 측에는, 그 외주면을 조여줄 수 있는 조임 밴드를 설치하기 위한 안착홈(12)이 형성되어 입상배관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켓(21)의 바닥에는, 상기 연장리브(20)의 상부 측이 탄력적으로 압착 가능하도록 경사면(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리브(20)의 상부 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탄성링(2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는, 층간 바닥(S)에 형성된 장착홀(H)과 입상배관 사이에 기밀하게 개재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바닥(S)의 장착홀(H)에 본 고안의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장착홀(H)이 작은 구경일 경우 상기 탄성링(22)이 압착되면서 상기 연장리브(20)의 경사면(21a)으로 인해 형성된 틈새(G, 도 3 참조)로 꺽여 들어가게 되어 상기 장착홀(H)의 내면에 대한 접촉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링(22)은, 삽입 반대방향으로 상향 만곡되게 형성되어 작은 구경의 장착홀(H)에 삽입시 접히면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접촉력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연장리브(20)의 외주면은, 하부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장착홀(H)에 삽입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장리브(20)의 상부 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층간 바닥(S)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앙카 설치용 타공(도시 생략)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고정날개(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가 설치된 후,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이 상기 슬리브(10)의 하부로 전달되고 상기 슬리브(10)의 하부와 접한 상기 발포내화제(A)로 열이 전달되어 상기 발포내화제(A)가 신속히 발포된다.
이처럼 상기 발포내화제(A)가 발포됨에 따라 입상배관 내부가 폐쇄되어 화염 및 연기가 입상배관의 내부를 통해 상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의하면, 화염과 연기가 입상배관이 설치된 곳을 통하여 층간 이동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상배관과 장착홀의 사이에 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기밀하게 설치할 수 있어 배관 편차가 있는 입상배관의 시공시 발생되는 시공 오차를 배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슬리브 11: 걸림돌기부
12: 안착홈 20: 연장리브
21: 포켓 21a: 경사면
22: 탄성링 30: 고정날개
A: 발포내화제 B: 체결수단
G: 틈새 H: 장착홀
S: 층간 바닥

Claims (7)

  1. 층간 바닥(S)의 장착홀(H)에 관통 설치되는 입상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한 장착홀(H)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입상배관이 관통될 수 있는 원통형의 슬리브(10); 및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 중간 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 하부 측과의 사이에 포켓(21)을 형성시키는 연장리브(20);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21)에는, 발포내화제(A)가 삽입되어 체결수단(B)으로 상기 연장리브(20) 상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의 하부 측은,
    상기 연장리브(20)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의 내주면 상부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부(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21)의 바닥에는,
    상기 연장리브(20)의 상부 측이 탄력적으로 압착 가능하도록 경사면(21a)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리브(20)의 상부 측에는,
    외측으로 상향 만곡되게 연장된 탄성링(2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리브(20)의 외주면은,
    하부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내화제(A)는,
    그 하부 측이 상기 포켓(21)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리브(20)의 상부 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층간 바닥(S)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고정날개(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20160003032U 2016-06-02 2016-06-02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700041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32U KR20170004159U (ko) 2016-06-02 2016-06-02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32U KR20170004159U (ko) 2016-06-02 2016-06-02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59U true KR20170004159U (ko) 2017-12-12

Family

ID=6125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032U KR20170004159U (ko) 2016-06-02 2016-06-02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159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32B1 (ko) 2018-08-21 2019-03-12 주식회사 파이어넷 일반 슬리브용 입상배관 클램프
KR101967586B1 (ko) 2018-09-19 2019-08-13 주식회사 파이어넷 슬리브의 입상배관 고정 구조
KR20190105450A (ko) 2018-03-05 2019-09-17 주식회사 근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2030995B1 (ko) * 2019-06-07 2019-10-11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물의 배수파이프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2224528B1 (ko) 2020-10-15 2021-03-08 주식회사 파이어넷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KR20220055861A (ko) * 2020-10-27 2022-05-04 최혁수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20220071579A (ko) * 2020-11-24 2022-05-31 최혁수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102498406B1 (ko) 2022-08-09 2023-02-10 주식회사 파이어넷 입상배관 고정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95Y1 (ko) * 2010-06-23 2012-01-03 김오동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KR20130003488A (ko) * 2011-06-30 2013-01-09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구
JP2015209933A (ja) * 2014-04-28 2015-11-24 日動電工株式会社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95Y1 (ko) * 2010-06-23 2012-01-03 김오동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KR20130003488A (ko) * 2011-06-30 2013-01-09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구
JP2015209933A (ja) * 2014-04-28 2015-11-24 日動電工株式会社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50A (ko) 2018-03-05 2019-09-17 주식회사 근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1957432B1 (ko) 2018-08-21 2019-03-12 주식회사 파이어넷 일반 슬리브용 입상배관 클램프
KR101967586B1 (ko) 2018-09-19 2019-08-13 주식회사 파이어넷 슬리브의 입상배관 고정 구조
KR102030995B1 (ko) * 2019-06-07 2019-10-11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물의 배수파이프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2224528B1 (ko) 2020-10-15 2021-03-08 주식회사 파이어넷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KR20220055861A (ko) * 2020-10-27 2022-05-04 최혁수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20220071579A (ko) * 2020-11-24 2022-05-31 최혁수 내화발포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재 장치
KR102498406B1 (ko) 2022-08-09 2023-02-10 주식회사 파이어넷 입상배관 고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159U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69369Y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0487404Y1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US7581362B2 (en) Conduit with adjustable length and fire collar
US20080170404A1 (en) Fire stop for light fixture
KR101361647B1 (ko)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KR102084022B1 (ko)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KR101519816B1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20200052363A (ko)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도관 및 그러한 도관을 밀봉하는 방법
KR20170084970A (ko)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KR101702354B1 (ko) 입상배관 고정용 내화 충전재 슬리브 고정장치
KR20080112783A (ko)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JP4907499B2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JP2015209933A (ja)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US11794043B2 (en) Ceiling fixture firestop
JP6916241B2 (ja) 管継手構造
KR102036122B1 (ko) 방화충전재가 구비되는 건식 에어덕트 고정슬리브 및 시공방법
KR102023894B1 (ko)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JP2010190034A (ja) 排水配管構造
JP5859042B2 (ja) 排水配管継手
KR102132819B1 (ko) 일체형 배기덕트
KR20190109869A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KR20190068167A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101602773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923631B1 (ko) 방화성능이 구비된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