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528B1 -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 Google Patents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528B1
KR102224528B1 KR1020200133581A KR20200133581A KR102224528B1 KR 102224528 B1 KR102224528 B1 KR 102224528B1 KR 1020200133581 A KR1020200133581 A KR 1020200133581A KR 20200133581 A KR20200133581 A KR 20200133581A KR 102224528 B1 KR102224528 B1 KR 10222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expansion part
cap
uprigh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어넷
Priority to KR102020013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6Sealing by means of a swivel nut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하수를 배출하는 입상배관이 슬라브를 수직 관통 및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상배관을 구간 별로 절단하여 슬리브 상부와 하부에서 삽입하여 체결, 고정하도록 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유지와 보수가 매우 간편하며, 우수한 수밀성을 유지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sleeve for vertical pipe connect}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하수를 배출하는 입상배관이 슬라브를 수직 관통 및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상배관을 구간 별로 절단하여 슬리브 상부와 하부에서 삽입하여 체결, 고정하도록 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유지와 보수가 매우 간편하며, 우수한 수밀성을 유지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 입상배관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 도 1과 같은 원통형 슬리브(10)를 도 2와 같이 슬라브(2)에 매립, 설치하고 입상배관(1)이 슬라브(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고층 건물인 경우에는 연결관을 슬라브(2)를 수직 관통하는데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입상배관(1)의 자체 하중에 의해 입상배관이 서서히 침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상배관(1)을 따라 진동과 소음이 슬라브(2) 상부와 하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상배관(1)이 특정 부분에서 막혀 수리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긴 입상배관을 절단하여 수리하여야 하므로 유지와 보수가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화재 발생시 입상배관(1)을 타고 화염이 번지거나 슬리브(10) 구멍을 통해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10)와 입상배관(1) 사이에 발포체를 삽입하는데 이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10)와 입상배관(1) 사이가 밀폐되지 않아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해충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며, 층간 소음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4159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1297호, "밀림방지용 돌기가 구비된 입상배관용 관통슬리브"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679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장치"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8395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입상배관을 구간별(예를 들어 층별로)로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지와 보수가 용이한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슬리브의 상, 하부에 입상배관을 삽입하고 캡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입상배관을 견고하게 체결 고정하도록 슬리브를 구성함으로써, 시공성이 우수한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슬리브에 발포체를 결합하는 과정이 매우 용이하고, 수밀성이 우수한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는 슬라브(2)에 상부 삽입구(112)와 하부 삽입구(117)가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몸체(110)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 확관부(111);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몸체(110)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확관부(115); 상기 하부 확관부(115)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의 고정구(130); 삽입구(121)를 구비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확관부(111)에 나사 결합하는 상부 캡(120); 및 삽입구(141)를 구비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확관부(115)에 나사 결합하는 하부 캡(1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확관부(111) 내부에 상부와 내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고무링 홈(113); 상기 고무링 홈(113)에 안착되는 고무링(101); 및 상기 상부 캡(120) 내부에 형성되어 상부 캡(120)이 상부 확관부(111)에 체결되었을 때 고무링 홈(113) 상부에 위치하여 고무링(101)을 압착하여 고무링(101)을 몸체(110)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압착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캡(140)의 내부에 상부와 내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고무링 홈(143); 상기 고무링 홈(143)에 안착되는 고무링(102); 및 상기 고정구(130) 내부에 형성되어 하부 캡(140)이 하부 확관부(115)에 체결되었을 때 고무링 홈(143) 상부에 위치하여 고무링(102)을 압착하여 고무링(12)을 몸체(110)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압착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 수단은 고정구(130) 내측으로 돌출된 링 압착구(131)이고, 상기 링 압착구(131)에는 방사상으로 리브(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확관부(115) 내부에는 입상배관(1) 내부로 삽입되는 내통(11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에는 방사상으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캡(140)의 하부 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구 홈(142); 및 몸체(151)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 홈(142)에 삽입되는 투스(152)와, 몸체(151)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53)로 구성된 체결 공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에 삽입되어 몸체(110) 높이를 조절하는 보조 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관(160)은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에 삽입되는 몸체(161);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61)보다 큰 직경으로 몸체(161)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캡(120)과 체결되는 확관부(162); 및 상기 몸체(161) 내부에서 상부 방향과 내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고무링(101)이 안착되는 고무링 홈(1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서 몸체(110) 내부와 연통되고, 슬라브(2)에 매립되어 다른 하수관과 연결되는 합류관(1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는 입상배관을 구간별(예를 들면 층별)로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특정 구간이 막히더라도 유지와 보수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슬리브의 상부와 하부에 입상배관을 삽입하고 캡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입상 배관이 고무링에 압착되어 슬리브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입상배관이 고무링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되고, 슬리브에서 절단된 입상배관이 결합되므로 입상배관을 따라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슬리브에 발포체를 결합하는 과정이 매우 용이하고, 수밀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슬리브를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슬리브를 이용하여 입상배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상부 캡과 하부 캡을 체결할 때 사용하는 체결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보조 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보조 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1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2)에 매립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캡(120), 상기 몸체(110)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발포체(170)를 고정하는 고정구(130)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캡(140)으로 구성된다.
파이프 형태로 성형된 몸체(1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삽입구(112)와 하부 삽입구(117)가 형성되고, 일측에 다른 하수관과 접속 연결되는 합류관(118)이 형성된다.
몸체(110)는 슬라브(2)에 매립 설치되는데 상기 합류관(118)은 슬라브(2)에 매립되어 다른 하수원 예를 들면 싱크대, 세면대, 욕조 등에서 발생하여 유동하는 하수관과 결합되어 입상배관(1)으로 합류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몸체(110)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상부 확관부(111)와 하부 확관부(115)가 형성되고, 상부 확관부(111)의 내부에는 몸체(110)가 상향 연장된 형태로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태의 고무링 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0) 내부에는 내측으로 방사상 형태로 돌출된 스토퍼(114)가 형성되고, 하부 확관부(115)의 내부에는 파이프형태의 내통(116)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상부 캡(120)이 결합된다.
상부 캡(120)은 삽입구(121)를 구비하여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몸체(110)의 상부 확관부(111)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한다.
상부 캡(12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플랜지(122)가 돌출됨으로써, 작업자가 플랜지(122)를 파지하여 회전시켜 몸체(110)와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캡(120)의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반원 형태로 고무링 홈(124)이 형성된다. 상부 캡(120)을 몸체(110)에 체결하였을 때 상부 캡(120)의 고무링 홈(124)은 몸체(110)의 고무링 홈(113)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캡(120)의 상부 면에는 방사상으로 공구 홈(123)이 형성됨으로써, 공구 홈(123)을 이용하여 상부 캡(120)을 강하게 회전시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의 하부 확관부(115)와 내통(116) 사이에 고정구(130)가 삽입된다.
고정구(13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링 압착구(131)가 돌출된다.
상기 링 압착구(131)는 이후 설명하는 하부 캡(140)의 고무링 홈(143)에 안착된 고무링(102)을 압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링 압착구(131)가 고무링(102)을 단단하게 압착할 수 있도록 리브(13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하부 캡(140)이 결합된다.
하부 캡(140)은 삽입구(141)를 구비하여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몸체(110)의 하부 확관부(115)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한다.
하부 캡(140)이 몸체(110)에 결합하면 몸체(110)의 하부 확관부(115)와 고정구(130) 사이에 하부 캡(140)이 위치하게 된다.
하부 캡(140)의 하부 면에는 방사상으로 공구 홈(142)이 형성됨으로써, 공구 홈(142)을 이용하여 하부 캡(140)을 강하게 회전시켜 몸체(11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하부 캡(140)의 내측 바닥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고무링 홈(143)이 형성됨으로써, 하부 캡(140)을 몸체(110)에 체결하였을 때 고무링 홈(143)이 고정구(130)의 링 압착구(131)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를 이용하여 슬라브에 입상배관을 체결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와 하부 삽입구(117)가 노출되도록 슬라브(2)에 슬리브(100) 몸체(110)를 매립하여 설치한다. 이때, 도 7과 같이 몸체(110)의 합류관(118)에 다른 하수관이 결합된 상태로 몸체(110)가 슬라브(2)에 매립되도록 한다.
슬라브(2)에 몸체(110)를 매립 설치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에 입상배관(1)을 삽입한다.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에 입상배관(1)을 삽입하면, 입상배관(1)의 단부가 몸체(110) 내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스토퍼(114)에 걸려서 입상배관(1)이 몸체(1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에 입상배관(1)을 삽입한 후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캡(120)을 몸체(110)의 상부 확관부(111)에 체결한다.
이때, 몸체(110)의 상부 확관부(111) 내부에 형성된 고무링 홈(113)과 상부 캡(120) 내부에 형성된 고무링 홈(124)에 고무링(101)을 삽입한 상태로 상부 캡(120)을 체결한다.
상부 확관부(111) 내부에 형성된 고무링 홈(113)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 확관부(111) 내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성형되고, 상부 캡(120) 내부에 형성된 고무링 홈(124)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캡(120) 내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상부 캡(120)을 상부 확관부(111)에 체결할 때 고무링 홈(113,124)에 의해 고무링(101)이 압착되면서 몸체(110)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고무링(101)은 상부 확관부(111)에 삽입된 입상배관(1) 외면을 강하게 압착하면서 입상배관(1)이 움직이지 않도록 체결, 고정하는 동시에 수밀을 유지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2) 하부에 노출된 몸체(110)의 하부 삽입구(117)에 고정구(130)를 삽입하는데, 내통(116)이 고정구(130) 내부에 삽입되도록 고정구(130)를 몸체(110)의 하부 삽입구(117)에 삽입한다.
상기 내통(116)은 슬라브(2) 상부의 입상배관(1)을 통해 몸체(110)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새지 않고 모두 슬라브(2) 하부의 입상배관(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구(130)를 몸체(110)의 하부 삽입구(117)에 삽입한 후에는 도 11과 같이 슬라브(2) 하부의 입상배관(1)을 하부 캡(140)에 삽입한 후, 입상배관(1)을 몸체(110)의 하부 삽입구(117)에 삽입하여 내통(116)이 입상배관(1)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캡(140)을 몸체(110)의 하부 확관부(115)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한다.
이때, 하부 캡(140) 내부에 링 형태의 발포체(17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 캡(140)을 몸체(110)의 하부 확관부(115)에 나사 결합한다.
하부 캡(14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하부 확관부(115)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사 결합합으로써, 하부 캡(140)이 몸체(11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와 동시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체(170)는 하부 캡(140)과 고정구(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발포체(170)는 화재가 발생하면 열에 의해 발포하며 입상배관을 폐색함으로써, 하부 층의 화재가 입상배관을 타고 상부 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하부 캡(140) 내부에 형성된 고무링 홈(143)에 고무링(102)을 삽입한 상태로 하부 캡(140)을 체결한다.
하부 캡(140) 내부에 형성된 고무링 홈(143)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캡(140) 내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성형되는데, 하부 캡(140)을 하부 관관부(115)에 체결할 때 고무링 홈(143)에 올려진 고무링(102)이 고정구(130) 내측에 돌출된 링 찹착구(131)에 압착되면서, 고무링(102)이 하부 캡(140)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링(102)이 하부 캡(140)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하부 확관부(117) 내부로 삽입된 입상배관(1) 외면을 강하게 압착하면서 입상배관(1)이 움직이지 않도록 체결, 고정하는 동시에 수밀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슬라브(2) 상부와 하부의 입상배관(1)이 슬리브(100)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다.
상부 캡(120)의 상부 면과 하부 캡(140)의 하부 면에는 각각 방사상으로 공구홈(123,142)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구홈(123,142)에 체결 공구(150)를 삽입하여 상,하부 캡(120,140)을 견고하게 체결하도록 한다.
체결 공구(15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몸체(151) 상부에 공구 홈(123,142)에 대응하는 위치로 돌출된 투스(152)가 형성되고, 몸체(151) 외측으로 손잡이(153)가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결 공구(150)의 투스(152)를 상,하부 캡(120,140)의 공구 홈(123,142)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잡이(153)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상,하부 캡(120,140)을 더욱 더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고, 고무링(101,102)이 입상배관(1) 외면을 더욱 강하게 압착하여 입상배관(1)을 더욱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조 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100)의 몸체(110)는 슬라브(2)에 매립되는데, 슬라브(2)의 두께가 몸체(110) 보다 높을 때에는 보조 관(160)을 사용하여 슬라브(2)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한다.
보조 관(16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몸체(16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61)의 상부에 몸체(16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관부(1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162)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와 내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고무링 홈(163)이 형성된다.
슬라브(2)의 두께가 두꺼울 때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관(160)을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3)에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하여 슬라브(2)의 두께에 맞도록 높이를 조절한 후 슬라브(2)에 매립 설치한다.
그리고 보조 관(160)의 삽입구(164)에 입상배관(1)을 삽입하고, 보조 관(160)의 확관부(162)에 상부 캡(120)을 나사 결합하여 체결한다.
이때, 보조 관(160)의 고무링 홈(163)에 고무링(101)을 안착한 상태에서 상부 캡(140)을 체결함으로써, 고무링(101)이 입상배관(1) 외면을 압착하여 입상배관(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100)는 입상배관(1)을 구간별(예를 들면 층별)로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특정 구간이 막히더라도 입상배관(1)의 유지와 보수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슬리브(100)의 상부와 하부에 입상배관(1)을 삽입하고 상부 캡(120)과 하부 캡(140)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입상배관(1)이 고무링에 압착되어 슬리브(100)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입상배관(1)이 고무링(101,102)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되고, 슬리브(100)에 절단된 입상배관(1)이 결합되므로 입상배관(1)을 따라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슬리브(100)에 발포체(170)를 결합하는 과정이 매우 용이하고, 수밀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입상배관
2 : 슬라브
100 : 슬리브
101,102 : 고무링
110 : 몸체
111 : 상부 확관부
112 : 상부 삽입구
113 : 고무링 홈
114 : 스토퍼
115 : 하부 확관부
116 : 내통
117 : 하부 삽입구
118 : 합류관
120 : 상부 캡
121 : 삽입구
122 : 플랜지
123 : 공구 홈
124 : 고무링 홈
130 : 고정구
131 : 링 압착구
132 : 리브
133 : 걸림구
140 : 하부 캡
141 : 삽입구
142 : 공구 홈
143 : 고무링 홈
150 : 체결 공구
151 : 몸체
152 : 투스
153 : 손잡이
160 : 보조 관
161 : 몸체
162 : 확관부
163 : 고무링 홈
164 : 삽입구
170 : 발포체

Claims (10)

  1. 슬라브(2)에 상부 삽입구(112)와 하부 삽입구(117)가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몸체(110)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 확관부(111);
    상기 상부 확관부(111) 내부에 상부와 내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고무링 홈(113);
    상기 고무링 홈(113)에 안착되는 고무링(101);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몸체(110)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확관부(115);
    상기 하부 확관부(115)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의 고정구(130);
    삽입구(121)를 구비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확관부(111)에 나사 결합하는 상부 캡(120);
    상기 상부 캡(120) 내부에 형성되어 상부 캡(120)이 상부 확관부(111)에 체결되었을 때 고무링 홈(113) 상부에 위치하여 고무링(101)을 압착하여 고무링(101)을 몸체(110)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압착 수단; 및
    삽입구(141)를 구비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확관부(115)에 나사 결합하는 하부 캡(1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140)의 내부에 상부와 내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고무링 홈(143);
    상기 고무링 홈(143)에 안착되는 고무링(102); 및
    상기 고정구(130) 내부에 형성되어 하부 캡(140)이 하부 확관부(115)에 체결되었을 때 고무링 홈(143) 상부에 위치하여 고무링(102)을 압착하여 고무링(12)을 몸체(110)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압착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수단은 고정구(130) 내측으로 돌출된 링 압착구(131)이고, 상기 링 압착구(131)에는 방사상으로 리브(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확관부(115) 내부에는 입상배관(1) 내부로 삽입되는 내통(11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에는 방사상으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140)의 하부 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구 홈(142); 및
    몸체(151)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 홈(142)에 삽입되는 투스(152)와, 몸체(151)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53)로 구성된 체결 공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에 삽입되어 몸체(110) 높이를 조절하는 보조 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관(160)은,
    몸체(110)의 상부 삽입구(112)에 삽입되는 몸체(161);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61)보다 큰 직경으로 몸체(161)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캡(120)과 체결되는 확관부(162); 및
    상기 몸체(161) 내부에서 상부 방향과 내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고무링(101)이 안착되는 고무링 홈(1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서 몸체(110) 내부와 연통되고, 슬라브(2)에 매립되어 다른 하수관과 연결되는 합류관(1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KR1020200133581A 2020-10-15 2020-10-15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KR10222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81A KR102224528B1 (ko) 2020-10-15 2020-10-15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81A KR102224528B1 (ko) 2020-10-15 2020-10-15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528B1 true KR102224528B1 (ko) 2021-03-08

Family

ID=7518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581A KR102224528B1 (ko) 2020-10-15 2020-10-15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52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592Y1 (ko) * 2001-05-22 2001-10-15 정태영 건축용 관통슬리브
KR200393504Y1 (ko) * 2005-05-30 2005-08-22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KR200440679Y1 (ko)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090030997A (ko) * 2007-09-21 2009-03-25 박점순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140068395A (ko) 2012-11-28 2014-06-09 (주)유넷트코리아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170004159U (ko) 2016-06-02 2017-12-12 김오동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80001297U (ko)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밀림방지용 돌기가 구비된 입상배관용 관통슬리브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592Y1 (ko) * 2001-05-22 2001-10-15 정태영 건축용 관통슬리브
KR200393504Y1 (ko) * 2005-05-30 2005-08-22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KR200440679Y1 (ko)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090030997A (ko) * 2007-09-21 2009-03-25 박점순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140068395A (ko) 2012-11-28 2014-06-09 (주)유넷트코리아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170004159U (ko) 2016-06-02 2017-12-12 김오동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80001297U (ko)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밀림방지용 돌기가 구비된 입상배관용 관통슬리브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710B2 (en) Method for attaching flooring to a drain assembly
CN102725456B (zh) 盥洗室座凸缘的密封
KR101733095B1 (ko)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US20020032926A1 (en) Bathtub drain adapter
KR102398398B1 (ko) 내화충전제 부착형 입상관 시공장치
KR101967586B1 (ko) 슬리브의 입상배관 고정 구조
CN206512925U (zh) 全灌浆套筒、套筒连接结构、混凝土构件及混凝土构件连接结构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102224528B1 (ko) 입상배관 연결 설치형 슬리브
JP2010255348A (ja) 排水管継手及びこの排水管継手を用いた排水構造
CN1239793C (zh) 墙壁掩埋型水管箱
KR20210135918A (ko) 입상슬리브 조립체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CA306093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tub drain to the main plumbing of a structure
KR200317535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101256534B1 (ko) 슬리브 하수관 구조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JP2020153224A (ja) 配管構造
US7350822B1 (en) Lip coupling
KR102237343B1 (ko)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102209778B1 (ko)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200385879Y1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KR200305385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CN213872559U (zh) 一种高层建筑采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