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406B1 - 입상배관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입상배관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406B1
KR102498406B1 KR1020220099200A KR20220099200A KR102498406B1 KR 102498406 B1 KR102498406 B1 KR 102498406B1 KR 1020220099200 A KR1020220099200 A KR 1020220099200A KR 20220099200 A KR20220099200 A KR 20220099200A KR 102498406 B1 KR102498406 B1 KR 10249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astening
fixing
groove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어넷
Priority to KR102022009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슬라브를 관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입상 배관을 슬라브에 고정하는 입상배관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상배관 고정 구조 {A structure for fixing the riser pipe}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슬라브를 관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입상 배관을 슬라브에 고정하는 입상배관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 입상 배관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 도 1과 같이 슬라브(2)에 원통형 슬리브(10)를 설치하고, 입상배관(1)이 슬라브(2)의 관통구(11)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입상배관(1)과 슬리브(10)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외부의 충격이나 입상배관(1) 내부의 유체 유동에 의해 입상배관(1)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도 3과 같이 슬리브(2)에 체결되어 입상배관(1)을 체결, 고정하는 클램프(3)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클램프(30)는 반원판 형태의 제1, 2 플랜지(31, 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플랜지(31, 32)에는 각각 반원통 형태의 밴드(34)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제1, 2 플랜지(31, 32)는 힌지(33)로 체결되어 힌지(33)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 2 플랜지(31, 32)를 벌려서 슬리브(20)의 삽입구(21)에 삽입된 입상배관이 클램프(30)의 삽입구(36)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1, 2 플랜지(31, 32)를 닫응 후 제1, 2 플랜지(31, 32)의 체결편(24)에 체결볼트를 볼트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3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슬리브(20)에 체결구(22)가 형성되어야만 클램프(30)를 사용할 수 있고, 다른 규격의 슬리브(20)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이 입상배관(1)을 타고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 내부에 발포체를 삽입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에 의해 발포체가 발포하면서 입상배관(1)을 압착하고, 발포체가 슬리브 내부 공간을폐색함으로써 화재가 상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슬라브(2)에 슬리브(10)를 시공할 때 슬리브(10)에 입상배관을 삽입하고, 입상배관(1)과 슬리브(10) 사이에 발포체를 일일이 삽입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발포체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4159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1297호, "밀림방지용 동기가 구비된 입상배관용 관통 슬리브"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679호,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장치"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8395호, "이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규격의 일반적인 원통형 슬리브에서 입상배관을 체결, 고정할 수 있고, 발포체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입상배관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상배관 고정구조는 힌지 체결되어 여닫히는 반원통 형태의 제1 밴드(113a) 및 제2 밴드(113b)와, 상기 제1, 2 밴드(113a, 113b)가 각각 수평으로 연장된 판 형태의 제1, 2 플랜지(115a, 115b)와, 상기 각각의 플랜지(115a, 115b)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어 슬리브(140) 내면을 압착하는 압착구(130)와, 각 플랜지(115a, 115b)의 체결공(117)에 삽입되고 압착구(130)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압착구(130)를 회전 구동하는 고정볼트(118)로 구성된 클램프(110); 및 입상배관(1)이 삽입되는 삽입구(112)를 구비하여 슬라브(2)에 매립되는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1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착구(130)는 상기 고정볼트(118)가 나사결합되어 슬리브(140)의 내벽에 밀착되는 판 형태의 밀착편(131); 및 상기 밀착편(131)이 상향 연장되고 플랜지(115a, 115b)에 힌지 체결되는 로드(1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133)의 상단에 'ㄷ'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34); 및 각각의 플랜지(115a, 115b)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턱(122)이 내측으로 돌출된 장방형의 삽입홈(121);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걸림구(134)가 삽입홈(121)에 삽입되어 걸림구(134)가 힌지 역할을 하며 삽입홈(121)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121)의 일측에는 플랜지에서 하향 돌출된 스토퍼(1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118)가 삽입되는 체결공(117)은 장방형태로 성형되어 고정볼트(118)가 체결공(117)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133)의 일측에는 지지구(135)가 돌출되고, 지지구(135)의 하단이 밀착편(131)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140)의 몸체(141) 내부에는 입벽 형태이면서 몸체(141) 내부로 소정 간격 이격된 고정구(14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44)와 몸체(141) 내면 사이에 발포체(40)가 삽입되는 고정홈(1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140)의 내면에는 체결홈(147)이 구비된 공간 형태의 클립 수용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47)에 삽입되도록 몸체(151) 하부에 체결돌기(15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45)에 삽입된 발포체(40)를 지지하는 발포체 지지구(152)가 몸체(151) 상부에 형성된 클립(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규격의 일반적인 원통형 슬리브에도 입상배관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발포체를 간편하게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리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클램프와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리브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리브, 발포체 및 클립을 분해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입상배관(1)을 슬라브(2)에 고정하기 위한 입상배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클램프(110)와 슬리브(140)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통의 형태의 제1 밴드(113a)와 제2 밴드(113b)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 2 밴드(113a, 113b)의 하단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형태로 제1, 2 플랜지(115a, 115b)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1, 2 밴드(113a, 113b)의 일측 단부가 연장되어 수직의 입벽 형태로 제1, 2 체결편(114a, 114b)이 형성되고, 제1, 2 밴드(113a, 113b)의 타측 단부는 힌지(111)로 체결됨으로써, 힌지(111)를 중심으로 제1, 2 밴드(113a, 113b)가 회전하며 여닫히도록 구성된다.
제1, 2 밴드(113a, 113b)가 힌지(11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히면 중심에 입상배관(1)이 삽입되는 삽입구(112)가 형성되고, 제1, 2 밴드(113a, 113b)가 입상배관(1)을 압착하여 고정하며, 제1, 2 밴드(113a, 113b)가 닫힌 상태에서 제1, 2 체결편(114a, 114b)에 체결볼트와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제1, 2 밴드(113a, 113b)가 닫힌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클램프(110)의 하부 양측 - 제1, 2 플랜지(115a, 115b)의 하부 - 에는 각각 슬리브 내면을 압착하여 클램프(110)를 슬리브(140)에 체결하는 압착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압착구(1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132)를 구비한 수평 판 형태로 밀착편(131)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편(131)의 양측에는 각각 로드(133)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로드(133)의 상단에는 'ㄷ' 형태로 걸림구(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구(130)의 로드(133) 일측으로 지지구(135)가 돌출되는데, 상기 지지구(135)는 밀착편(131) 상부에 위치하도록 절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착구(130)는 제1 플랜지(115a)와 제2 플랜지(115b)의 하부 면에 체결되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2 플랜지(115a, 115b)의 하부면에 장방형이면서 일측에 걸림턱(122)이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장방형 삽입홈(121)이 소정 간격 - 압착구(130)의 로드(133) 사이의 간격 -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삽입홈(121)의 일측에는 플랜지 하부로 돌출된 스토퍼(119)가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압착구(130)의 걸림구(134)를 플랜지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121)에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압착구(130)의 걸림구(134)가 삽입홈(121)의 걸림턱(122)에 걸려 하부 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고정되고, 압착구(130)의 로드(133) 단부가 스토퍼(119)에 걸려 수평 방향으로 빠지지않고 고정되며, 압착구(130)는 걸림구(13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2 플랜지(115a, 115b)의 체결공(117)에 고정볼트(118)를 삽입하여 압착구(130)의 밀착편(131)에 형성된 체결구(132) - 내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음 - 에 나사 결합한다.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리브(140)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리브(140), 발포체(40) 및 클립(150)을 분해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리브(1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로 몸체(14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41)의 중심에는 입상배관(1)이 삽입되는 삽입구(14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41)의 삽입구(14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체결공(14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슬리브(140)의 하부에는 몸체(141)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고정구(144)가 형성됨으로써, 슬리브(140)의 몸체(141)와 고정구(144) 사이에 링 형태의 고정홈(14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45)에는 도 9와 같이 링 형태의 발포체(40)를 삽입하는데, 고정홈(145)에 삽입된 발포체(40)가 낙하하지 않도록 클립(150)으로 발포체(40)를 고정시킨다.
클립(1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51)의 상부에 호 형상의 판 형태로 발포체 지지구(152)가 형성되고, 몸체(151)의 하부 양측에 각각 체결돌기(153)가 상향 돌출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슬리브(140)의 몸체(141) 내면에는 공간 형태로 클립 수용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클립 수용부(146)에는 구멍 형태로 한 쌍의 체결홈(147)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9와 같이 링 형태의 발포체(40)를 블리브(140)의 고정홈(145)에 삽입한 후, 클립(150)의 체결돌기(153)를 슬리브(140)의 클립 수용부(146)에 형성된 체결홈(147)에 삽입한다.
클립(150)의 체결돌기(153)를 클립 수용부(146)의 체결홈(147)에 삽입하면 체뎔돌기(135)가 체결홈(147)에 억지끼움 되면서 클립(150)이 슬리브(140)의 클립 수용부(146)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판 형태인 클립(150)의 발포체 지지구(152)가 슬리브(140)의 고정홈(145)에 삽입된 발포체(40)의 저면에 밀착, 지지하여 발포체(40)가 고정홈(145)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정구조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클립(150)을 이용하여 슬리브(140)의 내부에 발포체(40)를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도 10과 같이 슬라브(2)를 시공하고, 슬리브(140)의 상부 위치에서 클램프(110)의 제1, 2 밴드(113a, 113b)가 입상배관(1)을 감사도록 체결한 후 제1, 2 체결편(114a, 114b)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는 클램프(110)-입상배관(1)은 체결상태이지만, 클램프(110)-슬리브(140)는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클램프(110)의 고정볼트(118)를 조여 클램프(110)와 슬리브(140)가 체결되도록 한다.
클램프(110)의 고정볼트(118)를 조이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고정볼트(118)와 나사결합된 압착구(130)가 힌지 역할을 하는 걸림구(13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압착구(130)가 걸림구(13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압착구(130)의 밀착편(131) 외측 테두리가 슬리브(140)의 내면을 압착하면서 클램프(110)가 슬리브(140)와 체결된다.
도 11과 같이 압착구(130)의 밀착편(131)이 슬리브(140) 내면을 압착하며 클램프(110)가 슬리브(140)에 체결되는데, 고정볼트(118)를 과도하게 조이면 압착구(130)의 밀착편(131)이 로드(133) 방향으로 휘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로드(133)의 일측 - 밀착편(131) 방향 - 에 지지구(135)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135)의 하단이 밀착편(131)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 바람직하게는 지지구(135)의 하단이 밀착편(131) 상부 면에 접하도록 - 구성함으로써, 밀착편(131)이 지지구(135)에 지지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압착구(130)의 회전 반경 내에 슬리브(140)의 내면이 위치하면 클램프(110)를 슬리브(140)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슬리브(140)에 클램프(110)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고정볼트(118)는 제1, 2 플랜지(115a, 115b)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체결공(117)에 삽입되므로, 장방형의 체결공(17)을 따라 고정볼트(118)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규격의 슬리브(140)에 클램프(110)를 체결할 수 있다.
클램프(110)를 슬리브(14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때는 도 4와 같이 제1, 2 플랜지(115a, 115b)에 형성된 체결공(116)과, 도 8과 같이 슬리브(140)의 몸체(141)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143)에 체결 볼트(미도시)를 체결함으로써, 클램프(110)를 슬리브(14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도 8과 같이 체결공(143)을 몸체(141)에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시공이 더욱 간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규격의 일반적인 원통형 슬리브에도 입상배관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발포체를 간편하게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1 : 입상배관
2 : 슬라브
40 : 발포체
110 : 클램프
111 : 힌지
112 : 삽입구
113a : 제1 밴드
113b : 제2 밴드
114a : 제1 체결편
114b : 제2 체결편
115a : 제1 플랜지
115b : 제2 플랜지
116 : 체결공
117 : 체결공
118 : 고정볼트
119 : 스토퍼
121 : 삽입홈
122 : 걸림턱
130 : 압착구
131 : 밀착편
132 : 체결구
133 : 로드
134 : 걸림구
135 : 지지구
140 : 슬리브
141 : 몸체
142 : 삽입구
143 : 체결공
144 : 고정구
145 : 고정홈
146 : 클립 수용부
147 : 체결홈
150 : 클립
151 : 몸체
152 : 발포체 지지구
153 : 체결돌기

Claims (8)

  1. 힌지 체결되어 여닫히는 반원통 형태의 제1 밴드(113a) 및 제2 밴드(113b)와, 상기 제1, 2 밴드(113a, 113b)가 각각 수평으로 연장된 판 형태의 제1, 2 플랜지(115a, 115b)와, 상기 각각의 플랜지(115a, 115b)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어 슬리브(140) 내면을 압착하는 압착구(130)와, 각 플랜지(115a, 115b)의 체결공(117)에 삽입되고 압착구(130)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압착구(130)를 회전 구동하는 고정볼트(118)로 구성된 클램프(110); 및
    입상배관(1)이 삽입되는 삽입구(112)를 구비하여 슬라브(2)에 매립되는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140);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구(130)는 고정볼트(118)가 나사결합되어 슬리브(140)의 내벽에 밀착되는 판 형태의 밀착편(131)과, 상기 밀착편(131)이 상향 연장되고 플랜지(115a, 115b)에 힌지 체결되는 로드(133)와, 상기 로드(133)의 상단에 'ㄷ'형태로 형성된 걸림구(134)와, 각각의 플랜지(115a, 115b)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턱(122)이 내측으로 돌출된 장방형의 삽입홈(121)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구(134)가 삽입홈(121)에 삽입되어 걸림구(134)가 힌지 역할을 하며 삽입홈(121)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21)의 일측에는 플랜지에서 하향 돌출된 스토퍼(1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118)가 삽입되는 체결공(117)은 장방형태로 성형되어 고정볼트(118)가 체결공(117)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33)의 일측에는 지지구(135)가 돌출되고, 지지구(135)의 하단이 밀착편(131)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40)의 몸체(141) 내부에는 입벽 형태이면서 몸체(141) 내부로 소정 간격 이격된 고정구(14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44)와 몸체(141) 내면 사이에 발포체(40)가 삽입되는 고정홈(1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40)의 내면에는 체결홈(147)이 구비된 공간 형태의 클립 수용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47)에 삽입되도록 몸체(151) 하부에 체결돌기(15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45)에 삽입된 발포체(40)를 지지하는 발포체 지지구(152)가 몸체(151) 상부에 형성된 클립(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구조.
KR1020220099200A 2022-08-09 2022-08-09 입상배관 고정 구조 KR10249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200A KR102498406B1 (ko) 2022-08-09 2022-08-09 입상배관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200A KR102498406B1 (ko) 2022-08-09 2022-08-09 입상배관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406B1 true KR102498406B1 (ko) 2023-02-10

Family

ID=8522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200A KR102498406B1 (ko) 2022-08-09 2022-08-09 입상배관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40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79Y1 (ko)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140068395A (ko) 2012-11-28 2014-06-09 (주)유넷트코리아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170004159U (ko) 2016-06-02 2017-12-12 김오동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80001297U (ko)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밀림방지용 돌기가 구비된 입상배관용 관통슬리브
KR101957432B1 (ko) * 2018-08-21 2019-03-12 주식회사 파이어넷 일반 슬리브용 입상배관 클램프
KR101969052B1 (ko) * 2018-08-03 2019-04-15 전상집 배수관 고정용 이지 클램프
KR20200016446A (ko) * 2018-08-07 2020-02-17 탁준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편심조정 슬리브 구조체
KR20200080113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청완 입상배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79Y1 (ko)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140068395A (ko) 2012-11-28 2014-06-09 (주)유넷트코리아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170004159U (ko) 2016-06-02 2017-12-12 김오동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80001297U (ko)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밀림방지용 돌기가 구비된 입상배관용 관통슬리브
KR101969052B1 (ko) * 2018-08-03 2019-04-15 전상집 배수관 고정용 이지 클램프
KR20200016446A (ko) * 2018-08-07 2020-02-17 탁준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편심조정 슬리브 구조체
KR101957432B1 (ko) * 2018-08-21 2019-03-12 주식회사 파이어넷 일반 슬리브용 입상배관 클램프
KR20200080113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청완 입상배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84274A1 (en) Quick-Threaded Rod Locking Device and Method
US10935164B2 (en) Device for supporting horizontal pipe in four directions
KR100515730B1 (ko) 철망이 조립식으로 설치된 낙석방지책
KR102007947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및 시공방법
US3890758A (en) Anchoring device for securing and positioning equipment
KR20200080113A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140115596A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170021267A (ko) 파일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KR102498406B1 (ko) 입상배관 고정 구조
US5957644A (en) Hanger for use in concrete structures
KR101950678B1 (ko) 건축용 조적벽 보강장치
US10081935B2 (en) Brace support device
KR200427523Y1 (ko)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KR101957432B1 (ko) 일반 슬리브용 입상배관 클램프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102302676B1 (ko)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 구조
KR101210682B1 (ko) 조립식선반용 클램프
KR101783388B1 (ko) 고정구가 구비된 안전 서포트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101540253B1 (ko)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20110024673A (ko) 볼트 체결용 인서트
JP2008163652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脚構造およびその柱脚構造用金具
KR20190000657U (ko) 스프링 볼트
KR20190001817U (ko) 거푸집 간격유지 고정장치
KR20190109060A (ko) 원터치로 고정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십자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