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593B1 -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593B1
KR101618593B1 KR1020140072949A KR20140072949A KR101618593B1 KR 101618593 B1 KR101618593 B1 KR 101618593B1 KR 1020140072949 A KR1020140072949 A KR 1020140072949A KR 20140072949 A KR20140072949 A KR 20140072949A KR 101618593 B1 KR101618593 B1 KR 10161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mposite panel
fire
composi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166A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이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이제희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14007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59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화재 시 상기 심재의 연소를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연소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합패널은 서로 인접하는 복합패널과 복합패널이 양 삽입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화재가 전이되지 않도록 하면서 복합패널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패널연결재; 상기 패널연결재의 몸통부 내부로부터 끼워져 설치된 복합패널의 심재에 소화수를 분사시키기 위하여 패널연결재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수의 소화홀이 형성된 소화관; 및 상기 소화관에 연결되어 복합패널 또는 복합패널 주위에 설치된 급수관;이 포함된다. 또한 복합패널을 사용한 건축물(벽체,지붕)의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열이 외부의 패널보드를 통해 심재에 전달되고, 이 열로 인하여 심재가 용융되면서 틈이 발생하면 상기 급수관에서 공급된 물이 이 틈을 통해 화재지점에 도달하여 화재를 진화하거나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는 복합패널의 화재 진화 및 연소확대 방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COMPOSITE PANNEL FOR FIRE TRANSITION}
본 발명은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철판, 무기물 등 불연보드로 만들어진 얇은 패널보드와 패널보드 사이에 단열성이 높은 일정한 두께의 충전재(이하“심재”라 함)가 삽입되어 일체화된 건축물의 내외벽체 또는 지붕에 사용하는 복합패널(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화재 시 상기 심재의 연소를 방지 또는 지연시켜 화재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패널(복합판넬, 10)은 도 1a와 같이 패널보드(11, 철판 등)과 패널보드(11)사이에 단열재인 심재(12)를 삽입시켜 일체화시킨 것으로서 건축물의 내외벽에 널리 사용되는 건축자재이다.
이러한 복합패널(10)은 열전도율이 낮고, 가격이 저렴하며, 심재의 경량에 따른 시공의 편리성 때문에 공장, 창고 등 용도의 건축물에서 특히 외벽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패널보드와 패널보드 사이에 사용되는 심재로는 단열성이 우수한 재료를 필요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그라스울(glass wool), 미네랄울(암면) 등과 같은 무기물 충전재와 스티로폼, 우레탄폼 등과 같은 유기물 충전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그라스울, 미네랄울(암면) 등의 무기물 심재를 사용한 복합패널은 내화성능도 우수하여 대형 건축물에서는 이들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일반 EPS나 우레탄 폼의 유기물 충전재를 사용한 복합패널은 가격이 저렴하고, 단열성시공성비흡수성 등 기계적열적성능이 우수하나 화재에 매우 취약한 가연성 때문에 이를 사용한 복합패널은 원칙적으로 건축물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이 갖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심재의 난연성능을 강화시킨 난연 EPS, 난연 우레탄 폼을 사용한 패널보드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라스울, 미네랄울(암면)에 비해 내화성능이 크게 낮아 화재에 대한 위험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즉, 일단 화재가 발생하여 심재에 점화가 되면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철판 등과 같은 패널보드로 인하여 스프링클러 등 소화설비가 작동하여도 소화수가 침투되지 않아 소화가 거의 불가능하다.
심재에는 수많은 공극이 발달되어 있으며, 공극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불완전연소가 지속되면서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기물 심재를 사용한 복합패널 화재시에는 스프링클러 등 건물에 기설치된 소화설비가 작동되거나 소방차에서 살수하여도 패널보드의 외부에 부착된 철판으로 인하여 소화수가 침투하지 못해 소화가 불가능하여 전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하여 다량의 인명피해, 대규모 재산피해 및 환경적 피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기물 복합패널을 사용한 건축물은 화재안전성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복합패널의 이음부위에 세라믹 울을 충전하고, 이음부위를 리벳체결 공법으로 시공하여 연결하고는 있지만 이러한 현장 연결시공 방식(이음재)은 시공품질 확보의 어려움, 높은 시공비 등 현장 적용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나아가 소화기능을 가진 종래 복합패널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종래 “수로관 내장 장치(水路管內裝裝置), 10-2010-0021633”의 경우 수로철관(水路鐵管)을 내장하여 화재 시 물 혹은 소화액을 유입(流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도 1b와 같이 복합패널(10)의 심재 제작 시 별도의 수로(20, 별도의 관부재)를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에 어려움이 있고, 시공시에도 수로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종래 “소화기부를 내장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10-2006-0052217 ”의 경우에는 소화기능이 있는 소화액(기체)을 충전한 소화기를 자체에 내장하여 화재 시 소화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복합패널 본체에 관한 것으로, 복합패널 본체를 연결하면서 소화기능을 부여한 본 발명과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종래 “불의 차단막이 단열보드가 내장된 샌드위치 패널, 10-2008-0071019“의 경우도 후면강판 사이의 단열재인 충전재를 감싼 무기질 단열보드를 내장하여 복합패널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 화재 시 화재의 급속한 확산을 차단하여 소화시키도록 한 것으로 역시 본 발명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종래 “화재 확산방지기능이 있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10-2009-0009976”는 복합패널 심재(충전재)를 연속으로 연결할 때 연결면에 수용성 방염코팅 처리하고 그 사이에 화기 차단판을 삽입·접착하여 패널의 생산하면 화재 시 불의 확산은 물론 불을 약화시켜 소화기능을 부여한 복합패널 제작기술로서 복합패널을 연결하는 연결재에 소화기능을 부여한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복합패널의 화재 시 발화가 일어난 복합패널에서 인접한 복합패널로 연소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화수가 침투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복합패널과 복합패널 사이에 불연성 복합패널을 삽입한 완충공간을 마련하는 등 근본적으로 화재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복합패널 화재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한 복합패널에서 이와 인접한 복합패널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널보드 사이에 내화성능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완충공간을 설치함과 더불어 화재 시 소화수를 침투시킬 수 있는 소화장치를 갖추어 근본적인 복합패널의 연소 방지 및 제어가 가능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복합패널을 시공할 때 서로 이웃하고 있는 복합패널과 복합패널 사이에 복합패널연결용 패널연결재를 설치하고, 상기 패널연결재에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소화급수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말하자면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이 표면의 패널보드를 통해 전달되고, 이로 인해 패널보드에 붙어 있는 접착제가 용융되고, 다음으로 심재(EPS, 우레탄 폼 등)가 용융되면서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연결재에는 화재감지기 등에 의해 소화급수장치가 작동되어 소화수가 공급된 상태가 되며, 소화수가 심재 용융으로 생긴 상기 틈을 통해 연소지점에 공급되어 소화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패널연결재는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하고, 소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므로 물이 공급되면 어느 정도의 열에 견딜 수 있지만 안전을 위하여 내화성능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화재 완충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 주요한 기능이다.
이러한 방법은 내화성능이 떨어지는 심재를 사용한 복합패널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재가 복합패널 전체로 번지지 않도록 소화할 수 있어 대형화재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둘째, 상기 소화수를 급수시킬 수 있는 소화장치는 패널연결재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소화관의 단부 또는 패널연결재를 관통하는 소화홀에 연결되는 연결캡과 급수관을 포함하도록 하여 소화수의 효율적인 급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소화수를 공급하는 구조는 상기와 같이 패널연결재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패널보드와 패널보드사이에 암면, 글라스울 등 다공극의 불연재를 충전하고 여기에 물을 공급함으로서 공극을 통해 소화수를 공급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가연성 심재를 사용한 복합패널 건축물의 화재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방안을 제공하여 화재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화재가 발생한 복합패널에 설치된 패널연결재의 소화관이나 글라스울 등 다공극 충전물을 통해서 소화수가 공급되면 화재열로 인하여 심재가 용융되어 발생한 틈을 통하여 소화수가 침투되어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또한, 패널연결재의 폭을 인접한 복합패널에서 발생한 화재연소가 확산되지 않을 정도의 일정한 치수 이상으로 유지하면 열과 화염을 차단하여 인접한 복합패널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패널연결재 등을 이용한 소화방법은 이웃하고 있는 복합패널을 리벳 등의 기계적 체결방법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맞물려 시공할 수 있어 현장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리벳 등 기계적인 시공이 안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갖는 가장 중요한 효과는 종래 가연성 복합패널이 안고 있었던 화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제공함으로서 인명과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고, 관련 산업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1a는 종래 복합패널 사진 및 시공사진,
도 1b는 종래 소화기능을 가진 복합패널의 구성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수직시공 복합패널에 대한 본 발명의 연소확대 방지용 복합패널의 작용도,
도 2c는 복합패널과 복합패널 사이에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등가 같은 친수성의 다공극 불연성재료를 충전하여 소화수를 분배·공급하므로서 패널연결재를 대신하는 구성사시도,
도 3a및 도 3b는 수평시공 복합패널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연소확대 방지용 복합패널의 구성사시도 및 발췌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의한 복합패널의 구성사시도 및 발췌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연소 확산 방지기능을 복합패널의 작용 ]
도 2a는 본 발명의 연소 확산 방지기능을 복합패널(100)에 적용한 작용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복합패널(100)은 패널보드(110)와 패널보드(110) 사이에 심재(120)가 충전, 삽입되어 서로 일체화된 것이다.
상기 패널보드(110)는 철판을 주로 이용하는데 알루미늄이나, 무기물 불연보드 등 각종 재질의 얇은 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색상이 도색된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평판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절곡판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패널보드(110)와 패널보드(110) 사이에 유기물이나 무기물로 만들어진 심재(120)가 일정한 두께로 부착되는데, 심재(120)의 기본기능은 단열이다.
현재 심재로서는 우수한 단열성능을 가지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한 EPS, 우레탄 등 유기물 심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유기물 심재의 문제는 내화성능이 낮아 화재 시 쉽게 연소가 일어나고, 다량의 유독성 가스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에 다소 효과가 있는 난연성 심재도 있으나 고가이고, 수많은 화재사고를 통해 확인된바와 같이 발열량이 높은 실제 화재시에는 화재방지 효과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화성능을 구비하였거나, 구비하지 않은 심재를 사용한 모든 복합패널에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다소 내화성능이 떨어지는 심재를 사용하는 복합패널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내화성능이 떨어지는 심재(120)로서는 앞서 언급한 난연 및 일반 EPS, 우레탄 폼이 대표적인 재료이다.
본 발명의 기본은 화재 시 패널보드(110)가 열을 받으면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전 표면으로 급속히 열전달이 일어나 온도가 급속히 높아지면서 패널보드(110)와 심재(120)를 붙임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해져 발생한 틈이나, 열에 의하여 심재(120)가 용융하여 발생한 틈을 통해 연소지점으로 소화수를 공급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것이다. 즉, 이들 틈을 통해 화재신호를 받아 작동한 소화장치에 의해 상기 패널연결재(200) 등에 공급된 소화수(또는 특별히 제조된 소화액, 소화가스 등 소화약제)가 이들 틈을 통하여 연소지점에 스며들어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접한 심재 즉 복합패널로 연소가 확산되지 않게 된다.
이에 종래의 기술인 도 1b와 같은 소화관을 심재(120)를 관통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럴 경우 심재(120)에 소화관을 설치하는 것은 제작이 매우 어렵고, 소화수가 한곳으로 편중되어 공급됨으로서 소화에 실패할 수 있으며, 평상시 단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화관(300)을 이웃하고 있는 복합패널의 연결부위에 설치함으로서 특정부위로 편중되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완전한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별성을 확보하였다.
이때 복합패널과 복합패널 사이에 소화관(300)을 수용하면서 이들을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가진 것이 본 발명의 패널연결재(200)로서, 소화관(300)은 패널연결재(200) 자체에 가공되어 일체화된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널연결재(200)에는 소화관(3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소화수를 공급하는 배관역할을 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도 있지만, 화재 시 복합패널과 복합패널 사이에서 물이 충만한 상태를 유지하여 심재연소 확대에 대한 완충구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된 복합패널로부터 인접한 복합패널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갖게 된다.
이에 완충구간 기능을 하는 패널연결재(200)는 복합패널(100)과 복합패널(100)을 연결함에 있어 작업이 복잡하면 시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복합패널(100)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간단하게 연결되도록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의 형상은 복합패널(100)의 연결단부에 맞추어 변경하면 된다.
이에 상기 패널연결재(200)는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흐르는 소화수로 인해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도 있기 때문에 내화PVC 등 일반 재료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2a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복합패널의 연결단부 일측에는 패널연결재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하여 연결되고, 패널연결재의 타측에는 복합패널의 연결단부 타측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리벳등의 기계적 체결방법으로 연결하지 않아 시공성 및 작업성을 확보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2a와 같이 패널연결재(200)의 경우 내부에 형성된 소화관(300)이 가공된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양 측방에 형성되는 양 연결단부는 복합패널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는 개방된 양 삽입부(220,230)로 형성되며, 양 삽입부의 직경은 복합패널의 연결단부의 단면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패널연결재(200)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화관(300)이 구비되어 있으며, 소화관(300)에는 물을 심재에 분배하는 소화홀(3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소화관(300)에 급수된 소화수는 소화홀(310)을 통해 심재에 공급되며, 공급된 소화수는 화재열로 인하여 심재가 용융되어 발생한 틈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소화시키고, 화재전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소화홀(310)로부터 심재(120)로 소화수가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원형, 사각 구조의 단순한 형태만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분사노즐(320) 형태를 상기 소화홀(310)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직경이 작은 관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압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타켓 소화가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소화관(300)은 전달되는 열에 의한 심재(120)의 용융으로 형성된 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틈에 소화수를 심재의 연소지점에 도달하도록 하면 된다.
이때 소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400)과의 연결 및 소화수가 소화관(300)으로부터 누수되지 않도록 패널연결재(200)의 단부에는 연결캡(240)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급수관(400)과 소화관(300)의 안정적인 연결 및 소화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패널연결재(200)는 몸통부(210), 양 삽입부(220,230) 및 소화관(300)이 일체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복합패널은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를 연결하여 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패널연결재(200)의 급수관(400)을 연결하는 연결구(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연결캡을 이용할 수 있음)를 제작하여 상호연결하면 길이방향의 길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마지막 연결재의 끝은 폐쇄한다.
도 2b는 도 2a의 변형 예라 할 수 있다. 즉, 도 2a에 의하면 패널연결재(200)에 형성된 소화관(300)으로 급수하는 방법은 복합패널 단면에 설치한 별도의 급수관(400)에 의해 소화수를 급수하는 방법이며, 도 2b는 복합패널 표면에 수평으로 설치한 다른 설치방식의 급수관(400)에 의해 소화관(300)과 연결하는 연결 캡(240)에 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2b 에서는 이러한 연결 캡(240)에 의한 급수를 패널연결재(200)에 추가로 형성시킨 급수홀(330)에 의하여도 가능함을 보인 것이다.
급수관(400), 급수캡(240), 급수홀(330)은 복합패널의 수량, 배치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능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복합패널의 배치방향(가로 또는 세로)에 관계없이 연결부위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연결재(200)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것을 이용하게 되므로 패널연결재(200)를 제작할 때 미리 상기 급수홀(330)이 형성된 것으로 제작하고 이에 따른 급수관(400)을 설치하게 되면 패널연결재(200)의 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상기 급수관(400)과 급수홀(330)의 연결은 연결캡(240)을 이용하면 된다. 즉 연결캡(240)의 일단을 급수과(400)에 연결하고 타단을 급수홀(330)에 연결시켜 소화수의 급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a 와 도 2b는 복합패널의 수평시공과 수직시공 모두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c와 같이 패널연결재(200)의 변형예로서 복합패널과 복합패널 연결부위에 글라스울, 암면 등과 같이 흡수성이 높으면서 공극이 많은 다공극 불연성 재료(280)를 충전시키고 여기에 소화수를 가압하여 공급해도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패널연결재(200)를 사용하지 하거나 사용하지 않고(도 2c는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 복합패널(100)과 복합패널(100)의 연결부위에 일정한 두께의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등 친수성의 다공극 불연재를 삽입하여 소화수를 전 구간에 분배하여 패널연결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복합패널(100)의 배치방향(수직 또는 수평)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급수관(400)은 다공극 불연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고, 적당한 간격으로 연결캡(240)을 배치하여 급수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연소 확산 방지기능을 보유한 복합패널 ]
[ 실시예 1]
실시 예 1은 복합패널(100)이 상,하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패널연결재(200)를 상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00a)과 하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00b)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이다.
즉,도 3a와 같이 복합패널(100a,100b)이 상하로 위치하고 있을 때, 통상 하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00b)에 화재가 발생하여 심재가 연소하는 경우, 화재는 통상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00a)에 전이된다. 이러한 전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패널연결재(200)가 상부 복합패널(100a)과 하부 복합패널(100b)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에 패널연결재(200)는 상부 복합패널(100a)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단부 내측에 일측 삽입부(220)가 삽입되도록 하고, 타측 삽입부(230)에 하부 복합패널(100b)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도록 설치함으로서 공급수가 연소가 진행되고 있는 하부 복합패널(100b)의 심재로 공급되고, 일부는 외부로 흘러 복합패널을 냉각시킴으로서 심재의 연소확산을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도록 상기 패널연결재(200)를 설치하여 소화수를 공급함으로서 하부 복합패널(100b)로부터 상부 복합패널(100a)로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화재가 하부 복합패널(100b)에 발생하게 되면 패널보드(110)을 통해 전달되는 열로 인한 높은 온도로 인해 접착면의 분리, 내부의 심재(120)용융 등으로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패널연결재(200) 내부에 형성된 소화관(300)에 소화수를 급수하게 되면, 급수된 소화수는 소화관(300)에 형성된 소화홀(310) 또는 분사노즐(320)을 통해 상기 틈 또는 틈 주위로 유입하여 연소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틈을 따라 하부 복합패널(100b)의 연소가 진해되는 심재에 소화수가 급수되므로 심재의 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화관(300)의 양 단부(또는 한쪽)에는 연결캡(240)에 의하여 급수관(400)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급수관(400)과 연결된 미 도시된 소화전으로부터 소화수가 공급되도록 하는데, 이들 소화관(300), 급수관(400)의 배치는 복합패널(100)의 배치방법, 수량에 따라 기술적인 검토를 거쳐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b는 이에 대한 구성 례로서 이에 의하면 상하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패널연결재(200)를 상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00a)과 하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00b)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는 인접한 다른 상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00a)과 하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00b) 사이에 설치된 패널연결재(200)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속하여 설치할 수 도 있음을 있다. 즉, 패널연결재(200)는 복합패널이 연속적으로 설치될 때 그 사이에 연속해서 패널연결재(2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급수관(400)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적의 조정하면 된다.
또한 도 3b에서 패널연결재(200)에 별도로 형성시킨 급수홀(330)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면 이에 따른 다른 급수관(400)을 설치함으로서 패널연결재(200)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2]
실시 예 2는 실시 예 1과 대비하여 소화관(30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로서, 복합패널(100)이 좌, 우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패널연결재(200)가 좌측에 위치한 복합패널(100c)과 우측에 위치한 복합패널(100d)이 설치되는 경우이다. 즉, 도 4a와 같이 복합패널(100c,100d)이 좌, 우로 위치하고 있을 때 화재는 좌, 우 임의적으로 전이될 수 있다.
이러한 전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패널연결재(200)를 좌측 복합패널(100c)과 우측 복합패널(100d)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한다. 이는 패널연결재(2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좌측 복합패널(100c)과 우측 복합패널(100d)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패널연결재(200)에 의하여 좌측 복합패널(100c)과 우측 복합패널(100d) 양쪽으로 화재가 기본적으로 전이되지 않게 된다. 즉,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내부의 심재(120)가 역시 용융 등이 되면서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패널연결재(200) 내부에 형성된 소화관(300)에 역시 소화수를 급수하게 되면 급수된 소화관은 소화관(300)에 형성된 소화홀(310) 또는 분사노즐(320)을 통해 상기 틈 또는 틈 주위에 분사된다.
이에 틈을 따라 좌측 복합패널(100c)과 우측 복합패널(100d)의 심재에 소화수가 급수되므로 심재의 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화관(3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역시 연결캡(240)에 의하여 급수관(400)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급수관(400)과 연결된 미 도시된 소화전으로부터 소화수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b에서 패널연결재(200)에 별도로 형성시킨 급수홀(330)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면 이에 따른 다른 급수관(400)을 설치함으로서 패널연결재(200)의 활용성이 높일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패널연결재(200)는 일정한 길이로 정해질 수 있으나 서로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패널연결재(200)의 연결단부가 서로 삽입되어 끼워지는 패널연결관(미도시)을 더 준비하여 패널연결재(200)의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는 연결되는 복합패널의 설치개수 및 장소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소화관(400)은 연결캡(240)을 이용하여 도 3b와 같이 양 쪽으로 연장된 돌출관을 통해 패널연결재(200)의 소화관(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소화관(300)의 연결단부는 서로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제 등으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물론 패널연결재(200)의 소화관(300)은 이웃하고 있는 소화관과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단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화재시 심재는 상하좌우 어느 쪽으로든 연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시 예 1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방법을 동시에 적용한 복합구조로 연결재를 배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패널은 건축물의 내외벽체 또는 지붕에 사용하는 복합패널(샌드위치 패널)으로 사용함으로서 우수한 소화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a, 100b, 100c, 100d : 복합패널
110 : 패널보드
120 : 심재 200 : 패널연결재
210 : 몸통부 220, 230 : 삽입부
240 : 연결캡 280 : 다공극 불연성 재료
300 : 소화관
310 : 소화홀 320 : 분사노즐
330 : 소화홀 400 : 급수관

Claims (5)

  1. 패널보드 사이에 단열재인 심재가 부착된 건축용 복합패널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복합패널과 복합패널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화재가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패널연결재;
    상기 패널연결재(200)와 일체화하여 상기 패널연결재(200) 내부의 심재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복합패널의 심재(120)에 소화수를 분사시키기 위하여 패널연결재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수의 소화홀(310)이 형성된 소화관(300);
    상기 소화관(300)에 연결되어 복합패널 또는 복합패널 주위에 설치된 급수관(400);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연결재의 소화관(300)에 형성된 소화홀(310)에 분사노즐(320)이 더 형성되어 분사노즐로부터 소화수가 심재의 틈에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급수관(400)과 소화관(300)은 연결캡(240)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복합패널(100)이 상,하로 연결된 경우 상기 패널연결재(200)는 상부 복합패널과 하부 복합패널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복합패널(100)이 좌,우로 연결된 경우 상기 패널연결재(200)는 좌측 복합패널과 우측 복합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패널연결재(200)에 형성시킨 급수홀(330)에 상기 연결캡(240)을 이용하여 급수관(400)과 소화관(300)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연결재는 다공극 불연성 재료(280)로서 복합패널과 복합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소화수를 분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관(300)은 전달되는 열에 의한 심재(120)의 용융으로 형성된 틈으로 소화수가 심재의 연소지점에 도달하도록 하는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KR1020140072949A 2014-06-16 2014-06-16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KR101618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949A KR101618593B1 (ko) 2014-06-16 2014-06-16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949A KR101618593B1 (ko) 2014-06-16 2014-06-16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66A KR20150144166A (ko) 2015-12-24
KR101618593B1 true KR101618593B1 (ko) 2016-05-09

Family

ID=5508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949A KR101618593B1 (ko) 2014-06-16 2014-06-16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79U (ko) 2022-07-06 2024-01-15 최지원 방화수 공급로가 형성된 샌드위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513B1 (ko) * 2018-06-04 2019-02-28 최병철 건물내외벽의 화재확산 방지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건물내외벽의 화재확산 방지품
KR102649837B1 (ko) * 2023-07-10 2024-03-21 김병민 화재지연 및 확산방지용 샌드위치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79U (ko) 2022-07-06 2024-01-15 최지원 방화수 공급로가 형성된 샌드위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66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593B1 (ko)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CN203499059U (zh) 一种单元式幕墙防火封堵结构
CN105937288A (zh) 具有消火功能的夹层板及利用其的建筑墙体
JP6193249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4907499B2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KR102042337B1 (ko) 층간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수직배관관통공 내화충전구조
CN202324221U (zh) 一种保温板结构
JP2010139056A (ja) 防災配管方法及び耐火カバー
KR20140089642A (ko) 건축물의 관통부용 보온이 완료된 금속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20170001320A (ko) 조립식 복합패널 건축물의 화재확산 방지 및 소화장치
KR101435958B1 (ko) 조립식 건축패널
KR20050110339A (ko) 화재 확산방지용 건축패널
CN209603307U (zh) 一种装配式混凝土建筑外墙挂板的横缝构造
CN206545319U (zh) 一种具有防火防水功能的建筑板材
CN202214843U (zh) 一种防火保温板
CN210494946U (zh) 消防防火隔离带系统
CN210767292U (zh) 超宽幅外墙保温用憎水岩棉板
KR20120133538A (ko) 건축물의 관통부용 금속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102132477B1 (ko) 소화용 파이프 및 이의 시공 방법
CN208009480U (zh) 沉管隧道管节接头结构
KR20170130186A (ko) 샌드위치 패널 간 접합부에서 화염 및 열의 침투를 차단하는 화염 및 열 차단 부재
KR101153203B1 (ko) 화재 전이 방지 기능을 갖는 한옥 지붕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7327285A (ja) 防火断熱パネル
CN211266362U (zh) 用于装配式冷库顶部的穿线结构
CN209805344U (zh) 用于冷库的防火、防冷桥电缆穿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