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865Y1 - 관통 슬리브 마감구 - Google Patents

관통 슬리브 마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865Y1
KR200444865Y1 KR2020070005254U KR20070005254U KR200444865Y1 KR 200444865 Y1 KR200444865 Y1 KR 200444865Y1 KR 2020070005254 U KR2020070005254 U KR 2020070005254U KR 20070005254 U KR20070005254 U KR 20070005254U KR 200444865 Y1 KR200444865 Y1 KR 200444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iece
arm piece
drain pipe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346U (ko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최해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권 filed Critical 최해권
Priority to KR2020070005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86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이나 천장 등에 배수관 등을 관통시키기 위해 매설한 관통 슬리브와 상기 관통 슬리브를 통해 배관된 배수관 사이의 공간을 막기 위한 관통 슬리브 마감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여 배관된 배수관과 관통 슬리브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관통 슬리브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관통 배수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환 형태의 마감구를 암편과 숫편으로 형성하여 이미 배관된 배수관과 관통 슬리브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제공한다.
관통 슬리브 마감구

Description

관통 슬리브 마감구{Closeing Tool for Penetration Sleeve}
도1은 종래의 관통 슬리브 마감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관통 슬리브 마감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해체한 상태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4는 도2의 선 A-A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관통 슬리브 마감구 11,21 : 덮개부
12,22 : 관 밀착부 30 : U자형 암편
31 : 가이드 홈 32 : 걸림홈
33 : 삼각 돌출부 40 : 숫편
41 : 가이드 42 : 걸림턱
43 : 삼각홈
본 고안은 벽이나 천장 등에 배수관 등을 관통시키기 위해 매설한 관통 슬리브와 상기 관통 슬리브를 통해 배관된 배수관 사이의 공간을 막기 위한 관통 슬리브 마감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여 배관된 배수관과 관통 슬리브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관통 슬리브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관통 배수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환 형태의 마감구를 암편과 숫편으로 형성하여 이미 배관된 배수관과 관통 슬리브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 등을 관통하여 배관되는 배수관 또는 가스관 등은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이 설치될 위치에 관통 슬리브를 먼저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벽이나 바닥의 설계된 위치에 배관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매설된 관통 슬리브를 관통시켜 각종 배수관이나 가스관을 연결한 다음, 관통 슬리브와 관통한 배수관 또는 가스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타르 같은 마감재를 이용하여 그 공간을 밀폐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실리콘이나 타르 등의 몰딩 마감재를 이용하여 관통 슬리브와 배수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경우에는 차후 배수관 또는 가스관 교체 작업시 마감재를 떼어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매설된 관통 슬리브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통 슬리브 마감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관통 슬리브 마감구(10)는 관통 슬리브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배관된 배수관 또는 가스관 등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환 형태의 덮개부(11)와, 내경을 따라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일정한 높이의 수직 띠형으로 형성된 관 밀착부(12)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관통 슬리브 마감구(10)는 하나의 환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반드시 배관 전에 배수관 또는 가스관에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관 또는 가스관을 연결하고, 차후에 관통 슬리브 마감구(10)를 관통 슬리브로 밀착시켜 관통 슬리브와 배수관 또는 가스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기 때문에, 이미 배관된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관통 슬리브 마감구(10)를 사용하였더라도 건축 공정중에 작업자의 잘못으로 파손된 경우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없고, 상기 관통 슬리브 마감구(1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배관들을 일일이 해체하고, 관통 슬리브 마감구(10)를 삽입한 후 다시 배관들을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U자형의 암편과 그 암편에 착탈 가능한 숫편으로 형성함으로써 배수관 또는 가스관의 연결상태에 상관없이 관통 슬리브와 배관된 배수관 또는 가스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관 설치 또는 교체 작업시 작업자에 의해 관통 슬리브 마감구가 파 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관통 슬리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다른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관통 슬리브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여 연결되는 배수관 또는 가스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일부분이 개방된 암편과; 상기 암편의 개방된 부분에 체결되며, 체결시 암편의 내경과 외경에 일치되어 환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숫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관통 슬리브 마감구(20)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된 상태는 종래의 관통 슬리브 마감구(10)와 같이 관통 슬리브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는 배수관 또는 가스관의 외경과 같은 크기로 형성된 환형태의 덮개부(21)와,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수직 띠형의 관 밀착부(22)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관통 슬리브 마감구(20)는 U자형 암편(30)과, 그 U자형 암편(30)에 체결되어 상술한 환형태의 덮개부(21) 및 관 밀착부(22)를 형성하도록 하는 숫편(40)으로 구성된다.
도3은 도2의 관통 슬리브 마감구(20)의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로서, 중심선을 기준으로 관통 슬리브와 관 사이의 공간을 덮는 덮개부(21) 안쪽, 관 밀착부(22)가 있는 쪽의 절반을 직각으로 절단하여 중심선과 일치하는 짧은 단면과 이와 직교하는 긴 단면으로 형성된 U자형 암편(30)과, 상기 U자형 암편(30)에 체결되며 중심선을 따라 절단된 부분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41)와 걸림턱(42)을 갖는 암편 체결구가 형성된 숫편(40)으로 구성된다.
상기 U자형 암편(30)의 짧은 단면의 안쪽으로 상기 숫편(40)에 형성된 암편 체결구의 가이드(41)가 삽입 체결되는 가이드 홈(31)과, 상기 가이드 홈(31)의 끝단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상기 숫편(40)의 걸림턱(42)이 삽입 체결되는 걸림홈(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U자형 암편(30)과 숫편(40)의 긴 단면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편(30)에 삼각 돌출부(33)를 장방향으로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숫편(40)에 상기 암편(30)의 삼각 돌출부(33)가 삽입되는 삼각홈(43)을 장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U자형 암편(30)과 숫편(40) 체결시 각각의 삼각 돌출부(33)와 삼각홈(43)이 가이드 역할을 담당하여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암편과 숫편으로 형성된 관통 슬리브 마감구는 관통 슬리브에 배수관 또는 가스관 등을 통과시켜 배관을 실시한 후, 관통 슬리브 마감구의 암편과 숫편을 분리하여 상기 암편을 관에 삽입한 다음 숫편을 암편에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체결된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관통 슬리브에 밀착시킴으로써 관통 슬리브와 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통 슬리브 마감구는 암편과 숫편으로 형성되어 관통 슬리브를 통해 이미 배관된 관과 관통 슬리브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어 관을 관통 슬리브에 통과시키기 전에 일일이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관에 삽입한 후 작업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통 슬리브와 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작업자가 배관 작업을 완료한 후 관통 슬리브 마감구를 파손하였더라도 암편과 숫편을 분리하여 제거하기가 쉽고, 새로운 관통 슬리브로 교체하기가 용이하므로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다.

Claims (3)

  1. 삭제
  2. 관통 슬리브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경은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는 배수관 또는 가스관의 외경과 같은 크기의 환형태로 형성된 덮개부와,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의 띠형태로 형성된 관 밀착부를 포함하는 관통 슬리브 마감구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리브 마감구는 관통 슬리브의 직경보다 큰 외경과, 상기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여 연결되는 배수관 또는 가스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중심선과 일치하는 짧은 단면과 이에 직교하는 긴 단면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개방된 암편과;
    상 암편의 개방된 부분에 체결되어 환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숫편을 포함하되,
    상기 암편은 상기 짧은 단면에 가이드 홈과, 그 가이드의 끝단에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숫편은 상기 암편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끝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암편의 걸림홈에 삽입 체결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마감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편의 긴 단면에는 삼각 돌출부가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숫편의 긴 단면에는 상기 암편의 삼각 돌출부가 삽입되는 삼각홈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2020070005254U 2007-03-30 2007-03-30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200444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54U KR200444865Y1 (ko) 2007-03-30 2007-03-30 관통 슬리브 마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54U KR200444865Y1 (ko) 2007-03-30 2007-03-30 관통 슬리브 마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46U KR20080004346U (ko) 2008-10-06
KR200444865Y1 true KR200444865Y1 (ko) 2009-06-11

Family

ID=4134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254U KR200444865Y1 (ko) 2007-03-30 2007-03-30 관통 슬리브 마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8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02Y1 (ko) * 2015-12-09 2017-02-13 양윤석 내화충전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2142372B1 (ko) * 2018-10-04 2020-08-07 (주)대진아트와이어 에어그릴 마감구
KR102086965B1 (ko) * 2019-09-05 2020-04-24 케이지그레이팅 주식회사 플랜지모듈이 결합되는 현장설치형 그레이팅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46U (ko) 200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2726B1 (en) Presealed system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US7374210B2 (en) Hydro penetration prevention sleeve
KR200444865Y1 (ko)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200417925Y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JP4564857B2 (ja) 排水管路構造、排水管路の施工方法および排水管路施工セット
KR200457795Y1 (ko)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JP4827171B2 (ja) 管用栓を用いた管端閉塞工法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US11466455B2 (en) Building block
JP5827102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設置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プレキャスト部材
KR20190139578A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JP3923461B2 (ja) トンネル防水工法
CN210563409U (zh) 一种临墙吊洞施工结构
KR20080076279A (ko)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100886490B1 (ko) 벽체 매립 상자
KR200485553Y1 (ko) 배수로용 피씨박스
CN111022778A (zh) 一种卫生间排水管的密封装置
KR200435127Y1 (ko) 벽체 매립형 배관 점검함
KR200246592Y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20210001184A (ko) 난방배관슬리브
KR100704658B1 (ko) 냉온수배관용 바닥매립형 엘보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냉온수배관 연결시공방법
US11181221B1 (en) Pull off pipe cap
KR200270523Y1 (ko)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CN114673356B (zh) 一种基于bim技术的填充墙砌体复杂管线穿插逆作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