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23Y1 -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 Google Patents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23Y1
KR200270523Y1 KR2019990006402U KR19990006402U KR200270523Y1 KR 200270523 Y1 KR200270523 Y1 KR 200270523Y1 KR 2019990006402 U KR2019990006402 U KR 2019990006402U KR 19990006402 U KR19990006402 U KR 19990006402U KR 200270523 Y1 KR200270523 Y1 KR 200270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fixture
present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703U (ko
Inventor
남효갑
Original Assignee
남효근
주식회사 갑포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효근, 주식회사 갑포기공 filed Critical 남효근
Priority to KR2019990006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2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2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를 배관이 통과하여야 할 때에 동일재질의 관을 슬리브로 설치하여야 하는 바 그 설치에 따른 작업공정을 줄이고 콘크리트를 타설후에는 배관파이프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로서, 슬리브용 파이프(50)로 삽입되는 원기둥형의 삽입고정부(12), 상기 삽입고정부(12) 하부의 외측에는 연결파이프(50)의 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14b)과 외주면에 경사면(14a)이 구비되는 리브(14)가 있고, 상기 리브(14)의 외측의 세곳에는 못을 박거나 볼트로 조일 수 있는 공지의 결합공(16a)이 구비되는 돌기부(16)가 있는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Pipe keeper for piping sleeve}
본 고안은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를 배관이 통과하여야 할 때에 동일재질의 관을 슬리브로 설치하여야 하는 바 현재까지는 가설슬리브를 넣고 콘크리트 타설후에는 다시 가설슬리브를 제거하고 배관슬리브를 넣게 되므로서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슬리브 설치공정을 단축하고 배관작업시에도 그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벽 또는 바닥을 관통하는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의 내측으로 배관하고자 하는 배관파이프와 동일 재질로 파이프를 일정길이 절단하여 못 또는 철사 등으로 고정하여 슬리브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PVC의 가설슬리브를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양생후에는 가설슬리브를 제거하고 실사용되는 배관슬리브를 다시 넣고 주변에 코킹처리하여 관통부 배관을 위한 슬리브로 사용하여 왔으며 벽 관통슬리브 설치에는 거푸집을 뚫어서 슬리브를 설치하게 되어 전문업종간의 마찰을 초래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슬리브(100)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후 양생이 끝나면 가설슬리브(100)를 제거하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슬리브를 설치하게 되므로서 배관슬리브 설치에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배관슬리브(60)와 콘크리트 타설면(300) 사이에는 누수가 발생되는 등 하자요인이 되어왔으며 벽관통슬리브 설치시에는 거푸집(200)에 배관슬리브를 고정시키는 작업과정에서는 첨부도면 도 2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0)에 구멍을 내거나 손상을 가져오게 되므로서 전문 건설업자간의 분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를 제작하여 사용하는데,
상기와 같이 종래 배관파이프 슬리브를 사용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이 문제점이 제기된다.
첫째로, 슬리브용 가설슬리브를 탈거후에 형성된 구멍에 일정길이 절단된 관통파이프를 삽입하므로써 삽입하고자 하는 관통파이프와 가설슬리브 탈거후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가 상이할 시에는 즉, 콘크리트면에 형성된 가설슬리브 구멍의 크기가 삽입하고자 하는 관통파이프의 직경보다 클시에는 관통파이프를 삽입한 후에 그 틈새에 마감재(몰탈 또는 시멘트를 통상적으로 사용함)를 사용하여 메꾸는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작업후에 마감재로 메꾸어진 슬리브와 콘크리트면의 틈새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가설슬리브 탈거후의 구멍이 삽입하고자 하는 배관슬리브용 파이프 보다 작을 시에는 가설슬리브를 탈거후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을 삽입하고자 하는 배관슬리브용 파이프의 직경에 맞도록 작업자가 일일이 넓혀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와 같은 보강작업후에는 누수처리를 하는 데, 이와 같은 작업을 한후에도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있는 것이다.
둘째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일정시간이 경과후에 가설슬리브를 탈거시에는 상기 가설슬리브 상부면을 때리는데, 이때 가설슬리브가 파손되어 다시 사용할 수 없어 자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 벽관통 슬리브를 넣을시에는 거푸집 벽에 고정장치가 없어 거푸집을 뚫어서 고정하게 되므로서 전문건설업체가변상책임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슬리브를 넣을시 가설슬리브 시공후 배관슬리브를 다시 넣은 2차공정을 줄이고 그에 따른 시공상의 하자와 자재비 및 인건비를 절감하는데 있으며 벽관통 슬리브 설치시 거푸집의 손상을 방지하고 슬리브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간단히 하고 슬리브용 고정구의 재사용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내로 삽입되어 슬리브용 파이프를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와 슬리브용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는 경사리브가 구비되는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를 구성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 파이프의 연결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종래 배관 파이프의 고정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배관 슬리브용 가설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종래 배관 슬리브용 가설슬리브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도.
도 7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탈거후에 파이프 연결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삽입고정부 14: 리브
14a: 경사면 14b: 고정홈
16: 돌기부 16a: 결합공(공지기술)
50: 연결파이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도 7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벽관통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탈거후에 벽관통 슬리브를 이용한 배관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구성을 도 5에서 도시된 바에 의하여 설명하자면 먼저, 슬리브용 파이프내(50)로 삽입되는 원기둥형의 삽입고정부(12), 상기 삽입고정부(12) 하부의 외측에는 슬리브용 파이프(50)의 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14b)과 외주면에 경사면(14a)이 구비되는 리브(14)가 구성되고, 상기 리브(14)의 외측의 세곳에는 못을 박거나 볼트로 조일 수 있는 결합공(16a)이 구비되는 돌기부(16)가 있는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사용상태 즉, 건축물의 바닥 또는 천정면의 파이프 배관작업시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에 의해 설명하자면, 슬리브용 파이프(50)를 고정하고자 하는 장소의 거푸집(200)의 내측으로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를 고정하되 돌기부(16)에 구비되는 공지의 결합공(16a)에 못을박거나 볼트로 조여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가 거푸집(20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이와 같은상태에서 고정하고자 하는 슬리브용 파이프(50)의 단부를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의 고정홈(14b)에 끼워주면 원기둥형의 고정부(12)가 고정홈(14b)에 끼워지는 슬리브용 파이프(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리브용 파이프(50)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용 파이프(50)가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의 고정홈(14b)에 끼워질시에 고정홈(14b)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액을 주입하면 일정시간이 지나 콘크리트 양생후에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를 탈거시에 보다 손쉽게 탈거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 즉, 벽면에 슬리브용 파이프를 배관시에 본 고안 배관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가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평단면도로서, 벽면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 절단된 슬리브용 파이프(50)의 양단부를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의 고정홈(14b)에 끼워주면 원기둥형의 고정부(12)가 고정홈(14b)에 끼워지는 슬리브용 파이프(50)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양측에 위치되는 거푸집(200)의 내측으로 본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를 각각 고정하되 돌기부(16)에 구비되는 공지의 결합공(16a)에 못을 박거나 볼트로 조여 각각의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가 거푸집(20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여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시에 슬리브용 파이프(50)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의 탈거후에 슬리브용 파이프의 배관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에 의해 설명하자면, 전술한 도 5,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를 천정·바닥또는 벽면의 슬리브용 파이프(50) 고정작업에 사용한 후에 이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거푸집(200)내로 부어 넣어진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난 후에는 일차적으로 거푸집(200)을 떼어내게 되는 데, 이때 배관 슬리브용파이프 고정구(10)의 원기둥형의 삽입고정부(12)는 슬리브용 파이프(50)의 내측에서 빠지면서 거푸집(200)과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면(300)에서 탈거되고, 상기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를 거푸집(200)에서 탈거하여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의 공지의 결합공(16a)에 끼워져 있는 못 또는 볼트를 제거하면 거푸집(200)에 고정되어있던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는 분리된다. 이와 같이 거푸집(200)과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가 콘크리트면(300)에서 탈거된 후에는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 리브(14)의 외주면의 경사면(14a)과 동일한 형상의 원형홈(301)이 콘크리트면(300)에 형성됨과 더불어 슬리브용 파이프(50)의 양단부(52)가 드러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200)과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가 탈거된 후에 드러나는 슬리브용 파이프(50)의 양단부(52)에 동일 직경의 배관파이프(50′)를 용접작업 등을 통하여 연결하고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 리브(14)의 외주면의 경사면(14a)과 동일한 원형홈(301)을 몰탈 또는 시멘트를 사용하여 메꾸어 주면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고정구(10)를 사용하여 수행한 배관파이프의 연결작업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10)를 사용할 때에는 원기둥형의 삽입고정부(12)의 직경을 재질별로 파이프 크기에 따라 15㎜용, 25㎜용, 30㎜용 등의 여러 가지 치수로 제작하여 배관하고자 하는 슬리브용 파이프의 치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를 사용하므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로, 가설슬리브 설치와 배관슬리브 설치 등 2차에 걸쳐 작업이 이루어지고 작업과정과 완료후에 발생되는 누수 등의하자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서 작업공정 단축에 따른 인건비 절감과 가설슬리브의 재사용으로 인한 자재비 절감 및 향후 하자보수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둘째로, 벽관통 슬리브를 사용시에는 양측에 2개의 슬리브 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므로서 타공정에 손실을 주지 않을 뿐만아니라 작업이 간편해지고 기존에 작업시에 생기는 슬리브용 파이프의 틀어짐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수반되어 작업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슬리브용 파이프(50)내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부(12), 상기 삽입고정부(12) 하부의 외측에는 슬리브용 파이프(50)의 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홈(14b)과 외주면에 경사면(14a)이 구비되는 리브(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KR2019990006402U 1999-04-19 1999-04-19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KR200270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402U KR200270523Y1 (ko) 1999-04-19 1999-04-19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402U KR200270523Y1 (ko) 1999-04-19 1999-04-19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703U KR20000019703U (ko) 2000-11-25
KR200270523Y1 true KR200270523Y1 (ko) 2002-04-03

Family

ID=5476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402U KR200270523Y1 (ko) 1999-04-19 1999-04-19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91B1 (ko) * 2006-10-23 2008-03-19 정종태 배수트랩 받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703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63B1 (ko) 양방향 정착 커플러와 인서트 고정장치 및 고점착 유연성 겔 방수재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92051B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AU2015213472A1 (en) Connector for use in forming joints
KR200417925Y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KR101879277B1 (ko) 지하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200270523Y1 (ko) 배관 슬리브용 파이프 고정구
KR100748677B1 (ko)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H07269742A (ja) 既設管渠の更生工法及びこの更生工法に使用する更生管支保材
KR200444865Y1 (ko)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101114266B1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벽체 관통용 슬리브
JPH07259490A (ja) トンネルの歩床敷設方法
KR19980025063U (ko) 거푸집 매설용 슬리브.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80076279A (ko)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101658739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장치
KR200246592Y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TWM587719U (zh) 預埋式試水測漏管塞頭
AU713645B2 (en) Adjustable fire rated floor penetration
KR100704658B1 (ko) 냉온수배관용 바닥매립형 엘보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냉온수배관 연결시공방법
KR200177905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TWI717013B (zh) 預埋式試水測漏管塞頭
KR101268843B1 (ko) 평면형 마감판을 이용한 충진재 충진방법
KR200346943Y1 (ko) 벽매입용 이송관의 설치구조
KR100476840B1 (ko)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