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559A - 철근 이음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 이음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559A
KR20230068559A KR1020210154467A KR20210154467A KR20230068559A KR 20230068559 A KR20230068559 A KR 20230068559A KR 1020210154467 A KR1020210154467 A KR 1020210154467A KR 20210154467 A KR20210154467 A KR 20210154467A KR 20230068559 A KR20230068559 A KR 20230068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socket
tightening nut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172B1 (ko
Inventor
손영학
김형희
Original Assignee
손영학
서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학, 서주현 filed Critical 손영학
Priority to KR102021015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1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철근 또는 환봉형상의 부재를 잇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이음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부측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내부 중심부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나사결합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조임너트와, 상기 소켓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중공체 형상의 조립체로서 내부 중공홀로 철근이 삽입되는 압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조임너트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임너트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압박부재가 압박부재의 내부 중공홀로 삽입되는 철근의 외주연을 압박함으로써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는 것이 특징인 철근 이음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철근 연결용 커플러는 체결방법을 단순화하여 체결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철근을 2중으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근 이음용 커플러{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
본 발명은 철근 이음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철근 또는 환봉형상의 부재를 잇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이음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러는 건설현장에서 철근 또는 파이프와 같이 환봉 형상의 부재를 잇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플러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102531호에 철근의 양단이 삽입고정되는 좌우 몸체와, 상기 좌우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철근의 양단을 파지하는 좌우 파지부로 이루어져서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좌우 몸체는 각각 전면 철근삽입구멍, 측벽 및 후부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몸체의 후부는 상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 내경은 경사가 져 있는 테이퍼 형태이고, 상기 좌우 파지부의 외경부분도 경사가 져 있는 테이퍼 형태로서, 상기 좌우 파지부의 경사부분이 측벽 내경의 경사부분과 상호작동하여 쐐기작용을 하여 철근을 이탈되지 않게 압착하고, 또한 상기 좌우 파지부 내경부분은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되, 상기 톱니의 하변에는 철근의 마디돌기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좌우 파지부는 각각 다수 개의 절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절편들은 철근삽입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다수 개로 나누어진 좌우 파지부 절편들 사이에는 파지부 가이드가 절편들 사이사이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단면이 둥근 원을 이루며, 그리고 상기 좌우 파지부 내경부분은 철근을 파지할 수 있게 오목하게 라운드져 있으며, 양 측면은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 있으며, 외경부분은 좌우 몸체와 접촉되게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용 원터치식 퀵 커플러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공보 제1519471호에 양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되, 철근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에 축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갖는 중공부가 형성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중공부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리브의 중공부 내측에 설치되며, 외면이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부와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테이퍼부와 연접하고, 내면에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록킹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록킹편체와; 상기 록킹편체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재에 대해 록킹편체에 축방향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편체의 각 측면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록킹편체 간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는 복수개의 가변형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 또는 커플링은 구조가 복합하여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거나 또는 체결방법이 복잡하여 체결작업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근을 잇는 체결방법을 단순화하여 체결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커플러는 양단부측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내부 중심부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나사결합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조임너트와, 상기 소켓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중공체 형상의 조립체로서 내부 중공홀로 철근이 삽입되는 압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조임너트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임너트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압박부재가 압박부재의 내부 중공홀로 삽입되는 철근의 외주연을 압박함으로써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철근 연결용 커플러는 체결방법을 단순화하여 체결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철근을 2중으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을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일측 단부 구성을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타측 단부 구성을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일측 단부 구성중 조임너트, 압박부재, 가이드부재를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타측 단부 구성중 조임너트, 압박부재, 가이드부재를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일측 조임너트를 생략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양측 조임너트를 생략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소켓을 생략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도 9에서 압박부재 중 제2몸체의 일부를 생략한 사용 상태도.
도 11은 도 9에서 압박부재 중 제1몸체의 일부를 생략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 중 소켓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 중 조임너트의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 중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조임너트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철근과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수직단면 개요도.
도 16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 중 압박부재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철근 또는 환봉형상의 부재를 잇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이음용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100)는 양단부측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내부 중심부에는 격벽(111)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110)과, 상기 소켓(110)에 나사결합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조임너트(120)와, 상기 소켓(110)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120)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중공체 형상의 조립체로서 내부 중공홀로 철근(200)이 삽입되는 압박부재(140)로 이루어져 상기 조임너트(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임너트(120)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압박부재(140)가 압박부재(140)의 내부 중공홀로 삽입되는 철근의 외주연을 압박함으로써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격벽(111) 사이에는 스프링(130)이 안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박부재(140)는 철근(200)의 외주연에 접촉하는 중공체 형상의 제1몸체(141)와, 상기 제1몸체(141)의 외부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그 외측면이 조임너트(12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2몸체(14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제1몸체(141)는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진 중공체 형상의 조립체로서 각각의 분할편은 소켓(110)의 격벽(111)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42)는 제1몸체(142)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켓(110)의 격벽(111)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제1몸체(141)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그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너트(120)와 소켓(110)의 체결관계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면 질수록 제2몸체(142)는 제1몸체(141)의 중공홀 형상이 작아지도록 압박함으로써 제1몸체(141)의 중공홀로 삽입되어 있는 철근(200)의 외주연을 압박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41)는 가이드부재(15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링형상의 지지몸체(151)와, 상기 제1몸체(141)의 분할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몸체(15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152)로 이루어지져 상기 가이드부재(150)와 제1몸체(141)는 원뿔대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지지몸체(151)에 접촉되는 제1몸체(141)의 일단에는 지지몸체(151)의 외주연을 따라 감싸도록 이탈방지용 돌출단(141-2)이 제1몸체(1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151)에 근접하는 제2몸체(152)의 외측면에는 외주연을 따라 소정깊이의 안착홈(142-3)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42-3)에 고무링(160)을 안치시킴으로써 상기 고무링(160)에 의해 압박부재(140)와 가이드부재(150)는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2몸체(152)의 외측면에는 안착홈(142-3)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걸림돌기(142-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42-2)에 대응하도록 조임너트(12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21)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을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일측 단부 구성을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타측 단부 구성을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일측 단부 구성중 조임너트, 압박부재, 가이드부재를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타측 단부 구성중 조임너트, 압박부재, 가이드부재를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일측 조임너트를 생략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양측 조임너트를 생략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소켓을 생략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도 9에서 압박부재 중 제2몸체의 일부를 생략한 사용 상태도, 도 11은 도 9에서 압박부재 중 제1몸체의 일부를 생략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 중 소켓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 중 조임너트의 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 중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조임너트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철근과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수직단면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100)는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철근 또는 환봉형상의 부재를 잇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이음용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측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내부 중심부에는 격벽(111)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110)과, 상기 소켓(110)에 나사결합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조임너트(120)와, 상기 소켓(110)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120)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중공체 형상의 조립체로서 내부 중공홀로 철근(200)이 삽입되는 압박부재(140)로 이루어져 상기 조임너트(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임너트(120)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압박부재(140)가 압박부재(140)의 내부 중공홀로 삽입되는 철근의 외주연을 압박함으로써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격벽(111) 사이에는 스프링(130)이 안착되어 있음으로써 조임너트(120)와 소켓(110)의 체결이 견고하게 되면 될수록 스프링(130)의 탄성복원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어 철근(200)을 압박하는 강도를 증가하게 되도록 하여 준다.
조임너트(120)의 외측면 형상을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조임너트(120)를 더욱 강하게 조여줄 수 있기에 더욱 견고하게 철근(200)을 파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압박부재(140)는 철근(200)의 외주연에 접촉하는 중공체 형상의 제1몸체(141)와, 상기 제1몸체(141)의 외부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그 외측면이 조임너트(12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2몸체(142)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몸체(141)는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진 중공체 형상의 조립체로서 각각의 분할편은 소켓(110)의 격벽(111)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42)는 제1몸체(141)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켓(110)의 격벽(111)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제1몸체(141)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그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조임너트(120)와 소켓(110)의 체결관계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면 질수록 제2몸체(142)는 제1몸체(141)의 중공홀 형상이 작아지도록 압박하게 되어 제1몸체(141)의 중공홀로 삽입되어 있는 철근(200)의 외주연을 압박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는 것이다.
한편, 조임너트(120) 측에 위치한 제2몸체(142)의 단부측에 경사면(142-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조임너트(120)의 내측면에도 경사면(123)을 형성함으로써 조임너트(120)가 소켓(110)에 체결되면 될수록 제2몸체(142)를 더욱더 강하게 압박하는 힘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1몸체(141)는 가이드부재(15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링형상의 지지몸체(151)와, 상기 제1몸체(141)의 분할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몸체(15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152)로 이루어지져 상기 가이드부재(150)와 제1몸체(141)는 원뿔대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원뿔대는 원뿔의 밑면에 평행하게 평면으로 잘랐을 때 꼭지점이 있는 위쪽을 뺀 나머지 부분이루어진 입체 도형을 일컫는다.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지지몸체(151)에 접촉되는 제1몸체(141)의 일단에는 지지몸체(151)의 외주연을 따라 감싸도록 이탈방지용 돌출단(141-2)이 제1몸체(1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151)에 근접하는 제2몸체(152)의 외측면에는 외주연을 따라 소정깊이의 안착홈(142-3)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42-3)에 고무링(160)을 안치시킴으로써 상기 고무링(160)에 의해 압박부재(140)와 가이드부재(150)는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커플러(100)의 조립작업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152)의 외측면에는 안착홈(142-3)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걸림돌기(142-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42-2)에 대응하도록 조임너트(12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21)이 형성되어 있어 조임너트(120)가 회전하면서 진행하여 상기 안착홈(142-3)에 제2몸체(142)의 걸림돌기(142-2)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조임너트(120)을 지속적으로 압박하지 않더라도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쉽게 밀려나오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안착홈(142-3)의 폭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게 되면 소켓(110)에 체결된 조임너트(120)를 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줄 때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홈(121)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돌기(142-2)가 보다 쉽게 밀려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41)의 내측면과 철근(20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몸체(142)의 내측면 일부에 각각 요홈부(141-1, 142-1)를 형성함으로써 철근(200)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줌으로써 철근(200)을 더욱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압박부재(140)의 구성인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조각편이 4개인 것을 설명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과 같이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조각편을 2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구성 중 압박부재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재(140)인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조각편의 갯수가 2개가 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제작시간의 단축과 제작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철근(200)에 가해지는 압박력이 감소할 수 있음을 염두해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조각편의 갯수가 2개로 제작됨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150)의 가이드돌기(152)는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조각편의 갯수에 대응하기 위하여 2개만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철근 연결용 커플러는 체결방법을 단순화하여 체결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철근을 2중으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커플러
110. 소켓 111. 격벽
120. 조임너트 121. 걸림홈 122. 조임부
123. 경사면
130. 스프링
140. 압박부재 141. 제1몸체 141-1. 요홈부
141-2. 돌출단 142. 제2몸체 142-1. 요홈부
142-2. 걸림돌기 142-3. 안착홈 142-4. 경사면
150. 가이드부재 151. 지지몸체 152. 가이드돌기
160. 고무링
200. 철근

Claims (7)

  1. 건설현장에서 철근 또는 환봉형상의 부재를 잇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이음용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100)는 양단부측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으로서 내부 중심부에는 격벽(111)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110)과, 상기 소켓(110)에 나사결합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 형상의 조임너트(120)와, 상기 소켓(110)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120)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중공체 형상의 조립체로서 내부 중공홀로 철근(200)이 삽입되는 압박부재(140)로 이루어져 상기 조임너트(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조임너트(120)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압박부재(140)가 압박부재(140)의 내부 중공홀로 삽입되는 철근의 외주연을 압박함으로써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는 것이 특징인 철근 이음용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11) 사이에는 스프링(130)이 안착되는 것이 특징인 철근 이음용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140)는 철근(200)의 외주연에 접촉하는 중공체 형상의 제1몸체(141)와, 상기 제1몸체(141)의 외부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그 외측면이 조임너트(12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2몸체(14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제1몸체(141)는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진 중공체 형상의 조립체로서 각각의 분할편은 소켓(110)의 격벽(111)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42)는 제1몸체(141)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켓(110)의 격벽(111)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제1몸체(141)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그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너트(120)와 소켓(110)의 체결관계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면 질수록 제2몸체(142)는 제1몸체(141)의 중공홀 형상이 작아지도록 압박함으로써 제1몸체(141)의 중공홀로 삽입되어 있는 철근(200)의 외주연을 압박하는 것이 특징인 철근 이음용 커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41)는 가이드부재(15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링형상의 지지몸체(151)와, 상기 제1몸체(141)의 분할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몸체(15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152)로 이루어지져, 상기 가이드부재(150)와 제1몸체(141)는 원뿔대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이 철근 이음용 커플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지지몸체(151)에 접촉되는 제1몸체(141)의 일단에는 지지몸체(151)의 외주연을 따라 감싸도록 이탈방지용 돌출단(141-2)이 제1몸체(1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철근 이음용 커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51)에 근접하는 제2몸체(152)의 외측면에는 외주연을 따라 소정깊이의 안착홈(142-3)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42-3)에 고무링(160)을 안치시킴으로써 상기 고무링(160)에 의해 압박부재(140)와 가이드부재(150)는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되는 것이 특징인 철근 이음용 커플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152)의 외측면에는 안착홈(142-3)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걸림돌기(142-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42-2)에 대응하도록 조임너트(12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21)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0210154467A 2021-11-11 2021-11-11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58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467A KR102583172B1 (ko) 2021-11-11 2021-11-11 철근 이음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467A KR102583172B1 (ko) 2021-11-11 2021-11-11 철근 이음용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559A true KR20230068559A (ko) 2023-05-18
KR102583172B1 KR102583172B1 (ko) 2023-09-25

Family

ID=8654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467A KR102583172B1 (ko) 2021-11-11 2021-11-11 철근 이음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1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71B1 (ko) * 2006-07-19 2008-01-31 (주)윈윈개발 철근연결장치
KR20190012598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102069667B1 (ko) * 2019-08-08 2020-01-23 주식회사 금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KR20200070552A (ko) * 2018-12-10 2020-06-18 손영학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221614B1 (ko) * 2019-02-20 2021-03-02 웰시스 주식회사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71B1 (ko) * 2006-07-19 2008-01-31 (주)윈윈개발 철근연결장치
KR20190012598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20200070552A (ko) * 2018-12-10 2020-06-18 손영학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221614B1 (ko) * 2019-02-20 2021-03-02 웰시스 주식회사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102069667B1 (ko) * 2019-08-08 2020-01-23 주식회사 금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172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515B1 (ko) 나사형 철근 커플러
AU2013214495C1 (en) Expansion head for expansion tools and expansion tool comprising said expansion head
KR101807467B1 (ko) 철근연결구
KR101768816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0712438B1 (ko) 철근 커플러
KR101943162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20180047130A (ko) 철근 이음 장치
KR19990012169A (ko) 철근 연결 구조
KR101595327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20230068559A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20220170328A (ko) 철근 커플러
KR20200070552A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858024B1 (ko) 철근이음장치
KR102163540B1 (ko) 원터치형 이지 커플러
KR20170120993A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102207160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027085B1 (ko) 철근 커플러
KR20200093937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827175B1 (ko) 강선 이음용 커플러
KR101791468B1 (ko) 원터치 방식의 철근 이음장치
KR101708471B1 (ko) 철근연결구
KR102301458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659571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200390281Y1 (ko) 철근 커플러
JP4052408B2 (ja) 締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