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233B1 -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233B1
KR102517233B1 KR1020220023741A KR20220023741A KR102517233B1 KR 102517233 B1 KR102517233 B1 KR 102517233B1 KR 1020220023741 A KR1020220023741 A KR 1020220023741A KR 20220023741 A KR20220023741 A KR 20220023741A KR 102517233 B1 KR102517233 B1 KR 10251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leeve body
fire
cable
fire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원
Original Assignee
(주) 상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상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2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되며, 상하측에 각각 케이블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상기 관통구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 및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가 각각 결합 가능한 트레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는,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고, 양측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이 마련되는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볼트 관통홀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한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에 의해 발포 팽창 가능한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관통구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충전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fireproof foam sleeve and sleeve assembly for cable tray connection hav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ireproof fill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 내측을 차폐하는 작업을 실시할 때 관통구를 완벽하게 차폐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현대건축은 효율적인 공간활용과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대형화, 고층화된 건물의 건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건물들의 건축에서는 공공 소방력의 한계가 분명하며 자체적인 방재 시스템의 자립화가 중요한 요구 성능이 된다.
화재를 진압하는데 있어 스프링쿨러와 같이 기계적인 해결을 액티브 시스템(Active System)이라 하고, 방염, 방화구획, 내화구조 등 건축적 해결을 통한 방법을 패시브 시스템(Passive System)이라 한다. 액티브 시스템에 비해 패시브 시스템은 화재의 발생 및 진압에 있어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으며, 건축 재료를 통한 발화, 화재의 확산 및 전파를 억제하고, 유독 가스나 연기, 열로부터 피난에 필요한 일정시간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
모든 건축물에는 전기 및 배관시설이 들어가고, 이 시설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화염 확대의 통로가 될 수 있는 방화구획체의 관통구를 밀폐시키는 구조를 내화충전구조라 한다. 내화충전구조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인접 실이나 층으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 방화구획의 수평수직 설비관통부, 조인트 및 커튼월과 바닥 사이 등의 틈새를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자면, 현재 고층아파트나 건축물 공사시 각 층마다 바닥에 케이블 트레이 설치를 위한 관통구를 만들기 위해 슬리브를 설치한다.
이러한 슬리브는 케이블 트레이가 상하 관통 설치되는 OPEN형 슬리브와, 케이블 트레이가 상하 관통하지 않고 상부와 하부에서 별도 브래킷을 통해 케이블 트레이와 연결되는 일체형 슬리브가 적용되고 있다.
이 중,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OPEN형 슬리브(10)를 적용하여 케이블 트레이(20)를 설치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20)는 슬리브(10)의 뒷면(후방 내측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관통 설치된다.
이후, 작업자가 케이블 트레이(20)의 렁(21)에 케이블을 고정하여 케이블 포설작업을 실시한 후, 슬리브 내측 공간을 방화폼 패드(40)를 이용하여 내화충전구조를 설치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의 한 쌍의 지지바와 슬리브의 후방 내측면간의 밀착 상태로 인해 케이블 후방측에 대한 내화충전구조를 위한 작업공간(방화폼 패드 설치를 위한 작업공간)이 나오지 않는다. 참고로, 방화폼 패드(40)는 슬리브(10)의 높이 변화에 따라 슬리브 내측에 적어도 1번의 횟수로 충전 가능하며 도 1에는 2번 충전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부연하자면, 작업자는 케이블의 전방측에서 슬리브 내측 관통홀을 차폐하도록 방화폼 패드 설치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케이블 트레이(20)와 슬리브 후방 내측면의 밀착으로 인해, 즉 작업공간의 협소함 또는 작업공간이 나오지 않음으로 인해 작업 케이블(50) 후방측에 대해서는 방화폼 패드 설치작업을 실시하기 어려운게 현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84860호 (2019.05.31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관통구를 차폐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의 슬리브 조립체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관통구(슬리브 조립체의 내측 영역)의 내화충전을 위한 차폐작업을 한층 용이하면서 완벽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결국 내화충전구조 성능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는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되며, 상하측에 각각 케이블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상기 관통구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 및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가 각각 결합 가능한 트레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는,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고, 양측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이 마련되는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볼트 관통홀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한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슬리브 본체와 상기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는, 상기 너트 삽입홈에 삽입되는 너트; 그 바디 부위가 상기 볼트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 삽입홈에 삽입된 너트에 단부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내측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볼트가 관통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볼트 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와 각각 스크루 결합되도록 복수의 스크루 체결홀이 마련되는 금속 재질의 결합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에 대해 상기 결합브래킷을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슬리브 본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본체에는, 열에 의해 발포 팽창되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추가 케이블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예비 관통홀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케이블 삽입부는 상기 슬리브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리브 본체와 상기 추가 케이블 삽입부는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슬리브 본체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리브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 본체와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슬리브 본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슬리브 본체와 상기 커버를 분리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에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커팅 가능한 커팅 그루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팅 그루브는 상기 추가 케이블 삽입부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를 차폐하는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으로서, (a)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 형성을 위한 거푸집에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의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고정하는 단계; (b)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트레이 결합부를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결합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트레이 결합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결합하여 연결하고,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의 내측 관통홀을 막도록 방화폼 패드를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를 차폐하는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으로서, (a)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 형성을 위한 거푸집에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의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고정하는 단계; (b)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트레이 결합부를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결합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트레이 결합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결합하여 연결하고,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의 내측 관통홀을 막도록 방화폼 패드를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방화폼 패드를 압축하여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방화폼 패드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는 상기 방화폼 패드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일정이상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b)단계와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슬리브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슬리브 본체의 일측 개구를 개방하는 단계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상기 관통구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고, 양측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이 마련되는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볼트 관통홀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한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가 제공된다.
상기 슬리브 본체의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슬리브 본체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리브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며, 상기 슬리브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와 동일한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져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슬리브 본체와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슬리브 본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슬리브 본체와 상기 커버를 분리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에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커팅 가능한 커팅 그루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에 의하면, 열에 의해 발포 팽창 가능한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관통구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충전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방화폼 패드에 의해 케이블을 내화발포성 슬리브에 밀착되도록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내화발포성 슬리브의 관통홀 내에서 방화폼 패드를 케이블의 전방 영역측에 설치해도 방화폼 패드와 내화발포성 슬리브가 케이블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형태가 됨으로써 내화 차폐작업을 완벽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케이블 삽입부가 마련됨으로써 케이블 포설작업 및 방화폼 패드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추가적인 케이블 설치가 필요한 경우, 방화폼 패드의 해체 작업없이 용이하게 추가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추가적으로 마련됨으로써 종래 별도의 금속재질 커버를 적용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타설시 슬리브 본체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후에는 커버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리브 내의 내화충전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하여 내화충전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하여 내화충전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에 케이블 트레이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슬리브 조립체에서 전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이 완료된 후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된 슬리브와 연결되도록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상기 관통구의 내화충전을 위한 차폐작업을 한층 용이하면서 완벽하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는 구조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200, 이하, 슬리브 조립체)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100)에 설치되며, 상하측에 각각 케이블(120)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슬리브는 케이블 트레이가 상하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open 타입의 슬리브와, 케이블 트레이가 관통하지 않고 상부와 하부에서 레일을 통해 연결하는 일체형 슬리브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하 설명하는 슬리브 조립체(200)의 슬리브 본체(212)는 후자(後者)인 일체형 슬리브에 해당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20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및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가 결합 가능한 트레이 결합부(260)를 포함한다.
먼저,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의 렁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120)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하 관통되는 관통홀(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그 자체로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관통구(100)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며,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화재 열에 의해 관통구(1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팽창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기존의 금속성 슬리브와 달리 그 자체로 열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바, 기존 슬리브의 내화충전 시공구조에 비해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가 관통구(100)를 통해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슬리브 본체(212)와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를 포함한다.
먼저, 슬리브 본체(212)는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고, 양측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213)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리브 본체(2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자체로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는 열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짐에 따라,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팽창하여 건축물 바닥 또는 벽체의 관통구(100)를 완벽하게 차폐하여 화염, 연기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본체(212)에는 열에 의해 발포 팽창되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추가 케이블(121)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예비 관통홀(216)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후술하는 시공방법 설명에서 방화폼 패드(400)가 화염 및 연기의 전파를 차단하도록 관통구(100), 즉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 관통홀(211)을 폐쇄하도록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에 고정된 케이블(120) 외에 추가 케이블(121)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방화폼 패드(400)의 분리 및 재설치 과정없이 이를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내측에 예비 관통홀(216)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예비 관통홀(216)에는 추가 케이블로서 전기선, 통신선 등이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방화폼 패드(400)가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특히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상단부는 방화폼 패드(400)의 상면에 대해서도 일정이상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필요시 추가 케이블(121)을 한층 용이하게 추가 케이블 삽입부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다. 관련된 부연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슬리브 본체(21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슬리브 본체(212)의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공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리브 본체(212)와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그 내측에 예비 관통홀(216)이 형성되어 예비 관통홀이 폐쇄되지 않는다면 화재발생시 화염, 연기의 전파 통로로 기능하는 문제가 있지만,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슬리브 본체(212)와 동일하게 열에 의해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화재 열에 의해 팽창되어 예비 관통홀(216)이 폐쇄 가능하여 화염, 연기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비 관통홀(216)에 추가 케이블을 삽입하지 않는 경우, 예비 관통홀(216) 내측에 내화 실란트 등을 도포하여 예비 관통홀을 폐쇄하거나,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상단에 고무캡(미도시) 등을 장착하여 예비 관통홀(216)의 개구를 막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리브 본체(212)는 상하 관통되는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일 예로, 슬리브 본체(212)는 전면 플레이트(220), 후면 플레이트(221), 좌측 플레이트(222), 우측 플레이트(223)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일부에는 후술하는 시공방법에서 슬리브 본체(212)를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 형성을 위한 거푸집(미도시)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플랜지(240)가 마련되며, 이러한 플랜지(240)에는 거푸집으로의 고정을 위해 볼트가 관통 체결되도록 볼트 체결홀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 예로 슬리브 본체(212)는 전술한 4개의 플레이트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 즉 관통홀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구조체가 1회의 사출 공정을 통해 한번에 성형될 수도 있으며, 1회의 사출 완료시 슬리브 본체(212)에는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 또한 일체로 마련된다. 즉, 슬리브 본체(212)와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변형 예로, 슬리브 본체는 전술한 4개의 플레이트가 개별 사출공정을 통해 각각 제조된 후 플레이트 결합부(미도시)를 통해 서로 일체가 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거푸집에 고정될 수도 있다.
후자(後者)의 경우, 두께가 얇은 4개의 플레이트를 개별 사출하여 제조함으로써, 전자(前者)의 경우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운반상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전자(前者)의 경우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한다.
전면 플레이트(22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가 일체로 마련되고, 후면 플레이트(221)는 전면 플레이트(22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좌측 플레이트(222)는 전면 플레이트(220)와 후면 플레이트(221)의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고, 우측 플레이트(223)는 전면 플레이트(220)와 후면 플레이트(221)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좌측 플레이트(222)와 우측 플레이트(223)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213)이 마련되며, 이러한 볼트 관통홀(213)은 슬리브 본체 사출 성형시 이와 동시에 형성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는 슬리브 본체(212), 구체적으로 좌측 플레이트(222)와 우측 플레이트(223)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며, 볼트 관통홀(2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는 복수의 볼트 관통홀(213)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243)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245)이 마련된다. 이러한 슬리브 돌출부(242)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슬리브 돌출부(242)가 콘크리트 내측에 고정됨에 따라 결국 슬리브 본체(212)가 더욱 안정적으로 콘크리트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너트 삽입홈(245)의 단면 형상은 후술하는 너트(267)의 외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너트(267)가 육각 너트인 경우 너트 삽입홈(245) 또한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따라서 후술하는 볼트(250)와 너트(267)의 결합과정에서 너트(267)가 너트 삽입홈(245)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한층 용이하게 볼트 체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외에, 너트(267)가 사각 너트인 경우 너트 삽입홈(245)은 사각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리브 본체(212)와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는 서로 동일한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결합부(260)는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가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트레이 결합부(260)는 너트(267), 볼트(250) 및 결합브래킷(261)을 포함한다.
너트(267)는 너트 삽입홈(245)에 삽입되는데, 콘크리트 타설작업 전에 작업자는 너트 삽입홈(245)에 너트(267)를 삽입한다.
볼트(250)는 그 바디 부위가 슬리브 본체(212)의 볼트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너트 삽입홈(245)에 삽입된 너트(267)에 단부 체결됨으로써 슬리브 본체(212)와 결합된다. 볼트(250)의 헤드 부위는 슬리브 본체(212)에 내측 영역에 위치한다.
즉, 시공과정에서 슬리브 본체(212)를 거푸집에 먼저 고정하고, 이어서 너트(267)를 너트 삽입홈(245)에 삽입하고 볼트(250)를 너트(267)와 결합시키는데, 볼트의 바디부는 볼트 관통홀(213), 연통홀(2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267)와 체결되도록 일정이상의 길이를 가진다.
이후,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슬리브 본체(212)를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하여 고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250)와 너트(267)가 기체결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는 너트(267)의 내측 체결홀 내부로는 충진되지 않게 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볼트(250)를 풀어서 후술하는 결합브래킷(261)을 슬리브 본체의 대응 위치에 배치한 후 다시 볼트(250)를 너트(267)에 체결하여 슬리브 본체(212)에 결합브래킷(261)을 결합 고정할 수 있다.
결합브래킷(26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결합브래킷(261)은 좌측 플레이트(222)와 우측 플레이트(223)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복수의 볼트(250)가 관통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볼트 삽입홀(262)이 마련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와 각각 스크루 결합되도록 장공 형상의 복수의 스크루 체결홀(265)이 마련된다.
결합브래킷(261)의 상하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가 결합되는데 스크루 체결홀(265)과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체결홀을 서로 관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볼트, 너트를 통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볼트 삽입홀(262)은 장공 타입의 제1 볼트 삽입홀(263)과, 제1 볼트 삽입홀(263)의 일단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볼트 삽입홀(263)의 폭에 비해 확대된 직경을 갖는 제2 볼트 삽입홀(264)을 포함한다.
슬리브 본체(212)에 대한 결합브래킷(261)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콘크리트 타설전 너트(267)에 기결합시킨 볼트(250)의 결합을 해제하여 분리한 후 슬리브 본체(212)의 볼트 관통홀(213)과 결합브래킷(261)의 볼트 삽입홀(262)이 서로 연통하도록 결합브래킷(261)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에서 볼트(250)의 바디부가 결합브래킷(261)의 볼트 삽입홀(262), 슬리브 본체(212)의 볼트 관통홀(213), 슬리브 돌출부(242)의 연통홀(2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267)에 단부 체결되도록 한다. 이후, 결합브래킷(261)의 상하측에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100)에 슬리브 조립체(200)를 설치하고 이후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를 설치하고 케이블 포설작업까지 완료한 후, 관통구(100), 즉 슬리브 본체의 내측 관통홀을 차폐하여 슬리브 조립체(200)를 기준으로 일측 영역에서 타측 영역으로 화재발생에 의한 화염, 연기가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은 내화발포성 슬리브 고정단계(S100), 콘크리트 타설단계(S200), 트레이 결합부 고정단계(S300),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설치고정단계(S400), 방화폼 패드 설치단계(S5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 형성을 위한 거푸집에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200)의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를 고정한다(S100). S100 단계에서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을 고정 결합한다. 이때, 슬리브 본체(212)에는 볼트(250) 및 너트(267)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후술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시 콘크리트가 너트(267) 내측 체결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슬리브 돌출부(242) 및 외측을 향하는 너트(267)의 전면(일측면) 부위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케이블을 관통하도록 통로 기능을 하는 관통구(100)를 형성한다(S200).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에 트레이 결합부(26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볼트(250)를 너트(267)로부터 결합 해제한 후 결합브래킷(261)을 다시 볼트(250), 너트(267)를 이용하여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와 결합 고정한다(S300).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267)는 너트 삽입홈(245)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일측면이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이 억제됨에 따라, 작업자는 볼트(250) 체결작업을 한층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결합부(26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를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연결하고,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측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케이블(120)을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에 고정한다(S400). 여기서, 전기선, 통신선 등의 케이블(120)은 케이블 트레이의 렁에 케이블 타이 등을 통해 고정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진 후 케이블 타이 등을 통해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다.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구(100), 즉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의 내측 관통홀(211) 영역을 막도록 방화폼 패드(400)를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측에 적어도 1회 이상의 횟수로 설치한다(S500).
구체적으로, 관통구(100) 내에 배치되는 케이블(120),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가 방화폼 패드(400)의 설치작업을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방화폼 패드(400)를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의 관통홀(211)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통홀을 방화폼 패드(400)로 덮을 수 있다(실링).
방화폼 패드(400)는 실질적으로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의 관통홀(211)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120),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에 의해 간섭되어 관통홀(211)을 전체적으로 차폐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화폼 패드(400)는 일정이상의 연성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로 스폰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관통홀(211) 내측에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관통홀을 확실하게 차폐하게 된다. 이러한 방화폼 패드(400)는 내화충전구조체로서 화재 발생시 온도가 상승하면 슬리브 본체(212)와 동일하게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다.
부연하자면, 방화폼 패드(400)는 바닥 또는 벽체를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열을 받아 팽창하여 관통구(100), 즉 관통홀(211)을 더욱 견고하게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타측 공간으로 화염 및 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화폼 패드(400)는 작업자가 일정이상 압축력을 가했을 때 탄성적으로 수축되는 형상 및 구조의 특성을 갖는다.
방화폼 패드(400)는 관통홀(211)을 덮도록 설치된 후 서로 접촉되는 방화폼 패드(400)와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면 사이에는 실링을 위해 내화 실란트(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화폼 패드(400)는 일정이상 탄성 압축 및 복원 가능한 특성을 갖는바, 케이블(120),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에 의해 간섭되어 관통구(100), 즉 관통홀(211)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지 못하는 일이 없이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500단계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방화폼 패드(400)를 압축하여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측으로 삽입하고, 방화폼 패드(400)가 복수의 케이블(120)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케이블(120)의 후방측이 열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구체적으로 슬리브 본체(212)에 밀착되도록 한다.
덧붙이자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폼 패드(400)에 의해 케이블(120)이 슬리브 본체(212)에 밀착됨에 따라, 방화폼 패드(400)와 슬리브 본체(212), 구체적으로 후면 플레이트(221)는 복수의 케이블(120)에 밀착된 상태로 케이블(120)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설치에 의해, 방화폼 패드(400)와 슬리브 본체(212)는 케이블 등에 의한 간섭없이 바닥 또는 벽체의 관통구(100)를 완벽하게 차폐시켜 화염, 연기의 전파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S50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방화폼 패드(400)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일정이상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추가 케이블(121)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경우, 기설치되어 있는 방화폼 패드(400)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추가 케이블(121)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추가 케이블(121)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는 경우,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개구 부위에 내화 실란트 등을 통해 도포하여 보조 케이블 삽입부의 삽입홀을 내화 실란트로 막거나 고무캡 등을 결합하여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를 설명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내화발포성 슬리브(610)는 슬리브 본체(212)의 일측(상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슬리브 본체(212)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커버(647)를 더 포함한다.
커버(647)는 슬리브 본체(212) 및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와 동일한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커버(647)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슬리브 본체(212)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슬리브 본체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작업자가 커버(647)를 슬리브 본체(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제거하도록,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647)와 슬리브 본체(212)의 연결부위에는 슬리브 본체(212)와 커버(647)를 분리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에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절단도구(칼, 톱, 그라인더 등)에 의해 커팅되는 커팅 그루브(648)가 마련된다.
여기서, 커팅 그루브(648)는 슬리브 본체(2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버(647)를 슬리브 본체(212)와 일체로 성형한 후 쉽게 제거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슬리브 상측에 콘크리트의 내측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금속재질 커버(미도시)를 적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금속재질 커버(미도시)의 생략으로 인해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시공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시공방법과 전체적으로 유사하고 커버(647)를 제거하는 단계만 추가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에서는 전술한 S200 단계와 S300 단계 사이에, 커버(647)를 슬리브 본체(212)로부터 분리하여 슬리브 본체(212)의 일측(상측) 개구를 개방하는 단계가 더 마련된다. 커버(647)의 제거방법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는 바 이하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를 설명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팅 그루브(648)는 도면을 기준으로 슬리브 본체(212)의 상측면 부위에 형성되며, 슬리브 본체(212)의 4개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링 형태로 마련된다.
작업자는 마찬가지로 커팅 그루브(648)를 칼,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커팅함으로써 슬리브 본체(212)로부터 커버(647)를 분리하여 슬리브 본체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갖도록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커팅 그루브(648)는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커버(647)를 커팅하여 제거한 상태에서,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상단부분은 막힌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상단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지므로, 추가 케이블 미사용시 별도의 캡(미도시)을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상단 개방구에 씌우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며, 추가 케이블 설치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를 갖는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상단부를 드릴 등을 이용하여 뚫거나 측방에에서 칼이나 톱 등을 이용하여 절개함으로써 추가 케이블 삽입부가 상하 관통되는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슬리브 20: 케이블 트레이
40: 방화폼 패드
50: 케이블 100: 관통구
120: 케이블 121: 추가 케이블
140: 제1 케이블 트레이 150: 제2 케이블 트레이
200: 슬리브 조립체 210: 내화발포성 슬리브
211: 관통홀 212: 슬리브 본체
213: 볼트 관통홀 215: 추가 케이블 삽입부
220: 전면 플레이트 221: 후면 플레이트
222: 좌측 플레이트 223: 우측 플레이트
242: 슬리브 돌출부 243: 연통홀
245: 너트 삽입홈 250: 볼트
260: 트레이 결합부 261: 결합브래킷
267: 너트 400: 방화폼 패드
647: 커버 648: 커팅 그루브

Claims (16)

  1.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되며, 상하측에 각각 케이블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상기 관통구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 및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가 각각 결합 가능한 트레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는,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고, 양측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이 마련되는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볼트 관통홀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한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본체에는, 열에 의해 발포 팽창되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추가 케이블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예비 관통홀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본체와 상기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결합부는,
    상기 너트 삽입홈에 삽입되는 너트;
    그 바디 부위가 상기 볼트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 삽입홈에 삽입된 너트에 단부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내측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볼트가 관통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볼트 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와 각각 스크루 결합되도록 복수의 스크루 체결홀이 마련되는 금속 재질의 결합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에 대해 상기 결합브래킷을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슬리브 본체에 고정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케이블 삽입부는 상기 슬리브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리브 본체와 상기 추가 케이블 삽입부는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슬리브 본체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리브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 본체와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슬리브 본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슬리브 본체와 상기 커버를 분리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에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커팅 가능한 커팅 그루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그루브는 상기 추가 케이블 삽입부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9.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를 차폐하는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으로서,
    (a)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 형성을 위한 거푸집에 제1항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의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고정하는 단계;
    (b)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트레이 결합부를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결합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트레이 결합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결합하여 연결하고,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의 내측 관통홀을 막도록 방화폼 패드를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10.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를 차폐하는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으로서,
    (a) 상기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 형성을 위한 거푸집에 제6항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의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고정하는 단계;
    (b)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트레이 결합부를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결합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트레이 결합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결합하여 연결하고,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의 내측 관통홀을 막도록 방화폼 패드를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방화폼 패드를 압축하여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방화폼 패드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는 상기 방화폼 패드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일정이상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슬리브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슬리브 본체의 일측 개구를 개방하는 단계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14.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상기 관통구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고, 양측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이 마련되는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되, 상기 복수의 볼트 관통홀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한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본체에는, 열에 의해 발포 팽창되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추가 케이블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예비 관통홀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본체의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슬리브 본체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리브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며, 상기 슬리브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와 동일한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져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슬리브 본체와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슬리브 본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슬리브 본체와 상기 커버를 분리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에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커팅 가능한 커팅 그루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
KR1020220023741A 2022-02-23 2022-02-23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KR10251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41A KR102517233B1 (ko) 2022-02-23 2022-02-23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41A KR102517233B1 (ko) 2022-02-23 2022-02-23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233B1 true KR102517233B1 (ko) 2023-04-03

Family

ID=8593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741A KR102517233B1 (ko) 2022-02-23 2022-02-23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2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042A (ko) * 2016-01-13 2018-09-1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구획 관통 구조
KR101984860B1 (ko) 2017-07-05 2019-05-31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1496B1 (ko) * 2019-07-02 2020-01-02 오병준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042A (ko) * 2016-01-13 2018-09-1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구획 관통 구조
KR101984860B1 (ko) 2017-07-05 2019-05-31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1496B1 (ko) * 2019-07-02 2020-01-02 오병준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16678B2 (en) Fire or sound blocking components and wall assemblies with fire or sound blocking components
US7478503B2 (en) Fire stop frame assembly
KR102032740B1 (ko) 내화충전재가 간편한 구조로 내장 설치되는 건축용 슬리브
KR102412548B1 (ko)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KR101314066B1 (ko)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KR102517233B1 (ko)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JP5727340B2 (ja) たて管更新方法
AU2018226076B2 (en) Fire protection element
JPH0749178Y2 (ja) ケーブル等の長尺体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
JP2000170282A (ja) 貫通穴部の防火装置、防火構造及び防火工法
US5099625A (en) Partition wall for openings in building shells, forming fire proof sections
JP2001123563A (ja) 防火区画貫通穴形成用打込み型枠及びこの施工法
US20200325677A1 (en) Device and process for thermal isolation of technical elements
KR102267090B1 (ko) 내진 방화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17215B1 (ko)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내화채움구조 시공방법
AU2022203833A1 (en) A firestopp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WO2018176091A1 (en) Penetration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6902412B2 (ja) 火煙遮断材、火煙遮断方法、耐火間仕切り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20230139596A (ko)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JPH07224973A (ja) 防火区画等の貫通配管保護用のスリーブ及びそれを用いた貫通工法
KR102318532B1 (ko) 선택적 내향 실링을 이용한 벽체 관통구 케이싱 시스템
AU2017100301A4 (en) A Building Panel
KR20200136303A (ko) 내화충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H0693673A (ja) 建築物
KR20210097281A (ko) 화재 시 기밀효과를 갖는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